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이주 ‘재소 고려인 노래’ 채록 김병학씨
경향신문 입력: 2007년 07월 30일 18:12:36
 
1937년 스탈린에 의해 연해주에서 카자흐스탄으로 강제로 이주당한 고려인들과 후손에게 모국의 노래는 위안이자 희망이었다. 어머니가 머리맡에서 들려준 고향 노래가 그리워 그들은 서툰 모국어로 노래를 불러왔다.


고려인 강제이주 70주년을 맞아 출간된 ‘재소고려인의 노래를 찾아서’(화남출판사, 전 2권)의 채록·편저자인 김병학씨(42).

 

지난 4년간의 지난한 작업을 끝낸 그는 “힘들었던 일은 말할 수 없이 많지만 큰 보람을 느낀다”고 밝혔다.

“고려인은 현실의 참혹함과 척박함 속에서도 가능한 한 낙천적인 노래로 스스로를 위무하며 희망을 찾으려 했습니다. 노래에 담긴 사연에 가슴 저린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어요.”

‘재소고려인의…’는 고려인들 사이에서 구전되던 노래 568곡을 악보와 함께 가사의 출처, 생성 배경 등을 수록한 책.

 

 이 방대한 작업은 2002년 고려인 작곡가 한 야코브씨(64)에 의해 처음 시작됐다. 잊혀져 가는 모국 문화의 보존이 시급하다는 생각에 2004년 여름부터 이듬해 봄까지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의 고려인촌을 돌아다니면서 구전가요를 녹취했다.

 

2005년 9월 작업에 합류한 김씨가 편집과 교정을 맡았다. 러시아의 영향으로 모국어와 다르게 변화·왜곡된 가사을 채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녹음 테이프를 수백번 듣고 자료를 뒤지고 주위의 자문을 얻어가며 가사를 정리했다. 1차로 정리된 가사를 교정·보완하는 데만 1년 반이 걸렸다.

“우리말도, 러시아어도 아닌 말이 많아 작업이 어려웠습니다. 어떤 단어는 1년 동안 뜻을 몰라 헤맨 것도 있어요.”

1권에는 한씨의 녹취를 바탕으로 한 350곡을 실었고, 2권에는 김씨가 따로 재소고려인 한글 신문인 ‘선봉’ ‘레닌기치’ 등에 실렸던 창작가요를 정리해 모았다.

김씨는 앞으로 채록된 구전가요를 CD나 음반화하는 작업이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구전가요를 표준한국어로 녹음해 고려인의 70년 애환이 담긴 우리 노래가 젊은층과 후세대들에게 전승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엄밀히 말해 김씨는 고려인이 아니다. 대학을 졸업한 1992년, 고려인 최초 강제이주지인 카자흐스탄 우슈토배의 광주한글학교 교사로 건너간 뒤 16년째 살고 있다. 소설가 윤후명씨의 이상문학상 수상작인 ‘하얀 배’의 실제 모델이기도 하다.

〈김진우기자 jwkim@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7301812361&code=100100

출처 : 력사를 찾아서
글쓴이 : 야발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