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n of 云南' 글보기 click  

  

윈난지역에는 26개에 이르는 다양한 소수 민족들이 살고 있는데, 윈난셩 전체에 골고루 다양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윈난의 외곽 지역 대부분은 따리 바이주 자치구, 리쟝 나시주 자치구, 샹그릴라 장주(티벳인) 자치구처럼 소수민족의 자치구로 이루어져있다. 윈난 지역의 일부 소수민족들은 앞선 게릴라 웹진에서도 소개된 태국 라오스 베트남 북부 지역에 사는 고산족과 정확히 같은 민족들이며, 동남아와 관련있는 소수민족들은 거의 모두 열대인 윈난성 남부 시솽반나(西雙版納) 지역에 몰려살고 있다. 소수민족이라고 하면 마치 그들 고유의 것들을 그대로 간직한 채 사는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으나, 중국에 있는 조선족이 韓服을 늘 입고 살지 않는 것처럼, 도시에 사는 소수민족들은 우리의 생활 모습과 별반 다를 바 없다. 특히, 지구상의 모든 10대는 청바지를 입고 다니며, 영화와 음악에 심취해 있으며, 코카콜라를 즐겨마시는 비슷한 생활 패턴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소수민족들은 집바깥에선 중국어를 모국어로 쓰고 있어, 외모만으로는 이들이 한족인지 소수민족인지는 구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소수 민족 고유의 생활 모습을 보고 싶다면, 이들 자치구의 중심지에서 조금 더 외곽 시골로 가자. 박물관 속에서가 아닌, 살아있는 자연스러운 그들 고유의 생활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소수민족 소개글에 씌인 글은 모두 "중국무역 배우기 (http://blog.empas.com/lgs0092)"라는 개인의 블로그에서 발췌한 것들로, 그곳의 글을 그대로 옮겨온 것입니다. (보다 더 정확한 출처와 원본은 어디인지 알 수가 없네요. ^^;) 또 이와는 별도로 사진과 함께 간략히 나오는 운남항공 홈페이지의 소수민족 소개글에 대한 링크를 걸어놓습니다.

 


 

윈난 지역에 사는 26개의 소수민족 일람

 

*중국의 소수 민족 인구표 (스페인어, 1990년 7월 1일의 인구 센서스 기준)    

 

아래 한글로 된 이름을 클릭하면 운남항공 홈페이지의 간략한 소수민족 소개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풍습과 모습을 묘사한 것일 뿐, 지금 현재의 모습과는 많이 다를 겁니다. 소수민족들, 역시 서구화된 의식주 환경 아래, 현대적인 학교에서 다른 중국인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교육을 받고, 소수민족 언어와 함께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중국인일 뿐이다.

 

이족(彝族), 바이족(白族), 하니족(哈尼族), 타이족(傣族), 좡족, 먀오족(苗族), 리쑤족(傈僳族), 후이족(回族), 라후족(拉祜族),

와족(佤族), 나시족(納西族), 야오족, 징포족(景颇族), 티벳족(장족 藏族), 뿌랑족(布朗族), 뿌이족((布依族)0, 푸미족(普米族),

아창족(阿昌族), 누족(怒族), 지눠족, 더앙족(德昻族), 멍구족(몽골), 수이족, 만족(만주족 滿族), 두롱족(独龍族), 모수오족

 


 

이족 (彝族)

 

인구는 657만 2173명. 윈난성(雲南省), 쓰촨성(四川省), 꾸이저우성(貴州省), 광시(廣西) �족(壯族) 자치구 등, 4개의 지역에 분포한다. 이어는 한·티벳어계의 티벳·미얀마 어족, 이어에 속하며 6종류의 방언이 있다. 한민족과 자주 접하는 이족은 한문어(中國語)에 능통하다. 예전에 이족들 사이에서는 다신숭배가 유행했으나 청(淸)조 초기에는 도교가 번성했다. 19세기 말에 카톨릭, 크리스트가 전래되었지만 신앙하는 이가 적었다.

 

이족은 중국에서 비교적 거주지역이 넓고 유구한 역사를 가진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다. 예전부터 이족의 조상은 중국 남서지구에 거주했는데 이들의 조상은 샤시(陝西), 간쑤(甘肅), 칭하이(靑海)에서 거주하다가 치앙족(羌族)의 분파가 남하하자 남서 지구의 원주민 부락인들과 융합해 이족을 형성했다. 이족은 오랫동안 노예제도를 유지해왔다. 20세기에도 일부지역에는 여전히 노예제도가 남아있었으나 신중국 성립후 민주 개혁을 단행하여 구제도를 타파했다. 이족은 거주지역에 따라 불리는 호칭이 다른데, 그 예로 누오수(諾蘇), 나수(納蘇), 뤄우(羅武), 뤄뤄(羅羅), 미사포(米撒潑), 사니(撒尼), 아시(阿細, 阿西)등이 있다.

 

훠바지에 : 음력 6월 24일이면 윈난의 모든 이족들은 햇불 축제를 연다. 이날은 이족 달력으로 새해 첫날이다. 주요 행사는 밤에 열리는데 내년의 행운을 기원하는 새해의 제물로 횃불에 불을 붙인다. 또한 모닥불을 지피고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춘다. 축제 기간동안에는 소 싸움, 씨름, 말 경주 등이 벌어진다.

 

차와/따거지에 : 자연의 정원이라 이름 붙여진 윈난은 어디를 가나 사계절 꽃이 지지않는 곳이다.이족이 사는 해발 3,600m에 위치한 따야오에서는 대지가 신선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뒤덮이는 음력 2월 8일에 꽃 축제가 열린다. 모든 종류의 꽃을 따 모아 꽃 기둥과 오두막을 만들고, 집과 농지 심지어는 행운과 수확 그리고 번영을 뜻하기 위하여 소와 염소의 머리에도 꽃을 꽂는다. 이족은 건강과 행복의 기원으로 서로 꽃을 선물 한다. 3일 동안 이 날을 기념하며 친구를 사귀고 우정을 증진한다.

 

싸이이지에 : 윈난성의 따야오에서는 매년 음력 3월 28일에 옷 자랑 축제가 열린다. 전설속의 미보롱이라는 이족 소녀를 기념하기 위한 축제라고 한다. 그녀는 자신을 희생하여 사악한 사람을 제거하고 는 죽은 후에 아름다운 새가 되었다 한다. 축제기간동안 이족 소녀들은 여러 벌의 옷을 준비하여 샨따이 지역에 모여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른다. 둥글게 모여 서서 땅위에 소나무 가지를 던지며, 젊은 남자들이 연주하는 악기 반주에 맞추어 손에 손을 잡고 춤을 춘다.

 


 

하니족(哈尼族)

 

인구는 125만 3952명. 주로 윈난성(雲南省) 남서부의 리써강(禮社江) 하류, 홍허(紅河) 서쪽의 아이라오(哀牢)산악 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하니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彝)어에 속하며 하이아(哈雅), 삐아까(碧卡), 하오바이(豪白)등 3개의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이들에게는 자민족 문자가 없고 1957년, 로마자를 기초로한 표음문자가 만들어졌다.

