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심양 생활안내







2003. 10월 현재










목          차


        Ⅰ.  중국 동북3성 개관

          ㅇ  요녕성

            - 심양시

          ㅇ  길림성

          ㅇ  흑룡강성


        Ⅱ.  도착전 준비사항

                1.  사증

                2.  식품

                3.  건강진단

                4.  기후 및 의복

                5.  이사화물

                6.  각종 증명서


        Ⅲ.  도착후 참고사항

                1.  주택

                2.  식품

                3.  교육

                4.  자동차

                5.  이사화물

                6.  공항

                7.  쇼핑

                8.  식당

          9.  호텔

                10.  관광

                11.  종교활동

                12.  언론매체

                13.  치안상태

                14.  공관 근무시간

                15.  재외동포현황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17.  교통, 통신, 우편제도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Ⅳ.  기타 일반 사항

                1.  환전

                2.  Tip 제도

                3.  미용 및 이발

          4.  주재국 공휴일

          5.  기타 참고사항

          6.  한국과의 시차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ㅇ 은행, 우체국, 박물관 등

          9.  전력사용 현황

            ㅇ 110V/220V

          10. 인터넷 사용환경

            ㅇ DSL/ISDN/모뎀/무선 등

Ⅰ. 주재국 개관


<요 녕 성>

1. 지역 특징

  ㅇ 과거 일본의 중국침략 거점지역으로 중공업기반 양호

    - 심양은 동북3성의 경제・물류중심지

  ㅇ 북한과 접경(200㎞), 단동-신의주를 통한 교류 빈번

    - 평양-북경간 열차(주1회), 평양-심양간 항공편(주2편)


2. 역  사

  ㅇ BC 3세기에는 燕에 속했으며, 唐代는 안동도호부 설치

  ㅇ 遼, 金, 元나라때는 행정의 중심지였으며 明代초기에 奉天府로 개명

  ㅇ 1898년 여순・대련이 러시아에 의해 점령되었으나, 러일전쟁후 일본이 요녕 전지역을 점령하였고, 1929년 요녕성으로 개명


3. 지  형

  ㅇ 요녕성은 중국동북지역의 남부에 위치. 동북으로는 길림성과 인접하고 서북으로는 내몽골자치구, 서남으로는 하북성과 인접, 동남으로는 북한과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으며, 남으로는 황해와 발해에 인접

  ㅇ 해발 800m전후의 산지와 500m이하의 구릉지가 전체의 60%를 차지하고, 200m이하의 평원이 약 33%, 그밖에 수면 및 기타지역이 약 7%를 차지

  ㅇ 해안선은 동북의 압록강 입구에서부터 서부 산해관의 老龍斗까지 총연장 2,178km 달해 전국의 12% 차지

  ㅇ 연해에는 506개의 해안도서(섬)가 흩어져 있으며, 주요 하천으로는 遼河, 渾河, 太子河, 鴨綠江, 大陵河, 大洋河 등 360여개가 존재

  ㅇ 주요 산맥으로는 千山산맥이 총 340km에 걸쳐 요동반도를 가로지르고 있으며 장백산맥의 일부분이 요녕성 동북 저산지대를 이루며 뻗어있음.


4. 면  적 : 14.6만㎢(한국면적의1.5배)


5. 인  구 : 4,147만명(2002년)

  ㅇ 남자는 2,109.1만명으로 요녕성 전체인구의 51%점유

  ㅇ 市․鎭에 총인구의 89.9%인 3,726.6만명이 거주하고 있고, 鄕․村에 10.1%인 420.4만명이 거주

  ㅇ 업종별로는 농업인구가 2,229만명으로 총인구의 53.7%를 점하고 있으며, 비농업인구가 1,918만명으로 46.3%를 차지


6. 민족구성 : 한족, 만족, 몽골족, 회족, 조선족(25만명) 등


7. 행정구역 : 14개 성직할시, 44개 현(시)

  ㅇ 성도 : 沈陽

8. 기  후 : 온대 계절풍기후(2001년 온도 : 최고 35℃, 최저 -33.5℃)

  ㅇ 온대대륙성기후에 속하나 해안지대는 비교적 온난다습

  ㅇ 1월 평균기온은 동부산지는 -20℃, 북부평야는 -15℃, 남단부는 -5℃

  ㅇ 7월 평균기온은 평야부에서 24~26℃로 한국과 별차이가 없음.

