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현장 보고서] 중국 기독교 역사
한국에 기독교가 전래된 시기는 일반적으로 17세기초를 정설로 보고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한국에 수용된 것은 천주교로서, 일부 양반과 중인계층의 지식인들이 중심이 되어 중국을 통하여 마테오릿치(Matteo Ricci, 利瑪竇, 1552-1610)의 『천주실의』와 그의 '중국화(본토화)' 선교전략을 계승한 '예수회'의 교리를 수용하게 되었다. 신교는 19세기말에 이르러서야 서양선교사들에 의해 직접 한국에 전해졌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기독교역사는 천주교(구교)와 기독교(신교)를 모두 합쳐서 겨우 400년의 역사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이에 비하여 중국의 기독교는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기독교가 처음 중국에 들어온 것은 635년(당태종 9년)으로, 약 1360여 년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기독교는 당대에 처음 중국에 전래된 이래 몇 차례의 수용과 소멸을 거듭하는데, 통설에 의하면 기독교는 4차례에 걸친 전래가 있었다. 이때 마테오릿치는 선교전략으로써 기독교의 '중국화'를 시도하여 정기적으로 공묘에 가서 제사하고, 입교한 중국인들에게도 예법에 따라 계속 공자와 조상에게 제사지낼 것을 허락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중국 경전 중의 '天'과 '上帝'로서 기독교의 '하나님'을 억지로 비유하였는데, 마테오릿치와 예수회의 이러한 선교방법은 후에 우상숭배 문제로 '전례논쟁'을 일으켜 급기야 중국황제와 교황 사이의 권위의 충돌로까지 발전하였다. 이 충돌은 강희황제로 하여금 1720년에 금교를 결정하게 하고, 옹정제와 건륭제도 그의 뜻을 이어 서양선교사에 대해 엄격한 조치를 취하게 하였는데, 1724년에는 황제의 칙령이 공포되어 천문학자를 제외한 모든 서양선교사들이 추방되었다. 중국대륙에서 만든 성경에서는 '神'자 앞에 반드시 한 칸을 비워둠으로써 유일신 하나님을 강조한다. 이것은 우리 나라에서 공간적인 의미가 강한 하늘에 계신 '하느님' 혹은 하늘을 다스리는 '옥황상제'와 변별하기 위하여 하느님이 아닌 '하나님'으로 번역한 것과 같은 이치이다. '하나님'은 곧 여호와 하나님의 본질인 창조주이며 온 우주를 다스리시는 유일신의 의미를 잘 나타내주는 단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들은 문화교육사업, 의료사업과 출판사업을 복음전하는 주요수단으로 삼아서 선교사역에 훌륭한 효과를 거두었으며, 중국의 전통우상문화를 기독교문화로 바꾸는데도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서구제국주의 열강의 사주를 받은 일부 거짓선교사들이 중국에 들어와 반기독교 행위를 저지름으로써 의화단에 의해 수많은 선교사와 중국의 성도들이 잔혹하게 학살당하였고, 중국정부와 일부 중국인들이 기독교를 배척하고 비판하는 데 빌미를 제공하였다. 신문화운동 기간에는 과학과 민주만을 신봉하는 청년들에게 미신으로 간주되어 1922년 3월에 반기독교운동이 일어났으며, 국민당과 공산당사이의 국공합작 기간인 1924-1927년 동안에는 기독교와 교회가 서구제국주의의 문화적 침략의 도구라는 이름으로 혹독한 공격을 받았다. 중국의 교회들은 자구책으로써 외국선교회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독립적인 교회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래 80년대의 경제개방 이전까지 중국교회는 문화대혁명이라는 대 환난 속에서 삼자교회와 가정교회의 형태로 그 명맥을 간신히 유지하다가, 개방 후 지금까지 꾸준히 주님의 나라를 확장하고 있다. 중국 기독교 역사를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의 중국을 향한 복음화의 계획을 볼 수가 있다. <중국 젊은이들의 성(性) 윤리 현장> 대학 중에서도 특히 북경 제2외국어대학(二外)과 광주외국어대학(廣外)은 이 방면에서 악명(?)이 높은데, 중국인들 사이에는 ‘好女不進二外,好男不進廣外’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그 뜻은 훌륭한 여자는 북경 제2외국어대학에 들어가지 않고, 훌륭한 남자는 광주외국어대학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말로, 그만큼 이 두 대학의 대학생들이 이런 방법으로 돈을 벌고 유학을 간다는 것일 게다.
