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국제 철도 운영 현황

조삼현│코레일 철도연구원 경영연구팀 경영학박사: shcho328@hotmail.com <출처: http://www.irail.net>
중국은 동부연해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이 아시아대륙에 인접하고 있어 대륙과 인접한 국가와의 교역은 주로 철도 및 도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철도는 내륙운송에서 중·장거리 운송과 대량운송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 내륙운송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주요 내륙 국경지역 교역현황을 철도운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 중국의 국제철도 운영 현황
○ 운영 관련규정 및 협의체
중국은 1951년에 중국-구소련, 1952년에 중국-구소련-몽골, 1954년에 중국-북한, 1955년에 중국-베트남, 1992년에 중국- 카자흐스탄과 각각 국경 철도 협정을 체결 하여 국제 여객 열차 및 화물 열차 운행을
개시하였다. 이들 국가와 국제철도운송을 추진함에 있어서 관련 당사국간에는 국경 철도협정을 체결하고 기타 제반사항에 대해서는 국제철도운송기구(OSJD1))의 관련규정을 적용하여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객운송은‘국제여객연운(國際??客??運)협정’,‘ 국제여객연운취급 세칙’, ‘국제연운차량사용규칙’, ‘국제여객운송운임규정’, ‘국제철도여객연운청산규정’ 등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화물운송에서는‘국제화물연운협정’,‘ 국제화물연운협정취급세칙’,‘ 국제화물운송운임규정’,‘ 국제연운차량사용규칙’,‘ 국제철도화물연운정산규정’등 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국가 간의 국제철도 운송을 위한 협의체로는 양국 철도 관계 당국 간에 국경철도 운영계획을 협의하는“국경철도운영회의”를 매년 1회 개최하여 필요한 내용에 따라 국경철도의정서를 체결하고, 세부 운영사항을 협의하는 국경역장 회의를 정기적으로 월 1회 운영하고 있으며 필요시에는 임시국경역장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 국경역 운영일반
일반적으로 국경역에서는 C·I·Q(Customs, Immigration and Quarantine)수속을 하고, 수·소화물 및 차량의 인수·인계를 시행하고 이를 위해 양국에서 차량의 인수, 인계 및 관련 업무를 위해 해당국가에 직원을 상호 파견하여 근무하게 하고 있다. 특히 중국/러시아, 중국/몽골 간 국제열차는 궤간의 차이로 인해 국경역에서 대차를 교환하는 방식을 통해 열차를 운행하고 있으나, 중국/북한, 중국/베트남 간은 궤간이 동일하여 대차교환 없이 국경역에서 객차를 각각 자국의 열차편성에 연결하여 운행하고 있다. 반면, 화물운송에 있어서는 궤간이 상이한 중국/러시아, 중국/몽골, 중국/카자흐스탄 간은 환적 또는 대차 교환방식에 의하여 운행하고 있으며, 국경역에는 양국에서 번갈아 가며 1년씩 담당하는 셔틀기관차와 승무원을 상주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중국/북한 간에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중국/북한 간에는 셔틀기관차로 국경역 사이를 운행 한 후, 각각 자국의 열차에 편성시켜 운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베이징/평양 간의 직통 객차는 1주에 4왕복(상호 2왕복)으로 3량 편성을 기본으로 하고 수요 증가 시에
는 증결하여 운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물은 국경역에서 C.I.Q 수속 후, 열차를 출발시키며, 열차의 타국 입국시에 는 인수받는 국가 측에서 환적 및 인수·인계를 시행2)하고 있다. 즉, 상대국의 화물열차가 도착하면 도착선에서 화물송장의 번역, 인수·인계 및 세관검사가 약 1시간 이내에 이루어지며 궤간이 다를 경우에는 환적선에 차입하여 환적 실시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열차 당 환적시간은 2시간 이내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 ORGANIZATION FOR COOPERATION OF RAILWAYS 의 러시아식 표기인 ОРГАНИЗАЦИЯ СОТРУДНИЧЕСТВ
