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현대 중국교회의 발전 이야기
1. 삼자애국운동의 태동과 전개(1949-1958)
삼자애국운동은 집권 중국공산당의 종교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애국적 종교조직"이다. 당시 공산당은 기독교가 자본주의 제국주의자들의 문화적 침략의 도구로 사용되었다는 이유에서 중국의 교회를 서구의 교회와 단절시키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미국 뉴욕 유니온에서 신학을 공부한 우야오종(吳輝宗)을 비롯한 자유주의적 기독교 지도자를 내세워 "三自(自治, 自義, 自傳) 愛國운동"을 전개하였다. 1954년 정색으로 설립된 삼자애국운동에 거부하는 사람들은 반혁명분자로 낙인찍혔으며 대부분 1955년과 1958년의 두차례에 걸쳐 투옥되었다.
2. 탄압받는 중국교회(1958-1966)
1958년이후 중국에는 두 종류의 교회가 존재하게 되었다. 하나는 "삼자교회"라고 하는 삼자애국운동에 소속된 공인교회이다. 또 하나는 "가정교회"라 불리우는 지하교회로서 개인, 가정을 중심으로 예배와 집회를 가진다.
(1) 삼자교회의 수난
삼자애국운동에 선언한 성직자들조차도 6개월 동안의 정치학습을 받았으며 자신들이 착취계급에 속한다는 것을 자인하고 공장이나 농장에서 "자발적"으로 노동개조를 받았다. 또한 대약진운동이 전개될 때에 교인합병운동도 전개되어 상해에 있던 200개가 넘는 교회들이 8개로, 북경에서는 66개의 교회가 4개로 합병 감소되었다.
(2) 가정교회의 탄압
가정교회는 불법으로 간주되어 많은 교회지도자들이 장기간의 투옥이나 강제노동에 처해졌다. 자연히 투옥성도의 부인과 가족들은 절망상태에 빠졌으며 재정적, 육체적인 어려움을 당했다. 또한 "반혁명분자"라는 낙인이 찍혀 고립되었고, 자년들은 고등교육의 기회마저 박탈당했다. 고난중의 성도들은 서로 위로하고 신앙을 지키기 위해 비밀리에 가정에서 모이기 시작함으로 가정교회운동이 시작되었다.
3. 고난받는 중국교회(1966-1976)
1966년 8월 모택동의 선동으로 문화대혁명이 발생하였다. 젊고 과격한 10대, 20대 홍위병들이 전국을 누비고 다니며 구이데올로기, 구관습, 구도덕, 구습관등을 파괴하기 시작하였다. 홍위병들은 사찰과 수도원을 파괴하고 몇 안남은 교회를 습격하였다. 신자들의 집을 수색하여 성경, 찬송가, 기독교 서적을 압수하여 불태웠다. 이 기간에는 사실상 삼자애국운동 지도자를 포함한 거의 모든 기독교인들이 타도의 대상이 되었으며 공격을 받았다. 복음을 전하였던 가정교회 지도자들은 체포되어 강제노동수용소로 보내졌다. 당시 가시적인 기독교활동의 흔적은 중국사회 전면에서 제거되었고 비밀가정교회 활동조차도 중지되었다.
3년간의 일차적인 공세가 지난 다음 1970년 부터 성령에 감동받은 성도들이 다시 비밀리에 소그룹으로 모이기 시작했다. 성직자가 없었기에 평신도 지도자들이 목양하며 기도모임을 이끌었다. 성령은 중국 전역에서 역사하였으며 가정교회는 조용히 그러나 활발하게 모든 도시와 소읍, 마을들로 퍼져나갔다.
4. 소생하는 중국교회(1977-1980)
1976년 모택동이 사망하면서 중국은 변하기 시작했다. 정치적으로 중국은 계속적인 혁명을 주장하는 모택동의 급진적인 좌익노선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회주의적 근대화에 비중을 둔 온건노선으로 옮겨갔다. 서구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기 시작했다. 1979년 3월 중국공산당은 통일전선 노선의 일환으로 제한적이나마 관용을 허용하는 종교정책을 다시 채택했다. 이 정책은 4가지 현대화 계획에 필요한 경제원조를 서구로부터 얻어 내기 위한 일종의 유화정책이었다.
