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 인체는 아주 섬세하게 조직되어 있고 대단히 신비로운 조물주의 걸작품입니다. 무병장수하려면 복잡하고 정밀한 우리 인체의 순리를 잘 이해하고 그에 맞게 음식과 약초를 사용함으로 질병없이 오래살 수 있을 것입니다.
2. 우선 <신농본초경>에 보면 고대 기원600년경 중국 양나라《도홍경》이 기록한 원본에는 365종에 상약 120종, 중약 120종 하약 125종이 기록되어 있었는데, 위나라의 <오보>가 저술한 <신농본초경> 에는 357종의 약물이 크게 상약(上藥) 중약(中藥), 하약(下藥)으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습니다. * 상약에는 몸을 보하면서 독성도 없는, 오래 복용하여도 되는 142종의 약물이 분류되어 있습니다. 약물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4. 참고로 중국의 위나라 사람 <오보>가 저술한 <신농본초경>에 나오는 상약 142종은 아래와 같습니다. 6, 백실(柏實) 7, 복령(伏苓) 8, 유피(楡皮) 9, 산조(酸棗) 10, 벽목(檗木) 11, 건칠(乾漆) 12, 오가피(五加皮) 13, 만형실(蔓荊實) 14, 신이(辛夷) 15, 상상기생(桑上寄生) 16, 두중(杜仲) 17, 여정실(女貞實) 18, 목란(木蘭) 19, 유핵(蕤核) 20, 귤유(橘柚)】 6, 소석 7, 박소 8, 활석 9, 석담 10, 공청 11, 증청 12, 우여량 13, 태일여량 14, 백석영 15, 자석영 16, 청,적,황,백,흑석지등 17, 백청 18, 편청】 11, 여위 12, 방규 13, 자호 14, 맥문동 15, 독활 16, 차전자 17, 목향 18, 서예 19, 의이인 20, 택사 21, 원지 22, 용담 23, 세신 24, 석곡 25, 파극천 26, 백영 27, 백호 28, 적전 29, 엄려자 30, 석명자 31, 시실 32, 적지 33, 권백 34, 남실 35, 궁궁 36, 미무 37, 황련 38, 낙석 39, 질려자 40, 황기 41, 육송용 42, 방풍 43, 포황 44, 향포 45, 속단 46, 누로 47, 영실 48, 천명정 49, 결명자 50, 단삼 51, 천근 52, 비렴, 53, 오미자 54, 선화 55, 난초 56, 사상자 57, 지부자 58, 경천 59, 인진 60, 두약 61, 사삼 62, 백토곽 63, 서장경 64, 석룡추 65, 미함 66, 운실 67, 왕불유행 68, 승마 69, 청양 70, 고활 71, 별기 72, 굴초 73, 회목】 5. 약초를 쓸 때에는 사용하는 약초의 효능을 잘 알고 적응증에 맞게 정해 진 용량, 먹는 방법, 기간에 따라 약초를 사용해야 합니다. 허약증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나 크게 나누면 양허와 음허로 나눌 수 있으며 양허는 양기부족으로 일어나는 각종 기능감퇴를 말하며 음허는 체내의 정혈과 진액이 부족하여 쇠약하게 된 것을 말합니다 다시말해서 기허, 혈허, 양허, 음허 4가지로 분류하여 보약도 보기약, 보혈약, 보양약, 보음약으로 분류해서 사용합니다. 보약은 일반적으로 질병이 다 물러나고 신체가 허약한 환자에게 사용합니다. 4기(한, 열, 온, 양)와 5미(매운맛, 신맛, 단맛, 쓴맛, 짠맛) 그리고 5미를 오장에 연관시켜 (신맛은 간에, 매운맛은 폐에, 쓴맛은 심장에, 짠맛은 신장에, 단맛은 비장에) 들어가며, 승강부침에 따라서 승은(위로 올라가는 것) 강은(아래로 내려가는 것) 부는(발산하는 것) 침은(이뇨하는 것)으로서 승부하는 약초는 위로 올라가면서 밖으로 향하여 양에 속하고 승제, 발산, 가풍, 소설, 온리하는 작용을 하며 침강하는 약초는 아래로 내려가면서 안으로 항하여 음에 속하고 해열, 강기, 수렴, 이뇨, 사하하는 작용을 합니다. 아울러 약초의 귀경은 그의 5색 5미와 5행의 소속을 통하여 오장육부 12경락과 결합되게 됩니다. 2, 만삼뿌리 3, 삽주땅줄기 4, 참당귀뿌리 5, 하수오 6, 도라지 7, 천문동덩이뿌리 8, 감국과 백국 9, 검정참깨와 흰참깨 10, 석창포뿌리 11, 가시연밥 12, 꿀 13, 삼지구엽초 14, 대추 15, 오디 16, 잣 17, 복분자딸기 18, 밤 19, 낚시둥굴레 20, 측백나무잎 21, 새삼씨 22, 산수유나무열매 23, 남가새열매 24, 녹용 25, 단너삼뿌리 26, 삽주덩이뿌리 27, 집함박꽃뿌리 28, 감초 29, 지황 30, 백복령 31, 오미자 32, 연밥 33, 회화나무열매 34, 구기자나무열매 35, 더덕뿌리 36, 호두씨 37, 율무씨 38, 오갈피나무껍질 39, 마 및 산약 40, 둥굴레 땅줄기 41, 개암풀씨 42, 측백나무씨 43, 두충나무껍질 44, 맥문동덩이뿌리 45, 뽕잎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http://www.sansami.co.kr/?call=pho&bbs=photo3&page=3&sfld=subject&skey=&idx=481
.
'약초>식물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릅-산에서 나는 버터-당뇨병에 특효 (0) | 2008.01.27 |
---|---|
엉겅퀴의 효능 (0) | 2008.01.18 |
익모초[益母草, Leonurus sibiricus] 또는 육모초(育母草) (0) | 2008.01.03 |
야관문(비수리) 무엇인가? (0) | 2007.10.14 |
여주열매의 성분 알아보기/자료모음 (0) | 2007.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