  ㅇ 연평균 강우량 : 400~1,000mm

    - 강수량은 동부산지가 1,000mm이상, 평야부는 600~700mm, 서부지역은 500mm로서 동부에서 서부로 갈수록 적어지며, 그 대부분이 여름에 내려 농업에는 비교적 유리

  ㅇ 연평균 일조시간 2,120~2,861시간


9. 주요경제지표(2001년)

  ㅇ GDP : 5,033.08억元

  ㅇ 1인당 GDP : 12,041억元

  ㅇ 근로자 월평균임금 : 620.3元

  ㅇ 교역 : 199.1억미불

    - 수출 : 111.1억미불,  수입 : 88억미불


10. 주요관광명소 : 淸朝역사유적지(故宮, 東陵, 北陵 등), 本溪水洞(지하동굴), 鞍山(千山, 온천), 丹東(압록강철교 등), 大連(해안 공원) 등


<심 양 시>

1. 자연조건

  ㅇ 면적 : 12,980㎢(市區면적은 185㎢)

  ㅇ 총인구 : 689.3만명(2002년말)

  ㅇ 기후 : 북온대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반습윤 대륙성 기후

  ㅇ 민족구성 : 한족(90%), 滿族, 조선족, 回族, 蒙古族, 錫伯族(10%) 등 38개 소수 민족


2. 역  사

  ㅇ「渾河(沈水)의 북쪽지방(陽)」이라는 데서 ‘沈陽’이라는 地名이   유래

  ㅇ 1625년 청태조 누루하치가 수도를 遼陽에서 沈陽으로 옮겼으며, 제2대 혼타이지(皇太極)은 동 명칭을 ‘盛京’으로 개명

  ㅇ 1911년 신해혁명후 봉계(奉系)군벌 張作霖이 심양을 중심지로 군림, 1928년 張作霖이 심양의 皇姑屯에서 일본군에게 폭사당한 후, 그의 아들 張學良이 국민당 휘하에 들어갔으며, 1931년 9.18 만주사변후 일본에 의해 ‘奉天市’로 개명

  ㅇ 신중국 성립(1949년) 이후 다시 ‘沈陽’으로 개명

  ㅇ 요녕성의 성도

    ※ 한-심양시 역사관계

      ㅇ 옛 고구려의 영토로서, 심양 주변에 고구려산성 유적중의   하나인「石臺子山城」이 존재

      ㅇ 조선시대 인조 14년(1636)에 발생한 병자호란으로 청나라는 朝鮮을 굴복시키고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인질로 붙잡아가서 심양 고궁주변의「朝鮮館」이란 곳에 기거토록 하였으며, 당시 척화론(斥和論)을 부르짖었던 홍익한(洪翼漢), 윤집(尹集), 오달제(吳達濟) 등 3학사를 처형하였음.

      ㅇ 일제의 조선침략 및 만주점령으로 대한독립투사들이 이곳을 근거지로 독립운동 전개


3. 주요경제지표(2002년)

  ㅇ 국내총생산액(GDP) : 1,236.5억위엔

  ㅇ 교역 : 수출(12.5억미불), 수입(15.4억미불)

  ㅇ 외국인투자금액 : 12.1억미불(계약기준)

    ※ 심양주변에 鞍山(철강), 撫順(석탄), 阜新(석탄, 전기), 盤錦(석유), 丹東(경방직업),  遼陽(화학섬유), 鐵岺(석탄) 등을 포함 주요 공업도시군을 형성


4. 심양지역 한국기업 진출현황(2002년말 현재 300여 업체 추산)

  ㅇ 심양 高新 기술산업개발구 : 40개(LG전자, 우성전자, 삼보 등)

    - 총 진출 외국기업 : 400여개

  ㅇ 심양 張士 경제기술개발구 : 120여개

    - 총 진출 외국기업 : 900여개


<길 림 성>

1. 지역 특징

  ㅇ 동북3성의 중부에 위치, 북한과 두만강, 압록강을 두고 접경

    - 훈춘시 防川에서 동해까지 거리는 15km

  ㅇ 길림성내 연변조선족자치주(조선족인구 85만여명) 위치


2. 일반개황

  ㅇ 총 면 적 : 18,74만㎢(전국 토지면적의 2%)

  ㅇ 총 인 구 : 2,627만명(연변조선족자치주 : 218만명)

  ㅇ 기    후 : 온대대륙성 기후로 사계절이 분명하나, 겨울이 약 5개월로 김.