|
<중국의 "삼자교회">
중국의 교회 하면 떠오르는 것이 '삼자교회(三自敎會)'이다. 그리고 삼자교회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는 성도들일지라도 "삼자교회는 정부의 엄격한 통제하에 운영되기 때문에 복음이 없다"라고 서슴없이 이야기들을 한다. 그러나 그들에게 삼자교회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정확하게 설명해줄 수 있는 사람이란 거의 없다. 심지어 '삼자'가 무엇을 뜻하는지 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국교회는 국민당이 대만으로 쫓겨나고 중국대륙이 공산화된 후, 애국을 주목적으로 삼고 있는 종교조직인 '삼자애국운동위원회(三自愛國運動委員會)'가 1954년 조직되면서 중국정부의 완전한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다. 중국인민공화국이 성립되면서 중국정부는 기독교와 교회가 서구자본주의의 침략도구로 사용되었음을 이유로 들어 중국내의 교회들을 외국 기독교 선교단체 혹은 외국 교회조직들과 분리시키는 종교정책을 단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정부는 중국의 자유주의적 기독교지도자들을 앞세워 '삼자개혁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삼자(三自)'는 바로 '자치(自治), 자양(自養), 자전(自傳)'을 의미하고 있다. 당시 중국내의 모든 교회들은 공산당에 대한 지지와 애국심의 증거로써 삼자애국운동위원회에 가입할 것을 강요받았으며, 거부하는 기독교인들은 반혁명분자로 분리되어 심한 핍박을 받아야 했다. 1958년에 이르러 거의 모든 중국교회가 정부의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다. 삼자애국운동에 대해 지지를 선언한 교회지도자들조차도 자신들이 착취계급에 속한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고 6개월간의 정치학습과 노동을 통하여 정신개조를 받아야 했다. '삼자교회'는 삼자애국운동위원회에 소속된 정부가 공인한 '공인교회(Open Church)'이며, 종교사무국과 삼자애국운동위원회를 통해 중국정부의 엄격한 통제를 받고 있다. 현재 중국에는 또 '삼자교회'에 대한 상대적인 의미에 해당하는 '가정교회'가 있는데, 가정교회는 정부에 의해 공인 받지 못한 그야말로 정부의 감시를 피하여 불법으로 개인가정을 중심으로 예배를 드리는 '지하교회'인 것이다. 문화대혁명의 10년(1966-1976)기간은 이렇게 정부의 통제를 받는 삼자교회 조차도 미쳐 날뛰는 어린 홍위병들의 공격을 피하지 못하였는데, 삼자애국운동위원회 지도자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이 체포되어 구타를 당했고 강제노동수용소로 보내졌으며, 심지어 맞아죽기도 하였다. 이 기간동안 중국에는 사실상 교회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1979년 중국공산당은 경제원조를 서구로부터 얻어내기 위한 일종의 유화정책으로 종교를 부분적으로 인정함으로써, 삼자교회들이 다시 문을 열게 되었다. 이로부터 삼자애국운동위원회는 1986년까지 2년 과정의 지방신학교 9개와 4년 과정의 남경신학교를 설립하였으며, 매년 약 각25,000권의 성경책과 찬송가를 배포하였다. 지방정부도 이전의 교회건물들을 지역의 삼자교회 지도자들에게 되돌려 주었다. '삼자교회'에 소속된 지도자들과 그 교회에 다니는 기독교인들은 다양한 성격을 띄고 있는데, 대략 여섯 가지로 분류해 볼 수가 있다. 첫째, 삼자애국운동위원회 관리들이다. 이들은 당에서 임명된 간부들로서 교회업무를 통제하고 정부의 종교정책과 반대되는 이들을 색출하며 당국에서 필요로 하는 종교정보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거의 철저하게 당에 충성하는 자들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복음보다 당의 이익을 우선하는 거짓 선지자들이다. 이들은 기독교의 옷을 입고 당에 충성하고 봉사하는 가짜 목회자들이라고 볼 수가 있다.
셋째, 복음주의적 목회자들이다. 이들은 가슴속에는 복음을 품고 있고 복음전파를 갈망하면서 주님의 때를 기다리며 양떼를 돌보는 목회자들이다. 이들은 가정교회의 형태로 신앙의 양심을 지키려는 교회지도자들과는 달리 정부와 직접 대립하지 않고 그들의 통제를 받는 척 하면서 교회를 지키고 기도로 양들을 돌보는 신앙인들이다.
넷째, 믿음 없이 그저 교회만 왔다갔다하는 사람들로서 대부분 하나님께 복을 구하는 '기복신앙'의 형태를 띄고 있다.
다섯째, 호기심으로 혹은 구경 삼아 교회를 다니는 사람들로서, 겨울을 제외한 봄, 여름, 가을에 삼자교회를 가보면 예배에도 참석하지 않고 밖에서 돌아다니거나 둘이서 혹은 셋이서 앉아 잡담을 즐기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이 거의 이 부류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복음을 깨닫고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아가려는 참 신앙인들이다. 하나님께서는 밤나무, 상수리나무가 베임을 당하여도 그 그루터기는 남아 있는 것 같이, 시대 시대마다 이 땅에 언약의 백성인 그루터기를 남기실 것을 약속하셨다. 천년이 넘는 긴 세월의 중세교회 암흑시대에도 하나님께서는 숨겨놓으셨던 그루터기들을 통하여 그 약속의 말씀을 성취하셨다. 지금 이 중국 땅에도, 말씀이 메말라 있는 '삼자교회'에도 그루터기는 남아있고 또 하나님께서 친히 그들을 인도하시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통하여 중국복음화를 이루어 나가실 것이다. <예은> |
'† CHINA > 중국선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선교/베이징 올림픽 앞두고 외국인 선교사 대대적 추방 (0) | 2007.09.27 |
---|---|
중국선교의 산 역사 - 방지일 목사님 (0) | 2007.09.27 |
중국 베이징 올림픽 과 중국선교의 함수관계 (0) | 2007.09.06 |
중국: 2006 연례 종교 박해 보고서가 나오다 (0) | 2007.09.01 |
중국의 종교/중국문화의 역사기행 (0) | 2007.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