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지구(북위 40°52′ ~ 45°18′, 동경 121°38′ ~ 131°17′)

- 요녕, 흑룡강성과 함께 東北 3省을 구성하고 있으며, 압록강,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러시아와 접경(1,400km)하고 있다. 중국 東北三省의 중부지역이다.


길림 CCPIT
- 전화 : (86-431) 5676245
- 팩스 : (86-431) 5663685
- E-mail : jl@ccpit.org

길림성 인민정부
- 홈페이지 : http://www.jl.gov.cn

장춘 CCPIT
- 전화 : (86-431) 2731448
- 팩스 : (86-431) 2715148
- E-mail : chch@ccpit.org

장춘시 인민정부
- 홈페이지 : http://www.cc.jl.gov.cn

 
 
약칭
병음
Jilin(구음: Kirin)
면 적
187,400평방km
인 ?/div>
2,699.4 만명 (2002)
기후
대륙성 계절풍기후
성도
長春市
당서기 왕 윈쿤 (王雲坤) (2003.1 현재)
성장 홍 후 (洪虎) (2003.1 현재)
행정구획
9개 지급행정구, 41개 현급행정구
주요도시
長春, 길림, 연길, 혼춘
민족
한, 조선, 만주, 회, 몽고족 등
천연자원
몰리브덴, 金, 석탄, 석유 등
주요산업
자동차 제조, 철도차량, 기본 화학공업, 목재가공, 경공식품 등
총생산액
2,242.96 억元(2002)
1인당GDP
7,640元(2001)
주요수출품
옥수수, 의류 및 원부자재, 치킨, 가구, 자동차, 약재, 대두 등
주요수입품
원목, 종이펄프, 크롬광사, 용접기, 자동차부품, 건축기계, 산화알루미늄, 전선케이블 등
경제기술개발구
長春 경제기술개발구(국가급)
첨단기술개발구
長春, 吉林 고신기술개발구(국가급)
대외개방도시 장춘, 길림, 연길, 혼춘
주요 공항
연길, 장춘 공항
주요 교역국
독일, 일본, 미국, 한국, 러시아, 북한 등


1. 지형
- 지세가 동남부가 높고 서북부가 낮다. 최고봉은 장백산의 주봉인 백운봉이며, 해발이 2,691m이다. 서평~장춘~유수일선이 경계가 되어, 동남부는 산지와 구릉이 되고, 서북부는 평원이 된다.
동남부의 산지와 구릉은 일련의 동쪽방향의 산맥과 하곡과 서로 섞여서 평행한 배열을 이루고, 동쪽의 압록강~도문강 하곡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가면 장백산, 훈하~이도강(송화강 하단)~목단강 곡지, 영강령~두단령~위호령, 휘발하(송화강 지류)~교하곡지, 길림 합달령~노령, 이통~쌍양~숙란저지, 대흑산 등이 있다.
서부의 대흑산과 길림 합달령 남단에 속한 구릉지를 제외하고는, 그 나머지 산봉우리들의 해발이 1,000m이상이다.

- 동부의 장백산 주봉은 하나의 동심원 모양의 송곳체이고, 화구호는 천지라고 불리우며, 천지의 주위에 16개의 해발 2,500m 이상의 산봉들이 있다. 서북부의 평원은 송료평원이라고 일컫는데, 동북평원에 속하고, 내부에는 남쪽의 요하평원과 북쪽의 송눈평원과 그 사이의 언료분수령이 있다.
평원의 해발은 120~150m이고, 미세하게 기복한 분수는 송화강, 요하, 압록강, 도문강, 수고, 송화강 유역면적이 가장 넓다. 발원은 대한민국과 경계상의 장백산 천지로 유명한 화산호구이다.
서북부평원의 저지대 호수는 포라고 칭하며, 사간포, 월량포, 양사포 등이 있다.