  ㅇ 민족구성 : 한족외 43개 소수민족(조선족, 만족, 몽고족, 회족, 석백족 등)

  ㅇ 행정구역 : 8개 성직할시, 1 자치주, 20 현급시, 21 현

  ㅇ 주요도시 : 장춘(성도), 길림, 연길(연변자치주도), 훈춘, 매하구, 도문 등

  ㅇ 지하자원 : 석탄(매장량 21억톤), 천연가스(매장량 3.3억㎥), 석유(매장량 전국 9위), 니켈(매장량 전국4위), 규회석(매장량 전국1위) 등 83종

  ㅇ 농업 : 길림성 GDP의 25.4% 차지

    - 주요식량은 옥수수(전국1위), 콩, 수수, 벼, 보리, 사탕수수, 잎담배 등

  ㅇ 성 GDP : 1,821억위엔

  ㅇ 근로자 월평균임금 : 660위엔



3. 대외경제무역

  ㅇ 교역액(2001년) : 25.7억미불

    - 수출 : 12.6억미불, 수입 : 13.1억미불

  ㅇ 주요 교역국 : 독일-한국-일본-미국 등


4. 한-길림성관계

  ㅇ 한국의 대길림성 교역(2002년) : 7.1억미불

    - 수출 : 1억미불, 수입 : 6.1억미불

  ㅇ 투자액(2002년, 투자기준) : 1.9억불(642개사)

  ㅇ 교민현황(2002년) : 7,600명

    - 장기체류자 6,600여명, 유학생 1,500명


<흑룡강성>

1. 지역 특징

  ㅇ 중국에서 가장 큰 석유공업기지로서, 여타 성에 비해 개발이 늦고 투자가 부족한 편이나 각종 광물자원이 풍부해 거대한 발전 잠재력 보유


2. 일반개황

  ㅇ 총 면 적 : 45.4만㎢(중국 총면적의 4.7%)

  ㅇ 인    구 : 3,811만명(2001년)

  ㅇ 기    후 : 중온대와 한온대 사이에 위치한 대륙성 계절풍 기후

  ㅇ 민족구성 : 한족이외에 조선족(40여만명), 만족, 몽골족, 회족 등 45개  소수 민족

  ㅇ 행정구역 : 13개시, 20개 현급시, 47개현

  ㅇ 주요도시 : 하얼빈(성도), 치치하얼, 목단강, 가목사시, 대경, 해림 등

  ㅇ 지하자원

    - 석유의 매장량과 산유량이 전국 1위, 大慶 유전은 중국 최대 유전임.

    - 석탄 매장량은 197억톤이며 연간 7,000만톤 생산, 금 매장량은 전국 2위, 흑연 매장량은 1.2억톤으로 중국의 3대 흑연 광산이 모두 흑룡강성에 존재. 계서, 柳毛 흑연광은 세계 최대 규모

  ㅇ 성 GDP : 3,561억위엔(약 431억미불)


3. 대외경제교역

  ㅇ 대외교역액(2001년) : 33.8억미불

    - 수출 : 16.1억미불, 수입 : 17.7억미불

  ㅇ 투자(2001년, 신고기준) : 8.6억미불


4. 한-흑룡강성 관계

  ㅇ 대흑룡강성 교역(2002년) : 3.72억미불

    - 수출 : 1.42억미불, 수입 : 2.3억미불

     ※ 한국은 흑룡강성의 3번째 교역국(러시아-일본-한국순)

  ㅇ 투  자(2002년, 투자기준) : 1.72억미불(265개사)

  ㅇ 교민현황(2002년) : 약 2,300명

    - 장기체류자 1,600여명, 유학생 700명

Ⅱ. 도착전 준비사항(심양기준)


1. 사  증

  ㅇ 주한중국대사관 영사부(서울소재) 또는 주부산 중국총영사관에서 사증접수 및 발급


2. 식  품

  ㅇ 된장, 고추장, 김치 등 한국식품류는 현지에서도 구입 가능


3. 건강진단

  ㅇ 현지의 의료기관은 다양하게 있어 일반적인 의료서비스를 받는데는 큰 불편이 없으나, 외국인을 위한 전문병원이 드물어 정밀 건강진단에는 한계가 있음.


