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flute의 역사는 아주 오래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B.C 5세기경 이탈리아의 '보르냐'에 있는 벽화를 보면 Panpipe 모양의 악기와 고대하프의 연주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아마도 그 당시에 이런 악기와 비슷한 것이 존재해서 연주 되었음을 증명해주는 듯하다. 또한 중앙 아메리카 지방의 원시인들 사이에서도 갈대관을 서너개씩 묶어서 불었던 자로를 접할 수 있는데 아마존강 유역에 자생하고 있는 갈대관을 이용해서 그관 길이를 조절해 소리를 내는 악기로 변한 보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오래된 역사를 가진 Panpipe를 독일의 음악학자인 '쿠르트싹스'는 아주 원시적인 형태로써 Panpipe를 추적해가고 있는데 그는 중국 한나라 시대에 사용되었던 Panpipe를 그 시조로 보고 있다. 중국의 Panpipe는 그 전래된 역사는 밝혀지고 있지않지만 그리스의 Panpipe가 바로 이 중국의 Panpipe를 모방하고 있어서 어떤 면에서는 동양 악기 Panpipe가 서양에 전래되어 역으로 수입되는 느낌도 있다. 쓰인 새대는 중국에 앞서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호머'의 서서시중 '양 떼의 뒤를 갈대를 엮은 피리를 불면서 따라간다'라는 싯구를 보아 오랜된 Panpipe의 역사를 알려주는 문헌의 자료가 된다. 그러나 이 당시만 해도 Panpipe가 예술적인 음악행위에 의해 쓰였던 것은 아니다.
선율로 들려지는 Panpipe는 리코더와 같은 악기로써 다발로 엮어서 가지런히 늘어놓은 뗏목형 이있다. 이러한 Panpipe는 중국을 기원으로 해서 그리스와 페루 그리고 중동과 유럽 전역에서 쓰이는 것이 그 기원으로 밝혀지고 있다. 최근에 와서야 Panpipe음악에 대한 학구적인 연구가 전해오고 있는데 오늘날 우리가 보게되는 Panpipe 이전에 중세와 르네상스시대 음악에서의 Panpipe 양식에 기원적인 음악을 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보다 앞서 현재의 Panpipe가 있기전 이와 유사한 악기로써 남이 인디오족이 불었던 갈대로 만든 케냐라는 악기가 있는데 모양은 조금 다르지만 그 소리의 색채는 Panpipe와 비슷한 무드를 자아낸다.
그러나 이 악기는 라이트 음악에서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근래에 이르러서 Panpipe음악은 새로운 관심을 받게 되는데, 바로 그 전형적인 예는 우리가 잘 아는 모차르트의 가극 '마술피리'에서 예술적인 양식을 찾을 수 있다. 모차르트는 1막에서 '파파게노'가 새잡이 노래에서 바로 이 Panpipe를 연주하면서 흥겨운 노래를 하도록 하는데 이런 모차르트의 음악 정신은 Panpipe를 고대악기로서의 존재에서 훨씬 더 고양시킨 예술 세계로 승화시킨 것이다.
