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푸단대학 상하이의과대학(复旦大学 上海医学院)대학역사
“상하이 의과대학(醫學院)”이란 명칭은 1985년 5월부터 사용해 왔는데, 2000년 4월 27일 푸단대학과 합병하면서 “푸단대학 의과대학"으로 다시 개명되었다. 현재 왕웨이핑(왕위평, 王卫平) 교수가 부총장겸 의과대학 원장으로 있다. 대학설립 이후 약 3만명의 졸업생과, 약 2만명의 훈련생을 배출하여 전국 각지에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활동하고 있다. 특히 이들중 많은 졸업생이 사회지도자적 위치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약 30명은 중국과학원 학술회원으로 있다 대학조직 푸단대학 의과대학은 2004년 합병 후 대규모 체제개혁이 있었다. 일류 의과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결합을 촉진시켰고, 의과대학 책임자와 각 부속병원장으로 이루어진 실무위원회와 대학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27개 학과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행정관리 부문에서는 당위원실, 원장실, 교육실, 의학연구지원실, 학부생과 대학원생 지원실이 설치되어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경영은 원장과 부원장(부학장) 6명, 그리고 3명의 공산당 간부진(당위원회 당서기 및 부서기 2명)이 맡고 있다. 원장은 대학과 병원을 총괄하는 책임자로 우리나라 체제에서는 의료원장 겸 의과대학장에 해당한다.
학술연구
해외교류
학과 및 연구실 대학에는 27개 학과가 있는데 이들중 국가중점학과 20개, 국가중점실험실 1개, "211프로젝트" 수행 중점학과는 8개, 교육부 및 위생부 지원 중점연구실 9개, 상하이시 지원 중점학과 2개 및 임상의학센터 8개가 있다. 또한 박사후과정 4개, 박사과정 29개, 석사과정은 36개가 운영중이다.
주요 접견인사 ▶ 왕웨이핑(王卫平, Weiping Wang) 원장은 푸단대학 부총장을 겸임
전 상하이의과대학 부총장으로 재직하였고, 푸단대학과 합병 후 2000년 4월부터는 푸단대학 부총장과 의과대학 원장을 겸임하게 되었다. 대외적으로는 중화의학회 이사, 중화소아과학회 위원, 상하이시 영양학회 이사, 중화 소아과 아동보건 전문분과의 부조장직을 갖고 있다. 2004년 5월 푸단대학 방문시 한림대 대표단(단장 이상우 총장)을 접견하였다. ▶ 차질량(査錫良, Xiliang Zha) 부원장은 대외교류 업무 담당
오랜동안 의학생화학과 분자생물학, 당구조와 기능, 종양분자생물학 등 분야의 교육과 과학연구 업무에 종사하여 1998년 이후 국내외 학술논문 50여 편을 발표하였다. “의학분자생물학” 교재를 집필중이며, 여러 연구과제의 책임자 혹은 주요 참여자이다. 그 동안 상하이시 과학기술 공로상 등 5가지의 수상 경력이 있으며, 위생부 중청년 의학과학기술의 별을 얻었고, 위생부에서 부여한 돌출한 공헌의 중청년 전문가, 바오강의 우수한 교사상, 전국 우수교사 등의 특별한 영예가 부여되었다. ▶ 선펭얀(孫鳳艶, Feng-Yan Sun) 교수의 의학신경생물학 국가중점실험실 선펭얀(孫鳳艶, 손봉염, Feng-Yan Sun) 교수가 한림대의료원 대표단의 푸단대학 의과대학 방문을 주선했는데, 선 교수는 2003년 일송생명과학연구소(소장 김용선 교수)에서 주관한 학술심포지움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바 있다. 선펭얀 교수는 1987년 상하이의과대학에서 신경생물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985부터 1986년까지 일본 도쿄 이과대학 약리연구실의 객원연구원, 1990년-1994년에는 미국 조지아대학 신경과학연구소 연구원을 거쳤다. 1976년부터 상하이의과대학에 교편을 잡고, 의학신경생물학 국가중점실험실 주임, 박사연구생 생물학 특별 초빙교수, 중국 신경과학협회 및 상하이시 신경과학협회 상무이사, 중국 신경과학잡지의 상무 편집위원, 생리학보 및 중국 약리학보 편집위원을 겸임하고 있다. 주로 신경세포의 손상과 보호 메커니즘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 국가자연과학기금의 중점항목과 국가의 우수청년기금, 국가 난관해결 과제 및 국가 기초연구 기획 과제 등을 주관하고 있다. 국내외의 간행물에 논문 40여 편을 발표하였고, 국가교육위원회와 위생부 과학기술 공로상, 바오강 우수한 교사상을 수상했고, 붉은 기수 명예 칭호도 얻었다. 이미 박사생 5명, 석사생은 3명을 배출했는데, 그 중의 박사생 중 2명은 1999년 전국 100편중 우수한 박사논문, 전국 신경약리협회 청년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고, 현재는 박사생 6명과 석사생은 2명이 있다.
연구실에서 도플러레이저 혈류측정기, 혈액가스분석기, Time-resolved Immunofluorometric Assay System, Single Cell Patch Clamp System, Brain Slice Patch Clamp System,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Phast System, UV Spectrophotometer Scanning System, SMART System, HPLC, Fluorometric Detector, UV Detector, Image Master VDS, 초고속냉동원심분리기, 영상처리분석시스템, 다목적감마카운터,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등 실험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연구 방향은 질병 예방치료 중의 관련 신경생물학의 응용과 기초분야이다. 푸단대학 부속병원으로는 중산병원(中山医院), 화산병원(华山医院), 산부인과병원(妇产科医院), 소아병원(儿科医院), 안이비후과의원(眼耳鼻喉科医院), 암전문병원(肿瘤医院), 진산병원(金山医院), 상하이시 제5인민병원(上海市第五人民医院) 등 8개 부속병원이 있는데 총 병상 수는 5,357개이다. 이들 병원의 연간 외래환자는 360만명, 입원환자로는 6만명을 치료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5개 교육병원도 있다.