2. 기후
- 계절풍기후의 중온대 습윤, 반습윤 반건조기후에 속한다. 연평균기온이 2°C~6°C, 1월 평균기온이 -20°C~-16°C, 7월의 평균기온이 20°C ~23°C 이다. 연평균 강수량이 400~800mm이고, 동남부에 많이 내리고, 서북부에 적게 내린다.

3. 생물
- 지대성 식물로는 동남 산지의 온대 침엽활엽혼합림이 있고, 서북평원상의 온대 초원이 있다. 삼림복개율은 37.9%이다. 장백송, 주목, 인삼, 천녀목란, 황벽나무, 수곡 버드나무 등 희귀한 식물과 장백 호랑이, 매화노루, 검은 검, 흰 백조, 두루미 등 희귀한 동물들도 많아 이미 장백산, 향해, 송화호, 막막격은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인구

2,699.4 만명 (2002)

인구성장률

0.319 %

출생률

8.30명/1000명

사망률

5.11명/1000명

주요민족

한족, 조선족


- 길림성 인구 중 소수민족이 10.12%를 차지한다(1999년).
한족 이외에 조선족, 만족, 몽고목, 회족, 서버족 등 43개 민족이 거주한다.

- 조선족만이 자체 언어를 사용하고 대부분은 중국어 普通話를 사용한다. 불교, 도교, 이슬람교, 천주교, 기독교 5대 종교가 전부 있는데 신자들은 각기 34.3만명, 0.3만명, 13만명, 7.2만명, 33.8만명, 활동장소는 각기 77곳, 13곳, 84곳, 58곳, 926곳 정도 있다.


- 길림성은 중국 동북부의 중간 지역이다. 경내에 길림성이 있어서 이 이름이 붙었다. 옛 명칭은 숙진지이다. 한대에는 부여지로 불리었다. 당대에는 발해지라고 칭하였다. 요 시대에는 상경, 동경 등의 도가 되었다.
금대에는 상경, 함평 등의 로가 되었다. 원대에는 요양행중서성에 속하였다. 명대에는 여진지가 되었다, 노비들이 이곳을 다스리기도 하였다. 청 초에는 길림장국할구가 되었고, 청 말에 길림성이 되었다.



- 길림의 교통운수는 매우 발달하였다. 1994년 말, 철로는 3,487km에 달하고, 도로는 29,581km에 달한다.

1. 철로
- 철로는 경합선, 장도선, 장백선, 심길선, 길서선, 납보선, 도가선, 평제선, 사해선 등이 있다. 장춘, 사평, 길림, 백성은 철도의 요충지이다.

- 길림성에는 28개의 철도노선이 있는데 총길이는 전년보다 1,457.66km 추가건설한 5,609.26km이다. 남으로는 심양, 천진, 북경으로 북으로는 하얼빈, 만주리를 경유하여 러시아, 유럽으로 통하고 있으며 북한과 2개 노선의 철도가 연결되어 있어 북한 항만으로 화물수송을 하고 있다. 1999년 화물운송량과 여객운송량은 각기 전년대비 5.3%와 0.82% 증가한 6,058만톤과 5,849만명에 달하였다.

2. 도로
- 도로 총길이는 전년대비 704km 신축된 34,516km로서 고속도로, 1급도로, 2급도로가 각기 354km, 300km, 3,632km로 전년대비 평균 34.2% 대폭 증가한 반면 3급도로와 4급도로, 등외도로가 8,745km, 19,900, 1,585km로 전년대비 평균 2.9% 하락하였다.

- 현재 주요 건설도로로는 黑河~大連 國道선, 길림~口前 시멘트도로, 鶴崗~대련선, 通化~快大茂선 공로, 圖門~우란호트, 敦化~白石山 2급 도로, 黑河~대련, 梅河口~草市, 東豊~那丹伯 2급도로 등이 있다. 고속도로로는 長春~四平, 長春~吉林, 長春~營城, 長春環城 고속도로 등이 있다. 장춘, 사평, 돈화, 통화 등은 도로의 요충지이다.

