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爲肝液(누위간액) ?五臟化液?의 項 參照.
馬刀(마도)
馬刀俠?의 項 參照.
馬刀瘡(마도창)
馬刀俠?의 項 參照.
馬刀俠?(마도협영)
靈樞經脈編에 있음. 本症은 곧 ??이다. 그것이, 腋下에 생겨서, 形狀이 馬刀와 같으므로 馬刀라 命名하였으며, 馬刀瘡이아고도 함. 頸傍에 생겨, 貫珠(念珠)와 같은 것을 俠?이라 이름한다. 兩處의 病變이 항상 서로 關連되며, 頸部 腋部의 結核性淋巴腺炎이다.
馬牙(마아)
대개는 胎內에서 熱毒에 感受된 所致이다. 그 症狀은, 初生兒의 齒?에 白色小泡가 생겨서, 軟骨과 같은 狀態가 되어, 젖을 빠는데 障碍가 된다.
麻仁丸(마인환)
<淸腸潤燥>의 項 參照.
麻疹(마진)
俗稱 ??子?라 함. 小兒에게 常見되는 一種의 傳染病이며, 이는 時邪 ?毒을 感受함으로써 惹起되며, 病毒이 주로 肺胃를 侵犯한다. 처음에 먼저 肺衛의 風熱症狀이 나타나며, 咳嗽, 眼結膜紅赤, 畏光(差明), 눈물이 넘치는 것이 特徵이다. 皮疹이 出現할 때, 疹點이 먼저 耳後의 髮際와 頸部에서 出現하여, 漸次 顔面과 全身으로 퍼지는데, 疹點과 疹點사이에 정상적인 皮膚가 보이는 것이 特徵이다.
麻促脈(마촉맥)
十怪脈의 一種. 脈搏이 急促하고 混亂하다.
麻風(마풍)
以毒攻毒의 項參照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發表不遠熱]의 項 參照.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
兼方의 項 參照
麻黃湯(마황탕)
經劑의 項 參照
膜原(막원)
?募原?의 項 參照.
慢驚風(만경풍)
慢性으로 發作하며, 面色이 淡白 或은 靑色이고, 神倦嗜睡하며, 緩慢한 抽?(痙攣)을 되풀이하고, 腹部가 陷凹되며, 呼吸이 微緩한 것 등을 主證으로 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發病原因은, 或 嘔吐나 泄瀉後에 惹起되기도 하고, 或은 急驚風에서 轉變되기도 한다. 吐瀉로 因해 惹起된 경우는, 대개 ?門(숫구멍)과 目?(눈두덩)이 低陷되고, 肌肉이 弛緩되며, 便秘 尿少하고, 口鼻의 氣가 冷하며, 甚하면 睡眠中에도 눈을 뜨고, 肢冷하며, 脈細無力하다. 急驚風에서 轉變된 경우는, 便秘하고, 小便失禁하며, 或은 尿閉가 되고, 汗出이 淋?하며, 舌紅苔少하고, 邪氣가 盛하며, 兩眼이 빛을 두려워하고(畏光), 强直 痙攣하며, 甚하면 言語錯亂하고, 舌紅, 苔濁? 等을 發한다. 慢驚風에는 重病의 後期에 나타나는 多種의 驚厥을 包括하며, 例컨대 結核性腦膜炎 등이다.
晩發(만발)
伏氣溫病의 別稱이다. 春季, 秋季의 末期에 發生하는 裏熱症候가 比較的 重한 溫熱病을 말함. 단 晩發이란 用語를 지금은 그다지 쓰지 않는다.
彎針(만침)
針法操作시의 異常情況이다,. 즉 針을 체내에 刺入한 후 針체에 만곡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대개는 와계의 刺戟으로 인해 병인의 근육이 돌연 수축하거나 體位를 이동하기 때문이면 혹은 수법조작의 미숙등으로 인해 야기되기도 한다. 처리方法은 먼저 가볍게 움직여서 본래의 체위로 회복시켜 針의 만곡각도와 方向에 따라 순리로 서서히 拔出하되 절대로 힘을 주어 억지로 拔出하거나 捻轉해서는 안된다, 針이 부러질 憂慮가 있기 때문이다.
慢火(만화)
文火의 項 參照
亡陽(망진)
大汗不止, 或은 吐瀉過極, 或은 其他原因으로 陽氣를 耗傷함으로 因해 陽氣가 突然 衰竭하여, 大汗이 淋?하며, 汗出이 구슬같고 微粘하며, 外寒하고, 手足冷, 呼吸微弱, 面色蒼白, 口不渴, 或渴喜熱飮, 脣舌淡潤하며, 甚하면 口脣이 靑紫色을 띠고 脈微欲絶 或은 浮數而空 等이 나타나는데, 쇼크現象과 類似하다. 亡陽은 대개 亡陰이 더 進展한 것이며, 陰液이 過度하게 虧損되면, 그에 따라 陽氣도 亡脫된다. 이러한 同一疾病의 두개 段階에서는 特別히 辨證에 注意해야 한다.
