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감별법
지금까지는 [사상체질]±=f(오행의 강약 순서)x라는 정의에 따라 100여 가지의 x(오행속성)에 대해 예를 들어가며
설명해 왔으나 뚜렷하게 우리에게 다가와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것은 첫째, 체질에 따라 상태에너지의 차이가 크게 구분되어질 만큼 차이가 나지
않으며, 둘째, 질량=0, spin 0에 의해 물리적으로 절대적인 측정값을 알아낼 수 없는 관계이나 그로 말미야마 일어나는 현상들에 의해
구분되어 질수는 있다. 그 대표적인 방법이 오-링 테스트 법이다.
1, 맥진법에 의한 체질 감별 이제마는
동의수세보원에서 맥법(脈法)은 병 증세를 알아내는 한 끝으로 그 원리는 간단히 네 가지로 부(浮), 침(沈), 지(遲), 삭(數)에 있는 것이고
거기서 기묘한 이치를 찾을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동의보감에서는 27가지로 너무 상세히 분류는 해놓았으나 전문가가 알기에도 너무 어렵다. 오행
맥에 관해서는 도형만 제시될 뿐이다
*부(浮);표면에 가볍게 손가락을 대어도 감지되는 맥 *침(沈);손가락을 깊게 손가락을 눌러야 감지되는
맥 *지(遲);60회/분 이하의 박동수를 가지는 느린 맥 *삭(數);90회/분 이상의 박동수를 가지는 빠른 맥이라고들 말하나 건강한
사람도 서로가 다르기 때문에 맥진법으로 건강을 알려면 그 사람이 건강할 때의 부, 침, 지, 삭을 기록해 두고 비교 검토하지 않고서는 건강상태를
알 수 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오행의 강약으로 체질을 알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해주기도 한다. 왜냐하면 체질이란 오행의 강약으로
정의되어졌기 때문이다.
* 사람마다 신체의 구조가 달라 통상으로 환자(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의 가운데 손가락 안쪽 둘째마디 거리를 1寸(촌)으로 한다.(
1寸=12分, 1分은 대략 2 - 2.5 mm정도 ), 손바닥 주름 끝에서 3分떨어져 촌맥(寸脈)이 6分, 관맥(關脈)이 6分지나 척맥(尺脈)의
중심이 3分........동의보감 침구편에서 사람의 맥(脈)은 火(相火), 土, 金은 발산(發散)하니 양(陽)에 속하여 오른손(陰)에 가서
띄고 水, 木, 火(君火)은 누설(漏泄)하니 음(陰)에 속하여 왼손(陽)에 가서 띈다. ① 순서는 상생(相生)의 도(道)가 있어 자모(子母)의
친(親)이 있고, ② 좌우(左右)로서 좌(左)는 강(剛)하고 우(右)는 유(柔)하여 부부(夫婦)의 별(別)이 있으며, ③ 상화(相火)가 아래에
있고 군화(君火)가 위에 있는 것은 군신(君臣)의 도(道)이기 때문이다.(동의보감에서)
(3) 맥진법에 의한 체질 분류 왼손과 오른손의 오행맥이 체질에 따라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를 예견해보면
* 사상체질의 구분
*[태음]±=f(목>>금)x은 목이 강하고 금이 약하므로 왼손에서는 관맥(關脈)인 목이 으뜸이고 오른손에서 상화(相火)는
君火에 의한 반발력이 없으므로 관맥(關脈)인 토가 으뜸이다.
*[소음]±=f(수>>토)x은 수가 강하고 토가 약하므로 왼손에서는 척맥(尺脈)인 수가 으뜸이고 오른손에서
수극화(水剋火)로 君火를 억제하므로 그 반발력에 의해 척맥(尺脈)인 相火가 으뜸이 된다.
*[소양]±=f(토>>수)x은 토가 강하고 수가 약하므로 오른손에서는 관맥(關脈)인 토가 으뜸이고 왼손에서는
촌맥(寸脈)인 君火가 으뜸이 된다.