4. 기후 및 의복

  ㅇ 기후는 한국과 큰 차이가 없으나, 겨울날씨는 평균 영하 17℃ 정도의 추운 날씨로서 집안에서는 난방이 필수이며, 겨울 방한복(내의 등)이 필요

  ㅇ 연중 황사현상 및 대기오염으로 맑은 날씨가 드문 편이나 최근 녹지환경 조성 등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음.


5. 이사화물

  ㅇ 전기 및 전자제품

    - TV 및 Video 방식 : 625 주사선 방식의 중국 Pal방식

    - 전기시스템 : 220V/50HZ

    - 한국 전자제품의 경우, 정밀제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제품은 사용에 문제가 없으며, 110V 제품인 경우 승압기 지참 필요

  ㅇ 가구, 비품 및 장식품

    - 주택 furnished 여부 : 외국인 거주용인 경우 기본가구(옷장, 쇼파등)가 비치되어 있음.

    - 한국과 현지가구 가격비교 : 현지가구는 가격은 저렴하나 품질이 낮으며, 외제가구는 물가에 비해 상당히 비싼 편임.

  ㅇ 이사화물 탁송 및 보험

    - Door to Door, Door to Port 모두 가능(서울의 이삿짐회사와 상의)

    - 이사화물 및 국산차량 통관시 시일이 다소 오래(2주정도) 걸리는 불편은 있으나, 통관후 본인이 수령하는데는 별문제가 없음.


6. 각종 증명서

  ㅇ 국제운전면허증

    - 한국에서 국내면허증 취득한 경우, 국내면허증을 소정의 절차(신체검사 등)를 거쳐 중국면허증으로 교체

      ※ 국제면허증 인증 안함.

  ㅇ 자녀입학 관련서류

    - 재학증명서 또는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영문)가 필요하며, 9월부터 신학기가 시작됨.


Ⅲ. 도착후 참고사항(심양기준)


1. 주  택

  ㅇ 주택사정

    - 최근 주택건설이 활발하여 주택사정은 좋은 편이나 월임차료 수준이 물가에 비해 비싼 편임.

  ㅇ 가구 등 비품 포함 여부

    - 일반적으로 기본가구가 포함되어 있음.


2. 식  품

  ㅇ 한국식품

    - 고추장, 된장, 고추가루, 김, 미역, 라면 등 우리식품을 서탑가 시장에서 구입 가능함.

  ㅇ 기  타

    - 현지시장에서 생선, 야채, 과일 등을 국내가격보다 저렴하게 구입가능함.


3. 교  육


  가. 초․중․고 교육

    ㅇ 중국학제는 우리나라와 동일(단 신학기는 9월에 시작)하며, 당지는 정규 외국인학교가 없어 자녀교육에 어려움이 많음.

    ㅇ 화신국제학교(유아부, 초․중등부), 심양국제학교(초, 중등부) 등의 국제학교가 있으며, 한국인 자녀대상으로 주말에 심양한글학교(유치부,초.중등부)가 개설되어 있음.

      ※ 연길에는 한국국제학교가 있으며, 대련에도 한국국제학교가   2004.3월 개교예정임.


  나. 대학교 교육

    ㅇ 학제개요 : 대학과정은 4년제이며, 학기는 9월 학기임.

    ㅇ 입학요건 : 중국에서 실시하는 소정 입학시험에 합격하여야 하며, 대학원은 입학시험 성적에 따라 입학이 허가됨.

    ㅇ 입학구비서류 :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추천서

    ㅇ 어학연수과정 :  각 대학에 중국어 어학과정(6개월, 1년)이 있음.


4. 자 동 차

  ㅇ 자동차는 관세가 약70% 정도 부가되어 국내에 비해 훨씬 비싼 편임.

  ㅇ 자동차 보험 : 연간 $600정도 (차종에 따라 차이가 있음)

  ㅇ 유류 보급방법 : 유류대는 한국에 비해 싼 편임(1ℓ= 인민폐 ¥2.5 정도).


