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플래시 소스에서 글자를 올릴때는 이미지주소 맨끝에 wmode="transparent" <--- 왼쪽 소스가 들어가야 한다 / 글자를 이미지 위에 나타나게 하는 소스..
style="filter:alpha(opacity=50)<--원 플래쉬를 투명도 처리하여 글이 더 잘 보이게 할려면.....
2. DIV id=layer1 style="Z-INDEX: 1; LEFT:200px; WIDTH: 400px; POSITION: absolute; TOP:100px; HEIGHT: 300px">
<--- 왼쪽 소스에서 LEFT: 400px; / TOP: 300px 두가지 숫자를 조절하여 그림의 적당한 위치에 글씨를 넣는다. POSITION: absolute는 절대 위치를 나타내며 윈도우의 창 사이즈에 상관없이
항상 제 위치를 지정해 줍니다 POSITION: relative를 지정했을 때는 스위스 그림 아래로 상대적으로 글의 위치가 바뀐다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림이나 글의 위치는 각 사이트 게시판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잘 조정해야지 제대로 보이게 됩니다
위치 지정시 <DIV style="left:숫자px;top:숫자:px">를 사용합니다
상황에 따라 글이나 그림을 지정 할 때 margin-left와 margin-top는 윈도우 창의 margin에서 떨어지는 거리를 말하며
paddig-left padding-top padding-right padding-bottom은 table안에서 부터 떨어지는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margin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대개 td style과 함께 사용해서 td안에서 공간 확보를 위한 것입니다
3. <marquee direction="up" scrollamount="1" width=250 height= 200> <--- 왼쪽 소스에서
height= 200은 글자가 올라가면서 보이는 위 아래폭 /200이면 약 5㎝ 정도 보였다 사라진다.
width=250은 글자의 넓이를 말하는 것입니다 넓이는 안써도 별 상관이 없습니다
marquee 소스는 글을 움직일 때 사용하며 그냥 쓰고 싶을 때는 필요하지 않겠습니다
4. <PRE><FONT style="FONT-SIZE: 9pt" face=굴림 color=#ffffff> <--- 왼쪽 소스에서
크기 글씨체 색상을 변경한다.
5. <SPAN id=style style="LINE-HEIGHT:18px;Letter-spacing:opx"> 위의 소스에서 LINE-HEIGHT:18px"> 숫자를 조절하여 글자 줄과 줄의 간격을 정한다.
※LINE-HEIGHT란 말 그대로 윗글과 아랫글 사이의 간격을 말하는 것입니다
Letter-spacing이란 글자사이의 간격을 말하는 것으로 안써도 별로 상관없는 것이고
0일 때 일반적인 것이고 -로 갈수록 글이 겹쳐지고 +로 갈수록 글 간격이 많이 벌어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