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a Scriptura (쏠라 스크립츄라) ▷오직 성경
Sola Fide (쏠라 피데) ▷오직 믿음
Sola Gratia (쏠라 그라티아) ▷오직 은혜
Solus Christus (쏠루스 크리스투스) ▷오직 그리스도
Soli Deo Gloria (쏠리 데오 글로리아) ▷오직 하나님께 영광
라틴어 주기도문, 사도신경
Pater noter, qui es in caelis (빠떼르 노스떼르, 뀌 에스 인 챌리이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Sanctificetur nomen tuum (상띠피체뚜르 노오멘 뚜움)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Adveniat regnum tuum (아드베니아뜨 레에늄 뚜움)
[나라이 임하옵시며]
Fiat voluntas tua (피아뜨 볼룬따아스 뚜아)
sicut in caelo et in terra (씨꾸뜨 인 챌로오 에뜨 인 테라아)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Panem nostrum quotidianum da nobis hodie (빠아넴 노스뜨룸 꾸오띠디아눔 다 노오비이스 호디에에)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et dimitte nobis debita nostra (에뜨 디미떼 노오비이스 데비따 노스뜨라)
sicut et dimittimus debitoribus nostris(씨꾸뜨 에뜨 디미띠부스 데비또리부스 노스뜨리이스)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et ne nos inducas in tentationem (에뜨 네 노오스 인두까아스 인 뗀따치오넴)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sed libera nos a malo (세드 리이베라아 노오스 아 말로오)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Amen (아아멘)
[아멘]
p.s : (생략된 후렴부는 찾는 중입니다.-_-)
p.s 2: 라틴어를 최대한 원 발음에 가깝게 한글로 표기하면 제가 보기에도 좀 어색합니다. 사실 스페인어나 이탈리아어 같은 라틴계 언어에서는 모두 강자음을 거센소리가 아닌 된소리로 발음 하는데도 한글 표준 표기법에서는 민족 정서상 이유로 거센소리로 표기 하고 있고, 우리도 거기에 익숙하기 때문일 겁니다.
라틴어 사도신경
Symbolum Apostolorum
심볼룸 아포스트롤로룸
CREDO in Deum Patrem omnipotentem, Creatorem caeli et terrae.
끄레도 인 데움 파트렘 옴니포텐템, 끄레아토렘 첼리 엣 떼레.
Et in Jesum Christum, Filium eius unicum, Dominum nostrum,
엣 인 예숨 크리스툼, 필리움 에이우스 우니쿰, 도미눔 노스트룸,
qui conceptus est de Spiritu Sancto, natus ex Maria Virgine,
뀌 콘쎕투스 에스트 데 스피리투 상토, 나투스 엑스 마리아 비르지네,
passus sub Pontio Pilato, crucifixus, mortuus, et sepultus,
파수스 숩 폰티오 필라토, 끄루치픽수스, 모르투스, 엣 세풀투스,
descendit ad inferos, tertia die resurrexit a mortuis, ascendit ad caelos,
데스첸딧 아드 인페로스, 테르치아 디에 레술렉시트 아 모르투이스, 에스첸딧 아드 첼로스,
sedet ad dexteram Dei Patris omnipotentis,
세뎃 아드 덱스테람 데이 파트리스 옴니포텐티스,
inde venturus est iudicare vivos et mortuos.
인데 벤투루스 에스트 유디차레 비보스 엣 모르투오스.
Credo in Spiritum Sanctum,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sanctorum communionem,
끄레도 인 스피리툼 상툼, 상탐 에끌레시암 카톨리캄, 상토룸 꼬뮤니오넴,
remissionem peccatorum, carnis resurrectionem, vitam aeternam. Amen.
레미시오넴 페카토룸, 까르니스 레술렉치오넴, 비탐 에테르남, 아멘. (다음)
라틴어 주기도문
Oratio Dominica
오라치오 도미니카
PATER noster, qui es in caelis, sanctificetur nomen tuum. Adveniat regnum tuum.
파테르 노스테르, 뀌 에스 인 카엘리스, 상티피쎄뚜르 노넴 툼, 아드베니앗 레그눔 툼,
Fiat voluntas tua, sicut in caelo et in terra.
피앗 볼룬타스 투아, 시쿹 인 카엘로 엣 인 테라.
Panem nostrum quotidianum da nobis hodie,
파넴 노스트룸 꾸오티디아눔 다 노비스 호디에,
et dimitte nobis debita nostra sicut et nos dimittimus debitoribus nostris.