網油(망유)「三焦」의
項 參照
亡陰(망음)
高熱, 出汗過多, 大量吐瀉 等으로, 陰液을 耗傷함으로 因해 나타나는 一種의 病理反應이다. 主要表現은, 身熱, 汗多. 煩躁不安, 口渴而喜冷飮, 呼吸氣粗, 四肢溫暖, 脣舌乾紅, 脈虛數 等이다.
望診(망진)
四診의 一種이다. 이는 視覺을 運用하여, 病者의 神色, 形態, 舌象, 大小便과 其他배설물 等을 觀察하는 方法이며, 小兒에 대해서는 指紋을 診하는 것도 包括된다.
亡津液(亡津液)
[傷津]의 項 參照.
望齒(망치)
望診內容의 하나. 齒牙와 齒痕의 兩部分을 包括한다. 前者는 主로 齒牙의 萌出, 乳齒의 更換 및 脫落의 狀況, 露出部分(齒冠, 齒頸)의 色澤 潤濕도 및 弛緩이나 動搖與否, ?齒乳無, 齒槽膿漏 및 異常臭의 有無 等을 觀察한다. 後者는 主로 齒痕의 形象, 色澤 및 充盈度의 變化, 出血 血痂의 有無等을 [腎主骨]하고, 髓를 生하며, [齒爲骨之餘]이고, 胃의 經脈이 齒?로 연락된다. 그러므로 望齒는 主로 腎과 胃의 病變을 살피는 것이다.
亡血(망혈)
吐血, ?血, 便血, 尿血 等의 出血證의 總稱이다.
亡血家(망혈가)
平素, 嘔血??血?尿血?便血?崩漏 및 金瘡 等 失血性疾患을 앓은 病因을 말함. 張仲景은 ?傷寒論?에서, 이러한 類의 病因은 體內의 陰津이 본래 虧損되었으므로, 發汗시킬 수 없으며, 만약 發汗시키면 病人이 ?冷寒戰의 病象을 惹起한다고 하였다.
望形態(망형태)
望診內容의 하나이다. [形]은 體形을 말하며, 肌肉,骨格,皮膚 等을 包括한다. [態]는 動態이며, 體位,姿態,活動能力 等을 包括한다. 望形態에서 病者의 體質, 發育 및 營養狀況을 알 수 있으며, 아울러 氣血의 盛衰, 邪正을 消長, 傷痛의 部位等을 아는데 도움이 된다.
梅核氣(매핵기)
本證은 情志가 鬱結하고, 肝氣에 痰이 섞이기 때문이다. 本證은 咽喉가 不紅不腫한데 咽中에 梅核大의 異物이 걸린듯한 自覺症이 있어서 吐出할 水道 없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는다. 本病은 [?球](히스테리球)에 該當한다.
梅花針(매화침)
皮膚針의 項 參照
脈(맥)
<五不女>의 項 參照.
脈(맥)
맥관을 뜻함. 맥관은 .심과 상연하며 혈액운행의 통로이다. 맥관과 심장 그리고 기타장기와의 관계는 주로 영양의 수송과 기혈순환의 연계로 표현된다.
脈口(맥구)
寸口의 項 參照.
脈度(맥도)
經脈의 長短의 度數를 말함. 古人이 人體의 經脈의 길이를 測定한 一種의 데이터(data)이다.
脈無胃氣(맥무위기)
脈象에 從容 和緩과 正常的 리듬이 喪失되어, 弦勁하고 팽팽하여 手指에 堅强하게 느껴지거나 虛浮無力하며, 混亂 不均 等을 나타內면, 胃氣가 곧 끊어지려 하고, 五臟의 眞氣가 露顯되어 生命이 危?함을 表示한다. 例컨대 肝臟의 眞氣가 露顯되면, 脈象이 弦勁하여 칼날을 만지는 것 같은데, 이를 但弦無胃라 한다. 또한 脾臟의 眞氣가 露顯되면, 脈象의 間歇이 玉漏수가 방울져 滴下하듯이 사이가 뜨게 되는데, 이를 但代無胃라 한다. 이들은 모두 眞臟脈에 屬한다. 眞臟脈의 項 參照.
脈痺(맥비)
素問?痺論에 있음. 이는 血脈의 症狀을 爲主로 하는 痺症이다. 臨床表現은 不規則한 發熱이 있고 肌膚에 灼熱感이 있으며 疼痛하고 皮膚에 紅斑이 나타나기도 한다. 대개는 血虛하고 風寒濕의 邪氣가 血脈에 留滯한 所致이다.
脈象(맥상)
指端에 느껴지는 脈動의 形象을 말함. 脈搏數, 脈搏의 리듬. 充盈度, 搏動의 情況, 脈勢의 和緩, 破動의 幅 等을 包括한다. 이들 徵象에 의해 脈象을 數十種으로 나눌 수 있는데, 常用되는 것으로 二十八脈이 있다. 臨床上 往往 二種以上의 綜合된 脈象, 例컨대 浮數, 沈細지等이 있다. 脈象이 辨證에 있어서 主要한 根據의 하나가 되지만, 반드시 其他의 診法과 結合시켜 全面分析을 해야 한다.
