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위는 옛부터 봄과 초여름에 이용되는 계절채소로 주로 먹는 부위는 잎자루로 날 것과 데쳐서 식용을 증진시키고자 할 때 많이 먹으며, 국니아 찌게로 이용한다. 데칠 때는 소금을 뿌린 후 끓는 물에 머위를 넣고 약 2~3분 정도 데친 후 물에 행궈 꺼낸다. 머위는 지방에 따라 머위, 머구 등으로 부른다. 요리 전에 쓴맛이 강하므로 물에 충분히 단구어 두면 용출된다.
▶ 잎에는 비타민A가 아주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밖의 비타민도 비교적 골고루 들어 있으나 줄기에
는 적다. 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알칼리성 식품이지만 영양면보다는 항채로서의 성격이 더 크다.
▶ 약간의 당질, 단백질, 지질과 비타민, 미네랄(칼슘이 많음) 등을 함유하여 계절채소로 좋다.
▶ 소화, 식욕증진, 거담제 등은 정유와 쓴맛의 성분인 폴리페놀화합물의 효과이다.
▶ 머위 잎은 타박상에 찧어 붙이고 뱀에 물렸을 때도 응급조치로 이용되며, 또 건조시킨 지하경을
6~10g을 물 100㎖로 달여서 복용하면 거담, 해열, 건위에 유효하다.
▶ 은박지에 싸거나 빈 캔에 넣어 찜을 한 것은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기 위해 또는 술을 마실 때 술안주로
도 아주 좋으며, 찜을 한 것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얻은 즙액을 양치질의 재료로도 이용할 수 있다.
▶ 꽃을 건조하여 불에 태울 때 그 연기를 마시면 꽤 장기간 몸에 가지고 있던 담을 치료할 수 있고 기침
을 멈추게 한다.
▶ 체력이 약한 노인이나 회복기 환자의 마른 기침, 가래 제거에 달여 마시면 무리없이 치료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 머위가 쉽게 갈변하는 것은 클로로겐산과 폴리페놀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100g당) | |||||
성 분 |
함 량 |
성 분 |
함 량 | ||
단 백 질 (g) |
0.5 |
무 기 질 |
칼 륨 |
310 | |
지 질 (g) |
미 량 |
칼 슘 |
38 | ||
탄수화물 |
당 질 |
2.1 |
나트륨 |
33 | |
섬 유 |
0.6 |
인 |
17 | ||
회 분(g) |
0.7 |
철 |
0.1 | ||
비 타 민 |
A(I.U) |
24 |
비 타 민 |
B1(㎎) |
미 량 |
B2(㎎) |
0.02 |
나이아신(㎎) |
0.1 | ||
C(㎎) |
4 |
|
<출처: 경상남도농업기술원 http://www.knrda.go.kr>
.머위
머위잎 1 머위꽃 2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자웅이체이고 뿌리줄기는 짧아 땅 위에 나오지 않고 옆으로 뻗어 끝에서 잎이 나온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신장(腎臟)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전체적으로 꼬부라진 털이 있다.
이른봄에 잎보다 먼저 꽃줄기가 자라고 꽃이삭은 커다란 포로 싸여 있다.
꽃은 2가화(二家花)이며 암꽃이삭은 꽃이 진 다음 30cm 정도 자란다.
수꽃은 황백색이고 모두 관모(冠毛)가 있다. 암꽃은 백색이며 5∼6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원통형이며 길이 3.5cm이다.
잎자루는 산채(山菜)로서 식용으로 하고, 꽃이삭은 식용 또는 진해제(鎭咳劑)로 사용한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잎과 엽병은 몹씨 쓰므로 데치거나 삶아서 먹는다.
잎에는 비타민 A를 비롯하여 비타민이 비교적 골구로 들어 있으나 줄기는 적다.
칼슘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인 머위는 영양면보다는 향채로 많이 먹는다.
머위 잎에는 비타민A를 비롯해 비타민이 골고루 함유돼 있으며 칼슘 성분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이다.
한방과 민간에서는 진해, 종창, 안정, 겅위,수종, 식욕촉진, 진정, 이뇨, 풍습 등의 약재로 쓰인다.
※ 영양성분 함량 : (생것)수분 89.0%, 탄수화물 6.1g, 칼슘 98mg, 인 51mg, 철 5.0mg, 비타민 A 4257I.U, C 20mg.
◈ 머위무침
재료
머위250g, 멸치액젓·고춧가루 3큰술씩, 다진파1큰술, 다진마늘1/2작은술, 깨소금1작은술, 참기름1/2작은술
만드는 법
'약초>식물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브의 종류와 효능 (0) | 2008.04.19 |
---|---|
약초를 채취하는 시기 (0) | 2008.04.19 |
알아두면 좋은 봄나물 상식 (0) | 2008.04.11 |
약초 채취와 보관법/독초에 중독되었을 때 해독하는 방법 (0) | 2008.04.06 |
황달에 좋은 "인진쑥"과 간질 고치는 "여로" (0) | 200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