5. 이사화물

  ㅇ 이사화물과 자동차의 경우, 심양해관 및 대련해관 2곳에서 수속을 밟아야 하는데 절차가 매우 복잡하고 시일이 걸림(수속대행자를 통할경우, 별도 비용 700불 정도가 소요됨).


6. 공  항

  ㅇ 심양 도선국제공항

    - 시내에서 자동차로 30분정도 소요

      * 서울-심양간 매일 대한항공 및 중국 남방항공 각각 1회 취항


7. 쇼  핑

  ㅇ 현지 백화점 및 할인매장(월마트, 까르푸 등)이 다수 있어 각종 외국제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물품을 살 수 있고, 한국제품 진열도 꾸준히 늘고 있으나 종류는 적은 편임.


8. 식  당

  ㅇ 서탑가에 한국음식점이 많으며, 조선족식당도 많음.


9. 호  텔

  ㅇ 당지에는 호텔이 충분히 있어 숙박에는 문제가 없으나, 5성급 호텔을 제외하고는 영어가 통하지 않는 불편이 있음.

    - 서탑가에는 한국어가 통하는 2-3성급 호텔이 다수 있음.


10. 관  광

  ㅇ 주요 관광지 : 淸朝역사유적지(故宮, 東陵, 北陵 등), 本溪水洞(지하동굴), 鞍山(千山, 온천), 丹東(압록강철교 등), 大連(해안 공원) 등


11. 종교활동

  ㅇ 한인교회 : 한국인목사 주례로 심양서탑교회에서 주일(13:00-14:30)

               예배를 보고 있으며, 신도수는 600여명 정도임.

  ㅇ 기타 조선족천주교회(주일 한국어미사 : 11:00-12:00) 등이 있음.


12. 언론매체

  ㅇ Radio, TV 방송국 : 심양라디오, 심양TV, 요녕라디오, 요녕TV 등

  ㅇ 신문 : 요녕일보, 심양신문이 있음.


13. 치안상태

  ㅇ 전반적으로 양호하나, 중국어를 모를 경우 혼자 다니는 것은 주의해야 함.


14. 공관 근무시간

  ㅇ 주5일 근무 (토,일요일은 휴무)

  ㅇ 근무시간

    - 춘계 : 09:00 - 18:00 (점심시간 : 12:00-13:30)

    - 동계 : 09:00 - 17:30 (점심시간 : 12:00-13:30)


15. 재외동포현황

                                                              (2002년말 현재)

     

구  분

합  계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거류증 소지자

7,564명

3,637

2,893

1,034

장기체류자

추정치

19,740명

8,940

7,700

3,100

      * 출처 : 각 지역 공안국 및 한인회


    ※ 유학생 현황(대학생이상, 언어연수생 포함)

                                                  (2002년말 현재)

     

구  분

총  계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인원

5,200명

1,500명

2,200명

1,500명

      * 출처 : 각 지역 유학생회



    ※ 재중동포(조선족) 현황

                                      (2000년말 현재)

     

구분

총 계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885,546

118,885

571,437

195,224

889,652

122,167

574,251

193,234

1,775,198

241,052

(심양:10만여명)

1,145,688

388,458

    * 중국전체 조선족 : 1,923,800명

    * 출처 : 2000년 중국인구센서스자료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ㅇ 동북3성 각 지역별 상사 현황(한국인회 등록, 2002년말 현재)

      

지  역

총 계

요    녕    성(449)

길림성(110)

흑룡강성(65)

심양

대련

단동

안산

영구

무순

장춘

연길

하얼빈

목단강

기업체수(개)

624

90

250

60

18

15

16

60

50

50

15

    - 주요기업으로는 LG전자, 삼보컴퓨터, 포항제철, 농심, 동방방직, 대우제지 등이 진출해 있음.