 

하니족은 대부분 해발800내지 2500미터에 달하는 산지역에 거주하며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데 특히 계단식으로 된 밭을 잘 다룬다. 그들은 부동한 지형, 토질에 따라 자연조건을 리용해 백여계단에 달하는 "제전문화(梯田文化)"를 창조했다. 이밖에 먹강의 자교(紫膠)산량은 전국에서 으뜸으로 간다. 하니족은 자연과 조상을 숭배한다. 그들은 풍부한 구두문학이 있으며 남녀노소를 물론하고 신변에 항상 악기를 갖고 다닌다

 

하니족은 거주지역에 따라 하니(哈尼), 아이니(愛尼), 하오니(豪尼), 까두오(卡多), 삐위에(碧約), 바이홍(白宏)이라고 불린다. 사서에는 하만(和蠻), 하니(和泥), 워니(窩泥), 워니(俄泥), 하니(哈泥), 아니(阿泥)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중국 성립 이후 이 민족의 호칭은 하니로 통일 되었다. 하니족은 고대의 강가에 거주했는데 점차 남쪽으로 옮겨와 서기 7 세기 무렵에는 지금의 아이라오산, 우리앙

량산(無量山) 일대에 거주하게 되었다. 당(唐)나라의 남소(南詔) 무렵엔 남동쪽에 집중해 홍허, 위엔강(元江) 일대로 이주해와 이 지대의 개발에 힘써 발전을 이루었다. 지금의 위엔강 남쪽 기슭의 높은산과 험한 산봉일대에는 끝없는 밭이 있는데 이것은 하니족이 일구어놓은 결정체이다. 이들은 높은 산, 긴 강이라는 지리적 이점을 잘 살려 계곡의 물을 밭으로 끌어들여 천연 관개망을 만들어냈다. 주로 논벼를 재배하고 여러종류의 경제림, 차밭 재배에도 힘쓰고 있다. 하니족은 부자연명제를 유지하고있어 아버지 이름의 마지막 한자나 두자를 아들 이름의 첫자에 붙인다.   

 

하니족 민족 축제 신미지에 : 중국 고대의 경제는 농업에 의존한 것이었다. 그래서 농업을 주관하는 신에게 재물을 바치는 의식은 중요한 축제로 생각 되었다. 홍허강 지역을 따라 거주하고 있는 하니족은 음력 8월 용의 날에 햅쌀 축제를 연다. 하니족 말로 롱(龍) 발음은 ‘더욱 더’ 또는 ‘증가하여’ 라는 의미이다. 올해에 더 많은 햅쌀을 수확하여 닭과 고기를 사고 풍미로 신선한 야채를 돌려 받는다.

 

쿠짜짜 : 하니족의 쿠짜짜 명절은 매년 5월의 첫 원숭이일에 시작하여 3일에서 5일간 지속된다.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명절이다. 마을은 명절 분위기에 젖어있고 신년 복장을 입고 삼삼오오 떼를 지어 탈곡장에 모여서 돌림그네의 방식으로 경축한다.

 

꾸냥지에 : 여자의 인생에 있어서 처녀시절은 가장 화려한 시간이다. 음력 2월 2일은 하니족의 미혼여성의 날이다. 젊은 여성들은 이 날 하얀 스카프를 두르고 전통의상 저고리와 짧은 바지를 입는다. 가슴이 살짝 보이고 다리는 노출되어 보이는데, 젊음과 건강을 보여주게 된다


 

타이족(傣族)

 

인구는 102만 5128명. 타이족은 주로 윈난성(雲南省) 시쑤앙빤나(西双版纳) 타이족(傣族)자치주, 더홍타이족(德宏傣族)·징포(景

頗)족자치주와 겅우(耿馬) 타이족·와족(冕族) 자치현, 멍렌타이족(孟连傣族), 라후족(拉祜族) · 와족자치현에 살고 있다. 그 외에 소수가 부근의 현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다.

 

타이어는 한 · 티벳어계, �통어(壮侗语)파, 장(壯) · 타이(傣)어에 속한다. 덕굉방언과 시쑤앙빤나 방언이 있다. 타이족은 표음문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각지에서 사용되는 문자는 약간씩 차이가 있어 4종류로 나누어진다. 4종류의 타이문(傣文)은 고대의 인도자모(印度字母)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타이족의 상당수는 소승불교를 신봉 한다.

 

타이족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는 소수민족으로 먼 옛날부터 타이족의 조상은 중국(中國) 서남부에서(西南部)에서 자손을 늘리면서 살아 왔다. 서기 1 세기의 기록에 의하면 타이족의 조상은 띠엔위에(滇越), 샨(掸) 혹은 샨(擅), 랴오(僚), 지우랴오(鸠僚)라고 불렸다. 당(唐) 송(宋)시대에는 진치(金齒), 헤이치(黑齿), 화만(花蛮), 빠이이(白衣) 등으로 불렸으며 원(元) 명(明) 시대에는 빠이이(白夷), 빠이이(百夷), 뽀이(伯夷)등으로 불렸다. 신중국 성립후 이들의 호칭은 타이족으로 개칭되었다.

 

타이족에게는 오래된 패다라(贝叶经) 불경, 자민족의 역법(曆法)―기력(傣曆)과 서사시등이 있고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악과 춤도 있다. 이것은 타이족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 독특한 풍치를 마음껏 구현한 것이다. 타이족이 거주하는 아열대 지역에는 사탕수수, 커피, 바나나, 고무 등의 열대 경제 작물의 재배가 발달해 있다. 시쑤앙빤나의 밀림에는 귀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기 때문에 동물의 왕국으로 불리며 지금은 중국의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다.


 

먀오족 (苗族)

 

인구는 739만 8035명. 주로 귀주성(貴州省), 윈난성(雲南省), 쓰촨성(四川省), 광시(廣西), 후난성(湖南省), 후뻬이성(湖

北省), 광둥성(廣東省) 등에 거주하고 있다. 먀오어는 한·티벳어계, 먀오·야오어족, 먀오어파에 속한다. 먀오어는 후난(湖南)의 서부, 꾸이저우(貴州)의 동부와 쓰촨(四川), 꾸이저우(貴州), 운난(云南)등 3종류의 말이 있다. 다양한 민족이 함께 거주하는 지구의 먀오족들은 한어, 통어, �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전에 먀오족에게는 통일된 문자가 없었지만 1956년에 4 종류의 방언이 있는 표음문자를 만들었다. 먀오족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원시 종교를 신앙한다.

 

먀오족은 중국에서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의 하나이며 이미 4000년 전의 사적에 난만(南蠻)으로 기록되어 있다. 각지에 분포하는 먀오족은 무(牡), 멍(蒙), 마오(毛), 궈숑(果雄), 다이소우(帶叟) 등으로 불렸다. 또 일부 지방에서는 그들이 살고 있는 토지나 복식등에 의해 먀오라는 명칭 이전에 창쿤먀오(長裙苗), 두안쿤먀오(短裙苗), 창자오먀오(長角苗), 홍먀오(紅苗), 헤이먀오(黑苗) 등 다른 명칭으로 불렸다. 한(漢)대부터 먀오족들은 후난성의 서부, 후뻬이성의 서부, 쓰촨성의 동부, 꾸이저우성의 동부에 거주하게 됐는데 전란, 기근, 질병 및 과잉인 출산, 경지의 황폐등으로 인해 이곳저곳으로 이주한 결과 언어와 복식, 습관 등이 크게 달라져 사회발전도 불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먀오족은 수도와 옥수수 재배를 주로 하며 오오아브라기리, 유채 등의 경제 작물과 사철나무등의 귀중

한 한방약재도 재배하고있다.

 

화샨지애 : 화샨지에는 먀오족의 전통 축제이다. 아주 옛날에 먀오족이 싸움에 패하여 사방으로 도망치게 되어 고향을 떠나 타향에서 서러움과 아픔을 달래야 했다. 어느 해 6월6일에 조상이 현령하여 너무 슬퍼하지 말라고 달래면서 높은 산정에 올라가 민속피리를 연주하며, 춤과 노래로 조상들을 위로하라고 말한 후 사라졌다. 현령(顯靈)이 사라지자 하늘로부터 꽃 한송이가 내려와 나뭇가지에 걸렸다. 사람들은 이 나무를 둘러싸고 춤과 노래로 축복을 했더니 이 해에는 풍년이 들었다. 이후 매년 6월6일이면 먀오족은 민속복장을 차려입고, 고산에서 꽃나무 한그루를 잘라서 노래와 민속악기를 연주하고 소싸움, 사자춤, 꽃나무 오르기 등 행사를 하며 경축한다. 그 중 나무 오르기가 제일 중요한데 가장 높이 오르는 자에게 돼지머리와 술이 상으로 내려진다.

