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3성과 랴오닝(遼寧)성에 가장 많이 분포하여 있으며,

그 외에도 북경(北京),천진(天津),신장(新疆), 상해(上海),

성도(成都), 광주(廣州), 은천(銀川),서안(西安)등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두루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넓게 분산했지만

 또 작게 모여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 5개의 만족자치현과 약간의 만족마을이 있다.

* 인 구 : 9.846.776(1990)

* 언어와문자 : 만語(알타이어系 만-통구스어族).

1599년 누얼하치에 의해 몽고문자를 이용한 "만"문자가

만들어졌으나, 한족과 동화되면서 약간의 단어와 몇

마디말 외에는 모두 소멸되었다.


* 종 교 : 만족은 처음부터 다신교인 샤머니즘을 믿었었고,

지금까지도 민간에서는 샤머니즘을 신봉하고 있다.

* 의식주 : 만족은 원래 농업과 수렵, 채집 등 여러 가지 생활방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생활도 오곡을 비롯해 돼지고기와 각종 야채등 많은 부식들과 간식꺼리가 있다.

그리고 남녀 할 것 없이 술과 담배를 즐긴다.


만랴오닝(遼寧), 길림(吉林),흑룡강(黑龍江)에

 주로 위치하고 있고, 그 외에도 북경(北京),천진(天津),

신장(新疆),상해(上海), 성도(成都), 광주(廣州),

서안(西安),제남(濟南),항주(杭州)등의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분산되어 있다. 그래도 길림성의 연변 조선족

자치구가 중국 조선족의 주요 집거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 인 구 : 1,923,361(1990)

* 언어와 문자 : 거의 모든 조선족이 조선어를 사용한다.



* 종 교 :
대표적인 하나의 종교는 없고, 토테미즘과 조상숭배부터 유교,도교,불교로 변해왔고,

 현재는 기독교와 천주교의 신도가 가장 많다.

* 기 타 : 다른 민족에 비해 문화,교육,위생의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인해 자부심이 대단하며,

조선어의 출판이나 신문, 잡지, 방송등 활동이 활발하다.


중국 동북지방의 유구한 역사를 가진 민족중의 하나로 흑룡강(黑龍江)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4,254(1990). 중국의 민족중에 인구가 가장 적은 민족이다.

* 언어와 문자 : 허저語

(알타이어系 만-퉁구스어族 만어支 ). 문자는 없다.


* 종 교 : 샤머니즘. 그러나 현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 기 타 : 허저족은 어렵을 주로 하는 민족으로 주식도 생선이고,

가장 특색있는 것으로는 생선의 비늘로 만든 옷이다. 생선비늘로 상의 뿐 아니라

 바지와 혁대와 주머니 등등을 만드는데 보온효과와 방수뿐 아니라 무척 아름답다.

 지금도 소수의 허저족이 이 옷을 만든다.


흑룡강(黑龍江)과 내몽고(內蒙古),신장(新疆)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21,463(1990)

* 언어와 문자 : 다우얼語

(알타이어系 몽고어族). 문자는 없다. 대부분이 중국어를 사용하고 소수가 몽고 문자나 하사커 문자를 사용한다.


* 종 교 : 샤머니즘으로 자연숭배와 토테미즘, 조상숭배를 한다.

그리고 소수의 라마교가 있다.

* 기 타 : 達斡爾(다우얼)'의 이전 명칭인 '達胡爾(다후얼)'이란 단어가

 최초로 등장한 것은 원나라 때인데 그후 '達呼爾(다후얼)', '達古爾(다구얼)', '達糊里(달후리)'

등으로 음역되어 중국의 각종 문헌에 등장한다.

 이들은 언어, 혈통, 습관 등으로 보아 遼(요)나라 때의 契丹(거란)족의 후예로 판명되고 있다.

다우얼족의 마을은 보통 산의 경사면을 따라 개울을 향하여 건축되어 있으며

가옥들은 가느다란 가지들을 엮어서 만든 담으로 둘러 쌓인 마당을 가지고 있다.

 집들은 대부분 벽돌로 지어졌으며 초가집도 있다.

전통적인 체육활동으로는 필드하키, 말타기, 활쏘기 등이 있다.

 그 중 필드하키는 가장 유명하여,다우얼족이 있는 지방을 '필드하키의 고향'이라고도 부른다.


내몽고(內蒙古)자치구와 흑룡강(흑룡강)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어원커"는 퉁구스어로 '산림중에 사는 사람들' 로서 스스로 붙힌 이름이다.


* 인 구 : 26,379(1990)

* 언어와 문자 : 어원커語

 (알타이어계, 만-퉁그스어족), 본민족 스스로의 문자는

없다. 세가지 방언을 갖고 있다.


* 기 타 : 투수렵과목축을 위주로 생활하고 있으며,

각종 야생동물의 가죽을 팔아 생활하고 있다.


