유독성 식물 |
각종의 식물에는 독이 있으며 그 독의 다소에 따라 독초,익초로 분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자주 식용하는 감자의 어린 싹과 푸르게 변한 육질에는 솔라닌이란 독이 있으며, 토마토와 가지도 덜 익었을 때 먹으면 아리는데 바로 독소이다. 또한 살구씨와 메밀의 속껍질과 아주까리의 씨, 잎에도 독이 있으며 아주까리 잎의 독은 삶으면 없어진다. |
옻나무, 칠목(漆木) 칠수(漆樹) |
|
|
옻나무는 참옻나무와 개옻나무가 있는데 산에 있는 것은 대부분 개옻나무이다. |
|
개옻나무의 줄기는 회백색이나 나무순은 붉은 색을 띠고 있다. |
미치광이풀 |
|
|
미치광이풀은 4-5월 고산지대의 습지에 잘 자라며 5월초 황색 또는 자색의 작은 종모양의 꽃을 피우며 뿌리는 어른 손가락 굵기로 옆으로 뻗는다. 줄기의 뿌리부분이 자색을 띠며 키는 20-60cm정도이다. |
앉은부채 |
|
|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산의 습지에 잘 자라며 키는 30cm 이내이며 3-4월경에 먼저 꽃이 피고 잎이 달린 후 6-7월경에 열매를 맺으며 꽃이 크며 불꽃모양의 광배 속에 꽃이 피며 꽃에서 썩은 냄새를 풍겨 수분을 한다. 독성이 강하며 잎을 먹은 경우 구토, 복통, 설사, 어지럼증, 시각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뿌리는 진통, 이뇨, 기관지염 천식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
박새풀 |
|
|
박새는 다년생 외떡잎 식물로 키는 30- 100cm 정도되며 고산지대의 숲에 자라고 있다. 모양은 개불알꽃과 생김새가 비슷하나 잎과 키가 더 크다. |
천남성 |
|
|
천남성의 키는 성장 년수에 따라 다르나 10-60Cm정도이며, 우리나라 전역에 자란다. 독성이 강하다. 잎은 5갈래이며 뿌리는 토란뿌리처럼 구형이다. 뿌리는 중풍, 구안와사, 반신불수, 간질 등과 뱀에 물린 상처의 치료에 사용하는 한약재로 쓴다. |
동의나물 |
|
|
우리나라 산의 습지에 잘자라는 다년생풀이며 잎은 넓고 두꺼우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
초오, 투구꽃 |
|
|
우리나라 각처에 자생하고 미나리아제비과 초오속에 속하며 키는 장소에 다라 다르나 60-100Cm정도이며 잎은 새발가락처럼 갈라져 있고 9월경에 보라색 투구모양의 꽃이 핀다. 뿌리는 새발모양이며 독성이 강하며 약용으로 쓴다. |
은방울꽃 |
|
|
은방울꽃은 다년생 외떡잎 식물로 키는 30- 50cm 정도되며 고산지대의 숲에 자라고 있다. 산마늘과 생김새가 비슷하나 잎이 더 얇고 흰색의 작은 초롱모양의 꽃이 핀다. |
현호색 |
|
|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 자라며 4-5월경에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이 피며 왜현호색, 좀현호색, 섬현호색, 괴불주머니, 점현호색, 댓잎현호색 등 종류가 많으며 모두 독성이 있다. |
애기똥풀 |
|
|
우리나라 각지의 집근처 담장이나 논두렁 받두렁에 많이 볼 수 있으며 4-5월에 황색 꽃이 피고 잎이나 줄기에 상처를 내면 노란색의 애기 똥처럼 진액을 내며 역한 냄새가 난다. 유독식물이다. |
|
|
산나물연구회: http://www.sannamul.net/
.
*먹으면 안되는 유독식물
*노랑투구꽃
중부지방의 고원지에 나는 맹독성식물로 높이는 150cm안팎이며 7~8월에 고깔 모양의 녹황색
꽃이 핀다. 산행할때 이 풀의 잎을 따서 입에 물고 다닌다든가 손으로 비비면 생명에 위혐을 받을 수 있어 주의해야함.
*피나물
중부.북부지방의 깊은 산 숲속에서 자람. 4~5월에 노란 꽃이 피며 높이는 30cm안팎. 줄기를 자르면
주황색 유액이 나온다.독성이 강함.
*애기똥풀
양귀비과의 두해살이 풀로 전국 산과들,길가 빈터에 자라며 5~7월에 노란꽃이 핌.50cm안팎이며 줄기를 자르면 노란 유액이 나옴. 독성이 강함.
