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kbs동영상 녹화하는 방법

1)

알고보면 아주 간단하지만 조금 번거롭답니다.
제가 주로 webma2와 Net Transport를 사용합니다.

(참고)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0701&docid=538703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0701&docid=600091

 

http://cafe.daum.net/mdiwebma/로 가셔서 최신버전의 웹마를 받으세요.

http://nettransport.abangadek.com/NT2Setup_multi.exe

여기에서 최신버전의 WebMa와 Net Transport를 받아서 설치하세요.

 

WebMa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원하는 동영상을 플레이시킨후
메뉴아이콘의 [미디어추출]을 눌러서 주소를 알아냅니다.

이렇게 알아낸 주소를 복사해서 Net Transport에서 추가아이콘을 누르면
이미 URL란에 복사해둔 주소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설정 손보고 확인을 누르면 끝.

 

이때 Net Transport에서 수송기는 1로 합니다.    why? 그 원리는? 수송기가 모야?
이렇게 해도 키값이 바뀌면 중간에 다운로드가 멈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는 다운로드를 일시중지시키고, 다시 동영상 주소를 알아내고

속성을 눌러서 주소를 교체(??? 받는 주소?)하고 이어받기를 합니다.

 

프로그램 : WebMa(주소 알기 용도), Net Transport(녹화용)

 

2)

 

실시간으로 녹화하세요.
camstudio란 프로그램을 쓰면 화면상에 나오는 어떤 화면이던지 그대로 녹화하는 거구요.
포맷혀요식은 avi와 swf를 지원해요.
swf로 하면 용량은 작은데 변환시간이 좀 길죠.
용량은 1메가 정도입니다

 

프로그램 : Camstudio (실시간 녹화)

 

 

 

영상 편집

 

: http://kin.naver.com/qna/question_detail.php?d1id=1&dir_id=10701&docid=1721630

 

곰으로는 못합니다. Virtual Dub 이나 프리미어로 해야 합니다.

버추얼 덥 사용법

파일 - open(열기) append(avi끼리 연결하여 합치기:동일 코덱으로 된것만)
save avi(저장하기 : 저장시 꼭 .avi 붙일것)
save wav (소리만 따로 저장 )
quit (끝내기)
그외는 거의 안씀

edit - go to (특정 위치로 이동 : 시간 또는 프레임으로 구분)
set selection start (특정부분 선택 시작 )
set selection end (선택부분 마지막 )

/*설명 동영상의 일부분을 잘라서 추출하고자 할때
set selection start 로 자르고자 하는 부분의 시작을
set selection end로 자르고자 하는 부분의 마지막을 */

예) 동영상의 00:00:30 지점부터 00:05:00 지점까지 내가
필요한 부분이다 라면
00:00:30 에 위치바(상태바)를 이동시킨후
selection start 누르면 막대가 생깁니다
00:05:00 지점으로 위치바(상태바)를 이동시킨후
셀렉션 엔드를 누르면

선택한 처음 부분부터 마지막 선택까지 검은 선으로
연결됩니다

save avi 하면 그 잘라진 부분만 저장됩니다
저장방식은 밑에서

video - 영상 압축관련
- 알아두실 건 compassion 압축방식

direct steam copy 압축변환없이 그대로 복사함
full processing mode - 무압축으로 동영상 저장
normal , fast
- 압축할때 보통(보통), 속도(화질은 죽이고) 빠르게

동영상은 손실압축방식입니다
코덱이 먼지 아시지요
다이렉트는 그냥 복사하는 거라 속도는 빠르지만 코덱변환
은 할 수없습니다
풀프로세싱은 일단 무압축으로 푼 상태에서 코덱으로 압축
하는 방식입니다 (느리지만 사양이 낮으면 좋은 )
노멀 과 패스트는 위의 것과 비슷

그외의 것은 별로 쓰지도 안습니다
혹시 저장할때 소리가 어느 중간만 나오다 멈치면 audio를 풀프로세싱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http://tetizen.com(사이트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_- 나중에 다시 눌러 보자!) 궁금한거물어보기 게시판에 남겨주심 아는한 답변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녹화의 전제 조건은 그 파일에 접근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즉, 볼수만있음 거의 다 됩니다.. 초초 보안이라서 안�다면 캠타시아로 걍 화면 녹화 떠버리면 됩니다 ^^;;

몇몇분들은 WMRecorder 설치 후부터 방송국 동영상이 안나온다는 분이 있는데 삭제하면 되요.