脈象主病(맥상주병)
어떤 脈象이 主로 나타내는 病症을 말함. 例컨대, 浮液은 主로 表證과 關聯이 있고, 數脈은 主로 熱病과 關聯이 있으며, 滑脈은 主로 痰飮, 食滯, 實熱 或은 姙娠 等과 關聯이 있다.
脈逆四時(맥역사시)
人體가 四時氣候의 變化에 適應하지 못함으로써 脈象이 四時氣候의 改變에 相應하게 變化하지 못하는 病理現象을 말함. 그 表現에는 通常 두가지 면이 있다. ①四時의 脈象의 太過, 不及, 或은 相反으로서, 例컨대, 春夏脈에 浮洪이 그다지 나타나지 않고, 도리어 沈00000하며, 秋冬脈에 沈實이 그다지 나타나지 않고, 도리어 浮洪한 等이다. ②身體의 各部의 脈搏의 變化가 正常이 아닌 것으로, 例컨대, 春夏의 人迎脈은 有餘해야 하는데 도리어 不足하고, 寸口脈은 不足해야 하는데 도리어 有餘하며, 秋冬의 人迎脈은 不足해야 하는데 도리어 有餘하고, 寸口脈은 有餘해야 하는데 도리어 不足한 現象을 나타내는 等이다. 그러나 이 變化는 診斷上 현재 그다지 고려 應用되지 않고 있다.
脈?(맥위)
素問??論에 있음. ?證의 하나이다. 症狀은 下肢의 肌肉이 萎縮無力하여 頸部가 軟弱해서 서있을수 없고 膝?의 關節을 屈伸할수 없는 等이다. 心氣熱에 의해 氣血이 上走해서 下部의 血脈을 空虛케하며 或은 失血過多로 인해 經脈이 空虛해져서 肌肉을 麻痺케 하며 더 進行되면 本病이 發生한다.
脈陰陽俱緊(음양구부긴)
傷寒論에서 나온 말. 寸部와 尺部의 脈이 함께 緊傷을 나타내는 것을 말함. 寸脈은 臟에 屬하고, 尺脈은 陰에 屬하며, 陽部의 脈이 俱緊함은 部緊의 脈이다. 外感의 寒邪에서 나타나며,?理가 密하여 無汗하고, 表氣가 닫혀서 宣通하지 못하는 것은 表實의 見證이다.
脈陰兩俱浮(매음양구부)
傷寒論에서 나온말. 寸部와 尺部의 脈이 함께 浮象을 나타내는 것을 말함. 寸脈은 臟에 屬하고, 尺脈은 陰에 屬하며, 兩部의 脈이 俱浮함은 浮洪의 脈이다. 風온病의 外熱이 이미 盛한데, 辛溫發汗劑를 誤用해서 津液이 受傷하여, 熱邪이 內外에 充滿한 境遇에 나타난다.
脈應四時(맥응사시)
脈合四時의 項 參照.
脈靜(맥정)
脈搏이 和緩 平靜함을 말하며, 脈躁와 相對되는 말이다. 痰病이 好轉되거나 或은 惡化하지 않음을 表示한다. 例컨대, 患者에게 비록 太陽病의 發熱 惡寒 두痛 等 證이 있더라도 脈搏이 여전히 和緩 平靜하고, 弦數하지 않으면, 病邪이 輕하여 深入發展하지 않음을 말해준다.
脈躁(맥조)
疾病의 過程에서 脈象이 原來에 比하여 急數 躁動해지는 것을 말함. 一般的으로 邪氣가 內轉하여 病情이 壞의 方向으로 發展함을 表示함.
脈證合參(맥증합참)
辨證의 過程에서, 脈象과 證候를 相互 參照하여 分析綜合함으로써 病情을 推斷하는 方法이다. 一般的으로 脈象과 證候가 一致되는 것이 順證이고, 脈과 證이 相反되는 것이 逆證이다. 例컨대 外感證(陽證)에 浮脈(陽脈)이 나타나고, 脾虛證(陰證)에 緩弱한 脈(陰脈)이 나타나는 等은 脈과 證이 一致한 것으로 이들 境遇는 辨證論치도 比較的 간단하며, 豫後도 比較的 좋다. 그런데 外感證에 細脈(陰脈)이 나타나는 것은 脈과 證이 相逆되는 것으로, 表實裏虛를 말해주며, 이는 邪氣가 盛하고 正氣가 不足한 것으로, 病理上錯綜複雜한 것이고, 豫後도 相對的으로 좋지 않다. 脈象과 證候가 相逆되고, 病理變化가 錯雜한 情況하에서는, 辨證에 있어서 반드시 現象을 看破하여 本質을 看破함으로써 治療上의 表本 緩急을 확정해야 한다. 故로 臨床上 언제나 捨證從脈과 捨脈 從證의 境遇가 있다.
脈診(맥진)
脈象을 診察하는 方法이다. [切脈], [按脈], [持脈]이라고도 함. 檢査者는 食,中,無名의 三指 指端으로 被檢者의 橈動脈의 寸口部를 按壓하여 脈象의 變化를 探査한다.