*점현호색
여러해살이풀로 산숲속의 그늘지고 습기있는 곳에 자라며 3~4월에 파란꽃이 핌.특이하게도 잎에
흰반점이 있으며 여러살이풀.독성이 있고 들현호색,왜현호색등도 먹을 수 없슴.
*미치광이풀
전국각지의 깊은 산 숲속에 자라며 4~5월에 자주색 꽃이 핌. 30~60cm쯤 되며 독성이 강함.
*꽈리
중부,북부지방의 산 낮은데서 자라며 집뜨락에 관상초로 심기도함. 5~7월에 흰꽃이 피고
40~90cm로 간혹 열매를 먹기도 하지만 새싹이나 뿌리는 독이있어 먹을 수 없슴.
*홀아비바람꽃
중부지방의 깊은 산 숲속에 자라며 4~5월에 흰꽃이 핌.10cm안팎이며 숲속에서 무리지어 자람.
여러해살이 풀로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슴.
*꿩의 바람꽃
중부지방의 깊은 산 숲속에 자라며 4~5월에 흰꽃이 핀다. 높이는 10cm안팎으로, 고개를 숙인 듯
서있으며 해가 뜨면 국화처럼 생긴 꽃이 핌. 여러해 살이풀이며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슴.
*동의나물
산골짜기의 습기있는 냇가에 자라며 3~4월에 새싹이 나와 4~5월에 별모양의 꽃이 핀다.
풀잎에 털이 없고 가지가 옆으로 뻗는다. 먹을 수 있는 곰취와 잎을 구별해내기 어려울
정도로 잎이 비슷함.
*모데미풀
남부,중부지방의 깊은산속에 자라며 5월에 흰꽃이 핀다. 여러대가 모여 자라고 높이는 30cm안팎.
꽃은 흰별꽃 모양으로 먹을 수 있는 참나물과 잎이 비슷함.
*투구꽃
바꽃이라고 부른다. 전국의 산지 고원에 자라며 높이는 80cm 안팎이고 8~9월에 투구모양의
자주색꽃이 핌. 봄에 새싹이 나올때 먹을 수 있는 붉은 참반디와 잎이 비슷해 주의 해야함.
*박새
전국의 깊은 산지,고원지에 무리로 자람. 높이 150cm안팎이며 7~8월에 흰꽃이 핀다. 봄에 어린순
나올때 산마늘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슴. 산마늘은 양파같은 한개의 꽃이 피지만 박새는 원줄기를 형성하여 큰 잎이 많이 달림.
*여로
전국의 산초원에 자라는 맹독성식물. 높이 1m 안팎이고 7~8월에 자주색, 흰색,녹색등의 꽃이 피며 잎이 새로날때는 산마늘,참나리,둥글레와 비슷해 보이므로 주의해야함. 그러나 풀잎이 크면
난초 잎처럼 길게 자라 밑으로 꺽인다.
*은방울꽃
높이 30cm안팎이며 5월에 은방울 모양의 꽃이피고 향기가 강하다. 약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독이 있어 먹지 못한다. 새싹이 나올때는 우리가 즐겨먹는 둥굴레,말나리,참나리,하늘말나리
털중나리,풀솜대,죽대아재비와 구분하기 어려움.
*천남성
여러해살이풀로 50cm안팎이고 전국각지에서 흔히볼 수 있는 식물. 천남성과의 모든 식물은
맹독성 식물이어서 주의해야 한다. 새순이 나올때 먹을 수 있는 싱아,호장근과 비슷함.
*참동의나물
4~5월에 노란꽃이 피고,50cm안팎이고 동의나물과 거의 비슷하게 생겼지만 잎자루만 더 길다.
'나물'이라고 부르지만 먹지 못하는 풀임.
*삿갓나물
6~7월에 노란 꽃이 피고 높이는 20~40cm쯤 되며 풀잎이 줄기를 중심으로 수레바퀴 모양으로 달리고 꽃이 거미모양임. 독성이 강해 먹을 수 없슴.
*진범
8~9월에 자주색 꽃이 피고 높이는 30~80cm쯤되며 꽃은 벌레처럼 생김. 여러해살이 풀이고
독성이 강해 먹을 수 없슴.
*흰진범
중부지방의 깊은 산에 자라며 약간덩굴성을 띠는 맹독성식물. 높이는 2m정도되며,7~8월에 흰고깔
모양의 꽃이 핌.
"쉽게 찾는 우리나물 "에서 발췌 (저자:김태정)
| |||||
| |||||
산에산나물 sannamul.co.k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독성물질은 용량이나 투여방법에 상관없이 신체에 해로운 물질을 말합니다.