А ЖЕЛЕЗНЫХ ДОРОГ 약자인 ОСЖД의 영문표기, 국제철도협력기구, 1956년 결성, 폴란드 바르샤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과거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국가 중심으로 결성되어 서유럽 국가중심의 OTIF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Carriage by Rail)와 양대 유럽철도의 협력기구체제를 유지
2) 통상적으로 90% 이상의 화물을 환적하고 있음
○ 국제열차 운행 현황
○ 주요 국경역 현황
※ 물동량 : 중국 측 국경역의 2004년 말 기준, 수출입 화물
< 주요 국경역 현황 >
2. 중국 주요 내륙국경의 교역실적과 철도
중국의 대륙과 주요 접경지역 중에서 대표적인 내륙교역통로는 중국/러시아간의 만주리, 중국/몽골간의 아렌호터, 중국/카자흐스탄간의 신쟝지역이다. 이들 지역에는 철도를 포함하여 도로를 통한 교역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1) 내몽고자치주 만주리( ) 지역
만주리( )는 내몽고 후룬베이얼( )시의 서부, 러시아와 접경지역에 위치 하고 있는 전체면적 약 696.3㎢의 지역으로 해당지역 철도는 1900년부터 건설·운영되어온 중국 북부의 주요한 육상 국경물류 중심도시이다. 만주리는 러시아의 호우뻬이쟈스크( ) 지역과 철도와 도로를 통해 연결되고 있는 중국 최대 육상국경 지역으로 중국 동북지역 및 내몽고 지역에서 러시아, 유럽 각국과 연결되는 교통중심지이기도 하며 중국과 러시아를 통한 유라시아랜드 브릿지의 핵심지역이기도 하다.
2006년 만주리를 통한 수출·입 화물 통관 처리량은 2,171.03만 Ton으로 전년대비 23.9% 성장하였으며 그 중 수입화물 통관 처리량은 2,035.63만 Ton으로 전년대비 24.4% 성장, 수출화물 통관량은 135.4만 Ton으로 전년대비 17.1% 성장을 기록하였다. 또한 2006년, 만주리를 통한 출·입국 인원은 169.15만 인·차로 전년 대비 6.4% 감소하였으며 그 중 입국인원은 84.38만 인·차로 전년대비 6.4% 감소, 출국 인원은 84.77만 인· 차로 전년대비 6.3% 감소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인적 물적교류에 따른 만주리 세관의 2006년, 관세 및 기타 관련 징세 금액은 69.07억 런민비(인민폐: RMB)로 전년 동기 대비 64.7% 성장하였으며 그 중 관세는 2.27 억 RMB로 전년대비 1.3% 감소, 수입관련 각종 제세수입은 66.8억 RMB로 전년대비 6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 내몽고 알렌호터() 지역 통관현황
< 만주리와 알렌호터 국경지역 >
알렌호터는 내몽고자치구 시린구오러멍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서·남의 삼면이 수니터( ) 초원으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는 몽골의 쟈먼우드( )와 접해있는 중국과 몽골을 연결하는 유일한 철도통관 지역으로 특히, 아렌호터는 중국 국무원이 처음 비준한 중국의 13개 국경개방 도시 중의 한 곳이다. 해당지역은 1956년 1월, 베이징(??京)/울란바토르( )/모스크바(莫斯科)간의 국제 철도 운행이 정식으로 개통되어 현재까지 동 지역을 운행하고 있으며 알렌호터는 1992년에 도로 통관 업무도 정식으로 개시하였다. 알렌호터의 연간 통관처리 능력은 약 450만 Ton 규모이며 그 중 철도통관 능력은 350만 Ton, 도로통관 능력은 약 100만 Ton 규모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알렌호터는 중국의 베이징에서 출발하여 몽골을 경유, 모스크바를 통해 유럽 각국과 연계되는 유라시아랜드브릿지의 최단거리 노선을 통과하는 지점이자 중국의 주요 내륙국경 물류 중심지이기도 하다.
