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보는 한국기독교회사
자료도움; http://kcm.co.kr/
(북한 관련사진모음 / 닥터 윌리암 제임스 홀 선교사 사진자료)
"우리는 부활절에 이곳에 왔습니다.
그날, 사망의 문을 부수셨던 주님께서
이 백성을 묶고 있는 사슬을 깨뜨리시사
하나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빛과 자유를 누리게 하소서!"
-아펜젤러(H.G. Appenzeller)
한국도착 보고서 중에서(1885.4.5)
1959 장로교분열
1959 국제기독교연합회(ICCC)
1957 전도관
1956 NAE 운동
1955 태국선교
1955 남북통일 연합예배
1954 감리교 활동
1953 부활절연합예배
1953 영락교회의 부흥
1953 6.25중 군인교회
1953 수족절단자 복구회
1953 선명회합창단
1952 포로선교
1952 6.25사변
1947 고려신학교
1945 재건운동
1945 기독교도연맹의 박해
1945 무너진 신사터
1945 출옥성도환영회
1945 출옥성도
1944 경북기독전보근로봉사대
1944 감리교평안교구근로보국대
1944 주기철목사의 묘
1943 일본기독교조선규칙초안
1943 신사참배
1942 만주조선기독교회
1941 철수하는 선교사들
1940 조선신학교
1937 부흥성가
1936 개역성서
1936 금강산기독교수양관 1
1936 금강산기독교수양관 2
1935 농촌여성운동
1935 감리교선교50주년 기념비
1934 단권성경주석
1934 일본선교
1934 예수교회
1934 복음교회
1934 조선예수교장로회 선교50주년기념
1933 감리회보
1933 삿포로한인교회
1933 무궁화 마을
1932 종교시보
1932 장로교여전도회
1932 기독교청년운동
1932 사경회
1932 오순절교회
1932.3 조선예수교동양선교회 성결교회 연회
1931 신정찬송가
1931 신앙생활
1931 만주선교연회
1931 감리교여자신학교
1931 최초의 여자목사 안수식
1930 맹인선교
1930 면려운동
1930 숭실학교 농장
1930.12.2 기독교조선감리회 제1회 총회
1930 기독교조선감리회연합회 1928 해주 결핵요양원
1927 사관
1927 무교회주의 운동
1925 사역성사
1924 길림교회
1923 YWCA하령회
1922 만종일련
1922 활천
1922 절제운동
1921 시베리아선교
1920 구라선교
1920 명동성당
1918 묵시록강의
1918 신학지남
1916 만수셩츄
1916 신학세계
1916 기독교청년회학관
1916 동아기독교대화회
1915 대동고아원
1913 주일학교운동
1912 산동선교
1912 조선예수교장로회 제1회 총회
1910 구세군총회
1908 신정찬숑가
1908 평양 장로회 신학교
1908 세브란스 졸업식
1908 구세군 선교
1908 돈황 천불동
1907 옥중개종
1907.9 대한예수교장로회 제1회 독노회
1907 장로교 최초목사
1907 황성기독교청년회
1907 무교동 성결교회
1906 로스앤젤리스 한인장로교회
1906 가뎡잡지
1905 평북 의주군 영평교회
1905 하와이 한인교회
1905 감리교신학교
1901 신학월보
1901 감리교 최초목사
1900 신약젼서
1898 러시아 정교회
1897 그리스도신문
1897 숭실중학교 졸업장
1895 뎐로력뎡
1893 성서번역자들
1893 대구동산기독병원
1893 강화 성공회 성당
1893 장대현교회
1893 황해도 안악읍교회
1892 소민필지
1891 죠션그리스도인회보
1891 선교사들의 순회 전도
1890 개화전 제물포항
1890 예수서교회
1890 성공회 서울 대성당
1890 매서인들의 전도
1889 동아기독교
1887 보구여관
1887 정동제일교회
1887 새문안교회
1886 경신학당
1886 이화학당
1885 배재학당
1885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1884 고종의 선교윤허
1884 소래교회
1884 광혜원
1884 이수정역 성서
1882 최초의 견미 사절단
1882 로스역 성서
1882 이수정의 개종
1871 척화비
1866 토마스의 무덤
1860 곤여전도
1855 배론하당
1831 귀츨라프
1594 옹천포구
0781 대진경교유행비
동만노회
평생전도회
마르다윌손신학교
십자가 처형(일제)
문용기의사 기념비
순회의료전도반
일본인교회(한일합방전후)
천진암터
북경 북천주당
오다 쥴리아의 묘
돌십자가
마리아상
1.마리아상
경주에서 출토된 것으로 경교의 흔적을 암시한다. 3.8*2.8*7.2cm
2.돌십자가
경주 불국사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신라시대에 전래된 경교의 흔적을 증명한다
한국기독교박물관소장. 24.5 *24*9cm
3.오다 쥴리아의 묘
임진왜란 중 일본에 잡혀 간 조선인 포로 중에는 기리사단으로 개종하여 순교한 이들이 상당히 많았다.