 

일부일처의 소가족제도하의 가부장적인 형태이고 일반적으로 자유스럽게 선택해 결혼하는데 동성(同姓)일 경우와 이성(異姓)이라도 조상이 싸워 결혼 안 하기로 맹서한 경우가 있어 결혼 안 하는 집안도 있다. 성씨에 따라 결혼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보면 상서의 Ge gua, Ge ka 두 묘성(苗姓)가족은 한족(漢族) 석(石)씨로 통용하고 꾸이저우성의 루산현(爐山縣)의 Gao na,Gao niao 두 가문은 한족의 양(楊)씨로 통용한다. 숭타오(松桃)의 Ou(歐), He(賀) 두 가문은 Ji xue(吉學)와 결혼 안하고 황핑현(黃平縣)의 Pan(潘)씨성은 ke jia pa(喀jia杷), Long(龍)씨성은 Ke liu(喀柳)로 지명(地名)으로써 묘(苗)씨성과 제약 없이 결혼한다. 보통 명절의 사교활동을 통해 사귀게 되고 의기투합할 때 남자 쪽에서 중매를 세워 여자 측과 합의하고 본인들이 이미 성년에 이르렀으면 본인의 의견을 묻고 미성년일 경우는 가장이 모두 주관하고 여자 집에 예물을 가지고 가 정혼을 한다. 결혼 예물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많으나 누오미바(누오미바; 찹쌀로 만든, 떡과 비슷한 전통 음식), 기름, 소금, 차, 술, 돼지고기 등이고 돈을 주는 경우도 있다. 결혼 연령은 16세에서 20세사이이고 12,3세에 결혼하는 경우도 있으나 성년이 된 후에야 동거할 수 있다.

 

장례는 사람이 죽으면 깨끗이 씻겨 수의를 입히는 소렴(小殮)을 치루고 입관을 한다. 무사(巫師)로 하여금 주재하게 하고 고인을 추념하는 내용의 상가(喪歌)를 부른다. 출상전날 무사가 고인의 혼이 가는 길을 여는 의식을 거행한다. 발인하고 매장하는 기간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3일,5일,7일등이다. 발인할 때 수탉으로 고인과 함께 하기도 하고 종이돈을 뿌리기도 한다. 매장 시에 순장물을 관밖에 묻고 묘를 쓴 후 삼일 후 다시 와 묘 흙을 다듬는다. 매장 후 다음날 또는 제 삼일 아침에 찹쌀밥을 보내는 곳도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매장 후 1개월 간 문밖 출입을 삼가고 일을 하지 않고 노래를 금하며 머리를 깍지 않는다. 부친 사망 시에는 3년 간 상복을 입고 모친의 경우는 4년 간 입는다 매년 청명에 묘를 다듬고 청명(淸明) 하루 전날을 한식(寒食)으로 한다.

 

금기사항.  생산 및 생활 중에 지키는 금기를 간략히 소개하면

 

(1) 봄에 첫 번째 번개소리가 나면 3일 동안 밖에 나가서 일을 하지 않거나, 양력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밭에다 거름을 주지 않는다.

 

(2) 집안에 아기를 낳은 산모가 있으면, 대문 위에다 풀로 만든 모자를 걸어놓고 외부인의 출입을 막는다. 만약 집안으로 들어갔을 경우, 반드시 나올 때는 발을 씻어야 하며, 한 컵의 냉수를 마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산모의 젖이 말라 버린다는 것이다.

 

(3) 길을 가다가 샘물이나 도랑물을 만났을 때 목이 마르다고 마음대로 마셔도 안 된다. 반드시 먼저 풀줄기를 물 속에 집어넣고 물을 마셔야 한다. 이것은 물을 지배하는 용왕에게 통보한다는 일종의 표시이다. 만약 그렇지 않고 물을 마시면, 곧 바로 배가 아프다고 생각한다.


 

리쑤족(傈僳族)

 

인구는 57만 4856명. 주로 윈난성(雲南省) 누강(怒江) 리쑤족자치주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며 소수는 부근의 주·현과 쓰촨성

(四川省) 얀위엔(鹽源), 얀삐안(鹽邊), 무리(木里)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다.

 

리쑤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어에 속한다. 이들에게는 3종류의 문자가 있었는데 구미의 선교사가 만든 표음문자, 웨이시현(維西縣)의 리쑤인이 만든 음절 문자, 신중국 성립후에 만든 로마자와 같은 새로운 문자이다. 이것은 지금 리쑤족 사이에 보급되고 있다. 리쑤족은 이전부터 원시 종교를 신봉 했으나 20 세기 초, 구미의 선교사가 들어 오고 나서는 소수의 사람들이 기독교와 카톨릭을 신봉하게 되었다.

 

리쑤족은 이족(彝族), 나시족(納西族)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당(唐)나라 시대의 우만(烏蠻)을 뿌리로 두고있다. 8 세기 무렵 리쑤족의 조상은 진샤강(金沙江)의 양안 일대에 거주했다. 16 세기의 중엽, 약탈과 억압, 전쟁을 피하기 위해 많은 리쑤족들이 부락장의 인솔아래 누강 지역으로 이주했다. 리쑤족은 높은 산 속에서 살아 생산력 수준이 낮고 화전 농법이나 수렵 등 원시적인 생산 활동을 주로 있

었다. 1950년대에도 씨족 사회의 잔존이 남아있었다. 누강 지역에는 호랑이, 곰, 원숭이, 뱀, 양, 물고기, 쥐, 닭, 새, 대나무, 삼, 차 등 10 종류의 씨족의 호칭이 있으며 이들 호칭에는 각각 숭배하는 토템이 존재한다. 신중국 성립후, 리쑤족은 교통의 발전에 힘써 경제와 문화의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리쑤족의 주식은 환경의 원인으로 인해 자연히 가장 쉽게 농사지을 수 있는 옥수수와 감자이다. 옥수수로 죽을 많이 끓여 먹는데 옥수수로 먼저 술을 담그고 난 후에 걸러진 것으로 끓여 먹기도 한다.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소나 돼지 등을 길러 잡아먹는 일은 많지 않지만 때로 산속에서 산짐승들을 잡아 양식을 대신하기도 한다. '리쑤(LiSu)'족은 술 마시기를 즐기는 민족으로 '니즈(nizhi)'라고 부르는 곡주를 담가 마신다. 그리고 이 '리즈'는 손님접대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손님이 방문했을 때 주인은 손님에게 '리즈'를 대접한다. 만약 손님을 접대할 때 '리즈'를 대접하지 않으면 예의가 없다고 여긴다. 그러므로 손님은 이를 꼭 마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주인을 무시하는 것이 된다. '리쑤'족은 또한 담배를 즐겨 피운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담배를 즐겨 피우는데, 그 주된 이유는 방목을 할 때 풀밭에 많은 물것(모기같은 곤충)들이 있어서 연기를 피워 물리지 않으려고 하던 것이 담배를 피우는 습관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의 이유는 산 속에서 사는 것이 힘들고 단조로와 재미로 피우던 것이 이제는 뗄 수 없는 생활의 일부분으로 변했다고 한다. 담배를 피우는 습관이 마약류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조건이 되는 것 같다. 이러한 술과 담배에 대한 이들의 습관 때문에 기독교 강령을 세울 때 제 1과 2를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 것으로 정했던 것 같다.

