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선교와 현지 조사를 통한 운남성 선교정보의 분석

 

이우윤 (CUM 중국선교연구소장)

 

 

1. 운남성 개관


❍ 운남성(雲南省)은 총인구가 3,971,31만 명이며, 중국의 서남에 위치하여 동으로는 광서장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와 귀주성(貴州省), 북으로는 사천성(四川省), 서북으로는 티벳자치구(西藏自治區)에 인접하여 있다.

 

❍ 운남성은 주변에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 일찍부터 중국의 동남아시아로 통하는 관문이었다. 2천년 전에 형성된 서남의 실크로드는 사천성을 거쳐 운남성에 이르렀고, 운남성으로부터 미얀마, 인도, 중앙아시아와 아라비아 지역 및 로마로 통하는 실크로드와 AD 1세기초에 형성된 마위엔고도(馬撝故道)는 운남성의 남부로부터 베트남의 하노이(河內, hanoi)에까지 이어져 남중국해까지 이르렀다.

 

❍ 운남성은 한족을 제외한 소수민족이 25개(인구 4,000명 이상)로서 중국에서 가장 많은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이며, 운남성의 소수민족은 운남성 인구의 34.2%를 차지하고 있다.

 

❍ 운남성은 다른 지역 보다 비교적 일찍이 기독교가 들어왔으며, 적지 않은 민족들이 기독교를 수용하므로 기독교가 소수민족들의 언어, 문화, 사회, 경제에 영향을 주었다.

 

❍ 운남성의 각 종족과 그 비율은 다음과 같다. (표1)

No.

종족

운남성 인구(A)

전국 인구(B)

비율(A/B)

1

한족

26,163,000

1,200,000,000

2.2%

2

이족

4,054,177

6,572,173

61.7%

3

백족

1,339,056

1,594,827

84.0%

4

하니족

1,248,106

1,253,952

99.5%

5

쫭족

1,003,901

15,489,630

6.5%

6

다이족

1,014,318

1,025,128

98.9%

7

먀오족

896,712

7,398,035

12.1%

8

리쑤족

554,144

574,856

96.4%

9

후이족

522,046

8,612,001

6.1%

10

라후족

408,203

411,476

99.2%

11

와족

347,738

351,974

98.8%

12

나시족

265,708

278,009

95.6%

13

야오족

173,114

2,134,013

8.1%

14

티벳족

111,414

4,593,330

2.4%

15

징풔족

118,322

119,209

99.3%

16

뿌랑족

34,061

82,280

41.4%

17

푸미족

29,302

29,657

98.8%

18

누족

26,583

27,123

98.0%

19

아창족

27,613

27,708

99.7%

20

더앙족

15,399

15,462

99.6%

21

지눠족

17,843

18,021

99.0%

22

몽고족

13,168

4,806,849

0.3%

23

뿌이족

34,061

2,545,059

1.3%

24

두룽족

5,536

5,816

95.2%

25

수이족

7,688

345,993

2.2%

26

만주족

7,055

9,821,180

0.1%

 

합계

38,438,268

1,268,133,761

 

 

❍ 운남성의 각 대학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표2)

No.

대학

학생수 

교직원 수

비고

1

云南大学 (운남대학)

13,284명

전임교수: 1475명

 

2

昆明理工大学 (쿤밍이공대학)

27,000여명

3,378명

 

3

云南农业大学 (운남농업대학)

13,549명

1,467명

 

4

云南师范大学 (운남사범대학)

12,546명

2,132명

 

5

云南民族大学 (운남민족대학)

12,546명

1,000여명

 

6

西南林学院 (서남임학원)

7,060여명

     772명

 

7

昆明医学院 (쿤밍의학원)

11,000여명

의사·간호사:5265명, 교수: 843명

 

8

云南中医学院 (운남중의학원)

8,200여명

722여명

 

9

楚雄师范学院 (추용사범학원)

6,670여명

597명

 

10

玉溪师范学院 (위시사범학원)

6,711여명

597명

 

11

曲靖师范学院 (취징사범학원)

7,900여명

630여명

 

12

云南财贸学院 (운남재경학원)

10,448명

1,341명

 

13

云南警官学院 (운남경관학원)

7,000여명

459명

 

14

云南艺术学院 (운남예술학원)

4,404여명

 625명

 

15

大理学院 (대리학원)

8,000여명

1,500여명

 


2. 조사 설계


❍ 목적 : 교회 개척을 위한 전도 및 현지 조사를 통해 교회 개척을 위한 선교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전략을 수립한다.

