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4세대 역사,민족관 보기
옌볜 동포 4세대들 "난 중국인"
본지가 주최한 제4회 대학생 기획.탐사 기사 공모전의 수상작 7편을 오늘부터 싣습니다. 대학생들의 날카로운 문제의식과 신선한 시각이 담긴 기사입니다.
중국 개방화 직후인 1980년대에 태어난 중국동포 4세대들. 이들은 요동치는 중국 경제체제와 동포사회에서 자라나 교육받았다. 지난 8월 중국 옌볜 등지에서 동포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해 해외동포 정책의 방향을 찾아봤다.
◆ 백지 수준의 한국사 실력="여기는 중국이고, 우리 국사는 중국 역사잖아요. 한국사는 잘 몰라요."
옌볜조선족자치주에서 중.고교를 나온 연변과기대 3년생 김명호(22)씨의 말이다. 이 대학 양대언(역사학) 교수는 "동포 신입생의 한국사 실력은 거의 백지 수준"이라며 "집안이나 중.고교에서 제대로 된 한국사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중.고교 때 고구려에 대해 어떻게 배웠는가'라는 질문에 '한국의 고대국가'라고 정확히 답한 학생은 32.5%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배운 적 없다' '배웠지만 기억나지 않는다' '중국 내 소수민족 정권'이라고 답했다.
고구려.발해사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연구작업인 '동북공정(東北工程)'의 내용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59.9%. 이 중 상당수는 동북공정의 실체를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 '동북공정이 계속 진행돼야 하느냐'는 질문에 '계속돼야 한다'(31.8%)는 답변이 '중단돼야 한다'(19.9%)는 의견보다 훨씬 많았다. 나머지는 '모르겠다'와 무응답 등 판단을 유보했다.
"대부분의 학생은 민족 역사가 언제, 어떻게 시작됐는지 잘 모릅니다. 소수민족 역사가 대입시험 과목에서 빠져 있기 때문에 학교도 학생도 열심히 가르치거나 공부하려 들지 않습니다."(옌볜 제1중학 교사 리강씨)
◆ 정체성 위기='국가(중국인)와 민족(조선족) 중 무엇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45.6%가 자신의 정체성을 '중국인'에서 찾았다. '한국에 귀화하고 싶은 생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하고 싶지 않다'(72.3%)는 답변이 '하고 싶다'의 7배에 달했다.
옌볜대 강순화(역사학) 교수는 "동포 학생들은 부모세대의 처절한 민족의식을 이해하지 못한 세대"라며 "하지만 한국과의 교류를 지켜보면서 독자적인 민족관과 정체성을 발전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 소비에 춤추는 세대=중국 공무원 한 달치 월급은 평균 800위안(10만여원)이다. 하지만 동포 대학생 가운데 절반이 넘는 50.4%가 이보다 많은 돈을 한 달 용돈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한 달에 1500위안 이상 쓴다는 응답도 11.1%(28명)나 됐다.
연변과기대 경영정보학과 정광옥(2년)양은 "한국 청바지는 200위안 정도로 중국산의 두 배지만 세련된 한국 옷을 선호하는 이들이 많다"면서 "과소비하는 학생들은 능력이 있어서 그런 것이라 생각해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동포 대학생들이 이렇게 많은 돈을 쓰지만 79%는 부모에게서 용돈을 타서 쓴다고 답했다. 아르바이트 등을 통해 직접 번다는 응답은 11.5%에 그쳤다.
◆ 떠나는 젊은 세대=95년 문을 연 연변과기대의 재학생 중 85% 안팎은 동포 4세대다. 졸업생의 진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졸업자 1709명 중 55%가량이 옌볜을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근무지를 보면 베이징.상하이 같은 중국의 대도시(614명)가 가장 많았고, 한국(234명).일본(80명) 순이었다. 연변과기대 취업지원실 주욱천 과장은 "한번 떠난 졸업생은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할 때 다시 지역사회로 돌아오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옌볜대의 경우 전체 졸업자 2886명 중 211명이 졸업 후 바로 유학길에 올랐다. 강순화 교수는 "기성세대가 '이 땅은 우리가 피로 지킨 땅'이라고 외쳤다면 지금 세대는 '낙후한 땅에서 벗어나자'고 말한다"며 "새로운 삶을 개척하는 게 이들의 생존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양대언 교수는 "이들에게 더 이상 한국식 민족주의를 강요할 수 없다"며 "동포 4세대가 한.중의 경제적.정치적 이해 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한국이 뒷받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CHINA > 중국조선동포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족선교에 대한 전망 및 제안 (0) | 2011.03.25 |
---|---|
한국교회의 중국 조선족 선교 (0) | 2011.03.23 |
만주 조선인10가지 종교 (0) | 2010.11.23 |
방문취업제 입국대기동포 사기피해 특별주의요망 (0) | 2010.07.08 |
외국인 방문취업제 한국생활가이드 (0) | 201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