WMRecorder가 좋긴한데... 녹화가 될 때는 무지 잘 되다가 안될 때는 참 말을 안듣드라구요. 걍, 아랫분~ VOD Recorder가 짱이예요. WMRecorder로 안되면 VOD Recorder로 하면 웬만한건 다 됩니다. 그것도 써보시죠.
제가 주로 사용하던건 브이오디레코더/브이엠레코더/넷트렌스포트 단독 혹은, 조합
그런데, 요즘은 브이엠레코더 9.0 만 거의 사용합니다.
물론 그 외에도 몇가지 플그램이 더 있지만, 이제 녹화의 지존은 이놈입니다
 
키코드 붙은 인터넷 동영상을 녹화하자!
 

인터넷에 있는 실시간 동영상 녹화하고 싶은 분들 많으시죠? 근데, 간혹 막강한 VOD Recorder로도 녹화할 수 없는 동영상이 있습니다. 왜그럴까요? 궁금하죠?

짜~잔~ 답은 바로!! 동영상에 키코드가 붙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키코드가 무엇이냐구요? 인터넷에 있는 동영상 주소 중 다음과 같은 주소를 본 적이 있을겁니다. 'mms://210.121.130.xx/01/000_h.wmv?key=MzlxOTMyMTxNzMyMaxMTlwNDM4Mza='

'mms://210.121.130.xx/01/000_h.wmv'까지는 동영상의 절대 경로이고 key 다음에 오는 것은 키코드 또는 인증코드입니다. 이렇게 키코드가 붙은 동영상은 주소가 무작위로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주소를 캡처하거나 녹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VOD Recorder를 사용해도 마찬가지랍니다.

하지만!!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당~ 이제부터 한 눈 팔지 말고 제가 진행하는 강좌 잘 따라하세요~ * 참, 아래 강좌는 VOD Recorder 제작사(http://www.jupae.com/)에 있는 키코드 녹화 방법을 참고했습니다.

:: 필요한 프로그램 :: <-- 프로그램 클릭하면 페이지로 이동!

* VOD Recorder(브이오디 레코더) - 인터넷 TV, 뮤직비디오를 녹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
WMRecorder(WM레코더) - 인터넷 동영상 녹화, 키코드가 붙은 주소도 녹화 가능.
*
따운바다 5 Other way - 찾는 음악을 검색하여 재생, 다운로드할 수 있는 특이한 프로그램.

::: WMRecorder BROWSE 모드로 녹화하는 방법 :::

WMRecorder는 인터넷에 있는 윈도우 미디어 형식의 스트리밍 파일을 녹화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VOD Recorder 처럼 해당 동영상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주소를 찾아서 녹화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VOD Recorder에서 프로그램은 실행되지만 자동주소 찾기가 안되는 분들 계시죠? 그런 분들은 WMRecorder BROWSE 모드로 녹화해 보세용~

WMRecorder 초기화면
자~ 그럼, 녹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WMRecorder 프로그램에서 'WMR80.exe' 파일을 더블클릭합니다. [Recording Modes] 창이 뜨면 [BROWSE] 버튼을 누릅니다.
  2. [WMR ? Setup] 창이 뜨면 1, 2, 3 번 중에서 3번을 선택한 후 창을 닫습니다. [Don't show this again] 옵션에 체크합니다. C:\MRecord 관련 메시지 창이 뜨면 녹화 파일을 C:\Mrecord 폴더에 저장한다는 뜻입니다. [확인] 버튼 누르세요.
  3. WMRecorder에서 [RECORD] 버튼을 누릅니다. 아랫 부분에서 푸른색으로 ‘RECORD : 0.000 MB’라고 쓰여 있는 부분이 대기 상태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에서 녹화하려는 동영상 링크를 클릭합니다. 플레이어 창이 뜨면서 동영상 버퍼링 상태가 됩니다.
  4. 아래 파란색 숫자가 점점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숫자가 변한다는 건 녹화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예로, 벅스뮤직의 뮤직비디오에서 일반 화질이 아닌 고화질의 경우는 녹화/녹음이 안됩니다.
  5. 녹화를 마치려면 [BROWSE] 버튼을 눌러서 끝냅니다.
* 다음 동영상은, WMRecorder에서 [URL] 모드가 아닌 [BROWSE] 모드에서 녹화하는 방법입니다. [BROWSE] 모드로 녹화할 때는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는 동영상을 그대로 녹화하므로 서버 과부하로 화면 끊김이 있을 때도 똑같은 현상 그대로 녹화합니다. 참고하세요.

WMRecorder BROWSE 모드로 녹화하는 방법

::: WMRecorder와 VOD Recorder 두가지로 녹화하는 방법 :::

WMRecorder BROWSE 모드로 녹화할 경우에는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는 그대로를 녹화하기 때문에 화질이나 끊김 현상도 똑같이 녹화됩니다. 이럴 때는, WMRecorder URL's 모드나 VOD Recorder를 사용해서 깨끗하게 녹화할 수 있습니다.