 

리쑤족은 사는 지역이 광범위하고 지형과 기후의 차이가 커서 가옥의 구조도 많이 다르고, 인근에 다른 민족들이 있을 때에는 그들의 영향을 받아 전통가옥이 변화가 생기기도 한다. 누쟝(怒江)지역의 '푸꽁(福貢)현 등에 있는 가옥들은 돌담초가집이거나 벽면을 대나무로 엮고 지붕을 초가로 한 집들이다. 그리고 2층으로 건축하여 아래층에는 가축들을 기르고 윗층에는 사람들이 거주한다. 내부구조는 방을 2 또는 3으로 하든 거실을 꼭 만들고, 주방이 때로는 거실과 함께 있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햇볕이 잘 들지 않아 어둡고 습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소가족제도를 취한다. 부모와 함께 사는 자녀들은 아직 결혼하지 않은 자녀들이다. 모든 자녀가 결혼을 하게 되면 분가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인 습관이고, 막내가 결혼하여 부모와 함께 생활한다. 그리고 유산을 물려주더라도 막내가 물려받는 제도가 시행되어 왔는데, 그 이유는 리쑤족의 결혼제도와 관계가 깊다. 봉건주의 사회제도하에서 리쑤족의 성생활은 무질서한 편이었다. 결혼 전에 '공동의 방'이라는 곳에 모여 연애를 하는데, 무질서한 성생활로 결혼하기 전에 임신하는 것이 별로 수치스러운 일이 아니었고, 결

혼을 하여 아이를 낳더라도 첫아이가 다른 사람의 아이인 경우들이 많았다. 그래서 가장 확실한 자신의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기 위해 막내와 함께 살고, 막내에게 유산을 물려주는 제도가 형성되었던 것이다. 리쑤족도 부자연명제(할아버지의 이름 끝 자를 아버지의 이름 첫 자로, 아버지의 이름 끝 자를 아들의 이름 첫 자로 사용하는 제도)가 있다. 이름은 남자아이일 경우 생후 7일만에 여자아이일 경우 생후 9일만에 이름을 짓는다.

 

현재는 기본상 일부일처제를 택하고 연애결혼이 많아졌으나 이전의 결혼 풍습은 여러 가지가 있었고, 어떤 지역에서는 아직도 이런 모습들이 남아 있다.

 

결혼식은 여자의 친척이나 친구가 여자를 업어서 남자의 집에까지 온다. 남자집의 문앞에 다다르면 남자측에서 이미 준비해놓은 술좌석에서 여자의 일행들에게 술을 대접하면서 동시에 환영가를 부른다. 여자측에서는 술을 받아 마신 후 다시 노래로 화답한다.

이 환영 노래가 끝나면 정식 결혼식이 시작된다. 신랑신부가 한자리에 같이 앉게 되면 중매인이나 노인이 먼저 그들에게 새로운 이름을 지어주고, 축사를 한다. 그리고 모두들 함께 식사를 함으로 결혼식이 끝나게 된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리쑤족은 장례의식을 매우 엄숙하게 진행한다. 이들은 사람이 비록 죽었지만 육체만 죽은 것이지 영혼은 영원히 죽지 않고 살아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장례법은 매장과 화장 두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노인이 죽으면 모든 마을이 2~3일 동안 일을 중지하고 함께 죽음을 애도한다. 마을사람들이 상가에 올 때에는 자신들이 먹을 것을 갖고 오는 것은 물론 장례의 일체를 함께 힘을 모아 돕는다. 시체를 집안에 두는 시간은 이틀정도이며 머리를 높은 곳으로 하여 '훠탕(火塘)'안쪽에 둔다. 머리맡에 술과 밥과 고기를 놓고 제사를 지낸 후 제사(祭師)를 청해 활을 세 번 쏜다. 그 의미는 죽은 사람이 가야할 길을 연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체를 집에 둔 시간 동안에는 하루에 세 번씩 밥과 고기와 물을 죽은 자에게 준다.

 

매장은 자기들의 습관에 따라 좋은 날을 잡아서 하는데, 출상할 때 두 청년이 앞에서 칼을 휘두르면서 길을 개척한다. 그리고 가족들은 가다가 중간에 돌아온다.무덤은 장방형으로 파서 만들고, 시체를 안장하고 나면 다시 그곳에서 제사를 지낸 후 각자 흩어져 집으

로 돌아간다.

 

본래 리쑤족의 신앙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고 자연을 숭배하는 원시종교이다. 신중에서도 '미쓰(米斯; 하늘신)가 가장 큰 신으로 모든 우주만물과 신들까지도 다스린다고 믿는다. 인간의 생사화복은 물론 인간의 삶과 환경의 변화까지도 철저하게 '미쓰(米斯)'의 손에 달려 있으며, 인간은 영원히 그 힘과 지배를 거절할 수 없는 존재로 살아간다고 믿는다. 기독교는 운남성에 있는 다른 민족보다 조금 늦게 1913년에 처음으로 리쑤족에게 복음이 전해졌는데, 윈난성에 있는 민족 중에서 기독교가 가장 활발하게 성장했고, 민족 사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신구약 성경도 완전히 번역되어 있고, 민족언어로 된 찬송가도 있다. 리쑤족은 1840년 이후 외국의 식민지로 지내온 시간이 많았는데, 영국이 아편전쟁이후에 <남경조약>을 수립한후 인도와 미얀마를 거쳐서 이곳으로 들어왔고, 프랑스는 광서(廣西)지역을 통해서 운남지역으로 들어왔다. 이들은 주로 전교사(傳敎士-지금의 선교사를 당시에는 전교사라고 불렀다. 프랑스는 천주교를 전하기 위한 전교사를 많이 보냈는데, 그 결과 지금 운남성에는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있다.)를 먼저 보내고 그 다음에 군대와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들어왔기 때문에 기독교와 천주교가 침략자의 앞잡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용감한 리쑤족이 변경지역에서 이들 침략세력에 대항해서 국가를 지켰고, 후에는 중국정부가 이 지역에 가서 이들을 외세로부터 해방시켰다고 한다.

 

금기 : 리쑤족은 사람의 일상생활 속에도 신령이 함께 한다고 믿기 때문에 금기사항이 많다.

 

- 12월 27일부터 다음해 1월 9일까지의 13일 동안의 시간은 모든 사람이 외출을 삼간다. 정월 7일은 부녀의 날로써 물긷는 일과 밥짓는 일등 모든 일에서 손을 놓고 쉬며, 9일은 남자의 날로서 일체의 노동을 하지 않고 쉰다. 매월 보름에는 일을 하지 않고 쉬는데, 그 이유는 모든 해충이 곡식을 먹는다고 해서이다.

 

- 마을에서 사람이 죽었을 경우에는 전 마을 사람이 고추를 먹지 않는다. 이렇게 하는 것이 죽은 사람에 대해 존중하며 추모하는 것이라고 여긴다.

 

- 아이를 출산했을 경우 그 집을 방문하는 사람이 활이나 긴칼을 갖고 들어가서는 안된다. 그리고 아이를 안아줄 때에도 옆으로 뉘어서 안으면 안되고 곧추 세워서 안아야만 한다. 죽은 사람만 옆으로 뉘어서 들고 나가기 때문이다. 아이를 낳은 후 집안의 사람들이 희거나 회색의 털을 가진 닭, 암탉, 암퇘지, 암소 등의 고기를 먹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집안의 사람이 낮에 밖에 나갔다가 해가지면 집에 돌아오지 못하고 밖에서 하루를 묵게 된다. 밤에 들어오면 귀신을 데리고 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 평상시에 야채를 씻을 때에도 물이 마구 튀도록 거칠게 씻어서는 안된다. 복이 도망한다고 생각한다.

 

- 손님이 왔을 때 주인은 청소를 해서는 안되며, 얼굴을 씻고 닭을 잡아서 손님을 대접을 하되 여자가 고기를 썰어서도 안되고, 문쪽에서 삶아도 안된다. 사람이 죽었을 때만 문쪽에서 고기 등을 삶기 때문이다.

 

- 다른 집을 방문해서는 방안에 있는 나무 궤짝 위에 앉거나 열어보거나 해서는 안된다. 주인의 허락없이 내실에 들어가서도 안되며, '훠탕(火塘)'위에 놓여있는 삼발이를 발로 건드려서는 안되고, 그 위로 건너가서도 안된다. 이들은 '훠탕'을 매우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훠탕'을 함부로 다루는 것은 주인을 모욕하는 일도 된다.