중국 동북 흑룡강 부근 산림에 거주하고 있다.

"어룬춘"은 자칭으로서 그 의미는

두가지의 해석이 있는데 첫 번째는

 '순록을 타는 사람들' 이고 둘째는 '산꼭대기에사는

사람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두 번째의 견해를지지하는 편이다.



* 인 구 : 7.004(1990)

* 종 교 : 샤머니즘, 각종 자연물을 숭배하며

모든 만물에 혼이 있다는 것을 믿고 있다.


* 언어와 문자 :
스스로의 언어가 있으나 문자는 없다

. 언어는 알타이어계 , 만-퉁그스어족에 속한다. 문자는 일반적으로 한문이 통용되고 있다.

* 기 타 : 어룬춘족의 주요 교통수단은 말이며, 수렵과 목축을 위주로 살고 있다.

노래와 춤을 즐기는 민족이며,그들은 고기를 먹고 가죽옷을 입을 뿐 아니라

 과거에는 수렵문화로 인해 창조된 '신인주'라는 곳에 거주하였다.

그것은 우산과 비슷한 형식으로 펼치는 주택으로 겨울에는 짐승의 털을 덮어 보온을 했다.

그러나 1953년에 와서 정착생활을 하게 되면서 이와 같은 주택은 점점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l
 

광서장족자치구에 살고 있다.

* 인 구 : 15.555.820(1990)



* 언어와 문자 : 쭈앙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남송때부터 한자비슷한 '투수'문자가 있었는데,

사용 범위가 넓지 않아 1955년에 중국이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만들었고,

 1982년에 개정을 한 바 있다.

 그 후로 신문과 잡지, 책등의 출판이 활발해지고,

이 문자로 교과서도 만들었다.


* 종 교 : 자연 숭배를 했었는데 당송때 도교와 불교가 전파되었고,

근대에 와서는 기독교와 천주교의 교회가 세워졌다.

 그러나 많이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 기 타 :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그래서 그 사는 지역에 따라 20여종의 명칭으로 불리우던 것이

 중국정부 수립후 "똥족(潼族)"으로 통일되었다.

그후 1965년 주은래(周恩來)총리의 제창과 국무원의 비준을 얻어

"쭈앙족(壯族)"으로 개칭되었다.

�족은 중국 고대 월(越)나라 민족의 한 지파가 발전해 내려 온 것으로.

당,송대에 이르러서는 리랴오(俚僚) 라고 불리웠으며,

 주, 현을 견제하는 기구를 두어 쭈앙족을 통치하였다.

원, 명, 청대의 중앙왕조시대에 이르러서는 쭈앙족지구에 토관제도(土官制度)를 설치하여

 토관(그 민족 출신의 관리)들에게 각종특권을

주어 정치, 경제의 통치를 결합시키므로써 쭈앙족지구의 통치를 강화하고

봉건영주제 사회를 장기간 보존토록 하였다.


광서,운남, 광동,귀주등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2.137.033(1990)



* 언어와 문자 : 야오어(漢藏語系 묘요어족).

지역에 따른 방언의 차이가 너무 커서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다. 문자는 없고, 한문을 쓴다.


* 종 교 : 조상숭배,도교. 장례등의 행사들을 모두

도교식으로 할 정도로 도교의 영향이 크다.

* 기 타 : 미아오족,셔족과 언어가 비슷하고 전설이

비슷하여 같은 조상이라는 주장이 강하다.


광서의 북부에 있는 산에 사는 민족이다.

* 인 구 : 160.648(1990)

 

* 언어와 문자 : 무라오어

(漢藏語系 장동어족). 대부분 사람이 한어를 한다.


* 종 교 : 자연숭배.다신교.불교 사원도 많은 편인데

실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종교는 도교이다.

* 기 타 : 한나라때부터 한족의 영향을 받아 성을 부르기 시작했다.

남녀노소 할 것없이 청색 옷을 좋아 한다.


광서의 북부에 살고 있다.

* 인 구 : 72.370(1990)

 

* 언어와 문자 : 마오난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문자는 없다.

 


* 종 교 : 자연숭배와 도교를 믿는다.


* 기 타 : 마오난'은 원래의 발음은 '아난'이라고 하는데, 이것은'이 땅의 사람'이란 뜻이다.


광서의 남부에 살고 있다.

1958년에 정식으로 명칭을 '징'이라고 붙였다.

* 인 구 : 18.749(1990)

* 언어와 문자 : 징어


* 종 교 : 조상숭배, 다신교.



* 기 타 : 징족은 15세기 이후로 월남에서 넘어온 민족이다. 바닷가에 살아서

 어업과 농업을 주로 하고 있다.


후남과 사천에 살고 있다.


* 인 구 : 5.725.049(1990)

* 언어와 문자 : 옛날부터 투지아어와 한어를 겸용해서 썼으며,

세월이 갈수록 점점 한어를 쓰는 사람들이 많아 졌다.