❍ 방법: 운남성 내의 각 대학과 중요 지역에 대한 현지 전도와 설문에 의한 질문을 분석한다.

❍ 기간 : 200A년 0월 01일- 0월 09일(9박10일)


3. 운남성 내 대학에서의 전도와 현지 조사


(1) 조사대상 대학생들의 학교별 분포

표3: 응답자의 대학교별 분포

대학

빈도

유효퍼센트

운남대학

31

30.4%

운남민족

22

21.6 %

운남사범

20

19.6 %

쿤밍대학

5

4.9 %

쿤밍사범

6

5.9 %

기타

18

17.6 %

전체

102

100.0 %


❍ 본 조사의 대상이 된 102명 학생들의 대학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이중 쿤밍대학과 쿤밍사범대학생들은 그  수가 너무 적어 분석의 의미가 없지만 참고적으로 기술하였다.


(2) 운남성 대학생들의 종족 분포


❍ 현지 조사에  의한 운남성 대학생 100여명의 종족 분포는 다음의 표에서와 같이 한족(64.3%), 백족(11.2%), 다이족(7.1%), 회족(5.1%), 이족(4.1%), 나시족(4.1%), 요족(2.1%), 동족(2.1%) 순이었다.


표4: 운남성 대학생들의 종족 분포

종족

빈도

유효 퍼센트

한족

64%

64.3%

회족

5%

5.1%

이족

4%

4.1%

백족

11%

11.2%

요족

2%

2.0%

동족

2%

2.1%

나시족

4%

4.1%

다이족

7%

7.1%

98%

100.0%


표5: 운남성 대학생들의 종족 분포

종족

본 조사

전체분포

한족

64.30%

26,163,000

78.0 % 

회족

5.10%

522,046

1.6 %

이족

4.10%

4,054,177

12.1 %

백족

11.20%

1,339,056

4.0 %

요족

2.00%

173,114

0.5 %

동족

2.00%

 

 

나시족

4.10%

265708

0.8 %

다이족

7.10%

1,014,318

3.0 %

100.0%

33,531,419

100.0 %


❍ 운남성 내의 대학생의 이러한 종족 분포는 같은 종족에 대한 운남성 전체 종족 분포와 비교했을 때, (표5)와 같이 비교할 수 있다. 


(3) 다른 종족과의 결혼가능성 여부


표6: 다른 종족과의 결혼에 대한 거부감 여부

 

빈도

유효퍼센트

있다

32

34.4 %

없다

61

65.6 %

합계

93

100.0 %

 
❍ “당신은 다른 종족과의 결혼에 대해 거부감이 있습니  까?”라는 질문에 대해 ‘거부감이 있다’는 대답은 종족의 정체성이 있는 것으로, ‘거부감이 없다’라는 대답은 종족의 정체성이 없는 것으로, 그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기 위한 질문이다.

 

❍ 이 질문에 대해 유효한 응답을 한 93명의 대학생 중에 32명(34.4%)이 거부감이 있는 것으로, 61명(59.8%)이  거부감이 없는 것으로 대답했다. 운남성의 대학생들은 종족간의 정체성이 분명치 않은 경우가 분명한  경우보다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7: 종족간의 결혼에 대한 거부감 여부

종족

결혼에 대한 거부감

전체

있다.

없다.

한족

24(42%)

33(58%)

57(100%)

회족

3

2

5

이족

0

4

4

백족

3

7

10

요족

0

2

2

동족

0

2

2

나시족

0

4

4

다이족

1

5

6

전체

31명

59명

90명

 


 ❍ 한편 아래의 표에서는 여러 종족에 있어서 정체성 여부를 파악한 것인데, 한족 이외의 종족은 수가 적어 의미를 해석하기에 어렵다. 한족의 경우에는 거부감이 있다라는 경우(24명, 42%)에 비해 거부감이 없다라는 경우(33명, 58%)가 비율이 더 높았다. 