엣 디미떼 노비스 데비타 노스트라 시쿹 엣 노스 디미띠무스 데비토리부스 노스트리스.
Et ne nos inducas in tentationem, sed libera nos a malo. Amen.
엣 네 노스 인두카스 인 텐타치오넴, 세드 리베라 로스 아 말로. 아멘. (다음)
라틴어 주기도문
‘라틴어’를 배우자, 서양고전을 읽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greenbee.co.kr/blog/attach/1/1373387879.jpg)
1. 강의 개요 : 왜 라틴어를 배우는가.
- 동양에 한문이 있다면 서양에 라틴어가 있다 -
라틴어는 고전 그리스어와 더불어 서구 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언어다. 라틴어는 로마 제국의 융성과 더불어 지중해에 인접한 나라들의 국제어로 통용되면서 서양의 정신문화와 생활전반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 이후 서양의 중세 1000년, 르네상스 시기, 근대를 거치면서 라틴어는 신학, 법학, 철학, 문학, 역사, 의학, 음악, 예술분야의 학술어로서 유럽 문화의 곳곳에 스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같은 역사와 문화 전통 아래에서 라틴어는 전통을 숭상하는 영국을 비롯하여 미국,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 서양 대부분의 중고교 교과과정에서 대학 진학을 위한 필수과목이나 선택과목으로 교수되고 있다. 대학 입학이나 졸업, 석․ 박사 과정 입학 허가나 수료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라틴어 능력 검증을 부과하고 있는 곳도 많다.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양권에 한자(한문)가 있다면 서양에는 라틴어가 있는 셈이다.
- 라틴어 공부는 서양 언어와 문화 이해의 첩경이다 -
대안연구공동체가 국내 청소년과 일반인들에게 라틴어를 가르치려하는 첫째 이유는 실제 효용 때문이다. 라틴어는 현대 유럽 로만어(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의 모어(母語)다. 라틴어 문법을 배우면 서양의 언어가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하면서 문법이 무엇인지 알게 되고, 영미와 유럽 언어의 문법 구조를 익힐 수 있다. 이 때문에 라틴어를 배우면 영어와 로만어 학습에 흥미를 느낄 뿐 아니라 이 언어들을 훨씬 쉽게, 그리고 빨리 익힐 수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적잖은 학자들과 국내의 일부 철학자, 신학자들이 어렵잖게 10개 국어 안팎의 다언어를 구사하는 것도 라틴어 학습에 힘입은 바 크다.
영어 학습에도 라틴어가 매우 유용하다. 많은 영어 어휘들, 즉 영어 단어의 60% 정도가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라틴어 단어를 익히면서 애매하게 알고 있던 영어 단어의 뜻도 정확하고 분명하게 알게 된다. 라틴어를 모어로 하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학습에 라틴어의 학습의 효과가 더 큰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영국이나 미국의 중고교가 라틴어 학습을 하는 주요 목표로 외국어는 물론 자국어 학습의 효과를 내걸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는 한자 3000자를 익히면 이 글자로 조합된 수십 만 개의 한자어 단어를 어렵잖게 유추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영어 단어의 라틴어 비중은 전문 영역으로 갈수록 더욱 커진다. 자연과학(의학, 약학, 동물학, 식물학 등)과 인문학(문학, 법학, 신학, 철학, 언어학, 역사학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음악, 미술, 건축, 전기, 기계 등의 예술 및 기술 분야와 항공우주과학, 컴퓨터공학 등 첨단 과학 분야에서도 라틴어에 어원을 둔 어휘의 비중은 압도적이다. 따라서 라틴어는 모든 유럽 언어를 이해하고 배우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서양에서 유래된 학문을 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언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 라틴어를 모르는 채 전문 영역을 공부하는 것은 한국이나 중국, 일본에서 한자를 모른 채 전문 영역을 공부하는 것과 같다. 영미나 유럽으로 유학한 학생들이 학업에 애를 먹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가 라틴어를 모르기 때문인 경우도 많다.
