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성초[魚腥草] 이야기
제주도와 울릉도 및 남부지방의 산속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모양은 고구마 잎을 닮았으며 줄기는 붉다.
초여름 줄기 끝에서 흰꽃받침이 있는 노란꽃이 하나씩 핀다. 잎과 줄기에서 고기 비린내를 닮은 냄새가 나서 어성초라고 부른다. 중약초, 즙채, 십약등 여러 이름이 있다.
요도염,방광염,자궁염,폐렴,축농증,치루,탈홍,악창등 염증질환에 신약이며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고 해독작용도 강력 하며 혈당치를 낮추고 항균작용이 강력한 식물이다.
.축농증 : 약모밀 20∼30그램을 물 500밀리리터에 넣어 300미리리터쯤으로 달여서 하루 세번 나누어 마신다. 또는 달인물에다 소금을 넣어 하루 2∼3번씩 콧속으로 넣어 입으로 뱉어내기를 반복하면 효과가 빠르다.
.만성중이염 및 화농성중이염 : 약모밀 20∼30그램을 달여서 하루 두세차레 나누어 마신다. 한달쯤 지나면 치료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변비 : 약모 말린것 20∼30그램을 달여 마신다.
.치질,치루 : 진하게 달여 날마다 차대신 마신다. 달인물로 아픈부위를 씻거나 찜질을 수시로 한다. 허리까지 목욕을 해도 좋다. 치루에는 약모밀을 은박지에 싸서 까맣게 태워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에 개서 고약처럼 붙인다. 두세달이면 낳는다.
.습진,무좀 : 약모밀 15그램, 인동꽃 5∼10그램을 잘게 썰어 물 300그램에 넣어 반이되게 졸여서 하루 3번 밥먹기 전에 먹고 달인물로 아픈부위를 자주 씻는다. 완선,버짐증의 갖가지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
.종기 : 신선한 잎이나 뿌리를 잘게 썰어 은박지에 싸서 불에 익힌다음 짓찧어서 아픈부위에 하루2번 붙인다.
.폐렴 : 약모밀과 도라지를 2:1로 섞어 날마다 20그램씩 달여 서너번 마신다.
.여드름 : 약모밀 20그램을 진하게 달여 하루 3∼4번 마시고 생즙을 3∼5번 바른다. 2∼3개월이면 낫는다.
.농약을 마셨을때 : 마신지 3∼4일 이내에 약모밀 생즙을 먹이면 후유증 없이 치료 된다. 이밖에 정력증강 및 항암작용등이 있다.
어성초란 식물분류학에 따르면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학명은 Houttuynia Cordata라고 한다.한국백과사전에는 약모빌로 되어있다.아시아 동남부와 특히 일본에서는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하며 우리나라는 현재 산속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 약초이다.
특이한 것은 어성초 만이 "비린내"가 심하게 난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어성초라 부른다.
어성초는 다양하게 약용으로 쓰여질 뿐 아니라 심각한 환경오염과 일상생활 속의 각종 공해며 독에 저린 현대인에게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신기한 약초로 각광을 받으며 인기폭발 중 이어서 여러 가지의 작용을 인정받고 있다.
요즘에는 도시.농촌 할 것 없이 채소를 먹는 것이 아니라 농약을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농약공해 등의 중독원인으로 손발이 저리는 증상이 많이 발생하여 강력한 해독작용 및 살균작용을 하는 어성초 재배단지 30m내에는 벌레가 접근을 하지 못하며 365일 농약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무공해 약초이다.
해독의작용
먹어도 좋고 발라도 좋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내.외용 300여건의 각종 질병에 작용이 있는 신비하고도 기이한 해독의 약초가 어성초인 것이다.
문헌상으로 본 어성초
* 본초강목 : 해열,종기,탈항,독을 없애고 중금속을 해독한다.
* 중약대사전 : 피를 맑게 해주고 염증을 없애며 소변을 이롭게 한다.
* 의림찬요 본초학 : 더위 먹은데,벌레 물린데,악성종기,수분대사를 이롭게 한다.