(4) 졸업 후 귀향에 대한 의사


표8: 졸업 후 귀향에 대한 의견

 

빈도

유효퍼센트

있다

30

37.0 %

없다

51

63.0 %

합계

81

100.0 %

 

 ❍ ‘졸업 후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은  ‘대학생이 졸업 후, 그의 고향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CUP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 유효한 응답을 보인 81명의 학생 중 30명(37%)이 고향으로 돌아 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의견을 표명함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율적인 대학사역의 결과는 농촌 지역의 원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표9: 종족별 귀향에 대한 의견

종족

귀향 의사

전체

있다

없다

한족

17

34

51

회족

2

2

4

이족

3

1

4

백족

3

5

8

요족

0

2

2

나시족

1

2

3

다이족

3

3

6

전체

29 명

49 명

78 명


  ❍ 한편 종족간의 분석에서도 비록 수의 제한으  로 그 경향을 다 파악할 수 없지만, 대략적인   분석으로는 전체적인 분석과 크게 다르지 않  을 것으로 기대된다.


(5) 운남성 대학생들의 가족의 수


❍ 아래의 두 표에서처럼 운남성 대학생들의 가족의 수와 그 가족들 중에서 교회에 나가는 사람의 수를 파악하고자 한 것은 운남성의 대략적인 복음화율을 파악해 보기 위한 것이다.


표10; 운남성 대학생들의 가족수

가족인원

빈도

가족 합계

2명

1

2

3명

23

69 

4명

43

172 

5명

22

110 

6명

2

12 

8명

2

16 

합계

93 명

381명 

  

❍ 즉 다음의 표는 유효한 응답을 한 학생  들의 수가 93명이며, 그 가족의 수는      본인을 포함하여 2명에서 8명까지로 전  체 가족의 수는 381명이다. 

  

표11: 가족 중 교회에 나가는 사람

인원

빈도

합계

0

81

0

1

11

11 

2

1

2

3

2

6

합계

95명

19명

 
❍ 다음의 표는 그 가족 중 교회에 나가는  사람이 1명인 학생은 11명이며, 2명인 학  생은 1명, 3명인 사람은 2명으로 총 19명의  가족이 교회에 나가고 있음을 보여 준다.

  

❍ 그러므로 응답한 학생의 전체 가족 381   명 중 19명이 교회에 나가고 있음으로서 운남성 학생들의 가족은  5%(19명/381명)가 교회에 나가고 있음을 보여 준다.

 

❍ 이것은 운남성 전체의 복음화율을 예측하는 비율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6) 이미 예수님이나 성경에 대해 들어 본 경험의 유무


표12: 성경이나 예수님에 대해 들어본

경험의 유무

 

빈도

유효퍼센트

있다

88

88.0

없다

12

12.0

합계

100

100.0

 
❍ “예수님이나 성경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이 지역이 어   느 정도의 전방지역인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 운남성 쿤밍지역은 100명의 대학생 중   88.0%가 성경이나 예수님에 대해 이미 들어 본 적이 있어서 복음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 비율이 20%이하일 때, 전방개척지역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7) 복음에 대한 접근성


표13: 복음에 대한 접근성 ;

복음을 듣고 싶은가?

 

빈도

유효퍼센트

76

75.2

아니오

25

24.8

합계

101

100.0


❍ 또한  학생들은 “당신은 지금 예수 그   리스도에 대해 듣기를 원하십니까?”라     는 질문에 대해 75%가 듣고 싶다는 응    답이었고, 25%가 듣고 싶지 않다고 응     답했다. 이것은 한국인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이 복합돠어 있는 것으로 접근의 용이성이 있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8) 복음에 대한 수용성


표14: 복음에 대한 수용성 : 영접하겠는가?

 

빈도

유효퍼센트

41

40.2

아니오

61

59.8

합계

102

100.0


❍ 운남성 지역의 대학생들 102명 중에서   복음을 들은 후 영접하겠다고 하는 사     람은 41명으로 약 40% 정도의 수용성     을 보였다. 이러한 비율은 아직은 추수     기라고 할 수 있지만 쿤밍도 곧 선교의 장애가 있을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아마도 2-3년 후라면 이 비율은 점진적으로 낮아 질 것으로 보인다.


❍ 비록 각 대학 별로 분포된 학생 수가 많지 않지만 각 대학별 복음의 수용성은 다음과 같다. 즉 운남대학 30%, 운남민족대학 37%, 쿤밍대학 20%, 운남사범대학 25%, 쿤밍사범대학 100%였다. 그러나 쿤밍대학, 운남사범대학, 쿤밍대학은 너무 적은 수여서 수용성 비율은 큰 의미가 없다.


