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봉독의 주요 성분과 봉독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봉독의 주요 성분
꿀벌의 침에서는 독을 사출하는 관이 둘이 있는데 구 중 하나에서는 휘발성의 산성독이 나오고 또 하나에서는 비휘발성의 알카리액이 사출 되는데 이 두 가지 독액이 동시에 쏟아져 나온다.
한 번 사출되는 봉독의 양은 0.02∼0.03mg 정도이다. 벌침에 쏘여서 아픈 것은 휘발성의 오일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벌침에서 나오는 벌 독의 성분
1. 메리딘 50% = 강한 용혈 작용을 한다.
2. 포스포리퍼제A2 12% = 인체에 해로운 세포 조직 파괴와 용혈 작용
3. 히아루포니하즈제 = 2∼3% 결핍 조직의 구성 성분
4. 어파민 2% = 진정 작용, 흥분 작용
5. 비만 세포의 막에 작용하고 탈 과립 현상을 일으켜 혈행을 원활케 한다.
6. 히스타민 1% = 혈압 강하, 장관 수축, 위장 분비 항진과 피하 주사 작용으로 통증과 가려움증을 일으킨다.
7. 기타 = 40여종의 성분이 있어 치병에 공헌하고 벌 독은 인체에 해로운 것이 없다.
이상 외에도 단백질 염산 인산 유황 나트륨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2) 봉독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봉독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그 학설이 각양각색이다.
서독의 펄스타이 박사의 설을 옮겨 보기로 한다.
1. 화농성 균의 일종, 즉 곪게 하는 균인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한 강력한 살균 작용이 있다.
2. 혈액 중의 임파세포 및 적혈구의 재생과 증가 작용이 있다.
3. 내분비선의 하나인 신상체, 즉 부신의 아드레날린 분비를 촉진시킨다.
4. 류마티스 질환에는 조직 중에 있는 병독을 무독화 시킨다.
5. 국소의 충혈 작용과 체액 환류의 개선 작용을 한다.
6. 신경통의 진통 작용 조직 장애의 완화 작용 및 용혈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봉침의 임상을 하다 보면 병증 치료에 상기한 작용이 나타남을 명확히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