* 분류호약성 : 소변이상,부종,소화불량,허약체질
* 상용중초약 : 염증 질환
* 광주 민간 약초수책 ,현대 실용 중약초,진남본초 : 해독,피부 및 협심증,가래,중이염,치질,청혈,장염,제농양에 작용
어성초의 특징
* 미용과 체중조절,체내독소제거에 탁월한 작용
* 설파민의 40,000배가 넘는 항염작용
* 각종 염증성 질환치료"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히드"함유(비린내 성분)
* 은행잎을 능가하는 "플로브 노이드"가 혈액정화 작용
* 혈압을 조절해 주는 "칼륨염"의 보고
* "지아민"은 인삼의 25배 "리보 플라빈"은 3배
"나이아신"1.4배
* 알칼리 성분은 레몬의 10배 포도주의 12배
* 해독의 작용
* 중국 : 어성초,영단 진주초용수채,모든 염증성,질환과 피부질환에 이용
* 일본 : 십약(쥬야쿠) 중약:10가지의 중요약효,변비,이뇨,당뇨,고혈압,심장,신장,갑상선,축농증, 간장질환,염증제거,미용에 독(도꾸다미):독을 교정해 주는 약초, 세계 최장수국인 일본의 No.1민간약초로 쓰임
* 한국 : 『즙채 약모일』-경희대,원광대,부산대 박사학위 논문
관절염,통증,부종,면역반응,단실요법의 보조식,항돌연변이상(항암작용)
★ 어성초는 몸 속의 온갖 독을 없게 하는 해독초(解毒草)다 ★
"도꾸지마" 약대의 조사팀이 밝힌 바에 의하면 일본에서는 어성초가 두통,축농증,알레르기성비염,코의 병,기침,천식,당뇨병,신장병,방광염,위장병,복통,위통,변비,설사,부인병,임질,고혈압,신경통, 타박통,숙취,피부병,두드러기,땀띠,습진,부종,파상풍,화상,해열,감기,암 등 뿐만 아니라 보건약.해독기.강장약등 만병에 민간 약초로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 약전에는 십약 또는 중약 이라고 수록되어 있을 만큼 그 유효성이 높이 평가되고 의약품은 물론 건강식품,미용제까지 개발하여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 참고문헌 ※
본초강목/중약대산전/의림찬요/일본약국방/분류호약성/상용중초약/진남본초/현대 실용중약초/광주 민간 약초수책/ 조규형 편저 어성초 건강법에서 발췌
* 어성초는 어떤 약초로 유명한가 *
①어성초에는 몸 속의 온갖 독을 없게 하는 해독초(解毒草)다.
어성초가 얼마나 독을 잘 제거하는가는 일본에서 "도꾸다미"(글자로 풀면 毒橋)라고 부르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즉 독을 교정한다는 뜻이다. 학자에 의하면 얻은 외래독,몸 속에서 생긴 자가 중독,세균 독 까지 없게 해준다는 기이한 해독 전문 식품이다.
고대로 만병 일독이라 했는데 이는 모든 병의 원인은 독이라는 한가지 요소로 생긴다는 뜻이다.이 독을 어성초가 제거한다니 어성초야 말로 건강 증진을 위한 귀중한 하늘의 선물이라 할 수 있다.중국의 『본초강목』에 어성초가 해독한다고 하여 중금속의 독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음을 기록해 있고, 『영남 체역록』에도 어성초가 농소독 한다고 나와있고 『중국 약식물 도감』에도 역시 어성초가 가작 구급 복독 한다고 나와 있어 어성초의 해독력은 국제적으로 확인된 것임을 알수 있다.
②어성초는 미용초(美容草)다.
어성초 속의 풍부한 "쿠에르치트런"이라는 특수 성분이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피를 맑게 해주면 살결 속의 독도 없애주므로 어성초를 먹으면 살결이 희어지고 피부 "트러블"이 사라진다.일본에서는 먹는 미용제라 알려지고 있으며 또 외용으로 "어성초 비누","어성초 유액","어성초 화장수","어성초 연고" 등 미용제로 시판되고 있다.
③어성초는 정장초(整腸草)다.
어성초는 식품으로 먹고 있으면 대장벽의 모세혈관이 부활되어 장속을 깨끗이 해준다. 즉 변비에도 설사에도 좋게 장의 상태를 정상화해 준다. 또 대장 속의 유해 세균을 없애 줌으로써 상대적으로 유익 세균을 보호하게 되어 장의 기능을 활발히 한다.
④어성초는 청혈초(淸血草)다.
많은 어성초 관계 문헌에 한결같이 어성초는 피를 맑게 해준다고 한다. 어성초 속의 "이소쿠에르치트런"과 "쿠에르치트런" 플러스 "알파"의 물질이 상승해서 모세혈관의 혈액 운반 작용을 촉진시키므로 혈액의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어성초를 먹고 있으면 피가 맑아지는 것이다.
