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병원이용 절차
 

(동인병원)

 

중국에서 병원 이용시 병원선택에서부터 치료를 받기까지 밟아야할 절차:

1. 병원선택

중국의 병원(醫院-yiyuan)은 크게 서의(西醫-xiyi)병원과 중의병원(中醫院-zhongyiyuan), 중서의결합병원(中西醫結合醫院)으로 나뉜다.

베이징의 경우 협화병원(協和醫院-XIEHE), 동인병원(同仁醫院-TONGREN), 중일우호병원(中日友好醫院-ZHONGRIYOUHAO), 301병원(三零一醫院-SANLINGYI)등 병원이 서의의 대표적 병원이고, 중국중의연구원서원병원(中國中醫硏究院西怨醫院-XIYUAN), 중국중의연구원광안문병원(中國中醫硏究院廣安門醫院-GUANG'ANMEN), 북경시중의병원(北京市中醫院)등이 중의병원(中醫院)의 가장 대표적인 병원이다.

내과의 경우 서의는 협화병원, 중의는 서원병원, 암(癌)의 경우 서의는 종류병원(腫瘤醫院-ZHONGLIU), 중의는 광안문병원, 안과(眼科)의 경우 서의는 동인병원, 중의는 중국중의연구원안과병원(中國中醫硏究院眼科醫院), 피부과의 경우 북경시중의병원등이 유명하다.

2. 진료과목선택

진료과목은 중의와 서의를 막론하고 종합병원이면 어느 곳이나 심혈관과(心血管科), 소화과(消化科), 호흡과(呼吸科), 노년과(老年科), 혈액과(血液科), 내분비과(內分泌科), 신장과(腎科), 풍습과(風濕科), 신경내과(神經內科)등 세분화된 내과의 진료과목이 있다.

때문에 내과라고 하더라도 병증세에 따라 해당한 과(科)를 찾아가야 한다.

 

3. 진료접수 및 진료카드

중국에서는 진료접수를 괘호(卦號-guahao)라고 하며 괘호실(卦號室-guahaoshi)에서 진료접수를 한다.

진료접수는 크게 일반의사의 진료를 받을수 있는 보통호(普通號)와 교수레벨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을수 있는 전가호(專家號) 두가지로 나뉜다.

보통호로 접수하면 일반의사의 진료를 받을수 있으며 의사가 많기에 대기시간이 짧다. 때문에 급한 경우나 1차 검사를 할 경우에는 보통호로 접수하는것이 좋다.

 전가호로 접수하면 지목한 전문과목의 전문가로 인정받는 전문의에게서 진료를 받을수 있으나 대체로 환자가 많기에 병원의 진료접수 시작시간에 맞추어 가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이 많아 차례가 왔을때 접수를 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전문가의 진료를 받고저 할 경우 새벽부터 서둘러서 병원에 가서 접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에서 진료기록카드는 문진병력(門診病歷-menzhenbingli)이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초진시 진료접수를 함과 동시에 구입해야 한다. 문진병력은 한번만 구입하면 이후에도 계속 쓸수 있다.

(중일우호병원)

 

*제가 다녀본 병원중 "협화"병원(외국인병동이 따로있슴)이

 가장 좋더라구요

약도 양약 중약으로 처방받지만, 교수들이 외국인병동에 따로 상주하고 있기때문에 가격은 서너배 비싸긴하지만,

안심하고 치료받을수 있는 곳입니다. 친철하고 깨끗해서 무조건 협화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1. 병원선택

2. 진료과목선택

3. 진료접수 및 진료카드

(상기 절차 관련 상세한 내용은 11월6일자 글을 참고하십시오.)

4. 진료실

중국병원은 진료실 앞에 가면 통상 천으로 만든 진료접수표를 꼽는 곳이나 진료접수표를 놓도록 한 테이블이 있다. 진료접수표에는 순번을 뜻하는 번호가 인쇄되어 있기때문에 대기하고 있다가 의사가 번호를 부르면 진료실로 들어간다.

