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선교를 위한 제언
1. 오늘날 중국의 종교 현황
1949년 10월 중국 공산 정권 수립 이후 공산당 통계에 의하면 당시 중국 천주교 교인은 약 200만 명, 140 개 교구에 수도회(修道會)가 있었고 성당은 15,000여 곳이었다. 기독교 신자는 약 100만 명, 70여 교파, 교회당은 20,000여 곳이었다고 한다. 오늘날 중국의 종교인구는 2000년 국제선교단체 WEC 의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중국 5 대 종교 현황
종 교
조 직
장 소
신 도 수
불 교
중국 불교협회
9,500 여개 사찰
약 1억500만명
도교 등 전래종교
중국 도교협회
600 여개 도원
약 3억 6천만명
기독교
중국 기독교협회
中國基督敎 三自愛國運動委員會
8,000 여개 교회
약 9천100만명
천주교
중국 천주교 애국회
中國 天主敎 敎主敎團
4,000 여개 성당
약 4천 600만명
이슬람교
중국 이슬람교 협회
26,000 여개 사원
약 2천500만명
2。중국인들의 종교관
① 유물사관(唯物史觀) 에 의한 무신론(無神論) : 유물론적 세계관이 기준이 되어 물질만이 존재하며 이외의 것은 모두 부
정 된다. 중국 공산당은 종교를 미신, 봉건주의의 잔재 또는 인민의 아편으로 규정하고 부정하고 있으며, 무신론자(無神論者)
만이 공산당에 입당할 수 있다
② 중국인은 매우 현실적이다.(現實主義) : 전통적으로 중국인들은 매우 현실적으로 내세(來世) 보다는 현세(現世) 를 중시 한다. 중국인들의 종교적인 관심은 철학이나 수도적인 생활보다는 세속적인 기복(祈福) 경향이 강하다. 중국인의 민간 신앙
중 재신(財神)이 특히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③ 미신 (迷信 ) 적인 요소가 많다.: 중국인들에게는 샤머니즘, 애니미즘 등 민간신앙의 다신(多神)적인 요소와 조상 숭배 등
여러 미신적인 색채가 강하다. 특히 중국인들은 과거 인물에 대한 조상 숭배가 강한데 이것은 살아서 공덕을 쌓고 죽으면
신 (神) 이 될 수 있고 또 죽은 자의 영혼이 인간에게 복과 재앙을 줄 수 있는 힘이 강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죽은자 의 영혼을 위로하고 달래어 행복하게 해주어야 많은 복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삼국지의 관우(關羽) 가 죽어 재앙과 악
귀를 물리치는 신이 되었고 모택동과 주은래 또한 죽어 신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근래 사망한 등소평도 많은 공덕을 쌓았기 에 신의 범주에 들었다고 한다. 이러한 미신적인 요소는 제사․점복․주술․부적 등과 함께 결합되어 나타나는데 오늘날 중국 현
지에서 가면 차 앞에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모택동과 주은래 사진을 붙인 것을 쉽게 발견 할 수 있다.
3. 중국의 종교정책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종교는 원천적으로 불가한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중국은 개혁 개방의 조류와 함께 국제사회에서의 위치 소수민족 우대정책과 국제적인 경제 협력을 위해 독특한 종교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1982년 12월 신헌법 제 36조에 종교의 신앙자유를 보장하고 공개적인 종교 활동을 허용하고 있으며 오늘날 중국에서 발간된 「중국의 종교신앙 자유 상황」이라는 백서에 의하면 “ 중국은 종교의 자유가 허락된 다종교(多宗敎)국가로 중국 인민은 자유롭게 자신의 신앙을 선택하고 표현 할 수 있으며 종교 신분을 표명 할 수 있다” 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의 법과 종교 정책은 신앙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형식적인 것으로 실제적으로는 여전히 공산당의 엄격한 감시와 통제를 받고 있다.
① 종교에 대한 국가의 통제
중국에서는 종교와 국가가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은 법적으로 종교에 대한 자유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철저히 국가의 통제 범위 안에서만 인정되고 있고 공산당은 종교적인 신앙보다는 사회주의의 달성에 그 목표를 두고 종교가 갖는 사회적 역할과 실용적인 면에서만 그 가치를 따지고 있다. 종교를 통일전선 사업의 일부로 간주하여 당과 정부의 노선과 현대화 사업에 협력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럴 때만이 종교의 존립의미가 있고, 또 존재가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종교 적 업무에 대한 공산당의 장악과 통제는 공식화 제도화 되어있다.