  ㅇ 우리나라 공공기관 현황

    - KOTRA(대련), 인천단동산업단지 지원본부(단동), 안산시상공회의소심양사무소(심양), 강원도경제무역사무소(장춘), 강원도속초시경제무역사무소(훈춘) 등


  ㅇ 동북3성 한인회 연락망

    - 심양한인회 T.(86-24)8346-0808, F.8346-3838

    - 대련한인회 T.(86-411)265-1257, F.259-0605

    - 단동한인회 T.(86-415)314-1188, F.314-0088

    - 안산한인회 T.(86-412)222-5400, F.222-3346

    - 무순한인회 T.(86-413)670-7095~6, F.670-7097

    - 영구한국상회 T.(86-417)756-2214, F.756-2300

    - 장춘한인회 T.(86-431)563-5242, F.565-4319

    - 연변한국상회 T.(86-433)251-9663, F.251-9552

    - 하얼빈한인회 T.(86-451)420-7000, F.420-8787

    - 목단강한인회 T.(86-453)691-2223, F.691-2502


17. 교통, 통신(인터넷), 우편제도

  ㅇ 교통수단

    - 내륙여행을 하거나 기타 성․시 출장을 갈 경우, 기차 및 항공편 이용하나 요녕성내 출장은 보통 자동차 이용

    - 심양시내는 택시 잡는데 별 어려움 없음.

  ㅇ 통신(인터넷) 및 전화

    - 심양에서는 전화선(모뎀) 또는 전용선(LAN)이 비교적 잘 설치되어 있어 인터넷 사용이 원활한 편임.

    - 국제전화요금은 국내에서 Call한 것보다 대략 3배 비싼 편임.

    - 호텔 등에는 공중전화이용에 어려움이 없음.

  ㅇ 우편제도 : DHL도 이용할 수 있고, 일반우편도 비교적 믿을 만함.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ㅇ 주간에 동북대, 요녕대, 심양사범대 등 각 대학에 중국어 어학과정 강좌를 수강할 수 있음.

  ㅇ 그외 중국어 교수나 학생 등을 초빙하여 학습할 수 있음.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ㅇ 사건 사고발생지 공안당국에 신고

  ㅇ 관할 영사관에 신고

    - 심양총영사관 : 전화 (024)2385-7820, 근무시간외 HP.138-0400-6338

                    사건.사고용 FAX 2385-7401                   

    - FAX 신고시 6하원칙에 의거, 긴급상황 또는 사건 사고 개요를 기재하고, 관련자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한국내 주소 및 전화번호, 중국내 연락처 등을 기재


     * 각지역 한인회를 통해 영사관에 신고 가능





Ⅳ. 기타 일반 사항


1. 환  전

  ㅇ 은행, 공항, 호텔에서 환전할 수 있으며, 환율은 어디서나 동일함.

     (환율 : 1미불 = 인민폐 8.2원 정도)


2. Tip제도

  ㅇ 일반적으로 모든 계산서에는 15%의 Service Charge가 부과되어 호텔 등에서 별도 Tip을 줄 필요는 없음.


3. 미용 및 이발

  ㅇ Hotel이나 서탑가 한국인 개업 미용실 이용시 적정 수준 가능


4. 주재국 공휴일

  ㅇ 신정(1.1), 춘절(3일휴무:중국 최대의 명절), 노동절(5.1-3), 국경절  (10.1-3)

  ㅇ 춘절, 노동절, 국경일은 중국정부가 전후로 임시공휴일을 지정하여, 법정휴가일보다 2-3일 많이 실시함.


5. 기타 참고사항

  ㅇ 서탑가는 중국에서 가장 큰 Korea Town으로 한국어가 통용되며 한국물품 구매나 한국식당 이용가능

  ㅇ 한국위성이나 SKY위성을 이용, 한국방송 실시간 시청 가능


6. 한국과의 시차

  ㅇ 한국보다 1시간 늦음

    (예) 한국시간 10:00인 경우, 중국(심양)시간 09:00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ㅇ 국내신문(조간)은 당일자 오후에 구독할 수 있음.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ㅇ 오전 08:00에 시작하여 오후 4:00까지 이용 가능하며, 토, 일요일은 휴무함.


9. 전력사용 현황

  ㅇ 전기시스템 : 220V/50HZ

  ㅇ 한국 전자제품의 경우, 220V인 경우 정밀제품을 제외하고는 사용이 가능하며 110V에 국한된 제품인 경우 승압기 필요


10. 인터넷 사용환경

  ㅇ 심양에서는 ADSL, ISDN, LAN, 모뎀 등이 비교적 잘 되어있어 인터넷 사용이 원활한 편임.   끝.

출처 : 한중일소무역창업센터
글쓴이 : 박지호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