약물은 과량을 투여했거나 비치료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때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알코올도 독성물질로 취급됩니다.
원인별 분류 |
독극물을 먹어서 중독 (음독) | |
흡입을 통한 중독 –가스중독 ( 일산화탄소 ) | |
피부를 통한 중독 ( 농약살포 등) | |
아이는 먹어서 중독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젖먹이의 경우는 모든 것을 입으로 확인하는 성향이 있으므로 어른들의 약품 방치나 아이들의 호기심에 원인이 있습니다. |
일반적 증상 |
국부적으로 통증, 부종, 발열, 피부발진,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전신증상으로 전신이 가렵고 화끈거리며 발진 (두드러기), 기관지 경련, 호흡곤란, 가슴조임, 복통 및 복부경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메스꺼움, 구토, 설사 | |
피부 또는 점막의 염증, 화상 | |
동공의 변화 | |
과도한 타액분비, 발한 | |
창백한 피부, 청색증 | |
무의식, 경련, 발작의 증상이 중독의 원인에 따라 올 수 있습니다. |
이렇게 하세요 |
다음 사항을 확인합니다.
1. 환자의 나이, 몸무게
2. 독극물 용기, 독극물 이름, 먹은 양, 먹은 시간
독극물을 삼킨 경우 반응은 즉각적으로 나타나거나 지연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강산성이나 강알칼리성같이 신체조직에 직접적인 손상을 입힐 때는 즉각적으로 나타나고, 지연되는 경우는 독성작용이 나타나기 전에 혈류를 타고 흡수되는 경우입니다.
독성물질을 삼키는 것은 사고이거나 의도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물질은 기도의 연조직부종을 초래한다. 뇌나 신장 손상이 없을 경우 환자 예후는 처치와 생체기능 유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렇게 하세요
-
독극물을 확인합니다.
사용한 약물이 무엇인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언제, 어디서, 왜, 얼마나 많이, 누가 발견했는지, 복용한지 얼마나 되었는지, 증상, 환자의 나이와 몸무게, 건강력). -
정상에서 벗어나는 이상한 점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살핍니다.
서로 다른 독극물은 신체에 다르게 작용합니다. -
산이나 알칼리 같은 부식성 물질을 삼킨 경우가 아니라면 적어도 1-2컵의 물이나 우유를 먹여 독극물을 희석시킵니다.
찬 우유나 물은 실온의 물이나 따뜻한 음료보다는 열을 잘 흡수합니다.
◀ 주의사항
환자를 왼쪽으로 눕힙니다. |
이렇게 하면 작은 창자와 연결되는 위의 끝부분이 똑바로 서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중력의 영향으로 위안의 독극물이 작은 창자로 가는 시간을 최대 2시간까지 늦출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옆으로 눕힙으로서 토물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가능한 빨리 토하도록 합니다. |
환자가 독극물을 삼켰으면 가능한 빨리, 적어도 30분 이내에는 토하게 해야 합니다.
의사의 지시가 있으면 토근시럽(ipecac syrup)을 먹여 토하게 할 수 있는데 토근시럽은 의사의 처방 없이도 약국에서 구입할 수가 있으므로 가정 상비약으로 구비하면 좋습니다.
토근시럽을 먹일 때에는 물을 충분히 마시게 하여 구토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환자가 의식이 있고 구토반사가 확실히 있을때만 가능합니다.
*** ipecac syrup(토근시럽)의 용량 ***
= 12세 이상 : 30cc와 두 컵의 물을 마십니다.
= 1-12세 : 15ml를 먹이고 300-500cc의 물을 마십니다.
= 6개월-1세 : 5-10cc와 15cc의 물을 마십니다.
활성탄(숯가루)을 투여합니다. |
활성탄(charcoal, 석탄, 조개탄의 일종)은 대부분의 독극물 중독에서 가장 효과적이며 스폰지가 물을 빨아 들이듯이 독극물을 흡착하여 독극물이 혈액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며, 독극물은 활성탄 조각 표면에 흡수하여 대변으로 배출하게 합니다.
물과 같이 섞어서 묽은 반죽으로 만들어 투여합니다.
단, 표백제, 암모니아와 같은 산과 알칼리, 칼륨, 철, 메탄올, 등유, 청산가리, 말라티온(살충제), 황산철은 잘 흡착되지 않습니다.