3. 수운
- 全省 해운 운송도 비교적 편리하여 혼춘항은 이미 1991년 10월에 정식 개통하여 운영되고 있고 또한 大安항구는 이미 개방하여 1992년 9월 25일에 처음으로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으로 운항하기도 하였다.
길림성 대외무역 운수도 매우 편리하여 대련, 진황도, 영구, 심천, 만주리, 수분하, 동문, 집안, 훈춘 등 9개 상품 수출항구가 각종 상품을 세계 어떤 국가에도 운송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이밖에 송화강, 눈강, 흑룡강수계에 의한 내하운송도 활성화되어 화물운송량이 43만톤, 여객 운송량이 47만명에 달하고 있다.

- 내하항운은 송화강과 송화호(풍만수고) 위주이고, 계절성으로 항로가 정해진다. 중국과 대한민국 경계상의 압록강, 도문강은 장백산의 목재를 운반하는 뱃길이다.

4. 항공
- 장춘의 大房身, 길림의 二臺子, 연길의 朝陽川 등 3개 공항이 있다. 국내항공노선은 북경, 상해, 광주, 남경, 무한, 서한, 대련, 하문, 연태 등 대,중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국제선 또한 홍콩, 서울, 일본 및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 등으로 운항하고 있는데 총 운항길이가 83,446km에 달하고 있다.
1999년 여객 운송량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27만명에 달했고 화물 운송량은 전년대비 13.5% 감소한 576천톤이다.


1. 경제개황

1) 주요 경제지표

구분
단위
2000년 2001년 2002년
GDP
억RMB
1,821.2 2,032.48 2,242.96
1인당 GDP
원RMB
- 7,640 -
공업생산총액
억RMB
- 557.3 644.44
고정자산투자액
억RMB
586.9 679.5 804.88
수출입 총액

USD억

25.54 31.33 37.07
수출 총액
USD억
12.42 14.63 17.68
수입 총액
USD억
13.12 16.70 19.39
직접투자액(계약기준)
USD억
5.96 - -
직접투자액(실제투자)
USD억
4.93 5.22 5.52
재정수입
억RMB
103.8 121.1 244.9
재정지출
억RMB
260.7 326.4 362.6

2) 경제현황

가. 경제현황

- 길림성은 국경선의 대부분이 북한과 접해 있어 국경무역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또한 내륙에 위치한 관계로 한국기업의 진출도 기대에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동북 3省' 중에서 가장 낙후되어 있으며 생활수준도 전국평균 이하이다.

- 2000년 길림성 주요품목 수출현황

(단위: 만달러)
품목
1998년
1999년 2000년
옥수수 213 20,372 33,560
의류 및 원부자재 11,099 10,804 14,300
치킨 5,735 4,543 4,737
가구 3,496 3,930 3,681
자동차 및 Under-Chassis 2,069 1,458 3,355
약재 154 742 680
대두 5,800 331 231
해수산물 191 314 444
< 자료원: 2001 吉林省統計年鑑 >

- 2000년 길림성 주요품목 수입현황

- 주요 수출 대상국

(단위: 만달러,%)
국가
1998 1999 2000 2000점유율
일본 20,571 22,844 25,601 20.4
한국 9,966 19,542 36,275 28.8
미국 7,846 8,091 8,841 7.0
말레이시아 - 6,039 6,502 5.2
북한 4,775 5,779 9,820 7.8
독일 3,714 5,756 4,471 3.6
< 자료원: 2001, 2000, 98, 吉林年鑑 >

- 주요 수입 대상국

(단위: 만달러,%)
국가
1998 1999 2000 2000점유율
독일 39,574 46,714 58,766 44.7
일본 9,651 21,016 14,958 11.4
미국 7,003 8,435 14,658 11.2
한국 4,800 6,995 6,588 5.0
러시아 2,713 5,644 5,859 4.5
북한 2,242 2,062    
< 자료원: 2001, 2000, '99, '98 吉林年鑑 >