그 결과 1979년 8월 삼자애국운동이 재개되었으며 삼자소속교회들과 신학교가 계속 문을 열기 시작했다. 또한 농촌에서의 가정교회운동은 활발하게 시작되기 시작하여 중국교회의 부흥기가 시작되었다.
5. 갈등하는 중국교회(1981-1985)
1980년 12월 화국봉 실각 이후의 중국공산당은 1977년 이래로 중지된 직장단위의 정치학습을 재개키로 결정했다. 또한 4개 견지의 기본원칙에 따라 당을 혁신시키기로 결정하였다.
(1) 4가지 기본원칙 견지
①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모택동쌍 견지
② 프롤레타리아 독재 견지
③ 중국공산당의 지도 견지
④ 사회주의 노선 견지
(2) 삼자애국운동의 조직강화와 삼정정책
이러한 정치적 긴장의 결과로 삼자애국운동은 가정교회에 대해 통제가 강화되고 성, 현 단위까지 지부가 설립되기 시작하였따. 또한 1982.3.31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19호 문건"으로 알려진 종교정책을 작성했으며 이는 또 "삼정(三定)"정책으로 요약될 수 있따.
※ 삼정정책이란 :
① 기독교인들은 오직 삼자애국운동에 의해 지정된 교회에서만 예배할 수 있다.
② 오직 삼자애국운동에 의해 지정된 성직자들만이 설교할 수 있다.
③ 오직 지정된 장소에서만 종교활동을 할 수 있다.
(3) 가정교회의 갈등
중국교회의 신자는 1949년의 100만도 안되던 숫자에서 1982년 2,000만(비공식 통계) 이상의 숫자로 증가하였다. 가정교회는 복음전도팀을 조직하여 순회설교화 전도를 하였다. 그 결과 삼자교회와 가정교회 사이에 많은 충돌사건이 일어났고 많은 순회설교자들이 체포되었다.
1983년 5월 종교사무국은 리창써우(李常受, 윗타니스 리)의 후한파(呼喊派 기도할때 소리를 지르는 것에서 유래됨)를 반혁명집단으로 규정하였고 10월에는 "반범죄 캠페인"을 전개하여 대대적으로 가정교회를 탄압하였다. 이 기간 많은 성도들이 투옥되었다. 이 새로운 박해로 많은 가정교회가 삼자애국운동에 가입하여서 1982년 600개의 교회가 1984년 2,000개의 교회로 일시에 증가되었다.
6. 부흥하는 중국교회(1985-현재)
중국 공산당은 1984.10 경제건설촉진 결정에 따라 외부세계에 대해 좀더 개방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교회에 있어서 이것은 체포와 박해가 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1) 삼자교회
삼자애국운동에 소속된 공인교회는 1984년 2,000개에서 현재 5,000개로 증가했으며 신자수는 500만(정부공식집계)으로 증가했다. 또한 애덕기금회를 통해 성경을 인쇄하는 조건하에 신형 인쇄기를 성서공회로 부터 기증받았다. 또한 13개의 지방신학교가 개교했다.
1992년 1월 5일에 북경 충원먼 교회당에서는 전국적인 규모의 목사안수식이 거행되어 45명의 젊은 목사들이 배출되었다. 이것은 대단히 희망적인 귀한 일이 아닐 수 없다.
(2) 가정교회
가정교회에 대한 정부탄압은 강도를 달리하여 계속 진행되었다. 농촌을 중심으로 한 전국 각지에서 교인들이 증가되어 약 5,000만명(비공식집계)으로 추산된다. 가정교회는 고난을 통하여 연단되었으며 자체적으로 순회전도자를 훈련시키고 있다.
'† CHINA > 중국교회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삼자교회의 三自新派神學이란 무엇인가? (0) | 2013.05.06 |
---|---|
중국교회 자체의 전도활동 상황과 분석 (0) | 2013.04.05 |
중국 가정교회 지도자가 감옥에서 고통을 받다 (0) | 2013.01.02 |
Why is Jesus Christ the only way to Salvation / Chinese Version (0) | 2012.07.05 |
중국, 가정교회 뿌리뽑기 3단계 프로젝트 (0) | 201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