② 마르크스․ 레닌주의․ 모택동 사상의 견지
“종교는 자본가들의 착취에 저항하려는 인민들의 의지를 둔화시키기 위해 제국주의가 제공하는 아편이다.” 라고 하는 마르크스의 반종교적 사상을 수용하고 있다. 공산당은 종교를 근대화 발전의 장애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공산당은 정치적이며 이념적인 모순과 같은 일차적이고 적대적인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먼저 비적대적이고 이차적인 모순인 종교 등과 연합하였다. 마르크스의 모순론에 의하면 일차적인 모순이 해결되면 그때 폭력과 격리적인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종교의 영향력을 감소하여 이차적인 모순도 해결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공산당이 종교를 형식적이나마 허용하는 것도 바로 이와 같이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정치적인 연맹으로 이후 사회주의가 성립되면 종교는 마땅히 사라져야 미신적인 존재인 것이다.
③ 삼정 정책 (三定政策) : 중국공산당은 1982년 3월 종교정책관련 제19호 문건을 작성 이후 오늘날까지 종교정책의
근간으로 작용하는데 이것을 소위 3정 (三定) 정책이라 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기독교인은 오직 삼자애국운동에 지정된 교회에서만 예배할 수 있다.
● 오직 삼자애국운동에 의해 지정된 성직자들만이 설교할 수 있다.
● 오직 지정된 장소에서만 종교활동을 할 수 있다.
4. 중국의 종교관할 기관
① 국가 종교사무국 (國家 宗敎事務局)
국무원의 직속기관으로 98년 제9기 전인대에서 종교사무국에서 개칭되었다. 종교와 관련된 모든 업무와 활동을 관장하고 있다. 간부와 직원은 모두 공산당원으로 무신론자들이며 종교신앙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다수이다.
이들의 주요 업무는 종교분야에서 당의 노선과 지시를 수행하고, 또 당의 지시에 의해 종교활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② 당 중앙 통일선전부(黨中央 統一 宣傳部)
중국의 영토통일과 사상 면에서 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전담 업무기관이다.
2. 오늘날 중국의 기독교 현황
중국교회는 크게 삼자교회(三自敎會)와 가정교회(家庭敎會)로 이루어진다.
① 삼자교회 (三自敎會 sn zì jio huì 싼 쯔 지아오 훼이) : 삼자(三自)는 자치(自治 zì zhì), 자양(自養 zì yng), 자전(自傳 zì chun) 3가지 원칙을 말하는데 원래 20세기 초 외국선교사들이 중국 교회의 토착화와 자립을 목표로 내세웠던 슬로건이었다. 오늘날 삼자교회(三自敎會)는 중국 공산정권이 수립된 이후 중국 공산당 지도 하에서 1954년 형성된 중국 기독교 삼자애국 운동위원회(中國基督敎 三自愛國 運動委員會)에 등록 가입한 교회를 말한다. 이 조직은 중국 공산당의 정치적 이용물로 전락되어 문화혁명 당시 교회를 탄압하고 개조하는 도구로 이용되고 정치적 탄압에 의해 명맥만 유지하다가 문혁이 종결이후 1980년에 삼자조직(三自組織 sn zì zǔ zhī 싼 쯔 쭈 °즈)으로 다시 조직되면서 부활하였다.
현재 삼자교회는 정부의 관할 아래에 있고 인사권, 섭외권, 헌금관리 등의 권한이 종교국과 삼자조직이 가지고 있다. 1991년 통계에 의하면 중국 전역에 6천여 개의 교회가 있어 현재는 약 1만여 개의 교회와 삼자 측이 관리하는 2만 여곳의 집회소가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 삼자교회가 운영하는 신학교는 1981년 2월 남경(南京)의 금릉협화신학원을 필두로 현재 중국전역에 13개의 신학원과 4개의 성경학교가 있다.
② 가정교회 (家庭敎會 ji tíng jio huì 지아 팅 지아오 훼이) : 가정교회는 중국 공산당 정권수립 이후 당과 정부의 정치적 통제로부터 순순한 신앙을 지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형성되어 가정중심으로 비밀리에 모여 예배드리는 교회의 형태이다. 이는 다시 공개적 가정교회, 반공개적 가정교회, 비공개적 가정교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삼자교회는 정부의 정책을 우선 시 한다는 점과, 가정교회는 체계적인 교리부족, 정규적인 신학훈련을 받은 지도자가 부족한 점등을 가지고 서로 대립하는 면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께서는 중국에서 두 교회 모두를 통해서 일을 해 나가고 계시고 역사하고 계신다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 최근에는 서로에 대해 인정하고 비공식적인 교류를 통해 협력의 길을 모색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삼자교회나 가정교회 모두 훈련된 지도자의 부족이 당면과제이고 특히 삼자교회는 신학교의 자유주의 신학화, 가정교회는 이단이 침투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중국의 교회정책
① 중국이 오늘날 부분적으로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는 것은 경제개발에 필요한 서방의 외화 유치를 위한 회유정책의 일환이다. 중국은 종교활동의 자유를 허용하고 개방의 폭을 확대하면서 동시에 기독교에 대한 억압과 박해를 가중시키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종교에 완화정책을 표방하지만 법륜공의 불법화 이후 기독교도 같은 범주에 포함시켜 많은 교회와 교인들을 구속, 감금시켜 박해를 가하고 있다. 많은 선교사들이 감금되고 강제 추방되는 사례가 증가되는 것이 오늘날 중국 교회의 현실이다.
