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Sound)/멀티미디어(Multimedia) - Windows Media Player            

'그림판(MsPaint)'를 마치고 이제 'Internet'에 들어 가려는데 한쪽에서 큰 "소리"가 들린다.
'왜 우리는 소개해 주지 않느냐'고.. 가만히 보니 'Sound'형제들은 물론 그 옆에 '동영상' 등도 보인다.

아참! 실수 할 뻔 했군. Multimedia의 시대에 그걸 빼 먹다니...
자 그럼 Sound와 Multimedia를 소개하자. Internet 진입이 좀 �드라도...

Graphic에서의 '그림판'과 마찬가지로 Windows98에는 'Sound/Multimedia'에 관련된 좋은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있다.
[시작] →[ 프로그램] →[보조프로그램] →[엔터테인먼트(멀티미디어)]란 카테고리에 '녹음기', 'Volume 조절', 'CD 재생기', 'Windows Media Player(미디어 재생기)'가 그들이다.

※각 프로그램의 원명과 경로를 정확히 살펴보면...
① 볼륨조절: C:\Windows\SNDVOL32.exe
② 녹음기: C:\Windows\SNDREC32.exe
③ CD 재생기: C:\Windows\CDplayer.exe
④ Windows Media Player: C:\Program Files\Windows Media Player\wmplayer.exe 이다.

여기에서 'Windows Media Player(미디어 재생기)'는 최초 Windows98이 나올 때 보다 많이 Upgrade되어 있다. 즉, Windows98 에서는 Version 6.4이나 현재는 Version7.0 으로 Upgrade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Windows Me'에는 공식 구성 프로그램으로 들어 있다.

이 'Windows Media Player(미디어 재생기)'는 Multimedia에 관한 한 거의 모두를 Cover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따라서 'Sound'와 '녹음기'를 간략히 소개하고 Windows Media Player(미디어 재생기)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가. 사운드(Sound)란?

나. 사운드-볼륨 조절(SNDREC32.exe)

볼륨 조절(SNDREC32.exe)은 시스템의 기본 사운드, WAVE. MIDI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사운드 음을 소거하는 역할을 한다.

다. 녹음기(SNDREC32.exe)

   일반 녹음기로 목소리를 녹음하듯이 컴퓨터의 [녹음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성이나 음악과 같은 '사운드'를 파일의 형태로 녹음할 수 있다.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이크가 컴퓨터 본체에 설치된 사운드 카드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물론 이미 오디오 카셋트에 녹음되어 있는 소리도 적절한 연결선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녹음한 사운드는 웨이브(WAVE)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다.

※ 메뉴줄에 있는 '편집'이나 '효과'의 세부메뉴들을 이용하여 편집을 하거나 효과를 줄 수 있다.

라. CD 재생기(CDplayer.exe)

CD 재생기(CDplayer.exe)는 Windows Media Player(Ver 7.0) 에 연결되어 있다.
'Windows Media Player'를 먼저 실행 시키면 실행프로그램이 CD뿐 아니라 Tuner일 지라도 CD 재생기(CDplayer.exe) 는 작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CD 재생'에 대하여는 'Windows Media Player' 에서 언급한다.

※ 이 CD-ROM은 용도별로 크게 타이틀 CD, 오디오 CD, 비디오 CD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CD-ROM과 DVD-ROM의 비교

구분 CD-ROM DVD-ROM
디스크 크기 120mm 120mm
디스크 두께 1.2mm 1.2mm
디스크 구조 단면 양면
저장 용량 약 650~700MB 단면: 4.7GB/
양면: 8.5GB
탐색속도 1.2 ms 4.0 ms
데이터전송속도 153.6 Kbps*배속 1,108 Kbps*배속


|
Top | | | | | | | | |



마. Multimedia란 무엇인가?