- 대한 수출입규모

(단위: 만달러,%)
국가
1998 1999 2000
수출액 9,966 19,542 36,275
수입액 4,800 6,995 6,588
< 자료원: '98, '99, 2000 吉林年鑑 >

나. 산업구조

(단위: 억元)
구 분
2000년
2001년
2002년
GDP
1,821.2
2,032.48
2,242.96
제1차산업
-
409.6
456.10 
제2차산업 - 880.84 964.55
제3차산업 - 742.04 822.31

- 경작지는 6,056.4만무이고, 1인당 경지면적이 전국에서 2번째이다. 양식작물이 파종면적의 37%를 차지하고, 옥수수, 콩, 수수가 위주이고, 양식 상품률이 높은 편이다. 연변에는 좋은 질량의 논벼가 생산된다.
경제작물로는 사탕수수, 해바라기, 관동 담배, 깨류가 있으며, 사탕수수와 해바라기의 집중 생산지이다. 장백산구의 무송, 집안 등지는 종이 제조원료, 약재의 공급기지 중의 하나이다. 길림의 인산, 사슴풀, 담비모피 등은 '三寶'로 오래전부터 유명했다. 또한 혼춘 목이버섯, 통화산의 포도 등은 특산품이다.

- 공업은 자동차 제조, 철도 차량, 기본 화학 공업, 목재가공, 경공식품이 주요 공업이다. 중국 제일의 자동차 제조 공장, 장춘의 객차공장, 길림 철합금공장 등이 비교적 일찍이 큰 공장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장춘 광학기계, 길림 화공, 석현 신문지, 통화 야금, 요원 석탄광, 사펼 기계, 부여 유전, 풍만 수력 등은 규모가 상당한 수준이다.
신문지와 상품지, 철합금, 자동차, 트랙터, 철로 객차, 종합수확기계, 인 제품, 기본 화학원료, 목재와 합판, 인삼주와 포도주 등의 상품은 전국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길림성은 자동차, 석유화공, 의약, 식품, 야금, 삼림산업의 발전이 비교적 빠른 편이고 특히 자동차 산업은 중국의 첫번째 국산 자동차와 북경 지하철 전차가 모두 길림성 성도~장춘에서 탄생되었을 정도로 자랑을 뽐내고 있다.
따라서 길림성은 자동차, 석유화학을 2대 기둥산업을 토대로 식품, 의약, 전자 3대 산업을 점차 육성시켜 현재 5대 산업체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 한편, 중국 중공업기지로서 전반적으로 중공업이 전체 산업을 차지하던 것이 최근 10여년 동안 외자유치와 경공업 부축정책에 의해 전자, 의약, 식품, 의류, 가전 등 산업이 점차 발전, 경공업의 비중이 날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 투자환경 및 현황

- 길림성은 북한, 러시아와 접경하고 있는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 있으며 UNDP(UN개발계획기구)가 추진하고 있는 '두만강 유역개발계획'의 최대 수혜지역이다. 두만강을 통한 동해로의 통항이 자유로워질 경우 발전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길림성에는 4곳의 국가급개발구와 18곳의 성급 개발구가 지정되어 있는데 국가급 개발구는 장춘시(2곳)와 길림성, 琿春市에 소재하고 있다.

- 개발구내 외자기업들은 21만여명의 현지인을 고용하고 있으며 임금수준은 연 8,877元으로 전국평균에는 미달하지만 인근 흑룡강성(7,519元)보다는 높다. 외자기업들은 省 전체 GDP의 12.7%, 재정수입의 1/3을 점유한다.