Panflute는 고전적인 신화시대에서 양떼를 몰고가는 반수신 팬신이 불었던 시링크스(Syrinx)라는 악기가 조금 발전된 근대 정신으로 승화된 것인데 이러한 예는 근래에 이르러서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가 '클로드 드뷔시'가 작곡했던 '목신의 오후' 전주곡에서 더욱더 승화된 양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드뷔시는 바로 이러한 음악의 내용을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인 '말라르메'의 시에서 소재를 가져와서 바로 이 주인고을 팬싱으로 해 '목신의 오후'전주곡을 작고했는데 드뷔시는 음악에서 Panpipe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지만 플루트를 사용함으로써 전원적인 세계를 들려주고 있다. 이런한 과정에서 우리에게 그 환성적인 선율이 전해 내려다가 최근 루마니아의 '개오르그 장피르'에 의해 연주 기법은 물론 악기 개발과 함께 세계인에게 전파시킨 메시지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또 이 악기의 이름은 곳곳에서 다르게 불려지고 있는데 그 것은 분포도가 너무나 광범위해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붙여진 것같다. 유럽 대륙에서는 'Panflute'라 불려지고 영어권에서는 'Panpipe', 중국에서는 '파이샤오', 페루에서는 '얀타라', 에콰도르지역에서는 '론다도르', 오세아니아지역에서는 '가달카날'로 불려진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비슷한 생황이라는 악기가 바가지 통에다 대나무의 리드를 꽂은 것을 여러개 꼽고 취구로 그 바기지 통에 바람을 불어 넣었다 뺏다 하며 소리를 내는 악기로 생황뿐만 아니라 대나무 관수에 따라 생 또는 우라는 악기도 있다. 워낙 규모가 커서 파이프를 세운 숫자가 굉장히 많은 악기에 비해 생황은 그렇게 숫자가 많지 않고 연주자의 손에 적당하게 잡고 연주할 수있도록 알맞게 되어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생황을 풍류에 편승해서 배를 타고 물놀이 갈 때 분다든지 학물를 할 때 그 학춤에서 생황을 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금속성소리의 특이한 음색을 지닌 악기로 과거에는 사랑을 받았다. 또 생황이 화음을 내는 악기라고 알려져 특별한 취급을 받는데 이 악기는 화음이라기보다는 여러개 소리를 낼수 있는 악기라는 것이 옳은 것이다. 지금도 일본이나 여러 동양 나라에서는 생황을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생소 병주라 해서 많이 사용하지 않으나 지금은 병주 정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생황의 음악이 퇴학하고 있는 것은 이 악기를 가지고 복잡한 선율을 아주 변화있게 해 나가는 것이 무척 어럽게 되어 있고 또 하나는 과거처럼 생황 전공의 연주자가 없기 때문에 그 음악이 동시에 퇴화된 것이다.
B.C 5세기경 이탈리아의 '보르냐'에 있는 벽화를 보면 Panpipe 모양의 악기와 고대하프의 연주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아마도 그 당시에 이런 악기와 비슷한 것이 존재해서 연주 되었음을 증명해주는 듯하다. 또한 중앙 아메리카 지방의 원시인들 사이에서도 갈대관을 서너개씩 묶어서 불었던 자로를 접할 수 있는데 아마존강 유역에 자생하고 있는 갈대관을 이용해서 그관 길이를 조절해 소리를 내는 악기로 변한 보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오래된 역사를 가진 Panpipe를 독일의 음악학자인 '쿠르트싹스'는 아주 원시적인 형태로써 Panpipe를 추적해가고 있는데 그는 중국 한나라 시대에 사용되었던 Panpipe를 그 시조로 보고 있다. 중국의 Panpipe는 그 전래된 역사는 밝혀지고 있지않지만 그리스의 Panpipe가 바로 이 중국의 Panpipe를 모방하고 있어서 어떤 면에서는 동양 악기 Panpipe가 서양에 전래되어 역으로 수입되는 느낌도 있다. 쓰인 새대는 중국에 앞서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호머'의 서서시중 '양 떼의 뒤를 갈대를 엮은 피리를 불면서 따라간다'라는 싯구를 보아 오랜된 Panpipe의 역사를 알려주는 문헌의 자료가 된다. 그러나 이 당시만 해도 Panpipe가 예술적인 음악행위에 의해 쓰였던 것은 아니다.
선율로 들려지는 Panpipe는 리코더와 같은 악기로써 다발로 엮어서 가지런히 늘어놓은 뗏목형 이있다. 이러한 Panpipe는 중국을 기원으로 해서 그리스와 페루 그리고 중동과 유럽 전역에서 쓰이는 것이 그 기원으로 밝혀지고 있다. 최근에 와서야 Panpipe음악에 대한 학구적인 연구가 전해오고 있는데 오늘날 우리가 보게되는 Panpipe 이전에 중세와 르네상스시대 음악에서의 Panpipe 양식에 기원적인 음악을 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보다 앞서 현재의 Panpipe가 있기전 이와 유사한 악기로써 남이 인디오족이 불었던 갈대로 만든 케냐라는 악기가 있는데 모양은 조금 다르지만 그 소리의 색채는 Panpipe와 비슷한 무드를 자아낸다.