왕가의 딸로 고니시에 끌려 갔다가 신앙의 절개를 지킨 오다쥴리아의 묘. 서울 절두산 순교성지 소재.
4. 북경 북천주당
중국 북경에 있는 북천주당은 조선사신들의 북경방문시 꼭 들려보는 구경거리의 하나였다.
바로 이곳을 통해 많은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
5. 천진암터
한국 천주교의 발상지로 초기 서학(천주교)의 신앙화의 주역이었던 이벽,
이승훈, 권철신, 권일신, 정악종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 우촌리 소재.
6. 일본인 교회
한일합방을 전후하여 일본교회(특히 조합교회)는 한국 선교를 시작하였는데 이는
일본의 한국침략과 병합과 그 궤를 같이하는 것이었다. 사진은 해방전까지
일본인교회로 사용되다가 해방후 덕수교회 예배당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서울 정동에 소재.
7.순회의료전도반
의료선교사들은 자동차로 지방을 순회하며 진료와 함께 전도에 종사하였다.
8.문용기의사 기념비
3.1운동 때 이리 만세시위를 주동하면서 순국한 기독교인 문용기의 기념비.이리 소재
9.십자가 처형
일제는 민족운동지도자들을 잔혹하게 처형하였다.
사진은 철도를 파괴한 독립투사를 십자가에 처형하는 장면이다
10.마르다윌손신학교
캐나다장로회 여선교회에서 설립한 여자 신학교와 학생들로 원산에 있었다
11.85 평생전도회
만주 북간도 용정에서 교회 여성들이 조직한 평생전도회 회원들이다
12.동만노회
캐나다 장로회의 선교사업으로 이룩된 동만노회(간도노회) 의 임원들이 귀국하는 선교사 럽을 환송하기 위하여 모였다
13.대진경교유행비
781년(당 건중2년) 중국 서안에 설립된 비로 중국에서의 경교 역사를 증명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 탁본이 서울의 한국기독교박물관(숭실대학)에 소장되어 있다. 88.8*177.8cm
14.옹천포구
임진왜란 중(1594) 한국에 온 최초의 서양 신부 세스페데스가 상륙한 곳으로 추정되는 경남 웅천
15.귀츨라프
1831년 한국에 온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충청도 고대도에 상륙하여 한국어를 배우고 주기도문을 번역하기도 했다
16.배론하당
1855년 충북 제천군 배론에 솔립된 한국 최초의 신학교로 1866년 병안교난으로 폐쇄되기까지
한국인 성직자 양성에 공헌하였다.
17.곤여전도
예수회 신부 베르비스트(F. Verbiest)가 제작(1674년)한지로도 1722년에 국내에 유입되어 1860년
국내에서 중간(重刊)되었다. 8폭 병풍.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405*173.3cm
18.1866 토마스의 무덤
1866년 병인교난 중 일어난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순교한 토마스의 시체가 묻힌 곳이다.
19.척화비
1871년 신미양요때 세웠다가 1882년에 철거된 척화비는 바로 교회의 박해 상징이기도 했다
20.이수정의 개종
1882년 신사유림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건너간 이수정은 그곳에서 기독교인으로 개종하여
세례를 받았으며 성서번역과 선교사 초빙 및 유학생교회 설립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사진은 1883년 5월 개최된 일본 전국기독교대친목회에 참석한 이수정(가운데 한복입은 이)의 모습을 모여주고 있다.
21.로스역 성서
스콜틀랜드연합 장로교회의 선교사 로스와 매킨타이어는 만주 봉천에 머물면서 한국선교에
관심을 두었다. 이응찬, 백홍준, 이성하, 김진기 등의 협력을 얻어 성서를 한글로 번역하였다.
사진은 1882년 간행된 최초의 한글성서<예수셩교 누가복음젼서>이다.
22.최초의 견미 사절단
1882년 한미수호조약의 체결로 비로소 기독교 선교의 길이 열리게 된 셈이다.
1883년 민영익(앞줄 가운데)을 단장으로 한 견미사절단장으로 한 견미사절단이 미국을 방문하는
동안 미감리회의 가우쳐와 만나게 되어 한국선교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23.이수정역 성서
이수정이 일본에서 한문성서에 이두(吏讀)토를 달아 펴낸 <신약성서 마가전>(1884)이다.
이수정은 이 외에도 마태, 마가, 요한복음 및 사도행전을 같은 식으로 펴냈으며 한글성서로 <신약마가젼복음서>를 냈다.
24.1884 광혜원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로 최초로 내한(1884년 9월)한 알렌이 고종의 윤허를 얻어 설립한 국내 최초의
서양식 병원으로 오늘의 세브란스병원 전신이 되었다.