脈暴出(맥폭출)
微細하여 끊어지려던 脈이, 突然히 暴으로되는 것으로, 이는 陰陽離決의 現象이며, 病情이 危重할때 나타난다.
脈合四時(맥합사시)
脈象이 四時의 氣候에 따라 相應하게 變化하는 生理現象이며, 脈應四時라고도 한다. 人體는 春溫, 夏熱, 秋凉, 冬寒 四時의 氣候變化의 影響을 받아, 脈象에도 春弦, 夏洪, 秋毛 冬石의 相應하는 變化가 있다. 즉, 春夏에는 경動脈의 人迎脈이 약간 强하고, 寸口脈이 약간 弱하다. 秋冬에는 人迎脈이 약간 弱하고, 寸口脈이 약간 强하다. 그러므로, 脈診시에는 人迎脈과 寸口脈의 正常範圍內의 變化와 四時기候를 結合시켜 고려해야 한다. 단, 後者는 현재 診斷上 그다지 應用되지 않고 있다.
脈懸絶(맥현절)
正常脈에 比하여 差異가 현저한 脈象을 말함. 例컨대 正常脈에 比하여 3-4倍 빠르거나 或은 正常脈의 半이나 그 以下로 되는 것을 모두 脈懸絶이라 한다. 病重과 關聯이 있다.
脈會(맥회)
?八會穴?의 項 參照.
猛疽(맹저)
<結喉癰>이라고도 함. 대개, 肺,肝에 熱邪가 滯留하여, 邪毒,痰火가 咽喉部로 上衝하기 때문에 생긴다. 癰疽가 咽喉部에 생겨, 腫脹하며, 激痛하고, 뜨거운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우며, 呼吸이 困難하고, 寒熱이 甚해진다. 이 疾病에는 急性會厭炎, 咽喉壁膿腫, 喉頭水腫이 含有된다. 治療는, 解毒하고, 痰火를 瀉하며, 消腫시켜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黃連解毒湯을 加減法으로 쓰든지, 칼이나 鍼으로 腫處를 刺破하여, 排膿後, 永硼散을 바른다.
面垢(면구)
一見해서 顔面에 汚垢가 있는 것 같은데, 洗淨할 수 없는 것을 말하며, 外感의 暑邪 或은 體內에 積滯가 있는 等의 病症에서 나타난다.
面色緣緣正赤(면색연연정적)
[傷寒論]에 있는 말. 顔面全體가 紅色이며, 有別나게 兩0000?이 麗艶한 軟紅色을 띤 것을 形容한 것이며, 急性熱病이나 熱邪가 熾盛한 境遇에 볼 수 있다.
面王(면왕)
鼻準의 項 參照.
面?(면정)
?瘡疾患의 하나이다.面部에 생기므로 이렇게 이름한다.대개 관,額,頰 등처에 생긴다.熱毒이 축결된 所致이다.손으로 세게 짜서는 안된다.그러면 陰證으로 변하기 쉽기 때문이다.<?瘡>의 項 參照.
面塵(면진)
[素問,至眞要大論], [六元正大論] 等에 있음. 面色이 灰塵을 입힌 것처럼 暗灰色을 나타내는 것을 말함. 實證과 虛證이 있다. 實證은, 대개 燥邪에 所傷되거나 或은 伏邪가 內鬱하기 때문이며, 通常 口苦 咽乾 等의 症狀을 隨伴한다. 虛證은, 대개 久病으로, 肝腎이 陰虛하기 때문이며, 通常 頭暈耳鳴, 五心煩熱, 腰?,遺精 等의 症狀을 隨伴한다.
名,字,甫(명,자,보)
?名?은 正名을 말함. 例컨대 張機의 機는 正名이며 仲景의 ?字?이다.後世의 ?甫?字는 實際로는 역시 ?字?이다. 例컨대 ?周學海??之甫?는 ?周學海?. 字는 ??之?라는 뜻이다.
命關(명관)
透關射甲의 項 參照.
明堂(명당)
①鼻의 別名. ②古代의 人體經穴圖를 明堂圖 혹은 明堂孔穴圖라 하였음.
明堂孔穴圖(명당공혈도)
明堂의 項 參照.
明堂圖(명당도)
明堂의 項 參照
命門(명문)
生命의 門이란 뜻을 含有함. 命門은 人體生命의 根本으로서 生命을 維持하는 要素이다. 命門學說은 臟腑學說의 組成부분이다. 五臟중의 거의가 單一臟腑인데 腎만은 두 개가 있으며 古代學說은 흔히 「難經」의 “左者爲腎右者爲命門”이란 說을 推?하였다. 그런데 실제로는 兩腎이 外形에서 組織構造에 이르기까지 差異가 없다. 故로 虞搏의 「醫學正傳」은 이 說에 反對하여 右腎만을 命門이라 할 수 없다하여, 兩腎을 命門으로 總稱할 것을 主張하였다. 一說은 命門穴이 第14椎下의 陷凹中에 位置함을 根據로하여 命門이 兩腎 사이에 있으며, 具體的으로 「腎間動氣」(兩腎間에서 생기는 人體의 動力의 來源을 말함)로 體觀됨는 것으로 認識하는데, 이것도 命門의 火이다. 腎은 「水臟」이므로, 이는 水中의 火이며, 先天的인 眞元이다. 이 氣는 下에서 上으로 올라가서 後天的인 胃氣와 相接함으로써 生命을 持續하게 된다. 命門의 作用을 槪括해서 말하면 ①命門은 元氣의 根本이며 人體의 熱에너지를 生産하는 發源地이다. ② 三焦의 氣化를 돕는다. ③ 命門의 火에는 脾胃를 煖하게하여 음식물의 消化를 돕는 作用이 있다. ④ 人體의 性機能 및 生殖系統과 密接한 聯關이 있어서 命門火(相火에 屬함)가 不足하거나 偏亢하면 病態를 惹起한다. ⑤ 納氣作用이 있어서 呼吸系統의 機能과 密接한 關係가 있다.
