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실버산업 어디까지 왔나?

 

 

김명신 베이징무역관

claire@kotra.or.kr

 

 

□ 중국 노령인구 얼마나 되나?

 

 ○ 중국은 1999년부터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현재 중국 내 60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11%인 1.47억명에 달하고 매년 3%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중국의 노령인구 비중증가는 의학발달과 한 자녀 정책으로 유소년층이 줄고 노령층이 늘면서 생긴

     현상으로 중국 내 노령인구가 늘면서 노령인구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대책과 노인수요에 맞는

     산업발달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음.

 

 ○ 전국 노령공작위원회판공실 리번공(李本公) 부주임은 최근 인터뷰를 통해 20년 후 중국은 노령화사회라는 심각한 문제를 맞닥뜨리게 될 것이라고 언급함.

  - 리 부주임은 중국의 60세 이상인구가 2014년 2억 명, 2026년 3억 명, 2037년 4억 명, 2051년에는 4376억 명으로 최고치에 달했다가 이후에는 3~4억 명 규모를 유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함.

  - 2100년에는 60세 이상인구가 전체의 31.1%인 3.18억 명에 달하고 2050년 이후 중국은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노령인구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함.

 

 

□ 노령인구 구매력에 눈돌릴 때

 

 ○ 중국 노령과학연구센터에 따르면, 중국도시의 60~65세 노인 중 45%가 취업상태이고, 42.8%가 예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전체 노령인구의 임시 처분수입이 3,000~4,000억 위앤에 달하면서 중국에서도 노령인구가 구매력을 갖춘 계층으로 평가됨.

  - 일본도 전체인구의 17%가 노령인구로 일본 전체 저축액중 노령인구 저축액이 전체의 55%를 차지하면서 노령인구가 영향력 있는 소비층으로 자리잡음.

  - 중국은 한 자녀 정책 이후 태어난 소황제세대에게 부모세대들이 경제적인 부양을 기대하기가 사회정서상 어렵기 때문에 저축대국 중국에서도 특히, 노후를 대비한 중년층 이상 인구의 저축률이 매우 높음.

  - 중국 도시노인 퇴직금 규모는 2010년 8,383억 위앤, 2020년 2조 8,145억 위앤, 2030년 7조 3219억 위앤으로 증가하면서 앞으로 퇴직금과 저축소득을 기반으로 구매력 있는 노령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 중국의 노령인구가 전체인구의 10%를 넘어서면서 노령인구를 타깃으로 한 실버산업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이어지고 있음.

  - 전국노령공작위원회가 제시한 통계에 따르면, 2005년 현재 중국의 실버시장 연간 수요는 4,000억 위앤에 달하고 2010년에는 1조 위앤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됨.

 

 ○ 의약, 건강제품, 의료기기, 노인용 특수용품, 실버레져, 노인대상 부동산, 휴양 등 다양한 업종에서 노령인구 관련 산업수요가 창출되고 있으나 공급이 수요의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음.

 

 ○ 중국 내 젊은 층 관련 제품은 경쟁이 치열하나 중국기업들의 실버산업에 대한 관심부족으로 제품개발이 적어 고령인구관련제품은 수요보다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임.

  - 청두(成都)시 조사에 따르면, 청두시 20개 대형 쇼핑센터의 상품중 고령인구관련 제품은 전체의 3%에 불과하며 제품의 대부분이 가판에서 판매되는 저가위주의 상품으로 고령층이 원하는 수준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알려짐.

 

 

□ 10년 후 중국, 실버산업 크게 부상

 

 ○ 중국 노령인구의 구매력이 향상하면서 이들의 소비욕구도 동반상승하고 있으나 노령인구를 대상으로 한 특화된 서비스개발이 부족한 실정임.

  - 중국 기업들은 실버산업의 투자회수기간이 길고 아직은 구매층이 한정되어 있다는 이유로 사업추진에 부담을 느끼고 있음.

 

 ○ 중국의 유명시장조사기관인 영점연구그룹(零點硏究集團) 웬웨(袁岳) 동사장도 경제발전정도와 사고체계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실버산업이 중국 내 진정한 수익을 거두는 시기는 약 10년 후가 될 것이라고 밝힘.

  - 중국에서도 앞으로 10년 후 본격화될 실버산업에 대비해 정부차원의 체계적인 ‘실버프로젝트’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음.

  - 이에 대한 목적으로 충칭시는 난핑(南坪)에 ‘노인산업원’(老人産業圓)를 설립할 계획임.

  - 노인산업원은 숙박시설, 노인용품을 생산하는 노령공업구와 노령인구의 제품구매를 위한 노령산 업구로 구성되며 산업원 건설에 총 13억 위앤이 투자됨.

  - 상하이 푸동신구도 노인용 아파트 설립 시 정부차원에서 10~20만위앤선의 관련 비용을 보조한다고 발표하는 등 노령인구를 위한 정부지원책이 서서히 나오고 있음.

 

 ○ 최근 중국 내 구매력을 갖춘 노령인구는 여행에 관심이 많으며 ‘노인전문여행’과 같은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음.

  - 중국노인들의 70%가 퇴직 후 가장 원하는 것을 여행으로 꼽을 만큼 실버산업에서 여행업은 중요한 부분으로 부상하고 있음.

  - 중국여행국 통계에 따르면, 2005년 현재 중국여행 상품 중 노인전문여행비중이 25%를 넘어서고 노인전문여행관련 수입은 1,000억 위앤을 넘어섬.

  - 여행업계는 시간적 제약이 청장년층에 비해 적은 노령인구를 대상으로 저렴한 가격의 여행상품을 비수기에 내놓고 있음.

  - 노인들은 안전하고, 문화적 건축물보다는 자연을 감상할 수 있는 여행지와 이동거리가 짧으며, 쇼핑센터 방문이 적은 여행상품을 선호함.

 

 ○ 현재 중국의 노령인구 대상산업은 주로 건강식품, 건강의료기기 등 일부 품목에 치중돼 있음.

  - 중국의 보건식품 기업은 848개사에 달하고 현재 판매 중인 제품은 1,474종에 달하나 노년층을 겨냥한 상품은 소수에 불과함.

  - 중국의 노인보건관련 서비스는 보건식품 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보건 서비스도 노인층이 아닌 청장년층에 집중되어 있음.

  - 노인들은 정부 의료기관이 시행하는 검진서비스나 보건식품 회사가 홍보를 위해 추진하는 건강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제한적인 서비스에 의존하고 있음.

  - 노령인구 수요를 고려할 때, 노인용 전문 건강보험, 노인커플 만남 서비스, 심리컨설팅 들도 앞으로 전망 있는 사업으로 부상할 수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