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공휴일
1. 원단(元旦) : 양력 1월 1일
- 우리식 신정
2. 춘절(春節) : 음력 1월 1일
- 우리식 설날. 폭죽이 터지는 중국의 설날은 최고의 명절이다.
3. 국제 노동부녀절(國際勞動婦女節) : 3월 8일
- 우리식 여성의 날.
4. 국제 노동절 : 5월1일
- 제 2인터내셔날에서 미국의 노동자 투쟁을 기념하여 제정한 메이데이다. 국제 노동
절로 세계적 인 기념일
5. 청년절 : 5월 4일
- 학생의 날이다. 1919년 5월 4일 파리 강화회의에서 천진에 대한 독일의 권리를 일본
에게 양도한 것을 시발로 반외세 학생 운동이 북경의 대학생, 청년들을 중심으로 발
발해서 붙여진 이름.
6. 국제 아동절( 國際 兒童節) : 6월1일
- 중국의 어린이날
7. 중국공산당 탄생기념일 (中國共産黨 誕生紀念日) : 7월 1일
- 1921년 중국 공산당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
8. 중국인민해방군 건군절 : 8월 1일
- 우리식 국군의 날
9. 중추절(仲秋節) : 음력 8월 15일
- 우리식 추석. 그러나 중국의 추석은 설날과 달리 매우 조용하게 지나간다.
10. 국경일(國慶日) :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을 기념하는 날이다
2009년 중국의 추석은 8일간의 연휴로 긴 휴가와 많은 볼거리가 있을것으로 예측됩니다.
왜냐하면 추석이 있는 10월달에 중국의 최고의 국경일인 궈어칭지에(国庆节)와 맞물려 있기때문입니다.
10월 1일은 중국의 건국일인 国庆节로써 중국으로보면 최고의 국경일인데 올해는 건국 60주년으로 지금까지 국경일 행사중 최고의 행사가 벌어질것입니다. 10월 1일의 밤은 불꽃놀이는 만약 위성으로 촬영한다면 중국이 밤이 아니라 대낮처럼 사진에 나올겁니다..그만큼 대단한 불꽃을 볼수 있을겁니다..특히 북경은 천안문광장을 비롯 시내 곳곳의 공원에서 동시에 터지는 불꽃은 북경의 하늘을 꽃으로 장식할것입니다.
이때 연휴는 10월 1일 부터 10월 8일까지 입니다.
대신 9월 27일 일요일 정상 근무 10월 10일 토요일 정상근무 입니다. 은행이나 우체국의 경우 시간단축 근무를 하는데 업무규모가 작은 곳은 계속 휴무이며 규모가 큰 지점에서만 오전 또는 오후 3시까지만 단축근무를 할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 출퇴근시간
- 행정기관과 회사의 사무 시간은 08:00~17:00까지 기본
12:00를 전후 1~2시간의 휴식
---> 행정기관에 볼일이 있을때는 되도록 오전에 하는것이 좋다함
- 은행의 영업시간은 월~금까지 08:00~17:00이고,토요일은08:00~11:30임
일요일은 휴무이므로 환전주의! 각 호텔의환전서비스시간은 비교적길고 곳에 따라 일
요일도 영업한다함.
- 상점의 영업시간은 여름과 겨울에 조금씩 차이를 두고 있는데,
여름에는 09:00~18:00이고 겨울에는 09:00~19:00이라함
중국의 3대 명절음식-원소, 종자, 월병
중국 전통식품풍속의 특색은 세시(歲時)명절에 각별히 선명하다. 춘절(春節), 단오(端午)와 중추절(中秋節)은 중국 명절민속 중 가장 중요한 1년의 세 명절로서 이때의 독특한 식품은 원소(元宵), 종자(棕子)와 월병(月餠)인데 이는 중국 3대 명절식품으로 불리고 있다.
그럼 아래에 원소, 종자와 월병을 살펴보기로 하자.
중국 음력으로 새해 춘절(春節)은 중국인들의 가장 성대한 명절이며 춘절을 쇠는데는 일련의 식품 풍속이 있는데 정월 15일 원소절(元宵節)은 춘절을 쇠는 식품풍속의 중점이다. 이날 집집마다 원소를 먹는데 중국 북방과 남방의 원소 이름은 같지않다. 남방사람들은 원소(元宵)를 탕원(湯圓)이라고 하는데 탕원과 원소를 만드는 방법도 같지않다.
중국 북방에서는 원소를 만드는 방법을 원소를 굴린하고 한다. 구체 방법은 참깨, 땅콩이나 팥 소에 사탕을 넣어 작은 완자처럼 소를 만든 다음 다시 물을 뭍혀 키에 놓은 찹쌀가루우에 반복적으로 굴리는데 닭알 보다 작은 원구가 되면 원소가 완성된다.
현대인들은 일이 바쁘므로 일반적으로 더는 자기로 원소를 만들지 않고 시장에 가 산다. 해마다 원소절이 오면 큰거리나 골목에서 장사군들은 직경이 1미터 이상 되는 큰 키를 놓고 열심히 원소를 굴린다. 베이징에서는 <도향촌>(稻香村)과 <계향촌>(桂香村)의 전통가게 원소가 가장 환영받는다.