*[태양]±=f(금>>목)x 은 금이 강하고 목이 약하므로 오른손에서는 촌맥(寸脈)인 금이 으뜸이고 왼손에서는 君火가
힘을 사용할 수 없어 원초적인 본능이 수기(水氣)를 받아드리므로 척맥(尺脈)인 수가 으뜸이 된다. (∵화-오행에선 화극금이 안되므로)
* 8체질 구분 *[태음]1체질은 양(+)이므로 왼손에서는 관맥인 목이 음(-)인 수쪽으로 기울고, 오른손의 관맥인 토가
음(-)인 相火쪽으로 기운다. 반면에
*[태음]2체질은 음(-)으로 왼손에서는 관맥인 목이 양(+)인 君火쪽으로 기울고, 오른손의 관맥인 토가 양(+)인 금쪽으로
기운다.(“대-한민국”하고 양손을 들었을 때 손끝은 양이고 발끝은 음이므로 氣의 운행방향은 양의 氣는 손끝에서 발끝으로 흐르고 음의 氣는
발끝에서 손끝으로 흐르는 것은 음양이 항상 함께 하기 때문이다. 또한, 치료할 때 체질의 음양에 따라 서로 반대로 하는 것도, 통증이 반대로
나타나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 마찬가지로
*[소음]1체질은 양(+)으로 왼손에서는 척맥인 수가 음인 위(목)쪽으로 기울고 오른손에서 척맥인 相火가 음인 위(금보다 토가
음이다)쪽으로 기운다.
*[소음]2체질은 음(-)으로 왼손에서는 척맥인 수가 양인 아래(화)쪽으로 기울고 오른손에서 척맥인 相火가 양인 아래(금)쪽으로
기운다.
*[소양]1체질은 토가 강하고 수가 약하므로 오른손에서는 관맥인 토가 으뜸이고 왼손에서는 촌맥인 君火가 으뜸이나 양으로서 음에
치우쳐 군화의 기운이 수에도 약하게 나타난다.
*[소양]2체질은 토가 강하고 수가 약하므로 오른손에서는 관맥인 토가 으뜸이고 왼손에서는 촌맥인 君火가 으뜸이다.
*[태양]1체질은 금이 강하고 목이 약하므로 오른손에서는 촌맥인 금이 으뜸이고 왼손에서는 君火가 힘을 사용할 수 없어 원초적인 본능이
수기(水氣)를 받아드리므로 척맥인 수가 으뜸이 된다.
*[태양]2체질은 금이 강하고 목이 약하므로 오른손에서는 촌맥인 금이 으뜸이나 음으로서 양에 치우쳐 토에 나타나기도 하며 왼손에서는
君火가 힘을 사용할 수 없어 원초적인 본능이 수기(水氣)를 받아드리므로 척맥인 수가 으뜸이 된다. (中心-火로 인해 [소양]1과 [태양]2에서
조금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4) 체질을 판별하는 법 체질을 알아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나 한의사가 되려면 어떤 다른 방법보다도
먼저 맥동(脈動)에 음양오행이 존재하므로 이에 숙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맥박으로 병의 상태를 보는 것으로 27가지의 맥동현상(
동의보감에서)으로 병의 종류와 정도를 알아냈다 고하고 있고,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에서는 얼굴, 체격, 심성, 기질 등으로 체질을 구분하고
浮沈遲數(부浮; 엷고, 침; 깊고, 지; 느리고, 삭; 빠르다)의 4가지로 병의 경중을 판단했다 고하나, 요골(腰骨) 동맥의 맥동현상으로 체질을
논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체질[=f(오행)x]이란 같은 체질이라도 그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한두 가지 오행의 속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오행의 속성을 적용시켜보는 객관적인 판단에 더하여 마지막으로 직접 환자의 오행 맥동으로 체질을 확정하는데 맥의 오행속성을
적용시켜야한다. 먼저 오행이 생긴 원리대로 氣-用으로 구분하여 교감신경 흥분체질과 부교감신경긴장체질로 구분한 후 사상으로 나누고 음양의
기울림을 조사하여 8체질을 알아내나 그 차이를 감지하는 데는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
①. 피검자의 팔에 힘을 빼게 한 후 검자의 왼손으로 피검자의 손목 밑을 바쳐 손이 아래로 쳐지게 한다.