 

- 손님이 집에 들어갈 때 앞문으로 들어가서 곧장 뒷문으로 가면 안된다. 죽은 사람을 들고 나갈 때에만 이렇게 하기 때문이다.

 

- 다른 집을 방문했을 때 휘피람을 불어서는 안된다. 특히 밤에는 절대로 안된다. 휘파람을 부는 것은 귀신을 집으로 불러들인다고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해가 질무렵 방을 드나들 때에는 꼭 문을 잘 닫아야 한다. 만약 문을 열어 놓고 있으면 귀신이 들어온다고 한다.

 

각 지역마다 절기를 지키는 습관도 다르고 시기도 다르다. 여기에서는 누쟝(怒江)지역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허션지에(He什節)(음력 12월 5일 - 다음해 1월 10일)

신년 바로 전 날 모든 집들이 집안과 밖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청소를 하면서 노래를 하는데, 그 내용은 모든 질병과 환난, 고통, 가난 등의 귀신을 내어쫓는 내용이다. 청소를 끝낸후에는 소나무를 문밖에 세우고 솔잎을 바닥에 깐다. 이렇게 해야만 집안의 모든 질병이 물러가고 젊음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절기의 활동으로는 활쏘기 시합과'뚜이꺼(對歌; 남녀 또는 마을과 마을이 편을 나누어 노래를 주고받으며 어떤 이야기를 구성해 나가는 것으로 한쪽 편에서 바로 이어가지 못하면 지게 된다.)'가 있는데, 평상시에는 젊은이들의 '뚜이꺼'에 참여하지 못했던 장년들도 이런 절기를 지낼 때에는 함께 하게 된다.

 

따오깐지에(刀杆節)(음력 2월 8일)

'따오깐지에(刀杆節)를 리쑤족의 말로는 '아탕더(阿堂得)'라고 하는 데, 그 의미는 칼을 타고 오른다는 뜻이다. 절기가 다가오면 크고 곧은 소나무를 잘라 '따오깐(刀杆; 긴 칼들을 칸날이 위로 향하도록 묶어 만든 사다리로 20m의 높이에 중간에 칼로 된 36개의 계단이 있음)'을 만든다. 경축활동이 시작되면 우선 몇 명의 용감한 청년이 '따오훠우(蹈火舞; 불 위에서 불을 밟으면서 추는 춤)를 추는데, 이때 상의를 모두 벗고 발에도 아무 것도 신지 않은채 붉게 타오르는 탄 위에서 춤을 춘다. 이 과정을 넘어서지 못한 사람은 다음날 '따오깐(刀杆)을 오를 자격을 얻지 못한다. 다음날 마을 사람들이 다시 모여 활동을 즐기는 가운데, 전날 '따오깐'을 오를 자격을 얻은 청년이 붉은색 망토를 걸치고 '따오깐'을 오른다. 신기한 것은, 칼날을 밟고 오르고 내리는데 손과 발에 아무런 상처가 나지 않는다.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실제다. '따오깐지에(刀杆節)'는 절기의 이름 그대로 이렇게 '따오깐'을 오르는 것으로 행사는 절정에 올라 모든 마을 사람들이 춤을 추며 즐기는 춤마당이 벌어진다. 이렇게 위험한 활동을 하는 것은 전설에 의하면  리쑤족을 위하는 어떤 영웅이 독살을 당하자 이를 위한 보복의 행위로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훠바지에(火把節)(음력 6월 24일, 25일)

'훠바지에(火把節)는 이(Yi)족, 바이(白)족 등 다른 민족들도 지키는 절기로써 각 민족마다 지니고 있는 전설이 다르다. 리쑤족이 사는 지역은 경작지가 작아 양식이 부족하고 사람도 많지 않은 반면에 돌과 들짐승이 많은 곳이다. 그래서 화전으로 옥수수와 감자 등을 심고, 사냥을 해서 생활을 하는데, 한 해에는 커다란 가뭄이 와서 먹을 것이 없었다.사람들은 먹고 살 방법을 찾다가 한번은 새끼돼지를 따라 산 속에 들어가서 새끼돼지가 무엇을 먹으면 사람도 따라서 그것을 먹고 배를 채웠다. 가뭄의 원인은 한 귀신이 물줄기를 틀어막고 있어서였는데, 이때 제갈량이 군사들을 이끌고 이 지역에 오게 되었고, 가뭄의 원인을 아는 제갈량이 군사를 시켜서 물줄기를 막고 있는 귀신을 향해서 쏘게 했다. 귀신은 숨어있지를 못하고 나와서 항복을 했고, 제갈량이 군사를 시켜서 물줄기의 문을 열어 가뭄을 해갈케 하였다. 뿐만 아니라 쓰촨(四川)성으로부터 벼이삭을 갖다주어 논농사도 짓도록 도와주는데, 벼이삭을 가지러간 병사가 빨리 잘 돌아올 수 있도록 리쑤족 백성들이 밤에 횃불을 들고 길을 밝혀서 환영하는데, 이 횃불로 인해 귀신과 평소에 사람들을 위협하던 맹수들도 도망을 해서 이후로는 더 나은 생활을 하게 되었다. 해마다 이를 기념하는 것이 '훠바지에(火把節)'이다.

 

 

신미지에(新米節)(음력 음력 9, 10월)

'신미지에(新米節)'는 풍성한 수확을 경축하는 절기이며, 또한 오곡의 풍성을 기원하는 절기이기도 하다. 어떤 마을은 이 절기를 지낼 때 개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기도 하다. 전설에 의하면 모든 것이 풍성해서 좋은 생활을 누리고 있을 때 신이 보고 질투해서 모든 양식과 종자를 다 가져가서 먹을 것도 없고 심을 것도 없게 되었는데, 개가 산을 넘고 물을 건너가서 종자를 가져왔다. 사람들은 이 종자를 심어서 다시 양식을 얻게 되었기 때문에 '신미지에'를 지낼 때 밥을 지어서 먼저 개에게 주고 사람들은 나중에 먹는다. 이렇게 해야만 다음의 풍년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후이족 (回族)

 

인구는 860만 2978명. 주로 닝샤후이족(寧夏回族)자치구에 집중 거주하는데 간쑤성(甘肅省), 칭하이성(靑海省), 허난성(河省), 허

뻬이성(河北省), 산둥성(山東省), 윈난성(云南省) 등지에 규모는 다르지만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구역이 있다. 회족은 폭넓게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분포지역이 가장 넓은 소수민족이다. 후이족은 한민족과 함께 생활해왔기 때문에 한문어를 사용하고, 그 외의 민족과 생활하고 있는 후이족은 그 민족의 말을 사용한다. 후이족 중 소수는 아라비아어와 페르시아어에 능통하다. 후이족은 이슬람교를 신봉 하고 있다.

 

윈난성의 후이족은 원조 초기에 이주하여 왔다. 원조시대에 운남에서 권력을 잡고있었던 후이족 관리인 샤이 디안친쟌시딩이 운남의 소수 민족들에게 쿤밍지역의 수자원 보호를 위하여 관계시설을 건설하라고 명령하였다. 운남에서 출생한 황실의 환관인 대회족항해사 젱허(Zhenghe)는 7차례 이상이나 대서양을 여행하기 위하여,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선단을 이끌었었고, 국제적으로 경제와 문화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하여 30여개국 이상을 방문하였다. 후이족은 농업과 무역을 중시했으며, 수공예품의 질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라후족 (拉祜族)

 

인구는 41만 1476명. 주로 윈난성(雲南省) 란창현(瀾滄縣), 멍리안현(孟連縣)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소수는 그 외의 민족과 함께 윈난성 남서의 국경 일대의 현에 거주하고 있다. 라후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彝)어에 속한다. 라후나(拉祜纳)와 라후시(拉祜熙)등 2개의 방언이 있다. 라후족은 한족(漢族), 타이족(傣族)과 교제해 왔기 때문에 대다수의 라후족은 한문어와 타이어를 모두 사용한다. 라후족은 이전에 구미의 선교사가 만든 로마자와 같은 문자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1957년에 지금까지의 문자를 기초로 표음문자와 같은 라후 문자가 만들어져 현재는 라후족들은 라후 문자를 사용하고있다. 20 세기 1950년대 이전, 라후족은 다신원시종교를 신봉 하고 있었다. 대승 불교가 전해지고 나서 대승 불교가 유행하게 되었고 소수는 크리스트교 혹은 카톨릭을 신봉 하고 있다.