서양 문명과 문화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도 라틴어는 필수적이다. 라틴어에는 서양 문명의 원류로 오늘날까지 인류 문화에 영감을 제공하는 그리스, 로마의 문화를 비롯해 신화와 종교, 풍습, 속담과 격언 등 유럽 문화의 뿌리가 담겨있다. 라틴어를 배우면 서양 문명을 더욱 논리적이고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고할 수 있게 되고 자신의 사상과 생각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 라틴어는 현대 영미와 유럽에서 결코 죽은 언어가 아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greenbee.co.kr/blog/attach/1/1066117305.jpg)
독일의 경우 라틴어는 문화교육부(Kultusministerium)가 정한 세부 규정에 따라 인문계 중고교 과정인 김나지움(Gymnasium)에서 제2외국어나 제3외국어 선택과목으로 가르친다. 전통 인문계 중고과정인 일부 알테스 김나지움(Altes Gymnasium)에서는 라틴어를 필수 과목으로 규정한 곳도 있다. 라틴어를 배운 학생들은 대학입학자격시험(Abitur)을 통해 국가로부터 능력을 검증받는다. 수능시험에서 ‘라틴어 인증시험(Latinum)’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통 주당 2~3회 수업 기준, 3~5년을 이수토록 하고 있고 ‘고급 라틴어 인증시험(Grosses Latinum)’은 5~9년을 이수토록 하고 있다.
대학의 신학, 철학, 역사학부(사학, 고고학, 인류학 등)와 인문 ․ 어문학부(영문학, 독문학, 불문학, 미술사학, 음악학)등의 입학이나 졸업 사정, 석․박사 과정 입학이나 학위 수여 사정에서 필수로 부과한다. 수능에서 국가 공인 인증시험을 거치지 못한 학생들은 ‘국가공인 추가 보충 수능시험(staatliche Ergänzungsprüfung zum Abitur)’을 통해 라틴어 능력을 검증 받을 수도 있다. 대개의 대학은 김나지움에서 라틴어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이 ‘국가공인 추가 보충 수능시험’을 준비하도록 하기 위해 라틴어 집중코스를 운영하고 있다.
스위스에서도 김나지움에서 라틴어 과목을 개설하여 가르치고 있다. 라틴어 인증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최소 3년(9~12학년, 주당 3시간 수업 단위) 동안 라틴어 수업을 이수토록 규정하고 수능시험(Matur, 필기/구술)을 통하여 라틴어 능력을 인증한다. 스위스의 라틴어 초급 인증(Kleines Latinum)은 대학의 유럽언어 전공 학부, 사학과, 철학과, 신학과 및 몇몇 인문학부의 입학 허가, 또는 졸업 조건이다. 각 대학은 이를 충족하지 못한 학생을 위해 라틴어 코스를 개설,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라틴어는 달리 역사학, 미술 사학뿐만 아니라 법학과, 의학과, 치의학과, 수의학과의 전공에도 능력 인증을 요구한다. 오스트리아의 라틴어 인증은 보통 김나지움에서 최소 4년 동안 라틴어 과목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경우 면제되나 그렇지 않을 경우 정해진 기간 동안 라틴어를 이수해야 한다.
이처럼 라틴어는 유럽과 영미권에서 결코 죽은 언어가 아니며 아직도 살아 숨 쉬는 언어다. 적잖은 학과의 전공과 직업에도 반드시 필요하나 굳이 이런 전공을 하지 않더라도 일찍 배워두면 그만큼 쓸모가 많다.
대안연구공동체가 영어를 비롯한 여타 외국어 공부만으로도 허리가 휘는 이들의 사정을 모르지 않으면서 라틴어 강좌를 개설한 것은 수강생들이 진정한 공부의 재미를 만끽하게 하기 위해서다. 라틴어 공부는 영미와 유럽의 외국어 공부에 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아직까지도 세계를 지배하다시피하는 서양의 역사와 문화, 학문에 대한 이해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다.
- 라틴어는 쉬운 언어다 -
그렇다면 라틴어는 어려운 언어인가. 전혀 그렇지 않다. 발음과 철자를 따로 익혀야 하는 영어나 프랑스어와는 달리 라틴어는 대부분 철자대로 발음하고,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다. 듣기(청취), 읽기(독해), 쓰기(작문), 말하기(회화)능력을 두루 익혀야 하는 다른 외국어와는 달리 주로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 번역하는데 주력하므로 다른 언어보다 훨씬 적은 노력으로 배울 수 있다.
다른 외국어에 비해 라틴어 학습에서 요구되는 단어와 어휘 수는 한정되어 있다. 게다가 이미 알고 있는 영어 단어의 상당수가 라틴어에서 유래하므로 단어를 외우기도 쉽다. 문법 또한 아주 정교하고 논리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배우기가 어렵지 않다. 정선된 고전 작품들도 그리 많지 않아 이 중 몇 권만 읽으면 고급 라틴어 해독능력을 갖추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greenbee.co.kr/blog/attach/1/1100178008.jpg)
2. 담당 교수 : 이진경 박사
연세대 경제학과 졸업 및 감리신학대학원 석사, 독일 빌레펠트 소재 베텔신학교 신학박사, 서울장신대와 훔볼트 평생교육원 등지에서 라틴어 및 신학 강좌 담당
3. 진행
- 개강 : 2012년 3월 3일 토요일
- 매주 토요일 오후 3시~6시까지(3시간) 10강
- 10강×3(30강)을 마칠 경우 유럽과 영미에서 치르는 인문학 학위를 위한 자격시험에 합격할 수 있음.