② 중국인에 의한 중국 교회의 건설을 표방하며 외부인에 의한 기독교 선교는 철저히 금지한다. 다만 물질 제공은 애덕기금위원회 (Amity Foundation)를 통하여 창고를 일원화하고 교회 기구는 삼자애국운동과 관계를 수립하는 정도만 허용한다. 중국 교회와 유대관계를 맺을 때 법적으로 삼자교회만이 인정되며 가정교회는 불법으로 간주된다.
③ 중국의 교회정책은 집중화를 통한 통제의 효율성이다. 예배는 오직 공산당이 지정한 장소에서만 허용되고 군사요원, 공산당원, 18세 이하의 미성년자에게는 금지되어 있다. 하나의 교회만 허용되기에 교단 명칭의 사용은 금지된다. 공산당이 교회의 인사와 재정을 관장하며 신도들의 헌금액수도 당에 신고해야 한다.
한중 기독교 교류화를 통해 본 중국교회 현황 기독신문 2005/01/26
한국과 중국 교회간 공식적 교류의 문호를 연 한중기독교류회 제2차 대회에서는 중국 종교관계자들의 입을 통해 중국 교회 관련 현황 보고와 종교정책이 소개됐다. 종교통계에서부터 여성사역까지 중국 교회 현황의 이모저모를 요약 소개한다.
종교 개황 :
중국은 공산당이 승인한 5개의 종교 (불교 도교 이슬람교 천주교 기독교)에 8500개의 등록 모임과 30만 명의 종교인원을 포함해 1억명 가량의 신자가 있다. 기독교는 1600만 명의 성도가 있다. 개혁개방 이후 20년 간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천주교는 500만명, 불교와 도교는 정확한 통계를 잡지 못하고 있으며 이슬람교는 20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서구선교단체의 유력한 통계인 <세계기도정보〉의 기독교 인구만 1억 명 추산에 대해 왕작안 중국 국무원 부국장은 우리 정부도 정확한 통계를 내지 못하고 있는데 서구교회가 이런 통계를 내는 것을 신뢰할 수 없고 과장된 것 이라고 잘라 말했다.
법제화 움직임 :
중국 정부는 종교관련 법을 정비하고 각종 연구와 조사활동 등을 통해 중앙 차원의 통제를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1990년 국무원에서 종교법을 발표했으며 현재 중앙에서 2개, 지방에서 55개의 종교법이 입안되어 제정 검토되고 있다. 중국정부는 각 성의 종교정책이 1990년의 국무원 발표 종교법과 사회주의 정책을 위반해서는 안된다는 방침을 전달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전통적으로 사회주의 사상에 입각해 종교에는 반동, 우매, 낙후성이 있다는 종교의 다섯 성격설을 찬성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화와 시장경제 도입 등의 상황변화에 따라 정부가 종교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 종교법을 속속 만들고 있는 것이다. 향후 10년간 종교의 법제화는 계속 진행될 전망이다.
가정 교회 불인정 : 중국 교회의 공식기구는 중국 기독교 삼자 애국운동위원회와 중국기독교협회다.
양 기관은 국무원 종교국과 긴밀한 관계 아래 중국 정부의 종교시책에 어긋나지 않게 신도의 신앙생활을 지도하고 있다. 정부 기관인 국무원 종교국은 크게 세가지 일을 하는데 첫째 정부 종교정책 전달, 둘째 종교단체간 이견 조율, 셋째 종교관련 행사 등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 교회란 인정하지 않고 이는 다만 외국 교회의 편법 인정일 뿐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정부는 등록교회와 비등록교회로만 교회를 분류하고 있다. 또 등록교회가 삼자 교회라는 개념도 기피하고 있다. 삼자애국운동위원회는 등록교회들의 애국적 자치 조직이지 정부와 관련이 없이 설립됐다는 것을 부각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국 교회의 등록 조건은 합법적 경제조달, 일정한 규정, 목회자, 활동의 장소가 있으면 가능하다.
