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 교회 몽골 단기 선교팀들입니다
오늘 나강도사님의 선교보고를 듣고 많이 은혜가 되었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B%AA%BD%EA%B3%A8

몽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Jump to: navigation, search
@@START_COMMENT start content @@END_COMMENT
Монгол Улс (Mongol Uls)
Mongolia
몽골
공용어 몽골어, 카자크어, 러시아어
수도 울란바타르
정치형태 인민공화국제
경제형태 자본주의
대통령 남바린 엥흐바야르
면적 1,565,500km²
인구 2,712,315명
인구밀도 1.73명/km²
화폐 투그릭
시간대 UTC +7~8
인터넷 TLD .mn
국제전화 976

몽골 (몽골어: Монгол Улс)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나라이다. 북쪽은 러시아연방, 남쪽은 중국과 맞닿아 있다. 한자로는 '蒙古'(어리석을 몽, 옛 고)라고 쓰지만 이는 이 나라를 비하하는 단어이다. 면적은 아시아에서 6번째로 넓지만 인구는 적은 나라에 속한다. 수도는 울란바타르이다.

 

목차

[숨기기]

역사

자세한것은 몽골의 역사를 참조;

고대로부터 몽골 초원에는 흉노, 돌궐 등 여러 유력한 유목 민족들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1206년 징기스칸이 등장해 몽골 초원을 통일하고 역사상 최대의 대제국을 건설했다. 14세기 말에 몽골 제국이 몰락하자 몽골 초원에는 다시 여러 부족들이 나타났다. 명나라에 이어 중국을 지배한 청나라강희제는 몽골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몽골을 내몽골외몽골로 분리시켰다. 이후 내몽골은 중국과 호흡을 같이하고 외몽골은 중국에서 신해 혁명이 일어난 1911년에 신정군주제(神政君主制)로 독립을 선언하였다. 1917년 이후 한때 러시아 내전의 여파에 휘말렸으나 1921년 수흐바토르 초이발산이 전란을 수습하고 1924년 국호를 몽골 인민 공화국이라 하였다. 그 이후 소련의 영향력이 막강해졌으며, 중, 소분쟁이 발생할 때 소련을 지원하였다. 1992년에 복수정당제를 원칙으로 하는 자본주의 국가로 변화, 공산주의 체제를 버리고 자본주의 경제를 도입했다.

지리

기후

고비사막의 영향을 받아 매우 건조하고 온도의 차가 심하다. 일년 평균강수량이 200mm 정도이다.

사람과 언어

몽골인의 주된 종교는 티베트 불교로 역사적으로는 티베트과의 관계가 깊다. 대부분의 몽골인은 인종적으로는 한국인과 같은 황색인종으로 몇 가지의 유전 형질의 경향이 일치하고, 몽골어와 한국어가 문법적으로 닮았다.

서부의 바얀욀기 주는 카자흐족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학교 교육도 카자흐어로 행해진다. 몽골어는 외국어라고 취급이 되기 때문에, 울란바토르에서 여기로 와서 몽골어로 말할 경우에는 불리하게 된다. 몽골에는 투바인, 부랴트족, 중국인, 러시아인 등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 몽골어가 공용어이나 러시아어, 카자흐어, 중국어도 사용된다. 일본어, 한국어, 독일어, 영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행정 구역

문화

링크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