4. 교재
- 이진경 박사가 독일에서 공부한 교재를 번역해 재편집한 자료를 씀.
- 강의 시작 전, 수강생들에게 배부함.
5. 강의 장소
- 대안연구공동체(서울 마포구 서교동 464-46 서강빌딩 2층)
6. 수강료
- 30만원 (10강×3시간)
<문의 : 02-777-0616(대안연구공동체), paideia21@gmail.com>
※ 수강에 관한 문의는 대안연구공동체 홈페이지 혹은 전화로 하시면 됩니다. 그린비 블로그에서는 신청을 받지 않습니다~
라틴어 학습 1
먼저 라틴어의 모음을 두 가지 종류로 모아 익히는 것이 발음을
익히고 사용하는 데에 편리할 것이다.
1] a, o, u.
2] e, i, [y]
A: 단모음일 때는 문제가 없을 것이고, 다음에 e 가 따라와서 중모음이
될 때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때는 우리말의 'ㅔ' 로 발음한다.
예를 들면 caelum [coelum] = '첼룸' aeternum = 에떼르눔.
그러나 e 위에 " 이 붙으면 중모음이 되지 않고 독립된 두 개의 모음이 된다.
따라서 a"er = '아에르' 로 발음한다. (e 위에 " 타이핑하는 법을 몰라 글씨
모양이 이상, 죄송 천만)
C: 위의 제1군의 모음이 붙으면 약한 'ㄲ' 의 발음이 된다.
casa = 까사; co = 꼬; cu = 꾸
위의 제2군 모음이 붙으면 'ㅊ' 의 발음이 된다.
Cicero = 치체로; civis = 치비스; caelum = 첼룸.
뒤에 'h' 가 붙어 약한 'ㅋ' 처럼 발음된다.
Christus = 크리스투스; chorus = 코루스; mich = 미키
E: 한국말의 'ㅔ' 와 같이 발음한다.
Deum = 데움; Dies = 디에스
F: 영어의 F 와 같이 아래 입술을 물고 발음하는 것을 잊지 말 것
femina; fabula;
G: 모음 제 1군이 붙으면 약한 'ㄱ' 소리가 나고;
Gallia = 갈리아; Gasbal = 가스발
모음 제 2군이 붙으면 'ㅈ' 소리가 된다:
Gemma = 젬마; Gemini = 제미니;
조심: g와 n의 중자음은 뒤에 모음이 따라와
gna [냐]; gni [니]; gno [뇨]로 발음된다.
Agnus = 아뉴스; magnum = 마늄; lingua = 링과
그러나 독일권에서는 아그누스, 마그눔으로 발음한다.
우리 교회는 이태리식의 발음을 따른다.
(누군가 라틴어 발음은 일반적으로 독일어처럼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하는데 어디에서 나온 것인지 궁금!!!)
H: 한국 말의 'ㅎ' 로 발음하면 된다. 단 h 앞에 c, p, 혹은 r 이 올 때도 있으며,
이 때 Ch 는 'ㅋ'로 발음 Christus = 크리스투스;
ph 는 'f' 로 발음. Philosophia (Ph 와 f 발음은 아랫입술을 문다)
J: 'l' 로 발음. Jesu = 예수; justum = 유스뚬
K: 드물게 사용하는 글자로 'ㄱ' 혹은 'ㅋ' 으로 발음,
Kyrie = 기리에 혹은 키리에
L: 반드시 혀를 입천장에 부친다는 것을 잊지 말 것.
그렇지 않으면 r 발음이 된다.
N: 우리말의 'ㄴ' 과 같이 발음. 그러나 뒤에 c 가 따르는 경우,
한국말의 'ㅇ' 이 된다.
sanctus = 상뚜스 (상크뚜스가 아님)
P: 이태리어와 독일어, 영어의 발음이 약간 다르다: 이태리식을 따른다.
이태리어에서는 가벼운 'ㅃ' 으로 발음하고 독일어나 영어에서는 'ㅍ' 으로 발음.