이에 비해 남방사람들은 원소절에 자기가 직접 탕원을 만들기 즐긴다. 그들은 찹쌀가루를 더운 물로 반죽한 다음 다시 호두, 땅콩, 참깨, 대추, 팥으로 만든 소를, 반죽한 가루에 싸서 동그란 원소를 만든다. 남방에서 비교적 이름난 탕원은 중국 동부의 녕파 탕원(寧波湯圓)이고 중국 서남부의 사천성 성도의 <라이탕원>(赖汤圆)이다.
원소나 탕원이나를 막론하고 모두 물에 삶아 먹는데 달콤하고 향기로우며 연하고 매끌매끌해 그 맛이 일품이다. 민간 전설에 의하면 원소절에 원소나 탕원을 먹는것은 중국어중의 비슷한 음을 딴것으로서 <단단원원>(團團圓圓) 다시말하면 함께 단란히 모인다는 뜻이다.
음력 5월 5일은 단오절로서 이 날의 가장 중요한 식사풍속은 종자(粽子)를 먹는것이다. 종자(粽子)는 대나무 잎이나 갈대잎 등으로 찹쌀을 싸서 다시 끈으로 삼각 원추형이나 베개모양 또는 기타 모양으로 동여맨 다음 찌거나 삶아서 먹는다. 중국 각지 사람들의 음식 구미가 다르므로 종자(粽子)의 재료, 제작과 맛도 서로 다르다. 중국 동부 장강 연안의 소주(蘇州), 가흥(嘉興), 녕파(寧波)는 어미지향(魚米之鄕)으로 불리고 있다. 이 곳의 종자는 남방종자(粽子)의 대표로서 소는 주로 팥, 밤, 대추, 고기 등으로 하며 북방 종자는 주로 대추나 말린 과일로 한다.
종자는 명절 식품으로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민간에서 유행되고 있는 설법으로는 단오에 종자를 먹는것은 고대 위대한 애국 시인 굴원(屈原)을 기념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전한데 의하면 기원전 3세기 굴원은 조국 초나라(楚國)가 함락된데 비분을 금치못해 5월 5일 강에 투신 자살했다고 한다. 그 후 사람들은 이 날을 굴원을 기념하는 명절로 정했다. 해마다 이 날이 되면 사람들은 대나무통에 찹쌀을 담아 강에 던져넣는것으로 굴원에게 제사지냈다고 한다. 후에는 또 제물을 강중의 교룡(蛟龍)이 훔쳐먹지 못하게 하기 위해 사람들은 대나무에 멀구슬나무 잎을 덮어 색실로 동여맷는데 교룡은 이 두 가지 물건을 가장 두려워 했다고 한다.
종자(粽子)는 명절식품일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서로 기증하는 선물로 되였다. 해마다 단오절이 되면 사람들은 친척이나 친구들 집에 갈때 모두 종자를 가지고 간다.
음력 8월 15일은 중추절(추석)인데 이날 밤의 달이 가장 둥굴기 때문에 <단원절>(團圓節)이라고도 한다. 중추절 저녁 달구경에서 월병이 없어서는 안된다. 월병(月餠) 모양은 둥근 달처럼 되여 있으며 그 속에는 맛있는 소가 들어있다. 보통 떡과 다른 점이라면 월병의 겉면에는 신화 전설중의 상아가 달을 향해 날아가거나 꽃은 활짝 피고 달은 둥글며(花好月圓), 풍년이 들고 장수하는 내용의 도안이 새겨진것이다.
중추절 저녁 둥근 달이 솟아 오를 때면 사람들은 달을 향해 월병(月餠)과 가지각색의 과일을 제물으로 놓고 둥근달에 제사 지낸다. 제사가 끝나면 한 집 식구들은 월병을 먹으며 <단원>(團圓)을 빈다.
중국 각지 월병의 맛도 서로 다른데 베이징을 대표로 하는 경식(京式), 중국 동부의 소주를 대표로 하는 소식(蘇式), 중국 남부 광동지역의 광식(廣式)과 조주(潮州)지역의 조식(潮式)월병이 가장 이름 있다.
인민생활이 향상됨에 따라 월병의 소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전통적인 사탕, 대추, 팥, 햄, 연용(蓮蓉)소 외에 소금에 절인 오리알 노란자위, 과일, 코코아크림 등 으로 만든 소도 있다.
월병은 친척이나 친구들을 방문할 때의 선물이기도 하다. 해마다 중추절 전야에 상점이나 슈퍼마켓에서는 각가지 포장이 정교로운 월병이 가득 진열되여 사람들에게 친인을 그리고 친구를 방문하는 <단원의 밤>(團圓夜)이 또 왔음을 알려준다.
[인터넷 자료]
'† CHINA > 중국이야기+중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법인대표와 법정대표 (0) | 2010.04.19 |
---|---|
중국 뉴스 홈/ 11월21 (0) | 2009.11.22 |
중국뉴스/ 억울한 체포 구속은 국가에서 배상 (0) | 2009.06.23 |
중국에서 다음 블로그 열리지 않을때 해결방법 (0) | 2009.05.23 |
중국의 부유층, 중산층, 서민층, 극빈층의 서로 다른 삶 (0) | 2009.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