그러나 이 악기는 라이트 음악에서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근래에 이르러서 Panpipe음악은 새로운 관심을 받게 되는데, 바로 그 전형적인 예는 우리가 잘 아는 모차르트의 가극 '마술피리'에서 예술적인 양식을 찾을 수 있다. 모차르트는 1막에서 '파파게노'가 새잡이 노래에서 바로 이 Panpipe를 연주하면서 흥겨운 노래를 하도록 하는데 이런 모차르트의 음악 정신은 Panpipe를 고대악기로서의 존재에서 훨씬 더 고양시킨 예술 세계로 승화시킨 것이다.
Panflute는 고전적인 신화시대에서 양떼를 몰고가는 반수신 팬신이 불었던 시링크스(Syrinx)라는 악기가 조금 발전된 근대 정신으로 승화된 것인데 이러한 예는 근래에 이르러서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가 '클로드 드뷔시'가 작곡했던 '목신의 오후' 전주곡에서 더욱더 승화된 양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드뷔시는 바로 이러한 음악의 내용을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인 '말라르메'의 시에서 소재를 가져와서 바로 이 주인고을 팬싱으로 해 '목신의 오후'전주곡을 작고했는데 드뷔시는 음악에서 Panpipe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지만 플루트를 사용함으로써 전원적인 세계를 들려주고 있다. 이런한 과정에서 우리에게 그 환성적인 선율이 전해 내려다가 최근 루마니아의 '개오르그 장피르'에 의해 연주 기법은 물론 악기 개발과 함께 세계인에게 전파시킨 메시지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또 이 악기의 이름은 곳곳에서 다르게 불려지고 있는데 그 것은 분포도가 너무나 광범위해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붙여진 것같다. 유럽 대륙에서는 'Panflute'라 불려지고 영어권에서는 'Panpipe', 중국에서는 '파이샤오', 페루에서는 '얀타라', 에콰도르지역에서는 '론다도르', 오세아니아지역에서는 '가달카날'로 불려진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비슷한 생황이라는 악기가 바가지 통에다 대나무의 리드를 꽂은 것을 여러개 꼽고 취구로 그 바기지 통에 바람을 불어 넣었다 뺏다 하며 소리를 내는 악기로 생황뿐만 아니라 대나무 관수에 따라 생 또는 우라는 악기도 있다. 워낙 규모가 커서 파이프를 세운 숫자가 굉장히 많은 악기에 비해 생황은 그렇게 숫자가 많지 않고 연주자의 손에 적당하게 잡고 연주할 수있도록 알맞게 되어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생황을 풍류에 편승해서 배를 타고 물놀이 갈 때 분다든지 학물를 할 때 그 학춤에서 생황을 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금속성소리의 특이한 음색을 지닌 악기로 과거에는 사랑을 받았다. 또 생황이 화음을 내는 악기라고 알려져 특별한 취급을 받는데 이 악기는 화음이라기보다는 여러개 소리를 낼수 있는 악기라는 것이 옳은 것이다. 지금도 일본이나 여러 동양 나라에서는 생황을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생소 병주라 해서 많이 사용하지 않으나 지금은 병주 정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생황의 음악이 퇴학하고 있는 것은 이 악기를 가지고 복잡한 선율을 아주 변화있게 해 나가는 것이 무척 어럽게 되어 있고 또 하나는 과거처럼 생황 전공의 연주자가 없기 때문에 그 음악이 동시에 퇴화된 것이다.
출처 : 들꽃 향기
글쓴이 : 세실 원글보기
메모 :
'† 악기배우기 > 팬플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팬플룻 (Panflute) (0) | 2008.08.16 |
---|---|
[스크랩] 팬플룻 쪼개졌을 때 수리법 (0) | 2008.08.16 |
[스크랩] 팬플룻 만들기 (0) | 2008.08.16 |
[스크랩] Dana Dragomir 의 펜플룻 연주 3곡 (0) | 2008.08.16 |
한국가곡 펜플롯 연주 (0) | 2008.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