표15: 학교 * 영접 교차표

대학

영접

전체

아니오

운남대학

9

22

31

29.0%

71.0%

100.0%

운남민족

8

14

22

36.4%

63.6%

100.0%

운남사범

5

15

20

25.0%

75.0%

100.0%

쿤밍대학

1

4

5

20.0%

80.0%

100.0%

쿤밍사범

6

0

6

100.0%

0.0%

100.0%

기타

12

6

18

66.7%

33.3%

100.0%

전체

41

61

102

40.2%

59.8%

100.0%


표16: 종족 * 영접 교차표

종족

영접

전체

아니오

한족

26 (41.3%)

37 (58.7%)

63

(100.0%)

회족

2

3

5

40.0%

60.0%

100.0%

이족

0

4

4

0.0%

100.0%

100.0%

백족

2

9

11

20.0%

80.0%

100.0%

요족

1

1

2

50.0%

50.0%

100.0%

동족

1

1

2

50.0%

50.0%

100.0%

나시족

2

2

4

50.0%

50.0%

100.0%

다이족

6

1

7

85.7%

14.3%

100.0%

전체

43.37

58

98

40.8%

59.2%

100.0%


❍ 한편 종족 별 수용성은 한족이 41%정도였으며, 다른 종족은 일반적인 수용성을 나타내기에는 수가 너무 적었다. 그러나 참고적으로 회족은 40%, 이족 0%, 백족 20%, 요족 50%, 동족 50%, 나시족 50%, 다이족 86% 였다. 


4. 운남성 내 농촌 지역의 전도와 현지 조사


 표17:운남성 농촌지역의 장족 전도 및 현지조사

 

번호

 지역 명

종족명

종족인구

가족

(3대)

종교

복음의 수용성

1

떠친현 푸산향 H촌

(德钦县 佛山乡 H村)

장족

300명

6명

라마불교

  6/6(100%)

2

떠친현 뻔쯔란향 H촌

(德钦县 奔子栏乡 H村)

장족

90명

11명

라마불교

  6/10(60%)

3

떠친현 뻔쯔란향 S촌

(德钦县 奔子栏乡 S村)

장족

90명

6명

라마불교

5/5(100%)

4

떠친현 윈링향 K촌

(德钦县 云岭乡 K村)

장족

 

13명

라마불교

13/13(100%)

5

떠친현 Z촌

(德钦县 Z村)

장족

40명

7명

라마불교

1명 영접

6

샹그릴라현 꺼짜향 W촌

(香格里拉县 格咱乡 W村)

장족

140명

6명

라마불교

3/3(100%)

7

샹그릴라현 찌엔탕진 N촌

(建塘镇 N村)

장족

40명

7명

라마불교

3/3(100%)

8

샹그릴라현 니시향 S촌

(香格里拉县 尼西乡 S村)

장족

80명

9명

라마불교

9/9(100%)

9

샹그릴라현 꺼짜향 W촌

(香格里拉县 格咱乡 W)

장족

40명

8명

라마불교

5/8명

10

샹그릴라현 지엔탕향 J띠촌

(香格里拉县  建塘乡 J村)

장족

120명

6명

라마불교

12명/12명 영접

11

샹그릴라현 샤오중띠앤진 R촌

(香格里拉县 小中甸镇 R村)

장족

120명

5명

라마불교

12명 영접

12

샹그릴라현 꺼짜향 I촌

(香格里拉县 格咱乡 I村)

장족

 

 

라마불교

15명/16명

13

샹그릴라현 리앤허향 U촌

(香格里拉县 联合乡 U村)

장족

200명

5명

라마불교

11명/11명

14

샹그릴라현 루오지향 N촌

(香格里拉县 洛吉乡 N村)

장족

600명

9명

라마불교

11/12명

15

샹그릴라현 루오지향 R촌

(香格里拉县 洛吉乡 R村)

장족

10명

5

라마불교

18/18명

16

샹그릴라현 꺼짜향 R촌

(香格里拉县 格咱乡 R村)

장족

 

 

라마불교

4/17명

17

샹그릴라현 S향 R촌

(香格里拉县 S乡 R村)

장족

120

 

라마불교

60/120명

18

샹그릴라현 니시향 S촌

(香格里拉县 尼西乡 S村)