⑤어성초는 청뇨초(淸尿草)다.
어성초를 먹고 있으면 그 속의 풍부한 "칼륨"과 이소쿠에르치트런" 및 "쿠에르치트런"의 상승 작용으로 무리없이 수분 대사가 잘 된다.오줌이 시원히 힘차게 나오면 소변 색깔도 맑아진다.
⑥어성초는 소염초(消炎草)다.
어성초는 먹어도 발라도 염증을 가시게 하는 효능 식품이다. 일부러 염증을 없애려고 먹지 않아도 일상으로 차처럼 또는 부식으로 먹고 있으면 염증이 생기지 않는 체질이 된다. 어성초 달인 국물로 소염이 된다 는 것은 이종수 박사의 박사학위 논문에도 나와 있다.
⑦어성초는 재생초(再生草)다.
원폭을 맞은 "히로시마"시에 제일 먼저 소생한 풀이 어성초인데 이런 생명력 탓인지 원폭으로 상한 사람들이 이 어성초를 이용해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먹어도 발라도 세포 재생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이는 중약 대사전에도 확인되고 있다. 일상으로 먹으면 상한 조직의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자료출처: Daum 벌사랑/봉침> |
어성초는 주로 심장질환(심부전증)에 많이 쓰지요. 먹는방법은 차처럼 달여 드시면 됩니다 비염에는 어성초보다 좋은 효능을 가진 약재가 많아 소개하니 꾸준히 식이요법과 병행하시면 좋습니다.
비 염 [ 원인과 증상 ] 담배의 중독, 심장병 환자, 앉아서 일하는 사람, 상습 변비자, 갱년기의 부인에게 많다. 재 채기, 오한, 전신권태 및 위화감, 앞머리의 압중감, 코 속의 소양증과 건조증, 종종 발열이 오고 비색과 콧물과다, 취각 장애 등이 온다. 콧물은 처음엔 묽다가 점차 농도가 짙다. 악 취가 나기도 하고 혈액이 섞이기도 한다. 대체로 맑은 콧물은 한증(몸이 냉함)이고 누런 콧 물은 열증이다.
[ 치 료 ] 여 차처럼 5∼6개월 마시고 목련꽃을 분말하여 면에 싸서 코속을 막아 둔다. 볶아 분말하여 느릅나무 뿌리껍질(楡根皮) 달인 물로 매 식후 30분에 1티스푼씩 먹는다 - 알레르기성 둔다 - 이하 같다 두고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1티스푼씩 먹는다. 식용은 냉동실에 저장하여 얼려서 떠서 먹으면 편리하다 - 중이염, 심장질환, 비만증 등 다 - 축농증, 중이염, 비염 때 2∼3회 반복한다. 한 것 30g을 걸쭉하게 하여 율무가루 250g을 뿌려 가면서 칼국수 반처럼 만들어 약 10g 정도씩 손에 참기름을 바르면서 경단을 만들고 해조류 분말 한것 50g을 튀김옷처럼 입 혀서 알미늄 호일에 1개씩 싸서 냉장하여 매 식간에 1개씩 6개월 이상 먹는다 - 견비통, 변비, 다이어트 양쪽 검지로 코를 싸잡듯이하여 양미간에서 부터 코 뿌리까지 3∼5회 훑어 내리고 양쪽 검지를 중심으로 서로 비벼서 열이 날 때 코를 싸잡듯이 하고 코 뿌리까지 18회 열이 나 도록 수시로 비벼준다 - 비염, 코막힐 때, 냄새 못맡을 때
원인과증상으로보는 민의보감중에서 발췌. cafeㅇ며ㅡnet/kcgn1에서 연재중 |
어성초의 약효료는 청열(淸熱)해독, 이뇨, 소종(消腫)작용으로 폐렴, 수종, 임병, 습진, 개선 등의 증상을 치료하며 이외에도 백일해, 피부병, 급.만성 비염, 만성 건조성 비염, 인후염 등에 일정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항산화작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 항종양, 항백혈병, 고지혈억제, 간보호작용 등이 발표되었습니다. 만성기관지염의 치료에서도 도라지를 약한 불에10~20분 끓인 후 어성초를 넣고 다시 5분간 하루에 3~4회 복용하였을 때, 기침과 가래, 호흡기 증상이 모두 경감되거나 소실되었다고 합니다.