3) 신쟝 위구르 자치구 통관현황
< 신쟝위구르 국경지역 >
신쟝 위구르자치구는 세관 및 관련 부문의 공동노력으로 통관 관련 각종 환경개선의 결과로“제11차 5개년 개발계획”의 시작년도인 지난 2006년 실적이 물동량이나 교역액, 출· 입국인원 등 전반에 걸쳐 많은 성장이 있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쟝 위구르자치구 전역의 출·입국인원은 1,302,908인·차로 전년 대비 27.4% 성장률을 기록, 이 중 관광객은 925,441인·차로 전년대비 35.4% 증가, 비즈니스 관련 출·입국 인원은 258,425인·차로 전년대비 22%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또한 전체 자치구 관내를 출·입한 운송장비는 214,788량·차로 전년대비 27.2% 성장하였으며 출·입국 운송장비 별로는 비행기 4,176대, 열차 11,274열차, 자동차 199,338대로 집계되고 있다. 신쟝 위구르자치구 전역에서 처리한 수출·입 화물량은 1,627.5024만 Ton으로 전년대비 26.6% 증가, 그 중 수입화물량은 1,156.5211만 Ton(파이프운송 138.65만 Ton 포함)으로 전년대비 20.7% 성장, 수출화물은 467.9813만 Ton으로 전년대비 44% 성장하였다. 특히,철도를 통한 수출·입 화물 처리량은 1,311.2614만 Ton으로 전체 신쟝 위구르 자치구 통관 화물량의 80.72%를 차지, 도로운송을 통한 화물처리량은 172.7175만 Ton으로 10.63%, 항공운송을 통한 화물처리량은 1.8735만 Ton으로 0.12%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해당지역은 중국/카자흐스탄 간의 파이프라인을 통한 원유를 수입하고 있는 곳으로 2006년 원유수입량은 계획량인 138.65만 Ton을 초과한 206만 Ton을 운송하여 전체 수출·입 물량의 8.53%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신쟝위구르 자치구를 통한 교역액은 82.8023 억 달러로 전년대비 19.3% 증가, 그 중 수출액은 48.0448억 달러로 전년 대비 31.3% 성장, 수입액은 34.7575억 달러로 전년대비 5.8% 성장하였다. 특히, 수출품 중 관광객들의 상품구매 규모는 약 1.0375억 달러로 전년 대비 38.2% 증가하였으며 국경지역 주민들의 타국과 교역금액은 2,740만 달러로 전년대비 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신쟝위구르 자치구는 많은 지역에서 내륙교역이 행해지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지역은 아라산코우(阿??山口)이다. 카자흐스탄과 접경지역인 아라산코우역은 신쟝위그르 자치구가 처리한 교역물동량의 89%를 처리하고 있다. 아라산코우를 경유한 출·입국 인원은 123,302 인·차로 전년대비 25.2% 증가하였으며 그 중 관광객은 69,253인·차(입국 35,622인·차, 출국 33,631인·차)로 전년대비 39.3% 증가하였으며, 비즈니스 관련 출·입 국 인원은 54,049인·차(입국 27,056인·차, 출국 26,993인·차)로 전년대비 10.9% 증가하였다.
또한 아라산코우의 철도를 통한 출·입국 인원은 54,139인·차(입국 28,196인·차, 출국 25,943인·차)로 전년대비 21.6% 증가, 또한 자동차를 이용한 출입국 인원은 15,114인· 차(입국 7,426인·차, 출국 7,688인·차)로 전년대비 11.5% 증가하였다. 아울러 수·출입 화물 처리실적은 1,462.7335만 Ton으로 전년대비 30.6%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그 중 수출화물은 325.9149만 Ton, 수입 화물은 1,136.8186만 Ton이었다. 그 중 철도를 통한 수출·입 화물 처리량은 1,311.2614만 Ton으로 전년대비 18.5%의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그 중 수입은 998.0511만 Ton, 수입화물은 313.2103만 Ton을 기록하였다.
3. 국제철도 운영과 시사점
중국정부는 급증하는 국제교역량의 증가와 국가물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통관 과정의 운영효율화, 정보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대통관’정책을 2002년부터 시행함으로써 국경역이나 항만, 공항 등에서 보다 효율적인 통관업무를 추진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또한 광활한 국토의 내륙지역과 인접한 국가와의 교역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국가 간 철도연결노선을 보다 확대하기 위한 국제철도건설계획을 수립하는 등 인접국가와의 국 제철도노선 확대에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 CHINA > 중국이야기+중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적이 많은 채소시장- 항상뒤를 조심 (0) | 2008.05.30 |
---|---|
중국여인의 감동적인 생활(동영상) (0) | 2008.05.25 |
중국지진 자료 사진 (0) | 2008.05.21 |
지진재해지역 이웃을 도웁시다 (0) | 2008.05.21 |
중국지진국소식대변인,강진 절반 이상 중국에 파급 (0) | 2008.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