命門之火(명문지화)
?腎?의 項 參照
命門火衰(명문화쇠)
?腎陽虛?의 項 參照.
命門火旺(명문화왕)
腎은 元陰과 元陽을 藏하는데, 元陰은 腎精을 指稱하고, 元陽은 命門火를 指稱한다. 腎陰이 虧損하여 命門火가 偏旺하면, 性機能亢進, 陰莖易擧, 多夢失眠 等이 나타난다. ?相火妄動?의 項 參照.
暝眩(명현)
本來는 頭昏目眩하여 눈을 뜨지 못하는 症狀을 말하는 것인데 古書에서 往往 暝眩과 藥物反應을 連繫시키고 있다.(尙書?設命篇上에서 “若不暝眩 厥疾弗廖”), 즉 服藥後에 惡心 頭眩 胸悶等의 反應이 出現하는 것을 暝眩이라 한다.
冒家(모가)
平素 頭目眩暈症이 있는 사람을 말함.
母氣(모기)
五行의 相生關係중 ?生我?하는 것이 母氣이다. 例:木은 火를 生하므로, 木이 火의 ?母氣?이다.
牡蠣散(모려산)
?澁劑?의 項 參照.
牡蠣散(모려산)
斂汗固表의 項參照.
摸法(모법)
傷科에서의 觸診方法의 하나이다. 이는 損傷疾病을 診斷하는 一種의 主要手法이다. 손으로, 肢體의 負傷部位와 그 周圍의 狀態를 자세히 促進(觸摸)檢査하여, 促進을 通해, 骨折 或은 脫臼의 有無를 發見하고, 骨折의 類型을 辨別함으로써 治療를 進行하는 根據로 삼는다.
母病及子(모병급자)
五行論으로 五臟間의 相生의 母子關係를 說明하는 가운데, 母病이 子에 미치는 것을 말함. 例:木生火로서, 肝木은 母이고 心火는 子인데 肝陽上亢이 一定한 程度까지 發展하면 心火를 亢盛케 하여 發病하게 된다.
冒暑(모서)
①一般的인 傷暑症을 말함. ②暑邪를 感受한 후 邪氣가 腸胃를 阻碍하여 惡寒發熱, 心煩, 口渴, 腹痛水瀉, 小便短赤, 惡心嘔吐, 頭重眩暈等症을 나타낸다.
募原〔膜原〕(모원〔막원〕)
①?素問·擧痛論?에서 “寒氣客于腸胃之間, 膜原之下,……”라 했는데, 王?注에는 “膜 謂膈間之膜, 原 謂??之原”이라 했다. 이는 胸膜과 膈筋의 사이 部位를 말함. ②吳又可의 ?溫疫論?에서 “邪自口鼻而入 則其所客 內不在臟腑 外不在經絡 舍于伏?之內 去表不遠 附近于胃 乃表裏之分界 是爲半表半裏. ……凡邪在經爲表 在胃爲裏今邪在募原者 正當經 胃交關之所 故爲半表裏”라 하였다. 景日//의 ?嵩崖尊生書?에서는 “原者 廣野之意, 在臟腑之外 與胃相近……”이라 하였다.
牡臟(모장)
五臟中 陽에 屬하는 것을 牡臟이라 함. 心에는 君火가 있고, 肝에는 相火가 있어서 모두 陽에 屬하므로 心·肝二臟을 牡臟이라 함(靈樞·順氣一日分爲四時篇에 있음).
毛折(모절)
毛髮이 枯槁하여 稀疏해지고 切斷되는 情況을 말함. 대개 久病으로 精氣가 枯渴되는 狀態에서 皮毛를 濡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毛際(모제)
男性 或은 女性의 外生殖器上方의 陰毛가 있는 部位.
募穴(모혈)
胸腹部의 體表에 있는, 臟腑의 生理 病理의 反應과 密接한 關係가 있는 反應點(穴位)을 말함. 이들은 모두 臟腑의 經氣가 모이는 곳이다. 肺募-中府穴 膽募-日月穴 心募-巨闕穴 胃募-中脘穴 肝募-期門穴 大腸募-天樞穴 脾募-章門穴 小腸募-關元穴 腎募-京門穴 三焦募-石門穴 心包募-?中穴(一說 天池穴) 膀胱募-中極穴
母?(모후)
?의 項 參照.