장족

100여명 

6명

라마불교

1명/3명

19

샹그릴라현 싼빠향 B촌

(香格里拉县 三坝乡 B村)

리수족

20여명

5명

무교

4명/4명

20

샹그릴라현 산빠향 I촌

(香格里拉县 三坝乡 I村)

장족

 

 

라마불교

2명/4명

21

샹그릴라현 H진

(香格里拉县 H의 여러마을)

장족

500여명

7명

라마불교

1(이족)/7


❍ 운남성 장족 원 종족에 대한 전도는 위에서와 같이 총 269명이 복음을 듣고 177명이 영접함으로써 66%가 영접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특히
샹그릴라현 S향 R촌은 주민이 모두 120명인데 그 중 무려 60명이 예수님을 믿기로 하고 영접기도를 드렸다. 그 중에는 촌장과 그의 일가친척들이 다 포함되어 있다.


❍ 이 촌에서 일어난 상황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가) 선교팀은 첫날, 버스로 이동하면서 릴레이 기도를 밤새도록 진행했다. 거점 도시에 도착해 다시 봉고차를 타고 마을로 이동했습니다. 마을에 도착해서 마을 아주머니의 도움으로 촌장을 소개 받게 되었다. 그리고 촌장이 저희를 만나러 오는 동안 마을 전체를 돌며 그 마을 전체 지역을 두고 그리고 그 곳에 살고 있는 마을 주민들을 위해 축복기도와 대적기도를 했다. 무엇보다 그 분의 예비하신 영혼을 인도해 주시도록 기도했다.


(나) 촌장의 인도로 그 마을에 위치한 초등학교에서 의료 일을 시작했다. 대략 20-30명 마을 어른들이 찾아 와서 약을 받고 간단한 치료를 받았다. 그리고 다른 한 쪽에서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노래와 율동을 가르쳤고 준비해 간 풍선도 불어 주었다. 한 자매가 “너희들 내일 다시 오면 더 큰 선물을 주겠다.” 고 했더니, 어린 아이 중 한 명이 “우리는 큰 선물은 필요 없고 우리들을 찾아 와 준 것이 기쁨이다.”고 고백했다.


(다) 오후 일정을 마치고 촌장이 배려 해 준 곳은 자신의 삼촌 댁이었다. 촌장과 촌장의 삼촌들은 도착해서부터 우리를 반겨 주고 정성껏 대접해 주었다.


(라) 둘째 날 아침에 말씀 묵상과 함께 기도회를 가지면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담대함과 확신을 주셨다. 그리고 아침 식사 후 촌장에 집으로 이동했는데, 촌장의 집 거실을 아주 넓었다. 우리가 도착하자말자 어린 아이들과 마을 주민들이 몰려 왔다. 먼저는 “예수”영화를 감상했다. 처음에는 어수선하고 집중을 잘 하지 못했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집중하게 되었다. 가져 간 CD가 그들의 언어로 된 것이 아니었지만, 의외로 잘 알아듣고 이해하는 것 같았다.


(마) 영화 감상을 마치고 리더가 복음을 전하였다. 그분의 사랑, 인간의 죄,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을 전하였고 “예수님을 믿겠느냐” 라고 물었을 때,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믿겠다고 동의했다. 리더가 영접기도하는 것을 따라 그들은 한 구절씩 따라하면서 기도를 드렸다.  마지막에는 이구동성으로 다같이 ‘아멘’으로 동의했다. 리더는 기도를 마치고 재차 믿음과 확신을 권면하고 가르쳤다.


(바) 아울러 그 자리에서 치유 기도를 드렸는데, 몸이 아프거나 병이 낫기를 원하는 사람은 손을 들어 표하라 했을 때, 대략20-30명 정도가 손을 들었다. 그래서 ‘내가 믿는 그분께 함께 기도하자’고 하고 통성으로 기도하면서 저희 각 조원들은 각 사람의 아픈 부위를 만지며 기도했다. 기도를 마치고 난 그들의 얼굴은 더욱 환한 모습으로 변해 있었다.


(사) 촌장을 불러서 “당신도 기도했습니까?” 라고 물었더니, 자신도 기도했다고 말했는데,  그 자리에는 촌장의 부모님도 함께 계셨다. 나중에 조원 중 한 명이 그 자리에 있었던 어린이와 주민들을 다 세어보니, 무려 56명이었다. 


