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가정교회의 신앙배경과 조직"

 

중국 교회의 주류는 가정교회이며 각 교파별로 전국적(도시 및 농촌)으로 조직된 교회와 도시 중심의 연합적인 성격의 독립 가정교회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가정교회의 신앙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근대 선교시기에 형성된 교회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역사적으로 형성된 교회
 
개별형 자립교회
1906년 상해(上海)에서 설립되었던 ‘중국 자립회’가 있다. 이 자립회는 화북, 하남, 강서, 사천, 복건, 광동, 강소 등에 교회들이 형성되어 있고 비교적 발전된 유형의 교회이다. 이 교회들은 외국 교회나 선교사들과는 관계를 단절한 독립교회이다. 1917년 북경에서 장영생, 장바나바에 의해 설립된 참예수교도 기도와 안수 등으로 치료하며 오순절 운동을 통해 자립교회로 발전해왔으며 현재는 대만에 크게 형성 되어있다.
 
중화기독교회(中華基督敎會)
1927년 상해에서 발족되었으며 중화기독교회는 북부도시인 북경, 천진, 제남, 청도와 남방의 광동 등에서 형성 발전되었다. 이 유형의 교회는 기존의 외국 선교단체 및 그들이 세운 교단들의 연합체로서 현재 자립, 자양, 자전을 강조하고 있다.
 
중화기독교 협진회(協進會)
1922년 상해에서 조직되어 외국선교단체와 교단이 참여하여 설립하였으며, 후에 정치 참여 문제로 순수한 연합운동의 변질되었다. 이 문제로 복음주의 교회들은 이 모임에서 탈퇴하였고, 이 모임은 신 중국건설 이후 삼자에 참여하였다.
 
예수가정 배경의 교회들
1921년 산동 태안에서 징덴잉(敬奠瀛)에 의해 시작된 단체이다, 이 단체는 공동체생활을 강조하는 비교적 독특한 가정교회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농촌에서 전도활동을 했으며 화북, 산서, 섬서, 양자강 주변 농촌까지 확대되었다.
 
집 회 소
1928년 니퉈성(倪柝聲, 워치만 니)에 의해 상해에서 설립되었으며, ‘기독교집회소‘(基督敎聚會所) 또는 ‘지방교회’라고 불린다. 어떤 지역에서는 ‘소군파’(小群派)라고도 알려진 교회이다. 지방교회는 기성교회를 기독교회로 인정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일어난 교회이다. '소군'이란 이름은 마가복음 3장 32절에 나온 적은 무리에 근거하여 명명한 것이다.
 
영은(靈恩)교회
1910년 하나의 종파로서 부르게 되었으며, 1932년 북경의 무(武) 목사가 기도하다가 성령을 받아 성령운동이 확산되어 형성되었다. 이들의 특성은 몽은(蒙恩), 간증, 성령 충만, 방언, 진동, 중생, 창령가(昌靈歌)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농촌과 민간 신앙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기독도회당(基督徒會堂)
1925년 북경에서 왕밍따오(王明道)에 의해 설립되었다. 기독도회당은 자립원칙, 바른 신학원칙, 성경원칙을 세우고 그 실천 방안으로 순교정신, 정교분리, 교회토착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출삼(出三)
삼자회(예배당) 에서 나온 신자들이 구성한 교회들이다. 여러 가지 이유로 이전의 삼자교회에서 신도들이 나와서 시작한 가정교회들이 현재 중국 전역에 상당히 많이 있다.
 