 

라후족은 유구인 역사를 가지는 민족이다. 이들은 이족(彝族), 나시족(納西族) 등의 민족과 같이 고대의 치앙족(羌族)과 조상이 같으며 칭하이(靑海) 티벳 고원에서부터 남쪽으로 이주하는 도중에서 형성된 민족이다. 청(淸)대 사적에 러프족은 뤄헤이(倮黑)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라후는 민족의 자칭이다. 라후라는 뜻은 범(虎)의 고기를 익혀 먹는다 라는 의미이다. 이 민족의 명칭으로부터 라후족이 일찍이 수렵생활을한 민족인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라후족의 사회는 발전이 불균형해 1940년대에 대부분의 지역이 지주 경제에 들어갔으나 일부 지역에는 원시 사회의 잔존이 남아있었다. 신중국 성립후, 라후족은 정치, 경제, 문화, 교육, 의료 위생 등의 제방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라후족이 즐겨 다루는 악기로는 주로 '루셩(芦笙; 갈대로 만든 피리종류의 악기)', '싼시엔(san xian; 현이 세 개인 기타종류의 악기), 퉁소, 피리 등이 있다.'루셩'은 라후족에게 가장 널리 보급된 악기로, 이를 가진 성년 남자들은 모두 취주를 할 수 있다. 새해가 되면 마을 도처에서 우아하고 아름다운 '루셩'을 연주하는 소리를 들을 수가 있다. 이들게는 특별한 악기가 있는데, 이들에게는 나뭇잎이 아주 좋은 악기가 된다. 라후족들은 나뭇잎을 이용해서 노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새의 소리, 자연의 소리, 바람의 소리 등도 묘사해낸다. 젊은 청년들이 연애할 때 노래를 통해서도 하지만 때로는 나뭇잎을 부는 것으로 서로의 정을 주고받는 일도 있다. 그래서 일정한 나이가 되면 누구나가 다 나뭇잎 부는 것을 배운다.

 

남자는 이미 많은 마을들에서 전통복장을 찾아볼 수 없고, 절기 때에나 조금씩 보게 되는데, 대개 옷섶이 둥글고 깃이 짧은 적삼을 입고, 하의는 품이 넓고 큰 긴 바지를 입으며, 머리에는 검은 수건을 쓴다. 여자들은 옷솔기가 터진 긴 두루마기를 입는데, 옷깃 주위와 솔기가 터진 양쪽에는 모두 붉은색이나 파란색으로 몇 가지 무늬를 넣는다. 옷깃과 옷섶에는 은빛의 거품모양을 새긴다. 아래에는 검은색으로 긴 바지를 입고, 머리에는 검은천으로 된'빠오토우(包頭)'를 쓴다. 어떤 지역의 라후족은 중국전통 복장과 따이족 복장을 입기도 한다.

 

라후족은 매운 것을 좋아하며 특히 고추를 즐겨 먹는데 매 끼니마다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들은 말하기를 "라후족에게 있어서 고추는 한족들에게 있어서 기름과 같다"고 한다. 이들은 음식을 먹을 때 가장이 먼저 밥을 뜨고 손님이 다음으로 뜬다. 그리고 나이순으로 가족들의 밥을 뜬다. 귀한 손님이 왔을 때에는 닭을 잡아서 닭죽을 끓여 손님을 접대하는데, 절대로 하얀 닭을 잡아서는 안된다. 만약 하얀 닭을 잡아서 손님을 대접하면 절교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차와 술을 즐겨 마시는데, 손님을 접대할 때에도 차와 술이 빠지지 않는다. 손님이 집에 왔을 경우 식사를 제대로 대접할 수 없는 경우에도 술은 꼭 대접한다. 그리고 이들은 술을 마실 경우 꼭 노래를 부르는 습관이 있다. 담배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즐겨 피우며, 자기들이 재배한 '란옌(藍烟)'이라는 담배를 사용하는

데, 특별하고 진한 맛이 있어서라고 한다.

 

라후족의 방은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쟝로우팡(掌樓房)'이라고 부르는데, 2층으로 나누어서 위층에는 사람이 거주하고, 아래층에는 가축을 기르거나 장작 등을 쌓아두는 장소로 사용한다. 또 다른 하나는 '루어띠팡(落地房)'이라고 부르는데, 단층으로 지은 초가집이다. 대부분이 '쟝로우팡(掌樓房)'에 거주하고, 한족이나 따이족과 함께 살거나 이웃하여 사는 라후족들은 '루어띠팡(落地房)'에 거주한다. 집안의 구조는 '아코우(阿Kou)', '챠마띠타(揷馬底塔)', '지타(吉塔)'등 3부분으로 나누는데, '아코우'는 침실이고, '챠마띠타'는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놓는 창고에 해당하며, '지타'는 베란다형태로서 빨래 등을 말리고 하는 장소이다.

 

라후(拉祜)족은 비교적 자유롭게 이성교제를 하며, 부모가 결혼에 간섭하는 일도 적다. 그렇지만 다른 민족과 통혼하는 경우는 아주 적다. 어떤 지역에서는 동성과 근친의 결혼도 금하고 있다. 라후족의 남자가 결혼할 연령에 이르면 결혼할 대상을 자신이 찾는다. 대상을 찾는 방법은 구혼가(求婚歌)를 불러서 찾는다. 만약 청년이 연애할 대상을 찾게 되면 이들은 강가나 숲 속에서 사랑의 노래를 부

르며 사랑을 다져간다. 서로의 사랑이 깊어지게 되면 서로 선물을 교환하면서 서약을 한다. 이때 이들의 서약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서약을 한 후에 어느 한쪽에서 위반하는 경우 모든 마을 사람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기 때문에 서약하기 전에 신중하게 생각한다. 서로간의 애정이 확인된 후, 남자 편에서 중매인에게 선물을 들려서 여자의 집으로 보내 결혼을 의논한다. 일반적으로 여자의 부모들은 남자의 가정에 대해 묻고 크게 문제가 없는 경우는 반대하지 않는다. 여자의 부모들이 결혼에 동의했을 경우 중매인은 갖고 온 선물을 여자의 부모에게 전한다. 중매인을 통해서 결혼이 확정되면 여자가 남자의 집에 가서 결혼식을 하고, 몇일이 지난 후 여자의 집에 가서 3년을 지낸다. 3년 후에는 일반적으로 독립을 하고, 적게는 다시 남자의 집으로 간다.

 

라후(拉祜)족은 조상숭배를 하는 민족이기 때문에 장례를 매우 중요시한다. 전통적으로 화장(火葬)을 하고, 일부는 토장(土葬)을 한다. 사람이 죽은 후 출상하기 전에 '모빠(磨八; 무당)'를 불러다가 혼을 부르는 일을 한다. 혼을 부를 때에는 밥 한 그릇, 약간의 소금, 두 자루의 촛불을 켜놓고 기도를 한다. 기도가 끝난 후에는 두 여인이 횃불을 켜서 출상(死者)을 인도하여 장지까지 간다. 이 때 장례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다 참예한다.장례를 마친 후에 장례에 참가했던 모든 사람들이 각각 자기가 먹을 쌀을 한 그릇씩 갖고 상가로 가서 함께 밥을 해 먹는다.