진료실에 들어가면 가장 고통스럽거나 불편한 증상을 말한후 의사의 질문에 대답한다. 추측한 병명을 말하기보다는 증상을 말하는것이 의사의 진료에 도움이 된다. 특별한 병력사항(病史)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가 묻지 않더라도 알려주어야 한다.

언어가 잘 통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의사들은 진찰을 통해 병세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5. 약값과 의료비 계산

검사가 필요한 경우나 약처방을 받은후에는 우선 약값과 의료비를 지불하고 검사를 받거나 약을 받는다.

비용지불 방법은 통상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화개(劃價-hua jia: 병원의 약국에서 환자의 약값과 기타 의료비를 계산하여 금액을 처방전에 쓰는것)와 수금(收費-shou fei 계산된 금액을 지불하는것)을 한곳에서 동시에 하는 경우가 있고 다른 하나는 이 두가지를 각기 다른 곳에서 하는 경우가 있다.

두가지를 한곳에서 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따로따로 할 경우에는 우선 처방전에 금액을 적은후 수금실에 가서 비용을 지불한다.

수금실은 통상 요금실의 옆에 있다.

 

6. 검사실/치료실

혹 의사가 더 세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하는 경우에는 의사가 적어준 검사항목용지를 가지고 화개실과 수비실을 거쳐 검사비를 지불한후 검사실에 가서 문의하고 검사를 받으면 된다. 검사를 마친후에는 반드시 결과를 찾는 날과 방법을 물어보아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검사실 앞에는 어떤 항목의 검사는 며칠후 어디에서 결과를 찾는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유의할 점은 검사를 목적으로 병원에 갈 경우 혈액검사를 하고저 할경우에는 공복으로 병원에 간다든지 하는 필요한 수칙을 지켜야 한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검사와 마찬가지로 치불이 끝난다음 치료단을 가지고 치료실에 가서 문의한후 치료를 받으면 된다.

7. 약방

대부분 병원은 서약(西藥-xi yao)과 중성약(中成藥), 중약(中藥)을 내주는 창구가 다르다. 또한 한장의 약처방에 서약과 중약이 모두 있는 경우도 많기때문에 약을 타기전에 처방을 잘 봐둬야 하며 한 약처방에 중, 서약이 다 있을 경우에는 한 약국에서 약을 탄후 처방전을 버리지 말고 다른 약국에 가서 나머지 약을 타야 한다.

 

이 팻말 보곤 웃음이 나왔습니다

교수진료는 7원(런민비), 부교수는 5원.....

정말 진료가격 저렴합니다. 아직 중국에서의 의사 직업은 월 4천위안정도 밖에 되질 않습니다.

직업의 귀천이 없는 중국이지만, 그래도 의사들 직업의식은 투철하답니다.

저희집 중국인 파출부 딸이 의사샘인데도 저희 아줌마는 열심히 일하러 다니더군요

이런거 보면 중국사람들의 직업의식은 부럽기도 하답니다.

누가 머라든 눈치안보고 사는거 ...자기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산다는거 가장 중요한 중국인들만의 원동력인듯 합니다.

 

 

강사 진료는 3원

 

병원 내부시설이 굉장히 깨끗합니다. 넓기도하지만, 진료대기는 거의 없더군요

바로바로 들어가서 진찰을 받으니 얼마나 편하던지....

 

진료기록수첩

 

의사선생님의 진찰실인데 너무도 간략하고 깔끔하더군요

 

침대바로앞 세면대....데톨(손 세성제)도 있더군요^^

 

중국의 병원은 많이 기다리지 않습니다. 왜냐구요?

누가 먼저왔건 선생님 앞에 진찰서류만 내면 바로 진찰 시작 합니다^^

먼저가는게 장땡! 이란 한국말이 여기에 인용되겟네요

 

의사전담 간호사도 없지만, 출입구 별도로 있지만, 아무나 진찰받는 사람들이라면 알아서 들락날락 한답니다.