25.소래교회
1884년 6월 29일 황해도 장연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교회 (사진 하)
1895년 기와 지붕의 한식교회 건물로 개축한 소래교회 (사진 상,중)
한국교회 초기의 자발적 전도자요, 권서인이었던 의주 출신 서상륜과 서경조 등 그의 가족들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비롯되었다. 이는 세계 선교사상 유래가 없는 자발적 자전에 의한 복음의 토착, 수용사 였다.
곧 선교사 입국 이전에 한국에는 이미 교회가 세워진 것이다.
26.고종의 선교윤허
미국 감리회 선교부의 지시를 받은 일본 주재 감리교 선교사 매클레이가 1884년 6월에 내한하여 고종을
알현하고 교육 및 의료 선교 윤허를 받는 장면이다. 이 장면은 1934년 감리교 선교 50주년 기념으로
배재학당에서 공인된 연극의 한 장면이다.
27.아펜젤러와 언더우드
아펜젤러(좌)와 언더우드(우) : 1885년 4월 5일 함께 내한한 두 선교사는 한국 개척교회의
개척자였으며 절친한 동역자였다.
28.배재학당
한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신교육 기관으로 1885년 8월에 설립되었다. 1887년에 건축된 교사는
한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서양식 벽돌 건물이기도 했다.
29.이화학당
1886년 스크랜톤부인에 의해 시작된 이화학당은 한국 여성교육의 요람이 되었다.
30.경산학당 교사와 학생들
서울에 1886년 설립된 구세학당 학생들로 1893년 경의 교사와 학생들이다.
31.1887 새문안교회
1887년 조직교회로서는 최초로 한국에 세워진 교회로 정동에서 시작되었다.
32.정동제일교회
한국최초의 감리교회로 1887년 창립되었다
33.보구여관
한국 최초의 부인병원으로 미감리회에 의해 1887년 정동에 개설되었다
34.동아기독교
침례교의 전신인 동아기독교는 캐나다출신 선교사 펜윅(가운데 검은 옷입은 이)에 의해 1889년에 설립되었다.
35.매서인들의 전도
성경과 전도지를 파는 매서인(권서인)들의 활약으로 한국교회는 크게 발전하였다.
1890년경 서울 지방에서 활약하는 매서인
36.1890 성공회 서울 대성당
1890년 한국선교를 시작한 영국 성공회는 서울 정동에 대성당을 설립(1891)하고 로마네스크식 건물을
마련(1926)하여 성공회 선교의 중심이 되었다.
37.예수교서회
1890년 창설된 한국성교서회는 예수교서회로 개칭되었다가 현 대한기독교서회로 발전하였다.
사진은 1906년부터 1910년까지 사용되었던 사회건물이다.
38.1890년대 개화전 제물포항
39.선교사들의 순회 전도
1891년경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들이 서북지방 순회전도광경이다. 마펫, 게일, 베어드 등의 모습이 보인다
40.죠션크리스도인의회보
1891년 아펜젤러가 창간한 것을 한국 기독교 신문의 효시가 되었다.
41.소민필지
헐버트선교사가 1892년 지은것으로 초기 모든 학교의 교과서로 신문의 효시가 되었다
42.황해도 안악읍교회
43.장대현교회
1893년 평양에 살립된 장로교회로 사진의 ㄱ 자 예배당은 1900년 건립된 것이다
44.강화 성공회 성당
1893년부터 시작된 성공회의 강화 선교 결과로 1900년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을 채용한 성당을 건축하였다.
기독교 토착화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45.대구동산기독교병원
1893년 대구에서 시작된 동산병원은 1931년 현대식 건물을 마련하여 의료선교에 큰 공을 남겼다
46.성서번역자들
1893년 한국성서번역자회가 구성된후 1900년에 신약성서가,1910년에 구약성서가 각각 번역 완료되었다.
사진은 1904년에 당시의 번역자들이다.
47.텬로력뎡
1895년 게일과 이창직이 번역 출판한 것으로 가장 많이 읽힌 기독교 문서의 하나가 되었다.
48.숭실중학교 졸업장
1897년 평양에 설립된 숭실중학교의 졸업장(1912년)으로 졸업장의 주인공은
후에 감리교 및 그리스도교회의 목사가 된 최상현이다.
49.그리스도신문
1897년 언더우드가 창간 기독교 신문
50.러시아정교회
1898년 러시아 공사관 안에서 암브로시 신부에 의해 교회가 시작되었으나 노일전쟁(1904-5)이후 교세가 악해졌다.
사진은 1896년경 정동의 러시아 공사관 경내를 보여 주고 있다.
'한국기독교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기독교 여성 100년의 발자취 (0) | 2009.01.16 |
---|---|
KCM 한국기독교회사 (0) | 2009.01.16 |
한국교회사(개신교 선교 정책) (0) | 2009.01.16 |
한국교회사(문서 선교 및 성경 번역) (0) | 2009.01.16 |
한국교회사(개신교 선교 정책:의료선교~) (0) | 200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