1. WMRecorder URL's 모드 사용법

먼저, WMRecorder URL's 모드로 사용해볼께요. WMRecorder에서 [BROWSE] 모드로 실행합니다. [RECORD]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해당 동영상을 클릭합니다. 아래 항목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죠? 이 상태에서 [URL's] 버튼을 누르면 [URL's] 모드 창이 뜹니다.

아래 주소가 나와 있으면 메뉴에서 [Record] 메뉴를 선택합니다. 녹화 시작한 후 저장은 자동으로 [C:\Mrecord] 폴더에 저장됩니다.

다음으로, 해당 키코드 붙은 동영상 주소만 알아내서 VOD Recorder에서 녹화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2. WMRecorder에서 해당 URL 주소를 알아낸 후 VOD Recorder로 녹화하는 방법

VOD Recorder에서 자동 주소를 캡처하려면 WinPcap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 파일은 시스템환경을 굉장히 많이 타기 때문에 에러 발생 횟수도 큽니다. WinPcap 에러로 VOD Recorder에서 자동주소 캡처를 못했던 사용자들은 이 두 번째 방법으로 녹화해보세요. ^^

위와 같은 방법으로, WMRecorder BROWSE 모드로 실행한 상태에서 VOD Recorder도 실행합니다. 다시 말하면, 두 프로그램 모두 실행합니다.

먼저, WMRecorder에서 [RECORD] 버튼을 누른 후 녹화하려고 하는 동영상 링크를 클릭합니다. 오른쪽에 있는 [URL's] 버튼을 누르면 [URL] 모드로 바뀌면서 새로운 창이 뜹니다.

WMRecorder URL's 모드

그곳에 있는 URL 주소를 복사해서 VOD Recorder [파일]-> [URL 열기]-> [시작 주소] 메뉴에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고 녹화합니다. 다음은 KBS 드라마 '상두야, 학교가자!' 다시보기를 녹화하는 장면입니다. 재생 버튼을 눌러보세요.

WMRecorder와 VOD Recorder로 녹화하는 방법

어때요? 동영상을 보니 좀 더 이해하기 쉽죠? ^^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했는데도 녹화가 안된다면... 홍자도 더 이상은 해결해드릴 수 없어요. 흑흑. ><

인터넷 동영상 녹화는 이런 방법을 선택하면 80% 이상은 녹화가 될겁니다. ^^ 자, 다음으로 인터넷에 있는 음악 주소를 알아내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죵.

::: 따운바다 5 Other way로 음악 URL 주소 알아내는 방법 :::

따운바다라는 프로그램을 아시나요? 따운바다는 맥스MP3와 같은 음악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검색하면 자동으로 찾아서 결과값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불법(?)이라고도 할 수 있죠. --;

찾는 음악을 곡명, 가수명으로 검색하여 재생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고 태그 정보도 알 수 있습니다. 꽤 괜찮은 프로그램인데, 개발자가 더 이상 업데이트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니 지금은 몰라도 시간이 지나면 프로그램 자체가 작동을 안할 수도 있답니다. 이 점 참고하세용.

사용법) 프로그램이 뜨면 가수나 제목별로 검색 항목에 입력합니다. 예로, '윤도현밴드'라고 입력하면 검색 결과가 나옵니다. 그 중에서 원하는 곡을 더블클릭하면 아래 '일반음질', '고음질', '뮤직비됴' 항목에 URL 주소가 나옵니다.

원하는 항목에서 [재생] 버튼을 누르면 바로 들을 수 있고 해당 곡을 다운로드하려면 [다운] 버튼을 누릅니다.

새로운 따운바다로 음악을 검색하거나 다운로드, 재생하는 방법

간혹, 따운바다에서 검색결과가 나오지 않는다고 항의하는 분이 계시는데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고, 맥스MP3와 해당 음악 소유권자와 합법적으로 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결과값이 없는거랍니다. 찾는 곡이 목록에 나오지 않는다고 항의하지 말아주세요. 괴로워요~ 이건 팁이니깐, 그냥 알고만 계시라구요~~

 

 

플래쉬 안 나오니까 주소로 직접 가자

출처 : http://cafe.naver.com/dolgoga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9

 

wmv asf 파일을 자르고 붙이는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

http://www.geocities.com/myasftools/index.html 여기 가봐..

자세한 설명은 여기 있네~

http://cafe.naver.com/ilovescienc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04

그게 프레임별로 정교하게 나눠지지는 않아도 유용한 프로그램이라는 ㅎㅎ

 

대충 요 정도. 나중에 찾자.

출처 : Tong - 蚩尤天下님의 컴퓨터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