Multimedia는 어원에서 말하고 있듯이 둘 이상의(Multiple) 매체(media=medium의 복수)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media(매체)라는 것은 문자, 그림, 사진, 만화영화로 설명되는 애니메이션, 사운드, 비디오를 말한다.
또한, 여러 매체를 사용한다고 해서 다 Multimedia는 아니고 몇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즉, Multimedia는 두 가지 이상의 매체를 동시에, 하나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현하여야 하고, 사용자는 시스템과 대화를 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거기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target=_blank>http://www.sungkyul.edu/~multimedia/multi/multi.htm-->

바. Windows Media Player(미디어 재생기)

Windows Media Player(미디어 재생기) Ver 7.0의 안내서에 보면 사용법이 상세히 나와 있다.
아래는 사용법을 알기쉽게 간추려 놓은 것이다.(그림 좌: ver6.4 우:ver7.0)

   

Microsoft Windows Media Player는 컴퓨터와 인터넷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구성하는 핵심이다.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다.

. 인터넷에서 음악 비디오 및 방송국을 찾을 수 있다.
. 음악 CD를 재생하고 컴퓨터에 복사 할 수 있다.
. 재생할 곡 또는 비디오의 재생목록을 만들 수 있다.
. 휴대용 장치에 음악을 복사할 수 있다.
. 분위기에 따라 Player가 표시되는 방법(스킨 선택)을 변경 할 수 있다.

  1. 지금 재생:

    재생중인 음악의 시각화와 비디오를 볼 수 있다.
    . 시각화는 음악의 비트에 따라 변경되는 도형 및 무늬의 색상 Splash 이다.
    . 지금 재생은 음악가 이름, 오디오 트랙의 제목 및 현재 재생 목록을 표시한다.

     

    ※[지금 재생] 실행 하기
    [메뉴]→ [보기]→ [지금 재생 도구]에서 '지금 재생 목록', 제목 표시', '시각화 표시', '이퀄라이저 및 설정표시'등을 설정해 보다 다양하고 재미있게 재생할 수 있으며

    [메뉴]→ [재생]에서 '재생 의 일시 중지' '재생 순서'의 건너뛰기.섞기.반복.등과 볼륨 조정을 시행할 수 있다.

  2. 미디어 가이드:

    미디어 가이드에는 WindowsMedia.com에서 호스트하는 라이브 웹 페이지가 들어 있어 창을 열면 메뉴들이 저절로 뜬다. 또한, 미디어 가이드는 전자잡지와 비슷하여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최신 동영상,음악,비디오 등에 대한 링크로 자주 Update 된다.

    ※ [미디어 가이드] 실행 하기
    Tab 키를 사용하여 항목 간[홈-음악-라디오-비디오]을 이동하고 Enter 키를 눌러 항목을 선택한다. 드롭다운 메뉴를 탐색할 때는 화살표 키를 사용한다.

     

    ※ 참고: 미디어 가이드를 사용하려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3. CD 오디오(CD Player):

    아주 간단히 컴퓨터에서 음악 CD를 재생, 복사 및 보관 설정을 구성할 수 있다.
    . 현재 듣고 있는 CD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 인터넷에서 음악평 및 해당 음악가의 다른 곡 같은 추가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 CD 복사본을 만들 수 있다.
    . CD 에서 HDD로 Track을 복사한 다음 원하는 순서대로 배열할 수 있다.

    ※[CD 오디오] 재생시의 기능 이해

    이름: 트랙 이름
    길이: 트랙 길이
    복사 상태: 트랙을 복사할 경우에만 '라이브러리에 복사됨'이 표시되면서, 복사된 트랙의 백분율이 표시된다.
    음악가: 음악가 이름. 이 범주를 사용하여 미디어 라이브러리의 모든 오디오를 정렬할 수 있다.
    장르: 음악 종류. 이 범주를 사용하여 미디어 라이브러리의 모든 오디오를 정렬할 수 있다.
    스타일: 장르의 하위 범주. 인터넷 데이터베이스 공급자로부터 이 정보를 구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에서는 오디오를 이 범주별로 정렬할 수 없다.
    데이터 공급자: 인터넷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제공한 회사이다.
    수정한 사람: 데이터 공급자의 정보를 수정한 사람의 이름이다.

     

    ※ Windows Media Player는 인터넷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CD 정보를 수집한다.

