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중국음악>코너가 링크되었습니다. Since October 10. 2000. 가장 강력한 무기는 축복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그런 것에 기대는 사람이야말로 현자이다. 그들은 전쟁 한번 하지 않고 평화로 싸움에서 이긴다.-노자- ... |
[알림] <중국음악>코너가 링크되었습니다.
Since October 10. 2000
가볍게 승낙하는 것은 반드시 신용이 적고, 쉽다는 것이 많으면 반드시 어려움이 많다.-노자- 가장 완전한 것은 무엇인가 모자란 듯하지만, 그 효용은 다함이 없고, 충만된 것은 텅 빈 것같이 보이지만 그 효용에는 끝이 없다.-노자- 크게 곧은 것은 굽은 것 같고, 가장 뛰어난 기교는 서툴게 보이며, 뛰어난 웅변은 눌변처럼 들린다. 움직이면 추위를 이길 수 있고, 고요히 있으면 더위를 이길 수 있다.-노자- 가장 으뜸가는 처세술은 물의 모양을 본받는 것이다. 강한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물처럼 되어야 한다. -노자- 장애물이 없으면 물은 흐른다. 둑이 가로막으면 물은 멎는다. 둑이 터지면 또 다시 흐른다. -노자- 네모진 그릇에 담으면 네모가 되고 둥근 그릇에 담으면 또 다시 흐른다. 네모진 그릇에 담으면 네모가 되고 둥근 그릇에 담으면 둥글게 된다.-노자- 가장 이상적인 생활 태도는 물과 같은 것이다. 물은 만물에 혜택을 주면서 상대를 거역하지 않고, 사람이 싫어하는 낮은 곳으로 흘러간다. -노자- 강하고 큰 것은 아래에 머물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위에 있게 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천하의 지극히 부드러운 것이 천하의 강한 것을 지배한다.-노자- 강한 군대로는 천하를 다스릴 수 없다.-노자- 강한 인간이 되고 싶다면, 물과 같아야 한다. -노자 - 성인(聖人)은 다투지 않는 까닭에 천하가 그와 맞서 다툴 수 없는 것이다. '구부러지는 것이 온전히 남는다'는 옛말을 믿어라. 진실로 그래야만 사람은 끝까지 온전할 수 있다.-노자- 공을 세운 뒤에는 물러가는 것이 하늘의 길이요, 사람의 도리다.-노자- 공(功)이 이루어지면 그 속에 살 생각을 마라. 공이 이루어지면 몸은 물러나야 한다.-노자- 군대가 강하면 즉 멸망할 것이요, 나무가 단단하면 즉 부러진다.-노자- 금욕은 반드시 습관이 되어야 한다. 금욕을 하면 할수록 덕을 그만큼 쌓게 되고, 덕을 많이 쌓은 사람은 억제치 못할 것이 없게 된다.-노자- 끝을 맺기를 처음과 같이 하면 실패가 없다.-노자- 가르침을 듣지 않는 것보다는 듣는 것이 좋고, 듣는 것보다는 보는 것이 좋고, 보는 것보다는 마음으로 아는 것이 좋다. 그러나 아는 것보다는 실행하는 것이 더욱더 좋다.-순자- 강이나 못이 깊으면 물고기와 자라가 모여들고 산림이 무성하면 새와 짐승이 모여든다. 바른 정치를 행하는 곳에 백성들도 순종하는 것이다.-순자- 강한 재목(材木)은 자기가 원하지도 않아도 기둥으로 쓰이게 되고 약하고 무른 재목은 아무리 좋은 곳에 쓰이기를 원해도 항상 묶여서 땔감으로 된다.-순자- 고기가 썩으면 벌레가 생긴다. 근본이 부서지게 되면 화근이 생기는 것이다.-순자- 고부(孤父, 창의 명산지)에서 만든 날카롭고 좋은 창(戈)으로는 소의 똥을 찌르는 어리석은 짓은 하는 것이 아니다. 귀중한 것을 천한 데에는 쓰지 않는다.-순자- 곧은 나무를 세워서 그 그림자가 굽기를 바라는 것은 될 수가 없는 일이다. 