目(목)
五臟의 정기가 목으로 상주해야만 일광이 유신하고, 정상시각기능을 충분히 발휘한다. 「소문·五臟생성편」에서 “ 간수혈이능시”라 하였고 「소문·금궤진언론」에서는 “개규우목, 장정우간”이라하여 안의 생리기능이 五臟의 정기, 간혈의 조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설하였다.
目系(목계)
안구내의 뇌에 연하는 맥락을 말하며 수소음심경이 여기 연계되어 있다.
目?(目?)(목과)
胞瞼의 項 參照.
目?骨(목광골)
目?이라고도 함.眼窩周圍의 骨?.그중 眼窩上方의 것을 眉?骨이라 하고, 眼窩下方의 것을 절骨이라고도 함.
木克土(목극토)
① 五行中 5種類의 相克關係의 하나. ② 五行學說의 觀點에 依하면 相克은 本來 正常範圍內의 制約에 屬하는데, 近來는 ?木克土?와 ?木乘土?를 混同하며, 그 끗을 ?肝氣犯脾?, ?肝氣犯胃?와 같은 것으로 보는 習慣이 있다.
鶩?(목당)
寒瀉를 말함. ?鴨??혹은?鶩泄?이라고도 함. 瀉下하는 大便에 水와 糞이 相雜되고, 色이 靑黑色으로 鴨糞과 같음을 形容한 것이며, 小便이 淸하고, 脈이 沈遲하다. 이는 寒濕의 證에 屬하며, 脾氣가 虛하고, 大腸이 寒한 所致이다. 만약 瀉下한 大便이 다만 淸稀 垢?한 糞便이라면 ??泄?혹은?泄痢?라 한다.
目網(목망)
目眩의 項 參照.
目瞑(목명)
?瞑?은 合目 혹은 寐의 뜻. ?目瞑?은 눈을 감고 뜨려고 하지 않는것을 말함. 대개 發熱하며 心煩하고, 眩暈할 때, 患者가 눈을 감고 一時 安靜을 求하고자 하는 狀態에서 볼 수있다.
目上網(목상망)
目眩의 項 參照.
目上胞(목상포)
胞瞼의 項 參照.
目上眩(목상현)
目眩의 項 參照.
鶩泄(목설)
?鶩??의 項 參照.
木舌(목설)
舌이 滿口로 腫脹하여 堅硬해서 轉動不能한 것. 대개 心火의 過盛, 或은 心脾의 積熱, 火熱의 上衝에 起因한다.
目銳?(목예자)
?銳??의 項 參照.
目?(목우)
[眼胞痰核]의 項 參照.
木鬱達之(목울달지)
<素問. 六元正紀大論>에 있음. [木鬱]은 肝氣가 鬱結하여 治病함을 말하고, [達]은, 暢達케 함을 뜻함, 例컨데, 肝氣가 鬱結하여,兩脇이 脹痛 或은 竄痛하고, 胸悶不舒하며, 酸水를 嘔吐하고, 食慾不振하며, 腹痛腹瀉할 경우에는 <疏肝>法을 써서 治療해야한다.
木鬱化風(목울화풍)
五行의 歸類에서 肝은 風을 주관하고 木에 속하며 木鬱은 곧 肝鬱이다. 肝鬱로인해 肝血의 虧損을 일으키고 혹은 평소 血虧해서 肝風증상이 출현하므로 이렇게 말한다. 臨床上으로는 眩暈 舌麻 振顫 痙厥등증을 發한다.
木鬱化火(목울화화)
五行의 歸類에서 肝은 木에 속하며 木鬱은 곧 肝鬱이다.肝鬱로 인해 肝陰虧損을 야기하며 혹은 평소 內熱이 있어서 肝火증상이 출현하므로 이렇게 稱한다.臨床上으로는 頭痛 眩暈 面赤 嘔血 咳血등이 있고 심하면 發狂등증을 發한다.
目中不了了(목중불요료)
?傷寒論?에 있음. ?了了?은 뚜렷하고 分明하다는 뜻. ?目中不了了?은 物體를 볼 때, 模糊하고 不分明함을 形容한 것이며, 이는 陽明腑의 熱이 過盛하므로 津液이 損傷되어, 邪熱이 上蒸해서 일어나는 症狀이다.
目胞(목포)
胞瞼의 項 參照.
目下網(목하망)
目眩의 項 參照.
目下有臥蠶(목하유와잠)
[金?要略,水氣病脈證幷治]에 있음. 眼瞼浮腫을 形容한 것으로, 下眼瞼이 臥蠶의 形態와 같다는 것이다. 腎炎病因에서 多見된다.
目下胞(목하포)
胞瞼의 項 參照.
目下眩(목하현)
目眩의 項 參照.
目眩(목현)
眼眩, 目網이라고도 함. 上下眼瞼의 邊緣部이며, 여기에 睫毛가 着生함. 目上網, 目下網, 目上眩, 目下眩이라고도 함.
目眩(목현)
眩暈의 項 參照.