- 省정부는 경제활성화를 위해 '외국인투자 장려규정'(1996.10), '외국인투자환경 개선 규정'(1998.7) 등 법규를 정비하고 15개 산업, 95개 분야의 투자장려 리스트를 공표(1997.5)하는 등 외자유치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 길림성에는 중국동포의 60%가 거주하고 있다. 연변 85만명, 길림 18만명의 순이다. 이들은 한중 수교이후 우리기업의 중국진출에 크게 공헌해 왔으며 앞으로도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반면 상호 기대감이 큰 데 따라 마찰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 '東北之寶'라 불리는 인삼, 녹용의 생산지로 인삼, 녹용생산량은 전국 수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특히 集安縣 新開河 인삼은 세계 최우량의 산품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이외에 야생동물이 1,110여종으로 이중 진귀동물이 100여종, 식물 2,700여종, 약용재가 근 1,000종에 달한다.

- 광물자원 중 몰리브덴은 전국 매장량의 20%, 金은 전국 생산량의 6%를 차지한다. 석탄, 석유 등 에너지 자원도 풍부한 편으로 1998년에는 석탄 2,100만톤, 석유 397만톤을 생산하였다.

- 중국동포등에 의해 벼농사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이다.

- 길림성은 외국인이 투자할 기본적인 조건이 비교적 완비된 지역으로 자동차 산업기지이자 기계산업기지인 장춘을 성도로 배후시장이 다대한 잇점이 있는데다 중화학공업기지인 길림시가 경제대두 작용을 하고 있으며 관광자원이 풍부하고 중~러, 중~북한에 인접, 변경무역이 활성화된 연변자치주가 대외무역거래에 이채를 띄고 있다.

- 길림성 지역은 광동성, 복건성, 요녕성 등 沿岸지역에 비해 개방이 늦게 추진되어 부동산, 인건비 등이 낮은 이외에, 개발 잠재력이 풍부하지만 중국에서 구매력이 낮다는 점과 사회간접시설이 다소 뒤떨어진다는 점, 그리고 물류운송망이 체계를 이루지 못했다는 점은 투자진출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요인들이라고 할 수 있다.



1. 장춘시
- 길림성의 중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윤통하(송화강 지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고, 해발이 237m이다. 서기 1800년 청왕조가 장춘청으로 배치하고, 1856년 성을 건설하였다. 1932년~1945년 일찍이 '만주국'의 수도였으며, '신경'이라고 칭하였다. 시 중심부는 윤통하 서안에 있고 경합선과 장춘역의 남쪽에 위치한다. 공업으로는 자동차제조, 광학기계, 전기, 야금, 화학공업 등이 있다. 길림성의 정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고, 자동차가 유명하고 영화 제작의 중심지이다.

- 松遼평원에 위치해 있는 장춘시는 장춘제일자동차, 장춘버스공장, 장춘오토바이, 장춘트렉터공장 등으로 유명한 중국 자동차공장, 장춘 오토바이, 장춘 트랙터공장 등으로 유명한 중국 자동차공업의 메카이다. 매년 9월 국제자동차 박람회가 개최된다.

- 국가급인 장춘 경제기술개발구와 南湖南嶺 신기술개발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현재 진행중인 대련~심양 고속도로의 장춘 연결공사가 완료되면 교통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 1998년말 현재 우리기업 180개사가 진출해 있다. 아시아나항공과 중국 北方항공이 각 주 3회 서울~장춘간을 왕복 운행하고 있는데 매년 6.15~9.15간에는 주 6회로 증편 운행한다.

- 장춘의 명승고적으로는 위만주국 황궁, 정월택과 농안 고탑, 황룡사 등이 있고, 이외에도 시 내부의 사대림 거리, 장춘 자동차공장과 장춘 영화 제작공장 역시 관광 할 만하다. 사대림 대가와 신민가 일대는 일본 사람들이 위만주 시기에 관동군 사령부를 설치한 곳으로, 위만주국 국무원과 팔대부등의 건축물 등이 일본 건축물의 분위기가 농후하고 지금까지도 완전하게 보존되고 있다.

2. 길림시
- 原名은 길림 오랍(만주어로 '강에 연하여 있다')이고, 길림성 중부에서 동쪽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송화강 중류이다. 서기 1673년에 성이 건설되었다.