그 한계를 넘어서는 될 수 없는 것을 감히 하려고 해도 그런 일은 불가능한 일이다.-순자- 군자는 사는 곳은 반드시 좋은 환경을 택하고 교유(交遊)하는 사람은 반드시 학덕이 있는 사람을 택해야 한다.-순자- 군자는 사람에게 착하고 좋은 말(言)을 선물하고 일반 사람은 재보(財寶)를 선물한다.-순자- 군자는 자기가 주체가 되어서 다른 물건을 사역하지만 소인은 자기가 오히려 다른 물건 때문에 사역당한다.-순자- 군자는 적어도 일반 사람들이 하기 힘든 특별한 몸가짐을 해서 고귀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또 일반 사람이 말하지 않는 명찰한 논설을 논하고 고귀하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평범한 정상심(正常心)이야말로 가장 고귀한 것이다.-순자- 군주에게 보좌하는 훌륭한 어진 사람이 없는 것은 마치 장님에게 인도하는 사람이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순자- 귀에서 입까지의 거리는 겨우 네 치에 불과하다. 귀로 듣고 곧 입으로 내는 천박한 학문을 구이사촌지학(口耳四寸之學)이라 한다. 그렇게 해서는 칠 척이나 되는 몸 전체를 윤택하게 할 수가 없다. -순자 그 아들의 성품을 잘 알 수 없거든 그 아들의 친구를 보라. 사람은 친구의 감화에 좌우되기 때문이다.-순자- 그 자의 현재의 모습은 교육의 그렇게 만든 것이다. 바른 모습도 잘못된 것도 모두 교육의 결과이다.-순자- 그 처지가 그렇기 때문에 그런 결과로 된 것이다. 사람이란 자기의 설 바를 잘 고려해야 된다.-순자- 근원이 깨끗하고 맑으면 그 흐름도 깨끗하고 맑다. 근원이 흐리고 탁하면 그 흐름도 흐리고 탁하다.-순자- 모든 것은 근본을 바르게 해야 하는 것이다. 위가 바르면 아래는 저절로 바르게 되는 것이다.-순자- 길을 잃고 헤맬 경우 잘 걷는 사람일수록 먼 길을 걷는 헛수고를 하는 법이고, 물에 빠졌을 경우에 돌을 지고 있으면 더더욱 깊이 빠진다.-순자- 길이 가깝다고 해도 가지 않으면 도달하지 못하며, 일이 작다고 해도 행하지 않으면 성취되지 않는다.-순자- 가늘고 작다고 말하는 추호의 끝보다 큰 것도 없고 가장 크다고 말하는 태산도 작은 것이다. 존재는 모두가 상대적인 것이다.-장자- 개가 짖는다고 해서 용하다고 볼 수 없고 사람이 지껄일 수 있다고 해서 영리하다고 볼 수 없다.-장자- 거울이 깨끗하다면 거기에는 때나 먼지 하나 묻지 않는 법이다. 마음을 잘 닦고 깨끗하게 하면 더러운 생각은 깃들이지 않는다.-장자- 눈앞의 이익에 사로잡히게 되면 자기의 참된 처지를 모르게 된다.-장자- 경(敬)과 애(愛)는 모두 효도하는 요소라 생각되고 있으나 그 중에 공경으로써 효도는 하기가 쉽고 애정으로써 하는 효도는 어려운 일이다.-장자- 곧게 자란 나무는 먼저 벌채되고 물맛이 좋은 우물은 먼저 마르게 된다. 쓸모가 있는 것이 오히려 재앙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장자- 과거를 탓하지 않고, 미래를 생각해 안달하지도 않고, 일과 시기에 적절하게 응하여 마음속에 찌꺼기를 남기지 않는다.-장자- 군자의 사귐은 담담함이 물과 같고, 소인의 사귐은 달콤함이 단술과 같다.-장자- 그 지방에 가면 그 지방의 풍습을 따라야 한다. 그것이 자연으로 사는 삶이다.-장자- 사람이란 모두 자기에게 없는 것을 보고는 훌륭하다고 여기기 쉽다.-장자- 가는 자는 쫓지 말며, 오는 자는 막지 말라. -맹자- 결혼은 자손 만대의 시작이다.