비염에 좋은 약초에는 신이, 느릅나무 등도 있습니다.
【신이】개화하지 않은 목련의 꽃봉오리를 말린 것이 신이 입니다.
폐의 기를 상승시켜 코의 기능을 회복시켜주기 때문에 한방에서 알레르기 비염이나 축농증, 코감기 치료에 두루 사용합니다. 신이와 비염에 좋은차 함께진피(귤껍질)나 박하를 달여 마셔도 좋습니다. 꽃이 피기 직전의 꽃망울을 채취해 그늘에 말려 쓰면 됩니다.
<방법> 말린꽃 봉오리 10g을 약 6백cc의 물에 넣고 달여 양이 절반이 되면 불에서 내린 뒤 하루 3번 나눠 마십니다.
【삼백초】염증을 가라앉히는 작용이 뛰어납니다. 비염뿐 아니라 두드러기, 여드름에도 하나이비인후과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삼백초차입니다.
<방법> 말린 삼백초 잎과 줄기 15g에 500cc의 물을 붓고 약한 불에서 1시간 정도 달여 차처럼 마시면 됩니다.
【호박,호박씨】늙은 호박은 인체 면역력을 높이는 베타카로틴이 많아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에게도 좋습니다.
<방법> 호박씨나 호박을 말려 가루를 낸 뒤 하루에 세숟가락씩 더운물에 풀어 차로 마시거나 자주 호박죽을 쑤어먹으면도움이 됩니다. 호박차나 호박죽은 아이들도 잘 먹습니다.
【느릅나무】느릅나무(코나무뿌리껍질)은 유근피 라고 불리며 약재상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끓이면 코처럼 느른한게 나온다 해서 코나무라고 하는데 예로뿌터 여러 가지 콧병에 잘 듣는 약재로 알려져있습니다.
<방법> 코나무뿌리껍질 20g에 물 두 대접 정도를 붓고 30분 정도 달인 다음 찌꺼기를 건져내고 하루 3번나눠 마십니다. *위암의 치료 및 예방에도 널리 활용됩니다(참빗살나무(귀전우)100g + 코나무뿌리껍질(유근피)50g을 달여 1일 수시복용).
【창이자】창이자는 도꼬마리의 씨를 말하는데 비염과 축농증에 효과가 있습니다.
<방법> 열매를 엷은 다갈색이 될 때까지 볶아 가루로 만든 것을 하루에 3.5g을 3회로 나눠 복용하면 알레르기 비염에 효과적입니다. 하루 6g씩 물에 달여 먹어도좋고 창이자 잎을 그늘에서 말려 하루 10~15g씩 달여 먹기도 합니다.
【국화차】코알레르기나 축농증의 코막힘에 효과가 있는데 국화는 크기에 따라 대국, 소국으로 나누고 국화잎을 물 1,000cc에 20g 정도 끓여 하루에 두세번 마신다
[활용방법]
1). 생즙 마시기
- 생초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말린 다음 녹즙기로 짜서 병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고
하루 3번 식후에 소주잔으로 1~2잔 마신다. 과즙이나 꿀과 섰어 마셔도 되며
생즙 80% 꿀 20%를 섰어 보관하면 발효가 되어 갈색으로 변하며 이때의 효과가
더 좋다.
2). 약술 담그기
- 생초 1근(600g)에 소주 1되(1.8리터) 담아 100일 동안 냉암소에 두었다가 반주로 한 두잔씩
마신다. (잠이 잘 오며 아침에 일어나면 몸이 가뜬하고 맑은 소변이 나언다.)
- 음주 후 복용하면 숙면하고 숙취가 해소 된다.
- 피부병, 가려움증에 발라도 효험이 있다.
3). 찌꺼기 이용법
- 즙을 짜고난 찌꺼기는 얼굴이나 손발 등을 마사지 하고, 끓여서 목욕물에 넣거나
새나 닭의 모이로 주면 병이 예방되고 화초에 놓아두면 화초가 싱싱해 진다.
***어성초의 효능***
|
'약초>식물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용꽃에 대하여 (0) | 2009.04.05 |
---|---|
암을 이기기 위한 민간요법 50가지 (0) | 2009.03.29 |
몰약[沒藥], 유향[樹脂] /동방박사 예물 (0) | 2008.12.17 |
비염에 좋은 약초 ... 아불식초, 산목련, 탱자열매, 참외꼭지 (0) | 2008.11.22 |
손바닥 선인장 (백년초) (0) | 2008.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