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확인
•의식이 있는지 확인한다.
•환자가 반응이 없을 경우 주의 사람이나 또는
 의료기관에 연락 등의 도움을 요청한다.
•의식이 있을 경우 인공호흡이나 흉부압박이 필요
없으므로 환자의 안전등 환자 보호에 힘쓴다

 

기도개방
의식이 없는 경우 환자의 등이 지면에 닿도록 똑바로 눕힌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올려 기도를 개방한다.
환자가 척추 부상이 의심될 경우에는 환자의 목이나 머리를 움직여서는 안된다

 

호흡확인
5 동안 환자의 상태를 보고, 듣고, 느낀다
환자의 가슴이 오내리는지 보고, 환자의 호흡음을 듣고, 숨결을 느낀다.
환자의 호흡확인에는 10 이상 소요 되어서는 않된다

 

인공호흡
 호흡이 없을 경우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리면서 환자 코를 엄지와 검지 손으로 잡는다.
 
숨을 크게 들어 쉬어 환자의 입으로 1.52초에 걸쳐 공기를 천천히 불어 넣는다.
 입을 떼고 손을 놓아 공기가 쉽게 나오도록 한다

 

인공호흡을 2 실시한 맥박을 확인한다. (성인은 경동맥, 유아는 상완동맥)
맥박은 있으나 호흡이 없을 경우에는 1분당  1215 정도로 인공호흡만 실시
맥박이 없을 경우 흉부압박을 실시한다.

 

흉부압박 위치 찾기
환자의 가슴 쪽을 향해 무릎을 꿇고 둘째와 셋째 손가락으로 늑골 끝에서 윗쪽으로 미끄러져 간다. 셋째손가락을 가슴뼈의 맨아래 끝(검상돌기)에 위치 시킨다.
흉부 위에서 머리 쪽에 있는 손바닥끝이 둘째 손가락의 옆에 오게 한다.
다른 손은 그 뒤에 얹고 손가락은 흉부에 닿지 않게 한다.

 

흉부압박 15 실시
•팔꿈치는고정 시키고,팔은 곧게 뻗은 상태로 손위쪽에 어깨가 오게 한다.
흉부압박은 1분에 80∼100회의 속도로, 깊이는 4∼5㎝정도로 한다.

돕는 이의 위치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어깨위치의 옆에서 무릎을 꿇고 앉아야 효과적으로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를 위한 가슴 압박을 할 수 있다

 

어린이의 경우
어린이의 경우에는 한쪽 손바닥의 손목 부위로 흉골을 누르고 다른 손은 어린이의 이마 부위에 댄다.
흉골의 압박은 1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압박하며 2.5~4초 정도 누른다.
가슴압박 5회 실시 후 인공호흡은 1회 실시한다.

 


정확한 자세 잘못된 자세 잘못된 자세

혈액순환 확인과 심폐소생술의 중지

1. 혈액순환의 확인

혈액순환이 회복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경동맥의 맥박확인 시기는 흉부압박과 인공호흡(1사이클)을 한 후부터 4사이클 후 또는 매 5분(인공호흡만 실시할 경우 매3 분) 마다 실시한다. 동공반사의 주기적인 확인 검사도 유용한 방법으로서 동공이 수축하면 환자의 뇌로 산소를 포함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그러나 정상적인 동공반응도 고령의 환자나 약물을 사용한 환자에게서는 달리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주의를 기울인다.

2. 심폐소생술의 종료

대부분의 심장정지(심정지) 환자에서는 환자의 병력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심폐소생술이 시작되므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기 전에 심폐소생술이 환자에게 도움 또는 해가 되는지를 판단할 수가 없다. 또한 심정지시에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므로 가능한 한 심폐소생술의 시작과 종료에 관한 지침에 따라야 한다.

2-1)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심폐소생술은 소생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시작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에서 소생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곤란한 환자는 물론, 소생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환자는 발견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다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더라도 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 환자가 사망이 명백한 경우

    - 사망이 명백한 외상(목, 신체 등의 분리)

    - 사후강직

    - 시반이 나타나는 경우

    - 사생아

 * 환자 발생장소에 구조자의 신변에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

 * 만성 또는 말기 질환에 의한 심정지 환자

 * 대량 재해상황에서의 심정지 환자

2-2) 심폐소생술의 종료

심폐소생술은 어떠한 경우라도 15초 이상 중지해서는 안 된다. 환자를 계단을 통해 옮기는 등의 불가피한 경우에는 사전에 준비를 한 후 옮기도록 한다. 일단 심폐소생술이 시작된 후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사가 환자의 사망을 선언하기 전까지 계속해야 한다. 그러나 심폐소생술을 시작하고 30분이 지나도록 혈액순환이 회복되지 않는 환자는 뇌의 소생을 기대하기 어려운 까닭에 심폐소생술을 계속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많으나 심정지의 원인, 대기의 온도와 같은 환경상황, 환자의 신체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 환자의 맥박과 호흡이 회복된 경우

 *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다른 사람과 교대한 경우

 * 의사 또는 응급구조사가 도착하여 환자의 응급처치를 맡은경우

 * 구조자가 지쳐서 더 이상 심폐소생술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

 * 사망으로 판단할 수 있는 명백한 증거가 있는 경우
◎ 환자와 대화 할 수 있는지(의식이 있는지)
   기침을 할 수 있는지 확인 한다.

◎ 구조자는 환자에게
   『목에 무엇이 막혔나요?』 라고 묻는다.

◎ 환자는 엄지와 검지를 목에 대고
   『숨을 쉴 수 없다는』만국공통의 표시를
   나타낸다

 

◎ 환자의 뒤에 서서 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 한 팔로 환자의 허리를 감싼다.

◎ 한 손으로 주먹을 쥐고 엄지를 엄지를 환자의
   배꼽 바로 위와 흉골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 다른 한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싼다.

◎ 감싼 주먹으로 환자의 복부를 후상 방으로
   빠르고 강한 압박을 5회 실시 한다.

◎ 환자가 이물질을 토해 낼 때까지 계속한다.

◎ 환자가 호흡이나 기침을 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 실시 한다

 

◎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임신 밀기. 비만일
   경우에는 가슴 밀기를 실시 한다.

◎ 처치자는 환자의 허벅지 위에 걸터 앉되
   엉덩이를 든다.

◎ 두 손바닥을 환자의 배꼽과 흉골 끝의
   V자부위에 대고 복부를 5회 빠르게 위 쪽으로
   밀어 올린다. 처치시 손바닥의 손목 부분을
   복부에 밀착 시켜서 밀어 올린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