 

의사샘 의식하지 않는답니다. 워낙 중국인들 줄서기 안되는거는 일반적인지라

중간에 껴들어도 아무소리 안하는 중국인들 역시 대단합니다.^^

 

선생님 앞에 그냥 모여서서 다른사람 진찰하는것도 구경도하고 어떤병이 있는지

관여도하고 참 재미난 풍경이죠

누구하나 태클이나 잔소리하는 이도 없는 ..너무 편한곳이죠^^

저역시 언제부터인지 중국인들과 같은 의식으로 살아가니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고 햇죠^^

 

책상위가 정말 간단합니다. 저컴퓨터 한국제품이던데.....^^

선생님 팔에 황금시계가 굉장히 눈에 띄더군요 ..중국인들 황금 좋아하잔아요

그래도 어찌나 열성적으로 진찰해주시던지....너무 간략하게 하는바람에 실망^^

 

주차장 사용영수증인데 2원 입니다. 기가막히게 싸죠

 

복도중간 중간 설치된 냉온수기인데 좀 살벌하죠^^그래도 시설은 완벽한 생수대랍니다

 

채혈하는곳인데 어찌나 넓직하게 해놨는지 들어가는 입구 따로 나오는 출구따로 구분해놨더군요.

이정도면 최신 최상의 병원임에는 틀립없답니다.

 

지하층엔 엑스레이 방사선과만 있습니다.

예약하는 바람에 내려갔는데 이곳 역시 최신시설로 완벽하더군요.

방사선과의 모든 문이 자동시설로 환자의 침대나 휠체어가 출입하기에 편리하게 되있답니다

이런것을 볼때면 광활한 대륙의 중국이 부럽기도하지만,

아주 작은관심이 환자를 환자답게 배려해 주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재미난말은 환자가 들어가면 저기 "工作中 "이란 푯말에 불이켜지는데 공작중 이란 말이

저를 즐겁게 합니다.

인공지능인지 철근으로 두터운 저문이 자동으로 여닫더군요 ...찾아온 환자나 환자보호자가

너무 편하게 출입 햇답니다.

 

땅이넓어 무엇을 짖던 웅장한 건축물에 또한번 놀라움을 금치못한채 병원문을 나섰습니다.

방사선 진료는 좀 비싸긴 하다군요(240원), 하지만, 날이갈수록 발전하는 중국을 볼때면

한편 부럽기 그지없습니다.

 

10년전 처음 왔을당시엔 병원다니기조차 꺼름직스러울 정도로 지져분하고 먼지투성인 병원이였고

수년전만해도 생각치도 못한 발전이랍니다.

 

또한, 그때 당시 한국에서는 삐삐가 유행이였는데 이곳 중국에서는 삐삐가 없고 바로 헨드폰을

우마차 끌면서도 다들 헨드폰을 가지고 다니는것을 봤을땐 놀라움을 금치 못했었는데

하루 하루 급속하게 발전하는 중국이 올림픽을 기점으로 어찌 변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중국은 올해도 작년과같은 흑자 경제랍니다.

부럽기도 하지만, 너무빠른 경제가 중국서민들을 두려움에 빠지게 하지나 않을까 라는 의문도

가지게 되엇습니다.

지난번 택시기사와 올림픽 열리니 좋으냐...물었더니 싫다더군요

세금을 너무많이 가져가니 돈벌기 힘들다고 하더군요..왠만하면 지나칠 일에도

불법이라고 잡더랍니다. 주정차 잘못해서 내는 벌금이 200위안 이거든요

 

 

병원에 간김에 몇장 올립니다.

지방이지만 병원시설 만큼은 한국보다 월등히 좋은듯 하더군요

작년부터 일부분적으로만 개방하더니 요번에 갔을때는 완공되서 아주 편하게 다녔네요

 

기존의 병원 응급실 전경과 뒤와 양쪽옆 건물은 이번에 새로 개관한 종합병원입니다.