부속병원이 자랑할 수 있는 분야는 종양학, 신경과학, 심장혈관학, 영상의학 등이며, 중국 의학의 연구기지로서 여러 분야에서 국가자연과학기금, 교육부, 위생부 및 상하이시의 지원 연구활동에 많이 참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의학연구 성과를 얻었고, 간암, 후두수술, 미세수술, 외상외과 등의 연구활동은 선진 수준에 도달해 있다. 매년 전국 각지와 해외로부터 많은 중증환자를 진료하고 있으며, 뇌혈관질환, 기관지이물, 복합성외상 등의 응급환자도 진료하고 있다. 진료 서비스는 일반외래 진찰, 전문가 특수진료, 난치병 회진, 간부 건강진단 등 다양한 형식의 각종 의료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다. | |||||||||
푸단대학 부속 소아병원
현재 운용되는 병상 수는 330개이고, 연간 외래환자는 60만명, 입원환자는 약 12,000명이다. 임상과는 39개인데 이들은 내과계(신생아학, 호흡기학, 소화기학, 혈액학, 신장학, 신경과학, 내분비학, 면역학, 유전학), 외과계(일반소아외과, 비뇨기학, 정형외과학, 신생아 외과학, 종양학, 신경외과학), 전염병과, 응급의학과, 마취과, 중의과, 오관과(이비인후과, 안과), 피부과, 구강과 및 아동보건과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소아과학연구소, 심혈관센터, 재활센터, 간질센터, 야뇨증치료센터, 난치병진단치료센터, 호흡질병 진료센터와 외국인 특수진료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통적인 중의로 진료받는 조숙아클리닉은 상하이시로부터 아시아 국제구조센터로 지정받았다. 병원에서는 DSA, spiral CT, 이차원적 심혈관 방사선촬영기,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 원자흡광도계, TDX, 각종 전자내시경, 신생아 및 중증환자의 감시장치, 전자동 생화학분석기, 자동 복막투석기, 디지털l EEG, 기체-질량 분광광도계, 요분석기, 청력검사기 등의 최신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직원 수는 약 800명인데 이중 박사과정 수련의가 23명, 석사과정 수련의가 33명, 교수와 부교수는 125명이다. 16명의 원로급 스탭진이 있어 중국 소아과학회 및 의학관련 단체의 임원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매년 100개 이상의 학술논문을 발표하고 있는데, 그 동안의 SC I논문은 77개였다. Multimedia 및 e-education 체계를 마련했고, 그 동안 69명의 박사와 11명의 석사를 배출하였다. 매년 400명 이상의 학생이 인턴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3000명 이상의 소아과 의사들이 보수교육에 참가하고 있다. 국제교류로는 미국, 영국, 캐나다, 스웨덴, 호두 및 홍콩 등과의 학술교류에 관한 협정을 맺고 있다. 외국인에 의한 특강이 매년 50번 정도 개최되고 있으며, 20명의 의사가 학술모임이나 논문발표를 위해 외국에 나가고 있다. 또한 Shanghai International Pediatric Symposium과 Asian-Pacific Endocrinology Training Course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현재 병원장으로는 1982년 상하이의과대학을 졸업한 계영호(桂永浩) 교수이고, 간부진으로는 조련화(曹莲华, 1952년생) 병원당서기, 곽경뇌(邬惊雷, 1962년생) 부원장, 황국영(黄国英, 1962년생) 부원장, 장공혜(张公惠, 1953년생) 부원장, 정산(郑 珊) 부원장, 서홍(徐 虹, 1962년생) 병원당부서기 등으로 대부분 문화혁명 후 세대이며, 중국 공산당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왕이(王藝, Wang Yi) 부교수 한림대의료원 방문단의 안내를 담당했던 왕이(王藝) 부교수는 1989년 상하이의과대학 의학과를 졸업했고, 현재는 소아신경과 부교수 겸 원장보(院長助理), 대학판공실 주임(院瓣主任) 직책을 맡고 있다. 중화의학회 상하이 소아신경학회 위원, 국제임상전염병학 네트워크의(INCLEN) 멤버이며, 중화의학회 임상유행병학회 회원, 중화의학회 상하이 중청년학연구회 회원으로 있다. 《실용소아과임상잡지》 《중화실용의학잡지》 편집위원이며 《중화의학 정보지》 특약 리포터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왕이 부교수는 1996년 상하이의과대학 대학원에 입학하여 임상전염병학 석사연구생을 마쳤고, 소아신경 전문의로써 임상전염병학을 연구하여 1998년 석사학위를 얻었으며, 현재 박사과정에 있다. 전문분야로는 소아난치병, 나병, 발작성질환, 신경근육질병 등이다. 또한 대학원생, 학부생 및 연수생의 교학업무와 전국적 강습반의 강의도 담당하고 있다. [정리 2004년 5월30일, 조현찬] |
'† CHINA > 중국의학>병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에서의 병의원 절차 (0) | 2007.09.02 |
---|---|
중국북경병원,약국/긴급상황 대처요령 (0) | 2007.09.02 |
중국 금약방/중국 중의약 정보 (0) | 2007.06.30 |
중국중심의원/대학병원,명의의원 (0) | 2007.06.30 |
중국의료지도망 (0) | 2007.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