 결국 오늘에 와서는 90%이상이 한어를 사용한다.



* 종 교 : 조상숭배


* 기 타 : 투지아족은 고대 후남에 살고 있는 원주민과

한족의 융합으로 생겨난 민족이다. 최근 그쪽에서 신석기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해남도에 주로 살고 있다.


* 인 구 : 1.112.498(1990)

* 언어와 문자 : 리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문자는 없다.

* 종 교 : 조상숭배


* 기 타 : 해남도를 가장 먼저 개발한 민족이 리족의 조상이며,

해남도에서는 신석기의 문화 유적이 130곳이나 발견되었다.


90% 정도가 복건,저장,광동등에 살고 있다.


* 인 구 : 634.700(1990)

* 언어와 문자 : 셔어(한장어계).

언어를 두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의 방언은 0.4%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고,

 다른 방언은 99%의 사람이 사용하는 것으로

 한어의 일종이다. 문자는 없다.

* 종 교 : 자연숭배


대만에 살고 있는 민족으로 전 대만 인구의 2%를 차지하고 있다.



* 인 구 : 2.877(1990)

* 언어와 문자 : 까오산어

(남도어계 인도네시아어족) 문자는 없다.

* 종 교 : 정령숭배, 자연숭배등

* 기 타 : 까오산족은 언어와 사는 지역 문화의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명칭으로 불리운다.


출처 : 中國 北京  |  글쓴이 : ~♡vivian♡~ 원글보기
나시족 - 천년의 성읍 리장을 중심으로 모여사는 민족
누족 - 밧줄을 타고 강을 건너요
따이족 - 물을 껴얹으면서 축복을 비는 민족
더앙족 - 차 마시기를 좋아하는 민족
두롱족 - 중국 최후의 원시사회
라후족 - 활쏘기의 명수들
리쑤족 - 기독교가 변화시킨 민족
먀오족 - 천사의 목소리로 노래하는 민족
만족 - 청나라의 정기를 일으킨 민족
몽골족 - 징기스칸의 말발굽으로 초원 위를 달리는 민족
모쑤어족 - 중국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모계사회
바이족 - 산 위의 바다에서 노젓는 뱃사공
야오족 - 북을 두드리며 신나게 춤을 춰요
웨이우얼족 - 양손을 가슴에 대며 "쌀라마리쿤!"
이족 - 횃불을 들고 밤을 밝히는 민족
장족 - 티베트 고원에서 꿈을 키우는 민족
조선족 - 한 핏줄, 한 형제의 내 동포
지눠족 - 나무북에서 나온 민족
투쟈족 - 외삼촌이 승락해야 결혼을 할 수 있어요
하니족 - 아버지 이름의 끝글자가 내 이름의 첫글자
허져족 -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민족
후이족 - 이슬람교를 중심으로 사는 민족

-=- 그 외 -=-

까오샨(高山) 2,877 꺼라오(GeLao) 438,191
나시(納西) 277,750 누(怒) 27,190
따워얼(達斡爾) 121,463 따이(Dai) 1,025,402
더앙(德昻) 15,461 동(Dong) 2,508,624
동샹(東鄕) 373,669 두롱(獨龍) 5,825
라후(拉祜) 411,545 뤄빠(珞巴) 2,322
리쑤(LiSu) 574,589 리(黎) 1,112,498
마오난(毛南) 72,370 먀오(苗) 7,383,622
만(滿) 9,846,996 먼빠(門巴) 7,498
멍구(蒙古) 4,802,407 무라오(MuLao) 160,648
바오안(保安) 11,683 바이(白) 1,598,052
뿌랑(布朗) 82,398 뿌이(布依) 2,548,294
셔(She) 634,700 싸라(撒拉) 87,546
쉐이(水) 347,116 시보(錫伯) 172,932
아창(阿昌) 27,718 야오(瑤) 2137,033
어룬츈(鄂倫春) 7,004 어뤄쓰(餓羅斯) 13,500
어원커(鄂溫克) 26,379 와(Wa) 351,980
우즈베커(烏孜別克) 14,763 위구(裕固) 12,993
웨이우얼(維吾爾) 7,207,024 이(YI) 6,578,524
장(藏;티베트) 4,593,072 조선(朝鮮) 1,923,361
쥬왕(壯) 15,555,820 지눠(基諾) 18,022
징(京) 18,749 징포(景頗) 119,276
챵(羌) 198,303 커얼커즈(柯爾克孜) 143,537
타지커(塔吉克) 33,223 타타얼(塔塔爾) 5,064
투(土) 192,568 투쟈(土家) 5,725,049
푸미(普米) 29,721 하니(哈尼) 1,254,800
하사커(哈薩克) 1,110,758 허져(赫哲) 4,254
후이(回) 8,812,001 * 참고: 中國統計年監, 1990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