    ※ 참고: CD 트랙을 재생할 때 시각화를 작동하려면 디지털 재생 확인란을 선택해야 한다.

    ※ 디지털 재생 및 오류 수정 사용 CD에서 음악을 들을 때 재생 관련 문제를 수정하여 디지털 재생을 보호한다.
    오류 수정을 사용하면 Windows Media Player에서 CD의 음악을 재생할 때 나는 작은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메뉴]→ [도구]→ [옵션]→ [CD오디오] Tab에서→ '재생 설정'분야에 '디지털 재생'과 '오류 수정' Check Box가 있다. Check 하면 된다.

    CD에서 음악 복사

    오디오 CD를 복사하려면 CD-ROM 드라이브에 CD를 넣은 다음,

    [CD 오디오]를 클릭한다. 이전에 CD의 트랙을 복사한 적이 없는 경우에는 모든 트랙이 선택된다.
    복사하지 않을 트랙이 있으면 트랙 옆의 확인란 선택을 취소하면 된다.

    [음악 복사]를 클릭한다.
    선택한 모든 트랙은 보관 폴더로 복사되고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나열된다.

    ※트랙을 녹음하는 동안 CD를 들으려면 디지털 복사를 선택해야 한다.

    ※참고: 보관 폴더의 위치를 보거나 변경하려면 도구 메뉴의 옵션을 클릭한 다음 CD 오디오 탭을 클릭하여 '보관'을 보거나 '변경'Tab을 클릭해서 시행 한다.

  4. 미디어 라이브러리:

    미디어 파일 구성 및 아래와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다.
    . 컴퓨터나 인터넷에 대한 링크를 저장할 수 있다.
    .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에서 즐겨 찾는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트의 재생 목록을 만들 수 있다.
    . 오디오 및 비디오를 앨범 제목,음악가 이름, 장르, 또는 만든이 같은 범주로 자동 구분할 수 있다.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파일 추가

     

    미디어 라이브러리 기능은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미디어 컨텐트 컬렉션으로 이전에 재생한 컨텐트를 찾는 데 사용할 링크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모든 미디어 파일이 들어 있다.

    ※참고: CD 트랙을 재생해도 파일이 자동으로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추가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파일을 추가할 수 있다.

    [CD 오디오] 기능을 사용하여 CD 트랙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복사한다.
    [음악 복사] 단추를 클릭한다.
    [파일] 메뉴에서 [열기]를 클릭한 후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추가할 파일의 위치를 찾는다.
    [파일] 메뉴에서 [라이브러리에 추가]를 클릭한 후 [파일 추가]를 클릭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추가할 파일의 위치를 찾는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Windows Explorer에 있는 '미디어 파일'을 두 번 클릭한다.

    Windows Explorer에서 [미디어 라이브러리]로 파일을 끌어서 놓는다.

    미디어 라이브러리에서 개별 항목을 삭제하려면

    [미디어 라이브러리] 기능을 클릭한다.
    '범주'를 클릭하고 왼쪽 창에 있는 목록을 스크롤하여 삭제하려는 항목을 찾는다.
    오른쪽 창에서 삭제하려는 항목을 찾을 경우 항목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라이브러리에서 삭제'를 클릭한다.
    삭제된 항목은 미디어 라이브러리의 '삭제된 항목' 폴더로 이동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 및 컴퓨터에서 항목을 영구적으로 삭제하려면

    미디어 라이브러리에서 '삭제된 항목' 폴더를 확장한다.
    삭제된 모든 미디어를 클릭한다. 또는,
    개별 항목을 영구적으로 삭제하려면 오른쪽 창에 있는 항목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라이브러리에서 삭제'를 클릭한다.
    '하드 드라이브에서 파일 영구 제거' 확인란을 선택한 다음 '예'를 클릭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에서 개별 항목을 복원하려면

    '삭제된 항목' 폴더를 확장한 다음 삭제된 모든 미디어를 클릭한다.
    오른쪽 창에 있는 항목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복원'을 클릭한다.
    ※참고: 컴퓨터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한 항목은 미디어 라이브러리로 복원할 수 없다.