- 예기- 그릇이 차면 넘치고, 사람이 자만하면 이지러진다. -명심보감- 마음보다 더 잔인한 무기는 없다. -장자- 마음이 어둡고 산란할 때엔 가다듬을 줄 알아야 하고, 마음이 긴장하고 딱딱할 때엔 놓아 버릴 줄 알아야 한다.-채근담- 부귀를 누리는 사람들 주변에는 남들도 모여들고, 빈궁한 사람 곁에는 친척들도 거들떠보지 않는다. -문선- 사람은 명예와 지위의 즐거움은 알면서도, 이름 없고 평범하게 지내는 참다운 즐거움은 알지 못한다. -채근담- 스스로 돌아봐서 잘못이 없다면 천만인이 가로막아도 나는 가리라.- 맹자- 슬프도다! 부모는 나를 낳았기 때문에 평생 고생만 했다. -시경- 아버지는 아들의 덕을 말하지 않고, 아들은 아버지의 허물을 말하지 않아야 한다. -명심보감- 어떤 일을 할 때 소인은 반드시 이득을 얻으려 하지만, 군자는 의를 얻으려 한다. 얻으려 한다는 점은 같으나, 그 기대하는 바가 서로 다른다. -회남자- 얼굴 아는 이는 천하에 가득하되 마음 아는 이는 과연 몇이나 될까. -명심보감- 여러 사람이 우기면 평지에도 숲이 나고, 날개 없이도 날 수 있다. -회남자- 옛 사람들이 함부로 말을 입밖에 내지 않은 것은, 자기의 실천이 말을 따르지 못할까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논어 이인편- 우리들은 죽음의 영역에 가까이 있다. -법구경- 질이 좋지 않은 사람을 가까이 하면 덕을 잃게 되고 기물을 수집하거나 새, 짐승을 즐겨 기르면 심지를 잃게 된다. -시경- 집을 이룰 아이는 인분도 금처럼 아끼고, 집을 망칠 아이는 금도 인분처럼 쓴다. -명심보감- 천금의 구술은 반드시 깊은 여울속에 있다. -장자- 천리나 되는 제방도 땅강아지와 개미가 뚫은 조그만 구멍으로 물이 새어나오고, 백척이나 되는 거목도 조그만 굴뚝에서 새어나오는 연기로 불이 난다. -회남자- 끓는 물을 그치게 하려면 땔나무를 들어내어서 불을 끄는 것이 가장 좋다. -한서- 농사는 천하 사람들이 먹고 사는 양식을 짓는 것이라서 큰 근본이다. -한서- 못 가에서 고기를 부러워하기보다는 물러가서 그물을 맺는 것이 좋다. -한서- 불의한 자의 먹다 남긴 찌꺼기는 개도 돼지도 먹지 않는다. -한서- 돌을 던져서 쥐를 잡으려 해도 그 옆에 있는 그릇이 깨어질 것을 두려워한다. -한서- 범죄자의 죄지은 동기를 추구하여 죄를 정한다. -한서- 새의 날개나 죽지는 비록 가벼우나 새의 몸뚱이를 자유로이 날게 한다. -한서- 신(神)을 속이는 자는 그 재앙이 삼세(三世)에 까지 미친다. -한서- 앞에 가던 수레가 전복한 것은 뒤에 오는 수레에게 경고하는 것이다. -한서- 부(富)하고 귀하게 되어도 고향에 돌아가지 않는다면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걷는 것과 같다.-한서- |
IE 5.0과 1024*768 이상의 해상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Copyright ⓒ 2000-2006 Yahancafe. All rights reserved |
.
'† CHINA > 중국문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어제와 오늘 : 중국정보사이트 (0) | 2007.10.09 |
---|---|
중국의 음식문화 /중국 생활정보 (0) | 2007.08.30 |
중국문화기행(민경삼교수)/ 1~16편 (0) | 2007.08.30 |
중국문화정보망/문화예술종합정보 (0) | 2007.06.30 |
中國文化 > 中國宗教 (0) | 2007.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