- 松花江변에 위치(27,100평방km)해 있어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며 연변 조선족자치구를 제외하고 중국동포가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다. 우리기업은 61개社가 진출해 있다.

- 지주산업인 화학, 전력, 철강산업을 기초로 기계, 전자, 방직, 식품, 의약업 등이 발달해 있는 전통 공업도시이나 교통 여건 등으로 인해 발전속도가 늦은 편이다. 국가급인 '길림 고신기술산업개발구'(9평방km)가 설치되어 있다.

- 유람할 곳은 송화강, 소백산, 용택산, 고구려 성, 용택산 사슴목장과 중국 4대 자연기관 중의 하나인 '수빙절경' 등이 있다.

3. 延邊 조선족자치구
- 연변(42,700평방km)은 중국동포 집거지역으로 州정부 소재지인 연길시를 비롯 敦化, 圖們, 龍井, 琿春, 和龍의 6市, 汪淸, 安圖의 2縣으로 나뉘어 있다. 개혁, 개방 이후 중국동포 인구(1998년말 85만명)가 계속 감소, 인구비중이 40%에도 못미친다. 당서기는 한족, 州長은 중국동포가 맡고 있다.

- 圈河 등 자치주내 총 7곳의 통상구를 통해 북한과 국경 무역을 하고 있다. 북한으로부터의 수입품에 대해서는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50% 경감해 준다. 우리 기업들은 486개社가 진출해 있다.

- 연길시(1,340평방km)는 자치주 州都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북한의 淸津, 러시아 블라디보스톡과 함께 두만강유역 '大삼각'을 형성하고 있다. 우리기업 진출이 활발하며 매년 6월과 9월 사이에는 한국인 백두산 관광객이 몰려든다.

- 琿春市(5,142평방km)는 북한의 나진, 러시아의 자루비노와 함께 두만강유역 '小삼각'을 이룬다. 중국측의 두만강유역 전략거점으로 북한, 러시아와 도로, 철도가 운행되고 있다. 국가급 개발구인 '국경 경제협력구'가 지정(1994.3)되어 있다.

4. 통화시
- 길림성의 남부에 위치하고 있고, 혼강의 가장자리이다. 길림성의 신흥공업성시이고 장백산 일대의 식량 토산물의 집산지이다. 산포도는 통화 포도주의 원료로도 유명하다. 공업품인 통화 스키장 등이 있고, 또한 동구고묘택과 대왕릉, 장군분과 호태왕비 등 고구려 유적이 전해 내려오는 고적이다.

5. 연길시
- 성의 동부에 연길분지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도선이 이곳을 지난다.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수도이다. 문화교육 사업이 발달하였고, 연변대학이 설립되어 있다.

6. 圖們市
- 연길분지의 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도, 목도 철로의 종점이다. 도문강을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의 도시인 남양과 서로 마주하고 있고, 또한 철도도로가 서로 통과하며, 중국과 대한민국의 경계 해안 중의 하나이다.

7. 장백산 풍경구
- 장백산은 길림 안도, 무송과 장백 삼현경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부는 대한민국과 연이어 있고, 중국동북부의 유명한 풍경구이다. 장백산은 휴화산으로 오랫동안 눈으로 덮여 있었으며, 십여개의 해발 2,500m가 넘는 봉우리들이 있으며, 주봉인 백운봉은 2,691m로, 송화강, 도문강과 압록강이 모두 이곳에서 발원한다.

- 장백산 천지는 화산 입구에 물이 축적되어 만들어진 고산 호수로, 해발이 2,194m이고, 평균 수심이 204m, 최고 수심이 373m에 달하고, 주위에는 16개의 봉우리가 둘러싸고 있는데, 9개는 중국에 있고, 7개는 대한민국 경내에 있다.

출처 : 중국무역공사
글쓴이 : 빨간장미 원글보기
메모 :

 

 
중국과 북방선교지 소식

중국과 북한,러시아,몽골,북방의 선교자료를 공유하는 "영혼의 사랑"블로그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