木火刑金(목화형금)
木火는 肝火를 金은 肺를 뜻함. 肝火가 過亢하면 肺金을 耗傷하여 肺病이 가중되고 乾咳 胸脇疼痛 心煩 口苦 目赤하고 심하면 喀血등증을 發한다.
目橫寸(목횡촌)
?同身寸?의 項 參照.
木喜條達(목희조달)
?木?은 肝의 代名詞이고, ?條達?은 調和 暢達을 뜻함. 肝의 生理特徵을 樹木의 生長發育現象에 比喩한 것이다. 肝은 疏泄을 主管하여, 한편으로 膽汁을 疏泄해서 脾胃의 消化를 돕고, 다른 한편으로 肝膽에는 떠 升發 透泄의 作用이 있어서 全身의 氣機를 舒暢케 한다. 그래서 肝氣의 特徵은 調和 暢達을 좋아하니, 過亢이나 抑鬱해서는 안된다.
?石滾痰丸(몽석곤담환)
<滌痰>의 項 參照.
夢遺(몽유)
?遺精?의 項 參照.
?(묘)
側腹部에 있으며, 第 12肋軟骨의 下方, ?척(腸骨의 上緣, 腸骨?)의 上方에 있는 軟組織部分, 허구리(脇下兩旁의 虛軟處).
苗竅(묘규)
비는 폐규이고, 목은 간규이며, 구순은 비규익도, 설은 심규이며, 이는 신규임을 말함.
??(무계)
???은 視物이 模糊하고 잘 보이지 않음을 뜻하며,???은 手足의 筋脈이 拘急抽?함을 뜻함. 대개 火熱이 心身을 上擾하여 肝風을 引動한 所致이다.
無名腫毒(무명종독)
갑자기 體表의 局部가 紅腫하는 一種의 症候인데, 적당한 名稱이 없으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症狀은 或痛或痒하고, 重한 경우는 ?熱 腫硬하며, 患部附近의 임파節이 腫大한다. 內部에 鬱熱이 있거나 或은 外邪風毒을 感受하므로 發生한다.
無瘢痕灸(무반흔구)
灸法의 一種이다. 艾柱를 直接 혹은 間接으로(강편, 산편등) 穴位의 皮膚상에 놓고 연소하여 매회 一定한 정도의 刺戟을 주는데 그 국부에 수포 화농 瘢痕이 생기지 않게 한다.
無犯胃氣(무범위기)
衛氣는 胃機能의 體現이다. 胃가 飮食을 接受하고, 水穀을 받아들여 腐熟함은 모두 胃氣의 作用이다. 기타 臟腑는 水穀의 精氣를 얻어야만 그 機能을 維持하게 된다. 그러므로 先人은 일찌기 “有胃氣卽生 無胃氣卽死”라고 하였다. 이는 處方用藥時에 반드시 胃氣를 損傷하지 않도록 注意해야 한다는 것이다. 例컨대 苦寒藥이나, 瀉下藥을 過度하게 쓰면 胃氣를 損傷하므로, 使用時에는 반드시 適量을 把握해야 한다. 단, 이는 一般的 原則이며, 病邪가 胃氣를 損傷하는 것이라면, 苦寒藥 或은 瀉下藥의 使用이 必須的이며, 이런 경우는 대담하게 使用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胃氣를 保護하는 것이 된다.
巫醫(무의)
符籍을 써주고 呪文을 외는 등의 迷信的方法(약간의 藥物을 兼用하는 水道 있다)으로 鬼神의 빌미를 구제하는 것을 治病의 手段으로 삼는 職業人을 말함. 巫의 發生은 꽤 오래되어 距今 3千여년전의 中國 商 周時代에 生産의 發展에 의해 技術知識을 修得한 人物의 하나로서 巫가 出現하였다. 巫는 疾病을 治療할 수 있고 歌舞에도 能하며 鬼神을 대신하여 말하는 手法을 썼으며 당시는 權力층만이 巫法을 治病手段으로 쓸 수 있었다. 甲骨文中에 이에 관한 記載가 있어서 당시의 醫療活動의 狀況을 說明하고 있다. 戰國時代에 이르러 民間 醫員이 이미 꽤 普遍化되어 扁鵲이 먼저, 信巫不信醫者 不治(무를 믿고 醫員을 믿지 않으면 불치이다)라고 주장했느데 醫藥發展의 制限과 大衆의 無知로 因해 사람을 속이는 巫醫가 오랜 期間에 걸쳐 存續되었다.
繆刺(무자)
古代刺法의 명칭 신체의 한쪽 (좌 혹은 우측)에 유병할 대 반대측의 穴位에 針刺하는 方法의 一種이다 . 주로 다음의 경우에 應用된다. 1)신체의 외형에 동통의 증상이 있지만 맥상은 정상인 경우 (素問 調經論에 잇음) 2)락맥에 유병한 경우(素問 繆刺論에 있음)
拇指同身寸(무지동신촌)
?同身寸?의 項 參照.
