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을 아시나요?
(오평호박사/연세대학교교수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사무총장)
고려인이란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키즈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그루지야 등 독립국가연합 내에 거주하는 한인 교포들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용어입니다. 러시아어(語)로는 '까레이스키'라고 하며, 고려족 또는 고려 사람이라고도 합니다.
한국인들이 러시아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1863년(철종 14)으로, 농민 13세대가 한겨울 밤에 얼어붙은 두만강을 건너서 우수리강(江) 유역에 정착하였습니다. 이어 1865년(고종 2)에 60가구, 그 다음해에 100여 가구 등 점차 늘어나 1869년에는 4,500여 명에 달하는 한인이 이주하였습니다.
이후로도 이민은 계속되었는데, 거의가 농업 이민이었으나 항일 독립 운동가들의 망명 이민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스탈린의 이른바 대숙청 당시 연해지방의 한인들은 유대인·체첸인 등 소수민족들과 함께 가혹한 분리·차별정책에 휘말려 1937년 9월 9일부터 10월 말까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습니다.
이들은 화물열차에 짐짝처럼 실려 중앙아시아의 황무지에 내팽개쳐졌는데, 당시 고려인 수는 17만 5000여 명으로, 이 가운데 1만 1000여 명이 도중에 숨졌습니다. 그러나 고려인들은 강한 생명력을 바탕으로 중앙아시아의 황무지를 개척하고 한인 집단농장을 경영하는 등 소련 내 소수민족 가운데서도 가장 잘사는 민족으로 뿌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다 1992년 1월 소련이 붕괴되고 러시아 외에 11개 독립국가로 분리되면서 고려인들이 거주하는 국가에서는 배타적인 민족주의 운동이 확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려인들은 직장에서 추방당하고, 경제적으로도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자 다시 연해지방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연해지방 거주 한인들을 중심으로 자치회가 형성되어 자치지역의 실현, 모국과의 교류 확대 등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활발하지 않습니다.
2005년 8월 기준(외교통상부 자료) 독립국가연합 내 고려인 수는 임시 체류자 2,100여 명을 포함해 총 534,779명이 됩니다. 국가별로는 러시아에 190,671명, 우즈베키스탄에 200,917 명, 키르키즈스탄에 20,394 명, 카자흐스탄에 36,760명, 투르크메니스탄 420명, 타지키스탄 1,783명, 우크라이나에 13,111명, 벨로루시에 1,327명, 몰도바에 286명, 그루지야에 20명, 아제르바이잔에 63명, 아르메니아에 30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고려인, 그들은 분명 우리 민족이며, 동포들입니다. 이들이 겪었던 한 맺힌 설움의 세월은 이들만의 고통과 아픔이 아니라 우리 국민 모두의 아픔입니다. 2007년은 러시아에서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된지 70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동안 소외되었던 이들에게 관심과 애정을 표현함으로서 동포의 정을 서로 나누게 됩니다.
그 동안 정부나 여러 단체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활동을 하여 왔지만 이제는 범국민적 차원에서 고려인 동포 돕기에 심혈을 기울어야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고려인들에게 방문 취업비자를 금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단체에서 고려인들이 사는 중앙아시아 지역을 방문해서 그들을 위로하고 함께 정을 나누는 모습이나 그들을 우리나라로 초청해서 문화와 교육을 접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도 아름답게 보이고 있습니다. 때로는 질병에 고통을 당하는 그들을 초청해서 환한 웃음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사랑을 베푸는 것도 아름다운 모습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국민 여러분! 고려인들은 지난날 독립운동을 위해 헌신하였던 후손들입니다. 이제 그들의 눈물을 닦아주며 서로가 손에 손을 잡고 희망찬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사랑과 희망을 안고 살아가도록 마음의 문을 열고 고려인들을 안아줍시다.
..............................................................................................................................................
고려인에 대한 관심과 사랑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회장 박강수)는 1837년 스탈린 정책에 의해 강제 이주를 당한 우리 동포들과 그 후손들을 위해서 “고려인 동포 돕기”를 2007년도 중점사업으로 정하였다. 그래서 강제 이주 70주년을 맞는 2007년 삼일절 행사를 독립기념관에서 12,000여명이 모여 “고려인 동포 돕기 걷기” 행사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고려인들의 실상을 보고, 그들의 고충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박강수 중앙회장을 비롯한 30여명이 3박 5일간(3월 16일- 20일) 일정으로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하였다.
방문 기간을 통해서 우즈베키스탄에 살고 있는 고려인 1세대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아픔과 소원을 들어보았으며, 그들의 후손들과 대화를 통해서 모국어를 잃어버린 현신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어 보급을 위한 방안과 대책을 수립하기도 했었다.
방문단은 고려인 집단농장과 노인 회관, 세종 한글학교 및 교육원을 방문하고 한글 교재와 의류를포함한 각종 위문품(시가 2000만원 상당)을 전달하고 돌아 왔었다.
또한 바르게살기운동 중앙협의회는 지난 10월 23일 3박5일간의 일정으로 우즈베키스탄 2차 방문을 하였다. 이번 방문에는 김정길 전 법무부 장관을 비롯한 20여명은 타쉬켄트와 옛 수도인 사마르칸트 지역을 돌아보면서 우즈베키스탄에 살고 있는 고려인들의 지위 향상과 고국 방문 등을 논의하고 돌아 왔다.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니자미 국립 사범대학과 바르게살기운동 중앙협의회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한국어문학과의 발전과 우즈베키스탄 국민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데에 기여하도록 매년 일만 달러이상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바르게살기운동 중앙협의회 사무총장 오평호박사는 “앞으로 우즈베키스탄 바르게살기운동 지부(허선행 교장-세종한글학교)를 통해서 한국어를 사랑하고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도록 “한글사랑 장학회”를 바쁜 시일 내에 설립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 장학회는 매년 500여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한국을 방문하거나 유학을 오는 학생들에게 체류 기간 동안 각종 편의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바르게살기운동 중앙협의회는 전 국민들이 해외에 살고 있는 동포들에게 관심을 갖도록 각종 캠페인과 세미나를 준비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나 귀화한 외국인에 대한 배려와 사랑을 갖는데 주력할 것이다.
.
'† RUSSIA > 러시아 고려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해주 고려인에 대하여 (0) | 2008.01.31 |
---|---|
고도원님의 연해주 답사기에서' (0) | 2008.01.26 |
로스토프의 고려인/ 동영상 많음/사이트소개 (0) | 2008.01.15 |
구소련내 고려인 분포도 (0) | 2008.01.15 |
[고려인 강제이주 70년]돈 강에 찬바람 스치면 또 어디로… (0) | 2008.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