이상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교단이나 교파, 교회를 살펴보았으며 몇 가지 특징을 정리 해보면 다음과 같다. 자립교회 운동이나 토착교회는 주로 지식인들 중심으로 도시에서 이루어졌으며, 오순절 계통의 신앙은 농촌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민간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파와 단체의 조직
 
기요파(基要派:근본주의, 복음주의)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도시는 독립적 연합의 성격을 띠고 있고, 농촌이나 중소 도시에는 대규모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다.
1) 왕밍따오(王明道) - 기독도 회당, 기독도 학생회에 활동했던 제자나 신도들의 그룹이다. 북경, 천진, 상해, 하북성 및 일부분의 기타지역에 퍼져있다.
2) 리톈언(李天恩) - 상해 하남, 안휘, 강소, 산동 등에 있는 그룹이다.
3) 린셴까오(林獻羔) - 광주 중심의 남부지역에 있는 그룹이다.
4) 중화기독교(장로회)의 영향 받은 산동일대의 그룹이다.
5) 자립교회의 영향을 받은 온주(溫州)중심의 그룹이다.
6) 삼자회에서 나온 도시중심의 독립교회 이다.
조직은 주요동공회(主要同工會)로 구성되며, 그 밑에 대편(大片; 11개의 小片), 소편(小片; 50개의 교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 15일에 동공회(同工會; 동역자 모임)로 모임을 갖는다.
 
영은파(靈恩派)
오순절계통의 교파이며 전국적인 조직을 가지고 있고, 단체나 파벌을 형성해 활동하고 있다. 주로 하남(河南)에서 시작되었으며, 빠른 속도로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1) 화인귀주교회(華人歸主敎會, 方城敎會母會)로 장롱량(張榮亮)이 최고 책임자이며, 하남성 방성에 근거지이다.
2) 중화몽복교회(中華夢卜敎會, 中國阜陽敎會)로 쩡셴치(鄭獻起)가 최고 책임자이며, 안휘성 부양, 리신이 근거지이다.
3) 온주지역 교회는 먀오즈통(苗之同)이 책임자로 있으며, 방성에서 분리된 영은파이다. 이 교회의 조직은, 지도급 사역자를 장로라고 부르며, 그 밑에 단대(團對, 부, 성, 시), 교회로 구성되어 있다.
4) 중화복음단계(中華福音團契)는 단체개념이 강한 조직이며 하남성의 탕허의 신의핑(申義平)과 남양의 신씨엔펑(申獻奉)이 최고 책임자이다. 이들 관계는 조카와 삼촌관계 이다. 이 교회의 조직은, 핵심동공(核心同工; 장로, 감독)이 있고, 그 밑에 지구(差會, 省市) 교회로 구성되어 있다.
5) 중국기타가정교회(中國其他家庭敎會)는 사실(98년 11월 26일 가정교회 신앙고백 서명자) 생명회(生命會; 자칭) 또는 중생파(重生派;타칭)로 불려지는 극단으로 소개되는 그룹이다. 이 그룹도 전국적인 조직을 갖고 활동하며 하남성 남양에 근거지를 두고 있다. 총책임자는 쉬용저(徐永擇)이며, 그의 여동생 쉬용링(徐永玲; 王君侶)이 이 단체를 이끌고 있다. 이 교회의 조직은, 사역자를 복음사자로 부르고 있으며, 6局(화북, 서북, 동북, 중남, 화동, 서남)과 그 밑에 교구(성), 소구(시), 교회(현, 향) 로 구성되어 있다.
6) 집회처는 상해 복건성 및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등록과 비등록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사실 이상수(위트니스리) 의 호함파(이단)와는 다르다.
이 외에도 해외교회나 선교사에 의하여 조직된 소규모의 독립 가정교회들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가정교회 내에도 최근에는 목사의 직분을 받은 사역자들이 사역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중국에 가서 선교를 할 때, 어떤 단체와 사역을 할 것인가를 경정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사역자들이 어떻게 중국 가정교회를 돕고 어디까지 그 사역에 참여해야 하는지를 좀더 연구해야 한다. 우리는 주님의 인도를 받아 협력과 섬김으로 중국 교회가 건강하고 선교적인 교회가 되도록 해야 한다.
박화목/ 중국사역자/ CCM 대표
 
荣耀归主名歌 (구주의 십자가 보혈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