武火(무화)
火力이 크고 맹열한 것 緊火는 武火에 속한다 煎藥할 때는 必要에 따라 화력을 분간해서 써야 한다
無灰酒(무회주)
石灰를 넣지 않은 酒이다 古人은 주에 石灰를 넣어 술의 酸味를 防止했는데 이는 聚痰하게 되므로 藥用에는 無灰酒를 써야 한다
吻(문)
上脣과 下脣이 左右의 口角에서 會合하는 部位. 또한 脣의 四周部分을 總稱해서 吻이라고도 함.
紋陰(문음)
<五不女>의 項 參照.
聞診(문진)
四診의 하나. 病者가 主所하는 病情을 듣는 同時에, 病者 或은 保護者로부터 患者의 病痛部位, 發病時間, 原因, 經過, 旣往의 治療, 旣往證, 生活習慣, 飮食嗜好, 病因의 생각, 家庭, 生活經歷 等 疾病과 有關한 事項을 質問하는 것이며, 이는 病情과 病力을 全面的으로 알 수 있는 重要한 方法이다. 病情을 質問할때 十問에 中點을 둔다.
聞診(문진)
聲音을 聽取하는 것과 냄새를 맡는 兩面을 包括함. 前者는 聽覺에 의해, 病因의 言語, 呼吸, 咳嗽等의 聲音을 아는 것이고, 後者는 嗅覺에 의해, 病因의 病體에서 發散되는 냄새와 排泄物의 氣味를 分別하는 것이다. 四診中의 한 種類이다.
門齒(문치)
齒燥의 項 參照.
文火(문화)
火力이 작고 緩慢한 것 微火 慢樺는 문화에 속한다 藥物을 전자할때는 必要예따라 화력을 분간해서 써야 한다
米甘水(미감수)
쌀을 씻은 쌀뜨물로서 제藥용으로 쓰는 것 예컨대 白朮을 米甘水에 침연하여 절편하거나 혹은 포초하고 혹은 生用한다 米甘水에 침하면 조성이 제거되어 화중하게 된다.
米甘水灸(미감수구)
灸의 項 參照
尾閭(미려)
尾?, ?, ?端, 宮骨이라고도 함. 脊椎骨의 最下緣에 있으며, 위로 ?骨(先骨)과 連하고, 下端은 遊離되어 肛門의 後方에 있음.
眉?骨(미릉골)
眼?의 上緣의 骨을 말함. 解剖學上의 額骨(前頭骨)의 眼?을 構成한 部分에 該當함.
微脈(미맥)
脈象의 一種. 脈象이 細小하고 軟하여, 있는 듯 없는 뜻한 느낌이다. 氣血虛衰의 所致이다. 쇼크, 虛脫, 慢性虛弱證 等에서 多見된다.
微發病前服(미발병전복)
예컨대 학疾은 症狀이 發作하기 전의 적당한 시간에 복藥해야 한다
微邪(미사)
①邪氣가 輕微하여 發病도 輕淺한 것을 말함. ②?五邪?의 하나. 어떤 臟을 發病케 한 邪氣가 ?所勝?하는 데서 傳來된 것.
微邪脈(미사맥)
五邪脈의 項 參照.
微甚(미심)
[微]는 微薄 或은 僅少를, [甚]은 顯著를 뜻함. 性質이 같은 脈象인데, 微과 甚의 差異가 있음을 說明하는데 쓴다. 例컨대, 浮脈에 微浮과 甚浮의 差異가 있고, 또 正常人의 春季의 脈象은 微弦의 程度를 超過하면 病脈에 屬할 可能性이 있다.
微者逆之(미자역지)
<素問. 至眞要大論>에 있음. [微]는 病證이 뚜렷하면서 比較的 輕한 것을 말함. 例컨대 熱證, 寒證이 微에 該當한다. 病情이 [微]에 該當하기만 하면 [逆治]인 正治法을 쓴다.
米疽(미저)
?腋癰?의 項 參照.
尾?(미저)
尾閭의 項 參照.
微炒(미초)
炒의 項 參照
微風(미풍)
?素問·調經論?에 있음. 風邪를 感受하여 發病이 輕微한 것. 臨床表現은 筋肉의 ?動이며, 臟腑氣血의 症狀은 나타나지 않는다.
微火(미화)
文火의 項 參照
悶?(민무)
眼目이 昏花하고 視物이 不明하며, 同時에 煩亂하고 不安을 느끼는 一種의 證候이다. 대개 炎熱 濕濁이 內部에 交阻하거나 或은 熱毒이 熾盛한 所致이다.
蜜灸(밀구)
灸의 項 參照
蜜煎導法(밀전도법)
도변법의 하나이다. 적량의 봉밀을 남비에 넣고 끓여서 농축하여 뜨거울 때 꺼내어 소지정도로 2촌길이의 봉상을 만들어 항문내에 삽입한다.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동의보감 종합자료 (0) | 2006.05.10 |
---|---|
한의학 용어의 현대적 해설 (0) | 2006.01.25 |
한의학 사전 [ 다 ~ ] (0) | 2005.11.27 |
한의학 사전 [ 나 ~ ] (0) | 2005.11.27 |
한의학 사전 [ 가 ~ 2 ] (0) | 2005.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