Panis = 빠니스; pange = 빤제 ; apostolus = 아뽀스똘루스
Q: Q 는 항상 뒤에 u 가 같이 따른다.
usque = 우스꿰; qua = 꽈; quo vadis? = 꿔 바디스
R: 영어에서와 같이 절대 혀를 입천장에 붙이지 말라.
S: 우리말의 초성으로서의 'ㅅ' 소리와 같이 발음;
Sabula = 사불라; sane = 사네
이 발음을 독일에서는 'ㅈ' 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는 데 우리는 이를 피하자.
예를 들면 Bizet 의 Agnus 를 들으면 '미제레레 노비스'라고 발음한다.
S 다음에 c 가 따라오고 모음이 붙을 때(이 때의 발음은 C의 발음을 참조)
조심해야 한다.
schola = 스콜라; scala = 스깔라; scu = 스꾸
제2군의 모음이 따라오면 Sci = 쒸; sce = 쒜;
scientia = 쒸엔씨아; Scena = 쒜나
아마 라틴말 성가 노래에서 가장 무시당하고 있는 발음일 것이다.
제일 마지막 음절에 's' 가 오면 거의 발음하지 않고 있다. 언제나 발음해야 한다.
Deus meus = '데우스 메우스' 를 '데우 메우' 로 발음하는 성가대원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그러나 마지막 음절의 이 발음, 즉 '스' 소리는 나야 하지만 강하게 발음하면 절대로
안 된다. 왜냐하면 강하게 발음할 경우 '스' 라는 음절이 하나 더 생기기 때문이다.
마치 '데웃스 메웃스' 하듯이 마지막 음절에서 입을 다물고 발음하면 절대로 마지막
'스' 에서 입을 열 수도 없고 강하게 발음할 수도 없을 것이다. 이런 식 아니면 이런
느낌으로 발음하도록 하자.
'Gratias agimus tibi' 의 경우에 위의 S 발음에서와 언급한 바와 같이 마지막 음절에
붙은 s 도 발음해야 한다. 그러나 절대 강하게 발음하면 안 된다. Gratias agimus의
이 가사에서 '스' 를 발음하면서는 절대로 '아지무스' 의 '아' 발음을 만들어 낼 수 없다.
만약 그라씨아에서 숨을 쉬고, 아지무스를 다시 시작한다면 몰라도 (그러면 악보와는
다른 쉼표가 생긴다) 그냥 연결시켜 노래하면 자연스럽게 '그라씨아사지무스' 가 될
것이다. '그라시아스 아지무스' 내지는 '그라시아스 사지무스' 가 아닌 것을 살펴주어야
겠다. '스' 와 '아' 가 합해져서 '스아' 내지는 '사' 로 변했다. 틀림없다.
T: 이 발음도 독일어군, 이태리어권이 다르게 발음한다.
이태리식의 약한 'ㄸ' 으로 발음하자.
toccare = 똑까레; tono = 또노; tonsura = 똔수라
T 다음에 모음이 따라올 때 조심해야 한다. 한국말로 설명이 약간 곤란하지만 (왜냐하면
발음을 말로 표현하는 것은 옳지 않다) '씨' 로 발음하기로 하되 이 '씨' 는 입을 조금
다물고 혀로 아랫니 뒤에 대고 발음하면 되겠다.
gratia = 그라씨아 그러나 그랏씨아 같은 기분;
scientia = 쒸엔씨아;
문제는 또 한 가지. 그러나 ti 의 i 가 액센트를 받거나 그 앞에 s, x, t 가 오는 경우
이 때에는 원래 발음인 'ㄸ' 로 한다. 예를 들면 짐승이라는 bestia 는 베스띠아이다.
hostia = 호스띠아 [성체].
그 다음의 글자들은 여러분이 다 아시리라 믿는다.
U 는 'ㅜ' 로, V 는 영어의 v (따라서 아래 입술을 물어야).
Y 는 'ㅣ' 로, Z 는 우리말의 'ㅈ' 을 강하게 발음하면 된다.
'신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식기도 해야 할 신체적인 40가지 이유들 (0) | 2012.10.10 |
---|---|
예수를 믿어야 하는 이유 (0) | 2012.09.08 |
조나단 에드워즈의 70가지 결심문 [Jonathan Edwards 1703~1758] (0) | 2012.06.11 |
성경 66권 맥잡기 자료 (0) | 2012.05.12 |
신앙생활에 대하여 교인들이 알아야 할 상식 1과~16과 (0) | 201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