  5. 라디오 튜너:

    거의 모든 장르에 걸친 전 세계 라디오 방송국을 찾을 수 있다. 특정 지역에 있는 라디오 방송국을 찾으려면 우편 번호나 방송국 호출 부호로 검색할 수 있다. 즐겨 듣는 몇개의 라디오 방송국이 있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라디오를 사용하듯 고유한 '미리 설정'을 만들 수 있다.

    [라디오 튜너] 창 사용 하기

     

    [라디오 튜너]를 클릭하면 좌,우 2개의 창이 생긴다. 좌창에는 [미리 설정] 과 [편집] 이, 우창에는 [방송국]에 대하여 [찾을 조건]과 이에 따른 [세부 찾을 조건] 및 [검색]단추가 있다.

    우창의 [찾을 조건]에서는 '형식', '대역', '언어', '위치', '호출 부호', '주파수', '키워드'가 있으며 각각의 조건에 따른 세부 조건을 바로 옆 메뉴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해당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을 클릭하면 찾고자 하는 방송국이 나온다.

  6. 휴대용 장치:

    어디에서나 음악을 들을 수 있다.즉, 포켓PC, 핸드 헬드 PC, 컴팩트 플래시 카드 같은 기타 휴대용 장치에 미디어 파일을 쉽게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장치에 복사할 수 있는 미디어 파일 형식은 다음과 같다.

    형식 파일 확장명
    Windows Media .wma, .asf (오디오 부분)
    Windows .wav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mp3

  7. 스킨 선택:

    Media Player의 모습을 취향에 맞게 고를 수 있다. 15개 이상의 다양한 스킨이 있으며 인터넷에서 추가로 구할 수 있다.

     



|
Top | | | | | | | | |


사. Sound/Multimedia 관련 제한사항

'이미지'가 '텍스트'에 비하여 메모리 소요용량이 엄청 크다는 것은 알았다.
그런데, 사운드는 이보다 더 커야 되고 멀티미디어는 또, 더 커야 된다.

※참고: Windows Media Player(미디어 재생기)와 Real Player는 동시에 실행시키지 마라. 충돌 날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아. Sound/Multimedia 관련 용어 및 확장자

Full Duplex

통신에서 음성을 전달하는 방식에는 "심플렉스(Simplex)", "하프 듀플렉스(Half Deplex)", "풀 듀플렉스(Full Deplex)" 등 3가지 방식이 있다. 심플렉스는 라디오와 같은 방식으로 한 쪽은 송신만을 다른 한 쪽은 수신만을 할 수있는 형태를 말하고, 하프 듀플렉스는 무전기와 같은 방식으로 한 쪽이 송신 중일 경우에는 다른 한 쪽에서는 수신만이 가능한 형태를 말하며, 풀 듀플렉스는 전화기와 같은 방식으로 양쪽 모두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방식을 말한다. 특히, 인터넷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풀 듀플렉스 방식을 지원해야만 제대로 통신을 할 수가 있다.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

미디 악기간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국제 규격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미디 장비나 키보드를 칭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16채널을 사용하여 각 악기의 상태나 콘트롤 등을 전송하게 되며, 악기간의 동기를 맞추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데이타 입출력을 위해서는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Roland사의 MPU401 장비가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현재의 미디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MPU401과 호환되며, 사운드카드에서도 기본으로 이 MIDI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WAVE (.WAV)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윈도용으로 제작한 디지털 사운드 파일 포맷. 윈도의 보급에 따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사운드 포맷으로 자리잡고 있다. 디지털 사운드란 입력되는 아날로그 사운드의 파형을 디지털로 변화하여 저장하는 방법으로, 포맷에 따라 음질이 좌우된다.
보통 CD급의 음질은 16비트/44.1KHz의 포맷을 사용하게 되는데, WAV에서는 거의 모든 종류의 디지털 변환 포맷을 지원한다. WAV 파일은 음질이 좋을수록 파일이 거대해지므로, 음악 파일보다는 단편적인 효과음 정도나 압축하기 전의 임시 파일로 많이 사용된다.