 

중국에서는 들리는 풍월에 한국인들 병이나도 한국약으로는 치료가  안되죠. 왜냐면,

바이러스 자체가 틀리다고 해서 여기서는 감기 걸리면 중국약을 먹으면 더 빨리 회복되죠.

저역시 경험에 의해 한국병원은 찾지 않습니다.

오히려 중국병원에서 주는 중의약을 먹을경우 금방 낳더군요.

 

북경에는 외국인 병동이 따로있지만, 이곳 심양의 대학병원엔 일반인과 동일하게 받는답니다.

 

 

 

 

안내문을 따라갑니다.

 

어찌나 깨끗하고 조용하던지 일반 로컬병원답지않아 새삼 중국병원에 대한 생각을 바꿔버렷답니다

워낙 중국이라하면 사실 병원에 가면 냄세도 병원도 당최 갈 마음이 없었거든요

그정도로 지져분하고 정리정돈이 안된곳이라 여겼지만,

넓직하게 병원을 찾는 환자나 방문객에겐 더없이 편하게 되있더군요

 

간호사들이나 의사들이나 청소부나 모두 한결같이 같은 가운을 입었었는데

지금은 구분되는 옷차림에 놀랐습니다^^

 

밑에 간호사들도 깔끔하죠

 

엘스컬레이터의 시설이 정말 잘되있어군요

5층까지 가는데 이렇게 편하게 올라갈줄이야....

 

 

 

오른쪽에 보이는 간호사는 아니고 안내원들입니다.

중국에서는 간호사가 따로 없답니다. 의사선생님의 전담 간호사도 없구요

물론 주사실이나 약재실에는 간호사는 있지만,.....

 

중국에서는 간자체의 약자를 사용하다보니 안내판 모두 간자체의 글자로 되있네요

 

 

처음 병원에 도착하면 작은 쪽지에 초진인지 재진인지 확인만 해주곤 마는 안내원

옷도 깨끗합니다.

 

수납하는 곳인데 사방으로 가로막은 유리문이 답답해 보이네요

 

출처 : 中國 北京

순위로 본 중국 신경과 전문병원
 
 

여느 나라와 마찬가지로 중국에도 많은 병원들이 있다. 작은 감기나 설사 같은 경우는 집 부근의 병원에 가면 되지만 큰 병은 그래도 전문병원을 찾는것이 좋다. 그러자면 어느 병원의 어떤 과가 유명한지를 아는것이 필수. 특히 도시마다 많은 병원들이 있는 중국은 더욱 그러하다.

중국 포털사이트 소호닷컴(搜狐-www.sohu.com.cn)에 나와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중국에서 10위권에 드는 신경과 전문병원을 알아보자.

중국 10대 신경내과 전문병원

No.1 베이징선무병원(北京宣武醫院-beijing xuanwu yiyuan)


  No.2 길림대학제1임상병원(吉林大學第一臨床醫院- jilindaxue diyi linchuang yiyuan)
 

No3.베이징중의약대학 동직문부속병원(北京中醫藥大學附屬東直門醫院- Beijing zhongyiyao daxue fushu dongzhimen yiyuan)

 

No.4 베이징천단병원(北京天壇醫院- beijing tiantan yiyuan)

 

No.5 베이징협화병원(北京協和醫院- beijing xiehe yiyuan)

 

No.6 하북의과대학제2병원(河北醫科大學第2醫院-hebei yike daxue di2 yiyuan)

 

No.7 베이징군구총병원(北京軍區總醫院- Beijing junqu zongyiyuan)

 

No.8 상해시중의병원(上海市中醫醫院- shanghaishi zhongyi yiyuan)

 

No.9 복단대학의대소아과병원(復旦大學醫學院?科醫院- fudan daxye yixueyuan erke yiyuan)

 

No.10 절강성중의병원(浙江省中醫院- zhejiangsheng zhongyiyuan)

 

자료정리: kildukja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