 

쿼타지에(擴塔節)(음력 1월 1일)

이 절기는 음력설로 활동이 9일 동안 진행된다. 9일은 계속되는 날이 아니고 세 기간으로 나누어서 지낸다(1기: 1일부터 4일, 2기: 8, 9일, 3기: 13일부터 15일). 특이한 것은 명절이 되면 떡을 해먹는데, 떡을 농기구 위에 올려놓는 습관이 있다. 이것은 농기구들이 농사를 위해 함께 수고했기 때문에 명절의 즐거움도 함께 나누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초하루 첫닭이 운 다음 남녀 청년들이 샘으로 달려간다. 그 이유는 첫날 가장 먼저 샘물을 긷는 사람은 1년 동안 재난과 화를 피할 수 있다고 전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첫날에는 모든 사람이 외출을 하지 않는다. 둘째 날부터 먹을 것과 선물을 들고 친척집을 찾아다니며 새해인사를 하고 셋째 날부터는 '루셩(芦笙)'을 불면서 춤을 추고, 민족 활동을 즐긴다. 아이우(哀牢)산에 사는 라후족은 매해 정월 3일에 '지양션(祭羊神)'을 크게 지낸다. 이날은 모든 마을의 남자들이 사냥도구를 갖고 산으로 가서 사냥한 것을 가지고 '양션(羊神)'에게 제사를 지낸다. '양션'은 마을의 뒤에 있는 삼림 속에서 풍수학적으로 위치가 가장 좋은 곳에 있는 한 크고 빛나는 돌을 일컫는다. '양션'에게 제사를 드리는 것은 마을과 가정, 그리고 개인에게 평안을 가져다주고 병과 재난으로부터 보호해달라는 기원을 하는 것이다.

 

훠바지에(火把節)(음력 6월 24일)

음력 6월 24일에 지내는 것은 다른 민족들과 동일한데, 절기를 지내는 방법과 이유가 다르다. 전설에 의하면 하늘의 '어싸(厄薩)'가 매해 음력 6월 24일에 인간들에게 자신을 향해서 제물을 바칠 것을 요구하는데, '짜누짜비에(紫努紫別)'가 라후(拉祜)족사람들을 이끌고 '농사짓는 수고를 하지 않았으면 먹지 않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말하면서 厄薩에게 아무것도 바치지 않았다. 노한 '어싸(厄薩)'는

태양과 달을 모두 감추어 버렸다. 7일동안 해도 달도 없자 캄캄한 가운데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농사를 지을 수도 없고, 수확할 수도 없게 되자 '짜누짜비에(紫努紫別)'가 '쏭밍(松明; 관솔불)과 밀납을 소의 뿔에 묶어서 대지를 밝혔다. 사람들은 이 불 아래에서 농사도 짓고 모든 일을 할 수가 있게 되어 결국은 '어싸'를 이긴 결과가 되었다. 그래서 라후족은 매년 6월 24일 밤이 되면 '짜누짜비에'를 기념하기 위해서 집집마다 '쏭밍(松明)'이나 밀납으로 촛불을 만들어서 불을 밝히고 닭을 잡는다.

 

신미지에(新米節)

이 절기는 곡식을 거두어들이는 시기에 진행되는데, 정해진 날짜가 없고, 어떤 집에서 먼저 수확을 하면 먼저 절기를 지낸다. 이 절기에는 꼭 새로 나온 곡물로 음식을 하고 새 과일들을 먹는데, 먼저 신과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낸 후에 먹는다. 술과 음식을 풍성하게 차려 먹으면서 그 해의 수확에 대해 이야기하며 노래하고 춤추고 즐기는 축제이다.

 

빠위에위에위안지에(八月月圓節)(음력 8월 15일)

음력 8월 15일 저녁에 자신들이 농사를 지은 곡식과 과일들 중에서 제일 좋은 것으로 골라서 달에게 제사를 지내는 절기이다. 이들이 이렇게 하는 것은 달이 인간을 위해서 농사를 짓도록 여러 절기를 적합하게 구분하여 주기 때문이다. 이 절기를 지낼 때 달이 떠오를 무렵, 모든 가정에서는 준비한 과일과 곡식을 작은 탁자 위에 배열해 마을 뒷산(전문적으로 제사를 지내는 산)으로 가서 달에게 제사를 지낸다. 이때 준비하는 제물에서 배는 꼭 있어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배가 젊은 남녀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날짜가 시작되었다는 상징이기 때문이다. 제사가 끝난 후에는 전 마을의 모든 사람들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둥글게 원을 그리고 서서 '루셩(芦笙)'을 불며 춤을 추고 풍성한 수확을 축하하며 즐긴다.


 

와족 (佤族)

 

인구는 35만 1974명. 주로 윈난성(雲南省)의 시멍(西盟), 창위엔(蒼源), 멍리엔(孟連)등의 3현과 주변의 산간부에 집중 거주하고 있다. 와어는 남부아시아어계, 와 더앙어에 속한다. 빠라오커(巴饒克), 와(佤), 아와(阿佤)등 3종의 방언이 있다. 원래 문자는 없었지만 1957년에 라틴어 문자를 원형으로서 와족만의 문자를 만들었다. 와족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자연 종교를 신앙한다.

 

와족은 중국 윈난성 남서부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 하나이고 2000년 전에 뿌랑족, 더앙족등의 민족과 함께 까오리공산(高黎贡山)과 란창강(澜沧江) 지구의 개발에 기여했다. 빠라오커, 와, 아와등은 「산에 거주한다」라는 의미이다. 현지의 타이족은 와족을 카와(卡佤), 인웨이(因为), 카(卡)라고 불렀는데 카는 '노예'라는 의미의 타이어로 모욕적인 호칭이었다. 신중국 성립후 각 민족의 평등을 구현하기 위해 와족이라는 호칭이 정해졌다. 와족은 기복이 많은 아와 산간지대에 살고 있어 교통 불편으로인해 외부와의 교류가 적어 경제 발전이 뒤떨어져 있었다. 그러나 차츰 그들의 생활에 큰 변화가 일어나 지금은 현대화의 발전을 이루고 있다.

 

와족은 남자나 여자나 지역마다 다른 복장을 하고, 지금은 전통복장과 일반 복장을 겸해서 입는다. 남자는 머리를 짧게 자르고 머리에 남색, 검은 색, 붉은 색, 흰색 등의 천으로 두른다. 상의는 옷깃이 없는 옷을 입고, 바지는 넓고 짧은 바지를 입는다. 손에는 은팔찌를 귀에도 귀걸이를 대나무로 엮은 목걸이와 은목걸이를 하며 발에는 아무것도 신지 않는다. 외출시에는 어깨에 장식용 천을 두르고 긴칼과 사냥용 총, 활 등을 지니고 다닌다. 남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지 않고 다니면 용기 없는 사람으로 보여진다고 한다. 칼과 활, 총은 남자들의 용맹스러움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과거의 와족 남자들은 몸에 문신을 많이 했는데, 문신의 모양은 주로 물소의 머리모양, 새, 산림 등이었는데, 이것은 이들의 자연숭배에 대한 것을 보여준다. 여자들은 머리를 자르지 않고 기르는데, 땋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길게 늘어뜨린다. 그리고 머리카락은 뒤로하여 늘어뜨리고 은이나 대나무로 만든 띠 같은 것을 두르고 검은 천으로 다시 두른다.

귀걸이와 목걸이를 은으로 만들어 하고, 다른 보석도 구할 수 있으면 겸해서 장식을 한다. 허리에도 대나무로 허리띠를 만들어 두르고 다리에는 대나무 등으로 감는다. 어깨 바로 아래의 팔 부분에도 은으로 가락지를 만들어 끼우고, 손가락에도 은가락지를 끼운다. 상의는 옷깃이 없는 짧은 옷을 입고, 하의는 무릎을 덮지 않는 통치마를 입는다. 여자들도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도시지역이 아니고는 신을 신지 않는다. 지금은 일반적인 것은 아니나 와족의 여자들은 태어날 때부터 시작해서 매년 마다 허리나 다리에 대나무 등으로 띠를 하나씩 두른다. 그래서 그 수를 헤아려 보면 그 나이를 알 수 있는데, 이들에게는 나이의 개념보다는 장식의 의미가 더 있는 것이다.