(아) 그리고 계획한 대로 촌장의 삼촌 댁을 방문해서 “복음”을 전해서 4명이 진지하게 듣고 함께 영접기도를 드렸다. 결국 그 마을 전체 주민 120명 중, 50%인 60명이 복음을 듣고 영접기도를 했다.


(자) 그 마을을 떠나 돌아 온 거점 도시에는 고교3 학년인 그 마을 촌장의 삼촌 중 한 아들이 있었다. 그래서 연락처와 주소를 가지고 찾아가서 삼촌의 아들을 만나 여관으로 데려 와서 복음을 전하고 진지하게 함께 기도드렸다. 그는 그 마을 역사상 유일하게 대학엘 들어갈 수 있는 실력을 겸비한 똑똑한 학생이었다. 그가 도시의 대학을 진학해서 잘 양육받게 되어 앞으로 자신의 마을과 종족을 위해 귀하게 쓰임 받기를 기도하며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 이것은 도시에서의 개인전도 외에 농촌에서는 집단회심을 고려해야 한다는 핵심 전략에 따른 것이다. 리더는 지혜롭게 그 집단의 지도자인 촌장에게 의도적으로 집중하며 마을 전체에 복음을 전함으로써 마을 주민의 반이 주님께 돌아오는 큰 역사가 일어났다.




4. 교회 개척을 위한 전략적 정보


정보1: 운남성 쿤밍 소재의 대학생들의 복음에 대한 노출 정도는 80% 이상이므로 이 지역은 선교사 집중 배치 지역일 수 있다. 이 지역은 선교사의 재배치가 필요한 지역으로 생각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쿤밍은 선교사간의 과다 경쟁 및 상호 긴장을 유발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정보2: 운남성의 경우, 쿤밍은 일차 관문도시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으며, 중간 관문도시로서는 다리(大理)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대략적으로 쿤밍에서 5시간 정도의 거리에 있는 도시가 선교사가 정착하여 사역할 수 있는 중간 관문도시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보3: 운남성 지역의 대학 사역은 아직은 복음의 접근성이 용이하지만, 40%정도의 수용성은 중국에서는 점진적으로 선교의 장애가 예고해 주는 것이다. 아마도 이 지역은 향후 3-4년 동안에 집중적인 사역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정보4: 회족은 다른 종족간의 결혼에 대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종족의 정체성이 상대적으로 분명한 편이다. 그러나 대학과 도시에서는 종족 간의 정체성이 점진적으로 약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5: 운남성의 대학생의 약 40% 정도는 고향으로 돌아 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캠퍼스에서의 대학생 사역은 농촌 지역의 자기 종족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정보6: 조사한 학생들 가운데 운남성에 살고 있는 가족 381명 중 약 5% 즉 19명이 교회에 나가고 있다는 것은 기존의 알려진 운남성의 복음화율과 비교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운남성의 복음화율은 약 15%를 상회한다. 

인구수

가정교회

삼자교회

성도수

복음화율

허난(河南)

   92,560,000

  21,400,000

   3,500,000

   24,900,000

26.90%

푸젠(福建)

   34,710,000

   5,800,000

     960,000

    6,760,000

19.48%

저장(浙江)

    46,770,000

   5,940,000

   1,520,000

    7,460,000

15.98%

안후이(安徽)

    59,860,000

7,980,000 

   1,280,000

    9,260,000

15.47%

윈난(云南)

    42,880,000

5,700,000 

     900,000

    6,600,000

15.39%

 

정보7: 농촌 지역의 경우, 어린이 사역과 의료 사역은 매우 효과적인 선교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정보8:  농촌은 도시 및 대학과는 달리 문화 및 의료 혹은 교육적 방법과 함께 하는 “집단 회심”이라고 하는 결과를 기대해야 한다.  


정보9:  이러한 집단회심을 위해서는 그 집단의 의사결정 구조, 구속적 유사, 강력한 기도를 수반하는 메시지가 필요하다.


정보10:  도시에 비하여 농촌, 즉 미전도 종족지역은 상당히 높은 복음의 수용성을 보이고 있다. (68%), 복음에 대한 접촉도 거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보11:  120명 주민의 반 정도가 영접한 샹그릴라현 S향 R촌을 위한 특별한 중보기도와 향후 전략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