이단 현황 :
중국 교회는 이단에 대해 사형까지 처하는 등 강력한 제재를 취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이단은 중국 공산당과 인민정부를 반대하는 반국가단체로 생각한다. 정부는 부름받은 왕의 두목 오양명을 강간죄로 사형에 처하는 등 물리적인 제재와 더불어, 목회자훈련과 평신도교육을 통한 내성을 기르는 일도 병행하고 있다. 중국의 이단은 호함파, 영영교, 부름받은왕, 제자회, 모든 물건 통용파, 중생파(우는 파), 동방번개파 등이
| ||||||
|
|
셰모산(謝模善). 올해 83세, 상하이(上海) 사람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7년 만인 1956년 5월 28일 밤 공안원들에게 끌려가 감옥에 들어갔다가 21년 만인 1977년에 풀려났다. 그는 감옥에서 “마오쩌둥(毛澤東) 주석은 나중에 천당에 갈 수 있느냐”는 심문을 받고 “천당의 문은 열려 있다”고 대답했다. 그의 손목에는 쇠갈고리가 꽂혔다. 그는 요즘 상하이 집에 교회를 열어 기독교를 전파하고 있다.
위안샹천(袁相沈). 올해 94세인 위안 노인은 헤이룽장성(黑龍江省)의 중·러 국경지대 감옥에서 21년 8개월간 ‘라오가이(勞改·노동개조)’를 당했다. 그는 “수많은 기독교도들이 헤이룽장의 감옥에서 얼어 죽었다”고 증언했다. 위안 노인은 출옥 후 아흔이 넘은 나이에도 여름이면 베이징(北京) 근처의 강에서 기독교도들에게 세례를 주는 행사를 주관하고 있다.
이바푸(以巴弗) 노인은 닝샤(寧夏) 회족자치구에 사는 기독교도였다. 그는 1966년에 시작된 문화혁명 기간 중에 마오쩌둥 주석을 찬양하는 구호를 외치는 것도 거부하고, 찬양 노래 부르는 것도 거절하다가 체포됐고, 1989년에 풀려났다. 노인은 출옥 후에도 감옥 담장 근처에 주거를 정하고 竪떡낯?전파하다가 2002년 12월 사망했다. DVD에는 이 노인이 살아있을 때 “당국은 날 보고 회개하라고 했지만 나는 결국 회개를 하지 않았다”고 웃으면서 증언하는 모습을 담아놓았다.
DVD는 이들은 겨우 살아남은 사람들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1949년 이후 감옥에서 수많은 기독교들이 사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시 기독교인들의 숫자는 70만명 정도였으나, 그로부터 50여년이 지난 현재 기독교도들의 숫자는 100배로 불어난 7000만명에 달한다”고 주장한다. 사회주의가 무너지면서 기독교가 어느새 중국사회의 저류(底流)에 자리잡았다고도 한다.
중국 당국이 기독교도들을 체포하고 처벌하는 법적 근거는 ‘삼자(三自) 원칙’이라는 것이다. 교회 조직을 외국과 연락하지 말고 자체적으로 만들 것이며(자치·自治), 경제적으로 독립하고(자양·自養), 외국 선교사들의 전도를 허용하지 않는다(자전·自傳)는 것이다. 셰모산, 위안샹천, 이바푸 세 사람을 비롯한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모두 이 삼자원칙을 위반했다고 해서 체포당해 투옥돼 왔다.
명(明)과 청(淸)대에 중국으로 전파된 기독교는, 1900년생인 왕밍다오(王明道) 등 선교사들이 1949년 중국정부 수립을 전후해 순교함으로써 그 흐름이 끊어진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 DVD는 중화인민공화국 57년을 거치면서도 중국사회에는 삼자원칙을 지키는 ‘관방(官方) 기독교’가 아닌 또 다른 기독교가 살아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 |||||||||||||||
|
'† CHINA > 중국선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어 기독교방송 / Taiwan GOOD (0) | 2008.03.24 |
---|---|
중국 선교를 가시는 선교사님들에게 드리는 정보 (0) | 2008.02.24 |
중국어방송/대만 기독교방송 / GOOD TV 중국어 방송 (0) | 2008.01.16 |
중국의 인터넷 감시 시스템 - GFW (0) | 2008.01.16 |
[도문/단동/집안] 분단의 현실, 건널 수 없는 다리/국경을 넘어 세계로 (0) | 2008.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