VOC

사운드 블라스터에서 도스용으로 사용되던 디지털 사운드 포맷이다. 윈도 용 WAV가 등장함에 따라 요즘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오래 된 자료실이나 도스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자주 등장하므로 알아두는 것이 좋다. 도스에서 디지털 사운드를 사용할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

MP3

동영상을 압축하게 되면 화상이나 음질에 큰 파괴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런 연구를 뒷받침 하기 위해 만들어진 압축 코딩의 세계 표준이 바로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이다. 잘 알려진 대로 비디오 CD의 동영상 포맷 이 MPEG-1 규격으로 제작되고 있고, 얼마 전 개발된 DVD 역시 MPEG-2 방식의 코딩을 사용하고 있다. PEG는 이렇게 세계적인 영상 매체들의 표준을 이루는 중요한 규격으로,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을 위한 새로운 규격을 지속적으로 만들고 있다. 이런 MPEG 규격 중에서도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규격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Audio Layer-3’라는 규격이다. 이 코딩 방식을 사용하면 CD급의 음질을 유지하면서 데이터의 크기를 10분의 1로 축소할 수 있다.
MP3 파일을 제작하거나 감상하기 위해서는 특수하게 제작된 ‘ Encoder/Decoder’가 필요한데, 이들 프로그램들은 셰어웨어 형태로 배포 되고 있으므로 통신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MP3는 CD급 음질을 완벽하게 지원하면서도 WAV 파일에 비해 용량이 10분의 1 이하로 작기 때문에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좋은 음질로 인해 저작권 분쟁을 일으켜 현재는 저작권자의 동의를 구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RA, RAM

인터넷 라디오로 유명한 '리얼오디오'의 개발사인 '프로그레시브네트워크' 사 에서 개발한 인터넷 실시간 전송용 디지털 사운드 포맷이다. RA와 RAM 이라는 두 가지 포맷이 있는데, RA는 사운드 데이터를, RAM은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는 파일이다. 압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음질이 많이 손상 되는 단점이 있지만, 인터넷 방송과 같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AVI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동영상 포맷으로, 사운드 전용은 아니지만 CD-ROM 타이틀 등에서는 사운드 파일 전용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AVI 라는 포맷 자체에 타임 코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랜덤한 연주 제어가 가능 하기 때문이다.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등에서 영상 트랙을 제거하면 쉽게 사운드 트랙만의 AVI 파일을 만들 수 있다.

MOV

애플 사의 동영상 편집용 프로그램이지만, 기종에 관계 없이 PC와 맥 모 두에서 널리 사용된다. 디지털 사운드를 MOV로 제작하면 타임 코드를 이용해 제어하고, PC와 맥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주로 CD-ROM 타이틀에서 이런 방식을 많이 사용하며, 애플 사가 별도로 제 공하는 ‘퀵타임 포 윈도’(QuickTime for Windows)를 설치해야 감상할 수 있다.

참고: http://www.microsoft.com /, http://library.youngjin.co.kr/ http://www.umjimedia.co.kr/ windows 98 도움말



질문이나 의견이 있으면, 자유게시판에 게재하거나 성하진<"forius@orgio.net">에게 mail 주세요!

 