②. 검자의 오른손 2,3,4지로 촌(寸),관(關),척(尺)맥을 가볍게(浮) 누른 상태에서 서서히 힘을 가하여 맥동이 검지되지 않을 때까지
누르고 다시 서서히 힘을 풀어 맥동을 검지하며 피검자의 왼손에서 척맥(尺脈)인 수기(水氣)와 오른손의 관맥(關脈)인 토기(土氣)의 맥동을
조사해보면 둘 중 어느 하나가 감지된다.
③. 왼손의 척맥인 水가 감지되면 기(氣)가 발산되어 겉열이 높은 교감신경 (발산)흥분체질의 [태양]체질이거나 [소음]체질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고, 오른손의 관맥인 土가 감지되면 용(用)이 수렴하여 속열이 높은 부교감신경(수렴)긴장체질의 [태음]체질이거나 [소양]체질임을
체질마다 오행의 순위를 결정한 정의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④. ③에서 오른손의 관맥인 土가 감지된 경우; 왼손에 관맥인 木이 감지되면 [태음]체질이고, 촌맥인 君火가 감지되면
[소양]체질이다.
⑤. ③에서 왼손의 척맥(尺脈)인 水가 감지된 경우; 오른손에 척맥인 相火가 감지되면 [소음]체질이고 촌맥(寸脈)인 金이 감지되면
[태양]1체질이나 관맥인 土쪽으로 기울면 [태양]2체질에 속한다. 이렇게 사상을 찾았으면 오른손의 2,3,4지에 힘을 주어(沈) 8체질을
검사해 보아야한다.
⑥. ④에서 [태음]체질의 관맥인 木이 양(+)인 [태음]1체질에선 음(-)인 水쪽으로 기울고, 음(-)인 [태음]2체질은 양(+)인
君火쪽으로 기우나, 자체적으로 火生土를 할 수 없어 土克水가 어려운 [소양]체질에서는 양(+)의 양(+)인 [소양]1체질에서 그 강함이 水에까지
나타나나 양(+)의 음(-)인 (소양)2체질은 그대로이다.
[범례]±체질=(왼손 맥 - 오른손 맥)=(尺, 關, 寸☞ - ☜寸, 關, 尺)=(水木火-金土火) [태음]1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태음]2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소양]1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소양]2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여기서 [소양]1체질에서만 약한 장기인 수의 세기가 강하게 나타나 불균형을 체질적으로 해소하므로 병을 앓은 사람이 적으나 특이
체질로 페니실린 쇼크를 일으키는 체질이기도 하다.
⑦. ⑤에서 [소음]체질의 척맥인 水가 양(+)인 (소음)1체질에선 음(-)인 木쪽으로 기울고, 음(-)인 [소음]2체질은 양(+)인
아래쪽으로 기우나, 자체적으로 火克金을 할 수 없는 [태양]체질에서는 촌맥인 金의 성질이 양(+)의 양(+)인 (태양)1체질에선 강하므로 그대로
金에서 나타나나 양(+)의 음(-)인 (태양)2체질에서는 약하여 土에서 나타난다.
[소음]1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소음]2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태양]1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태양]2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이다.
즉 [범례]±체질= (왼손 맥 - 오른손 맥) (왼손 맥 - 오른손 맥) (尺, 關, 寸☞ - ☜寸, 關, 尺) (尺, 關,
寸☞ - ☜寸, 關, 尺) (水 木 火 - 金 土 火) (水 木 火 - 金 土 火) [태음]1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태음]2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소양]1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소양]2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소음]1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소음]2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태양]1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태양]2체질=(수 목 화 - 금 토 화)
출처 - 蚩尤天下
http://tong.nate.com/cldncjsg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