독극물 용기, 독성식물, 환자의 토사물 등은 보관하여 병원에 가져오도록 합니다.*** 활성탄에 반응하지 않는 유해물질 ***
= metals
= 알코올
= 칼륨
= 칼륨시안화물
◀ 바로 토해야 하는 독극물
담배 |
| |
체온계의 수은 |
체온계의 수은은 금속 수은이므로 특별한 질병이 있지 아니하면 유해하지 않으며(유해한 경우는 약 0.01%미만이다)우유나 계란을 먹게 하는 것만으로 좋습니다. | |
크레용, 구두약, 잉크 |
의식이 있거나 경기를 하고 있지 아니하다면 물을 먹여 즉시 토해내게 합니다. | |
쥐약 |
우유나 계란을 마시게 해선 안됩니다. | |
농약 |
먼저 토하게 합니다. | |
수면제 |
물을 먹여 토하게 하는 것을 반복한다, 단 의식이 없을 때 물을 먹이는 것은 절대로 금하도록 합니다. |
◀ 바로 토하게 해서는 안 될 독극물
산(세제등) |
흡인하자마자 입과 복부, 인두에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 |
알칼리 |
흡인후 조직손상을 일으킵니다. | |
가솔린, 등유 |
가솔린의 경우에는 특별히 중화 시킬만한 방법이 없습니다. | |
소독약 |
|
일산화 탄소는 무색, 무미, 무취, 무자극 기체이므로 일산화탄소 중독환자는 일반적으로 가스가 새는 것을 알지 못하며 일산화탄소 중독임을 알지도 못합니다.
밀폐된 실내에서 도시가스, 프로판가스, 석유, 장작등을 태우면 일산화탄소 중독이나 산소결핍증이 됩니다.일산화탄소는 일부의 도시가스에서 5-10%가 포함되어 있다. 물건이 탈 때는 다소라도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됩니다.
일산화탄소는 혈액중의 산소와의 결합을 방해하고 산소의 약 300배나 강한 힘으로 헤모글로빈과 결합하고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결합하지 못하여 신체 각 부분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가 없게 됩니다.◀ 일반적 증상
= 두통
= 복통
= 이명(귀 울림)
= 현기증
= 호흡곤란, 경련
= 증상을 느끼지 못하고 의식을 잃고 쓰러집니다.◀ 주의사항
자고 있는 사람이 장미빛 같이 매우 혈색 종은 얼굴을 하고 있으면 특히 주의를 하도록 합니다.
◀ 이렇게 하세요
-
가스가 새는 곳을 차단하고 창을 열어 환기를 시킨다. 이때 가스가 새는 곳에 들어갈 때에는 그냥 뛰어들지 말고 물 적신 수건으로 입과 코를 막고 심호흡을 한 다음 들어가도록 합니다.
-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환자를 끌어냅니다.
신속히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시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의식장애가 없고 두통만 있는 초기 중독은 이 조치만으로도 회복이 가능하며 안정을 취할 수 있습니다.
![]() |
![]() |
-
기도를 확보합니다.
필요에 따라 기도를 확보해야 하는데 이때 목부분을 세심하게 움직여야 합니다.
![]() |
![]() |
-
옷을 느슨하게 하여 호흡하기 편하게 해 주고 모을 보온해 줍니다.
-
의식이 없을때는 똑바로 눕히고 질식을 방지합니다.
-
호흡이 약하게나 끊길때는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신속히 병원으로 후송하여 산소흡입, 인공호흡, 고압산소요법을 받도록 해야 합니다.
양잿물이나 세척액 등과 같이 부식성 물질이 피부나 눈 등에 직접 접촉된 것으로서 손상을 입을 시엔 감염, 화상이나 발적을 동반합니다.
▒ 피부접촉에 의한 중독의 경우
-
피부에 닿은 독성물질이 무엇인지 확인합니다(살충제, 시안화물, 암모니아, 염소, 산, 알카리 등).
-
환자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도록 합니다.
-
환자가 독성물질에 노출되어 있다면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도록 합니다.
-
유해물질에 노출된 신체부위는 20분이상 계속하여 흐르는 물로 세척하도록 합니다.
이때 분말화합물 등의 독성물질은 물로 세척하기 전에 부드러운 솔로 털어주도록 합니다.
|
-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옷이나 보석류, 시계, 신발 등의 물품은 신체로부터 분리시켜 깨끗하게 세척하도록 합니다.
'약초>식물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예마을/가정원예 : 작물구분 (0) | 2008.04.04 |
---|---|
≪ 원추리 무엇인가? ≫ (0) | 2008.04.04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0) | 2008.03.30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0) | 2008.03.30 |
"식물나라" 홈 (0) | 2008.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