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와 T임파구

    몸 속에 암세포가 생기면 백혈구 중의 T임파구에서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임파독소라는
    물질을 만들어낸다. T임파구는 암세포 속으로 파고 들어간 후 임파독소를 생산해 내 암세포
    를 공격하는 것이다. 이렇게 암세포 속으로 침투해 들어가는 T임파구를 암침투세포
    (Tumorinfiltrating Cell)라고 한다. 실제로 암환자의 암덩어리를 조금 떼어내 현미경으로 살
    펴보면 암세포 속에서 이 T-임파구를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건강한 T임파구에게는 암세포를 충분히 제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런데 왜 암
    환자가 생기는 것일까? 암환자의 암덩어리를 살펴보면 그 해답이 나온다. 암세포 속에 T임
    파구는 있는데 임파독소를 생산해내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은 T임파구가 약하기 때문이다.
    암세포를 발견한 T임파구가 제 본분을 다하기 위해 일단 암세포 속으로 파고들기는 했지만
    그것만으로 힘이 다 빠져버려 더 이상 활동할수 없게 된다.
    그리고 T임파구가 더 약해지면 암세포를 발견해내는 것조차 불가능해진다. T임파구는 말하
    자면 우리 몸의 군대와 같은 기능을 한다. 적이 침입해 들어오면 일단 적의 위치를 파악한
    후 임파독소라는 강력한 무기를 지닌 특공대를 보내 적을 쓸어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T임파구가 힘이 없으면 암세포가 어디 숨어 있는지조차 모르게 된다. 현미경으로 T
    임파구와 암세포의 활동을 관찰해보면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몸 속에 생긴 암세포들은 T임파구의 공격을 두려워 해 T임파구가 나타나면 활동을 멈추고 
    몸을 숨긴다. 그러나 T임파구가 힘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암세포는 서서히 활동을 시
    작한다. 가장 기본적인 활동이 암세포의 성장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암세포가 자라기 위해서는 혈관 속의 영양소를 공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암세포 속의 유전
    자는 가장 가까이에 있는 혈관 쪽으로 소위 혈관 생성물질이라는 것을 뿜어낸다. 그러면 혈
    관은 작은 가지들을 뻗어 혈관생성물질을 뿜어내는 쪽으로 따라가게 되는데 이렇게 해서 혈
    관과 암세포가 연결돼 암세포는 영양소를 공급받고 점차 자라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T
    임파구의 순찰활동이 왕성하다면 암세포는 꼼짝도않고 숨어있으면서 동면상태에 들어간다.
    이런 상태를 의학용어로 암동면상태(Cancer Dormancy)라고 한다. 암세포가 동면상태에 들
    어가면 전이되던 암세포가 활동을 멈추는데 이때 T임파구의 힘이 더 강력하다면 몸을 숨기
    고 있는 암세포들을 모두 찾아내 죽이는 것이다.
    따라서 암세포를 제거하려면 내 몸의 T임파구 유전자를 강하게 만들어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놀라운 방법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