 

와족의 주식은 쌀이고 옥수수와 콩류를 많이 먹는다. 또한 이들은 "매운 것이 없으면 밥이 맛이 없고, 소금이 없어도 역시 아무 맛이 없다"고 말한다. 그 매운 맛은 상상을 초월한다. 와족은 남방민족 중에서도 특별히 '삥랑(檳Lang)'을 즐겨 씹는 민족이다. 이들은 '삥랑'을 씹으면 이가 튼튼해진다고 믿고 있으며 이가 검은 색으로 변하는 것을 아름다움이라고 여긴다. 또한 '쉐이지우(水酒)를 즐겨마신다. 곡물로 만든 민족의 전통 술인데, 손님을 접대할 때 이 술이 없으면 안되며, 음료를 대신해서 마시기도 한다.

 

와족들의 마을은 대부분 산허리나 산 정상 부근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들은 400호 정도 되는 큰 마을도 있고, 30호 정도 되는 마을도 있다. 와족의 방은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한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초가집의 형태인데, 벽을 나무로 하거나 흙으로 해서 사면을 세우고 지붕에 짚 등으로 얹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따이(Dai)족의 영향을 받은 건축구조로서 대나무나 목재로 방을 만들되 2층으로 하고, 아래층에는 짐승들을 기르고, 사람은 윗층에 거주한다. 방을 주인방과 손님방으로 나누어 사용하며, 문을 3개(鬼門, 火門, 客門)를 내는데, '꾸이먼(鬼門) 밖으로 베란다 형식의 공간을 만들어서 곡식이나 옷가지를 말리기도 하며 여러 가지 물건을 쌓아두는 곳으로 사용한다. '훠먼(火門)은 평상시에 출입구로 사용하는 문으로 鬼門의 오른쪽에 있다. 鬼門의 왼편으로 '커먼(客門)이 있는데, 평상시에는 어린이들이나 손님의 잠자리로 사용되고, 집안에 초상이 났을 때는 있을 때에는 시신을 잠시 놓아두는 곳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와족들은 집을 지을 때 서로 도와서 짓고 다 지으면 주인집에 모여서 축하하며 지낸다.

 

검은색의 옷을 입고, 여자들은 검고 긴 머리를 아름다움으로 여겨서 긴 머리를 흔드는 춤이 유명하고, 남자는 칼춤이 유명하다. 대나무로 만든 집에서 살며, 굉장히 강인한 민족이다. 과거에는 소의 머리뼈를 집에 거는 것으로 부를 자랑했는데, 심지어 부자들은 따로 창고를 두어 소의 머리뼈를 장식하기도 했는데 많은 집은 500개 이상이 되기도 했다고 한다.

 

라무구지에 : 라무구지에는 와족의 축제이다. 첫날밤 북을 만들기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산에 가서 나무를 구하여 힘을 모아 마을로 가져온다. 여자의 생식기를 의미하는 작은 구멍을 북위에 판다. 북이 만들어지면, 젊은 남녀들이 북을 북 집으로 옮긴다. 이때가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북 집에 안치가 되면 모두가 박자에 맞추어 북춤을 춘다.


 

나시족 (纳西族)

 

인구는 27만 8009명. 주로 윈난성(雲南省) 려강(麗江) 나시족(纳西族)자치현과 그 주변 구역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쓰촨성(四川省)의 이안위엔(鹽源), 이안삐엔(鹽邊), 무리(木里)등의 현과 티벳의 망캉현(茫康縣)에도 분포하고 있다.

 

나시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彝)어에 속한다. 한족과 교류해왔기 때문에 대다수가 한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나시족에는 원래 2 종류의 문자가 있었다. 하나는 표의상형문자로 동빠웬(東巴文)이라 불리고 있으며 또 하나는 표음음절문자로 즈빠웬(哥巴文)으로 불리고 있다. 1957년에 로마자를 기초로하는 나시 표음문자가 만들어졌다.

 

나시족은 보편적으로 많은 신을 제사 지내는 동빠교(東巴敎)를 신봉 해 왔다. 소수는 라마교, 도교 혹은 크리스트교를 신봉 하고 있다.

 

나시족은 중국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중의 하나로, 남쪽으로 이주한 고대 치앙족(羌族)의 일파이다. 나시라고 하는 민족명은 고대 마오런(髦人)이 살던 부락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한(漢)시대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마오누이(有큇爐), 모샤이(摩沙夷)가 나시족의 조상이다. 지역에따라 나시족의 명칭이 틀려진다. 이들은 지역에 따라 나시(納西), 나(納), 나루(納汝), 나리(納日) 등으로 불렸는데 신중국 성립후 나시로 통칭됐다. 나시족은 자민족 스스로의 노력으로 빛나는 민족 문화를 만들어 냈다. 서기 7 세기에 나타난 동

빠웬은 현재, 세계에 얼마 남아있지 않고 아직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상형문자이다. 동바웬으로 쓰여진 「동빠 경서」는 나시족 사회 발전의 역사를 연구하기 위한 귀중한 자료이다. 나시족은 농업을 주로 하며 수도, 옥수수, 고구마, 밀, 두류, 면화, 삼을 재배하고 있다.


 

징포족(景颇族)

 

인구는 11만 9209명. 주로 윈난성(雲南省) 더홍타이족징포족(德宏傣族景颇族)치주 서쪽의 루이리(瑞麗), 롱강(隴江), 잉강(盈江), 량허(梁河)등의 현(縣) 산간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부근 에 있는 주·현의 산간지대에는 소수의 징포족들이 분산해 거주하고 있다. 징포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징포어에 속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징포문자는 로마자를 기초로한 표음문자이다. 징포족은 이전부터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하는 원시 다신교를 신봉해왔다. 소수이지만 크리스트교도를 신봉하는 징포족도 있다.

 

징포족은 윈난더홍지구의 원주민족은 아니다. 고대 징포족은 �족·티벳 고원의 남부에서 생활하고 있었 다. 그 후 헝두안(橫斷)산맥에 근처의 란창강(瀾滄江), 진샤강(金沙江)일대로이주했고 명(明)대 말 청(淸)대 초에 더홍지구로 옮겨 더앙족(德昻族), 리쑤족(栗僳族), 아창족(阿昌族), 한족(漢族)등의 민족과 함께 산간지대에 살았다. 징포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곡물은 수도(水稻), 옥수수를 재배한다. 징포족은 순박하고 솔직하며 용감한 민족이다. 징포족 아이들은 어릴때부터 어른과 함께 산에 들어가 수렵을 한다. 징포족 여성은 뜨개질을 잘한다. 수백종의 칼라 도안을 잘 짜는데 도안중의 대다수는 동식물 모양으로 매우 아름답다.

 

무노우쭝거 : 더홍의 징포족은 음력 1월에 본 축제를 연다. 전통적인 이 축제는 역사적 기원을 가지고 있는데, 땅에 세워진 네 개의 나무 기둥 주위에서 이루어진다. 기둥의 도안은 태양과 달 그리고 징포족의 기원 발생지 경로가 그려져 있다. 총 발포는 축제 자체를 의미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원형으로 돌며 춤을 추는데 이는 조상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지도자는 긴 칼을 들고 원형의 춤의 경로를 나타낸다. 모든 여자들은 똑같이 검은 옷과 빨간 치마를 입고 있다. 어깨 위에는 둥근 은장식이 태양 아래 빛난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의 대열이 길어지고, 더 많은 사람이 이 축제에 모이게 되는데 마치 용이 지나가는 것처럼 장대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