내용요약: CD에서 컴퓨터에 복사(녹음)하기

자신이 소장한 CD로 컴에 복사하기, 그리고 홈사이트나 블로그,카페등에 자료 올리는 方法
1. 컴을 켠 후 CD 는 집어 넣는다.
2. 새카만 화면의 커다란 음악 생성기가 뜬다
3. 음악생성기의 왼쪽면에 보면 위에서 세번째에 
  "CD 에서 복사(Copy from CD)" 를 클릭한다
4. 그러면 새카만 화면에 트랙 1부터 씨디에 있는 트랙수 만큼 뜬다
5. 작은 네모 안에 체크 표시가 전부 되어서 나올수 있는데
   체크를 다 지우고(맨위 Title 옆의 네모안에 체크 된것 한번 클릭하면 
      체크가  전부 없어짐), 원하는 음악만 체크를 한다.
6. 음악 생성기의 상단에 보면 "음악 복사(Copy Music)" 를 클릭한다.
   이때 새카만 화면을 보면 복사중 ~% 이렇게 알려준다.
7. 복사가 완료되면 화면을 지운다. 다음으로  "내문서 (My Document)"를 
   오픈하고  다시 소제목의 'My Music' 을 클릭(열기)하여 녹음이 제대로 
   되었는지 점검을 한후 이름 바꾸기를 하여 제목을 붙여 둔다. 
   (다른 노래와 구분하기 위해)
8. 자료실로 와서 자료 올리기를 클릭하고 "제목"을 쓰고 "HTML 태그 포함"을 
   클릭 본문에 임의의 글을 쓴다.
     [음악 자료실이 있는 경우엔 쉽다. 또한  기본자료실의 경우 
      용량(2M)이 제한되어 자료를 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엔 다음측에 요구하여 용량을 추가로 키우는 수 
      밖에 없다 -> 유료임] 
9. 아래로 내려가서 오른쪽 하단의 "찾아보기" 를 클릭한다.
10. 그러면 왼쪽 상단에 네모 창이 뜨는데
   "내 문서" 를 클릭한다.
  오른쪽 하단의 "열기" 를 클릭
11. 많은 아이콘들이 뜨는데 아래에 찾기 바를 움직여서 
   "My Music"를 찾아 클릭하고 오른쪽 하단의 "열기"를 클릭
12. 다시 아이콘들이 뜨는데
  그중에서 자기가 복사한 CD 제목이 있는것을 찾아서 클릭하고
  오른쪽 하단의 "열기"를 클릭
13. 화면이 바뀌고 복사한 CD 제목이 뜬다,  그 글자를 클릭하고
    "열기" 를 클릭
14. 복사한 트랙이 나온다 클릭  "열기" 클릭,
     이제 등록 할 차례인데,
15. 아래의 "찾아보기" 왼쪽에 소스가 주욱 뜨면서 기입된다.
16. 등록을 클릭.
    - 끝 -

[2]. 자료실(음악, 영상)에서 일반자료실(음악방, 그외)로 옮겨 싣기

1. 음악자료실을 실행하여 소스보기를 클릭하여
   아래로 쭈욱 내려 가면 2/5 지점에 "embed! ~`" 시작되는
   소스가 보인다.
2. 그 부분을 드래그하여 복사하여 두었다가
    옮겨서 붙이고 하고 등록하면 된다.
[3]. WMA [Window Media Audio] 란 ?
  
 [요약]
마이크로소프트가 멀티미디어 압축 방식으로 'Window Media Technologies'에서 
음악 데이터만을 압축한 기술. 
 [본문] 
WMA는 전화 접속 사운드부터 풍부한 7.1 서라운드 사운드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음악을 
인코딩하거나 보호, 배포 및 재생할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이다.
MP3보다 낮은 65kbps 포맷으로 MP3dml 128kbps의 포맷과 동등한 음질을 제공한다. 
용량면에서는 MP3 절반 정도 차지하면서 음질은 동일한 정도로 제공하는 포맷 형식
이다. 320bit의 MP3 파일은 보통 용량이 10MB 정도인데, 이 파일을 WMA로 변환해서 
들을 경우 96bit로 변환하여 MP3 파일과 거의 동일한 음을 제공하면서도 용량은 1~3MB 
내외이다.
콤팩트디스크(CD)에서 직접 추출하여 들을 경우에도 MP3와는 비교할 수 없는 낮은 
용량을 자랑하고 음질면에서도 능가한다. WMA는 작은 파일 크기에서 MP3와 거의 
차이가 없는 소리를 들려준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또한 저작권 보호 기술로 'Window 
Media Rights Maneger'가 포함되어 윈도98부터 첨부된 'Media Player'로 재생이 
가능하다.
세계의 주요 음반사인 SONY와 EMI와 BMG, 워너뮤직 등이 WMA 방식을 채택하므
로써 보급률은 점점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MP3 파일을 WMA 파일로 변환시킬 때는
 WMA 전용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향상된 음질을 제공받을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