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문법(명사의 수)

 

1. 수의 의미

  • 수는 대상의 수량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리키는 범주로서, 현대 러시아어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그리고 동사과거시제에서 수 범주가 사용된다.
  • 현대 러시아어에서 수 범주는 단수와 복수로 서로 대립되어 표현되어 있다. 고대 러시아인들의 의식 속에는 수에 대한 개념이 하나(단수), 둘(쌍수) 그리고 둘 이상(복수)의 세 가지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대 러시아어로 넘어오면서 특별하게 둘을 구분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쌍수에 대한 범주가 없어졌다.
  • 명사의 수의 의미는 언어 외적인 현실에서 단수와 복수의 대립 속에 표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개의 상관적인 형태들을 가지고 있는 명사들에서는 의미적인 대립이 기본이다. 즉 '하나'의 사물과 '하나 이상'의 사물에 대한 의미적인 대립으로 명사의 수의 형태들이 달라진다. 그런데 이 수에 대한 개념은 각 나라마다 다를 수 있다.
  • 예를 들어, 바지 한 벌은 프랑스어에서는 단수로 취급되어 un pantalon이지만, 러시아어와 영어에서는 복수로 취급되어 брюки, a pair of trousers로 되었다. 그리고 독일어의 안경은 단수로 eine Brille이지만, 러시아어와 영어는 복수로 очки, a pair of spectacles로 되었다. 이것은 각 나라마다 동일한 대상을 인식하는 수의 개념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수의 형식적 표현

2.1.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형태

  •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어간의 끝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복수어미의 기본형은 -ы 이다. 그러나 자음의 어간의 끝이 연자음 또는 -й, -г, -к, -х, -ж, -ч, -ш, -щ로 끝나는 경우에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어미는 -и이다.

 

남성, 여성 복수 어미 형태

경자음

завод -> заводы
стол -> столы
студент -> студенты
мужчина ->мужчины
газета -> газеты
мащина -> мащины
женщина -> женщины

연자음

тетрадь -> тетради
гений -> гении
книга -> книги
река -> реки
грех -> грехи
нож -> ножи
ключ -> ключи
карандаш -> карандаши
плащ -> плащи








  •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간의 끝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 어미는 -ы이다.

     завод-# -> завод-ы

     мужчин-а -> мужчин-ы

     газет-а  -> газет-ы

     мащин-а  -> мащин-ы

  • 그러나 어간의 끝이 연자음, -й, -г, -к, -х, -ж, -ч, -ш, -щ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명사 복수 어미가 -и이다. 이 경우는 일반적으로 다음 네 가지로 나누어진다.

1)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끝나는 경우는 -ь 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가 이에 해당된다.

   словарь[словар'] - словар' + ы  -> словари 

   тетрадь[тетерд'] - тетрад' + ы  -> тетради 

   ночь[ноч'] - ноч' + ы  -> ночи 

   любовь[любов'] - любов' + ы  -> любови 

   ※ 연자음과 ы는 결합할 수 없다. 따라서 연자음 다음에 -ы 의 대응되는 변이음인 -и 를 사용하였다.  

 

2) -й 의 남성명사

   гений  - гений + ы  -> гении

   музей - музей + ы  -> музеи

  ※ -й 가 연자음이기 때문에 연자음 다음에 -ы가 올 수 없다. 따라서 -ы 의 대응되는 변이음인 -и를 사용하였다.

 

3) 어간의 끝이 -г , -к , -х 로 끝나는 남·여성명사

   книга(책) - книги

   ручка(펜대) - ручки

   стих(詩) - стихи

   ※  러시아어에는 -г, -к, -х 다음에 -ы 를 못쓰고 -и를 쓰는 정자법 규칙이 있다. 이 규칙에 따라서 어간의 끝이 -г, -к, -х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 어미는 -и 이다.  

 

4) 어간의 끝이 -ж, -ч, -ш, -щ 로 끝나는 남·여성명사

 

   нож(칼) - ножи

   ключ(열쇠, 샘) - ключи

   карандаш(연필) - карандаши          

   плащ(외투) - плащи

  • 러시아어에는 -ж, -ч, -ш, -щ  다음에 -ы를 못쓰고 -и를 쓰는 정자법 규칙이 있다. 이 규칙에 따라서 어간의 끝이 -ж, -ч, -ш, -щ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주격어미는 -и 이다.  
  • 따라서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어미를 익힐 때 해당 명사의 어간의 끝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ы  그리고 자음의 어간의 끝이 연자음 또는 -й, -г, -к, -х , -ж, -ч, -ш, -щ로 끝나는 경우의 명사의 복수어미는 -и라고 생각하면 된다.

 

   2.2.2. 중성명사의 복수어미 형태

   중성명사의 어간의 끝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복수어미의 기본형은 -а이다. 그러나 자음의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я  형태를 가진다.

   복수어미가 -а 인 경우:

   письм-о  → письм-а

   месм-о  → мест-а

   복수어미 형태가 -я 인 경우:

   поле[пол' + э] → поля(пол' + а  = поля)

   здание[зданий  + э] → здания(зданий  + а  = здания)

   ружьё[ружьй +  о] → ружья(ружьй  + а  =  ружья)

  • 이 경우에 복수어미 -я는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끝나있는 경우에 선행자음의 연자음성으로 인하여 형태상으로 -я가 되었다. 그러나 -я는  ‘й+а’이기 때문에 결국은 어미 -а만 남게된다. 이 경우 -я는 -а의 이형태(異形態)이다.
  • 예를 들어, поле의 어간은 пол'이고 이 어간은 연자음을 가진 음운 л'으로 끝나 있다. 연자음 다음에 -а가 오면 이 -а는 선행자음의 연자음성으로 인하여 -я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되어 있는 중성명사의 복수는 -я로 된 것이다. 이 같은 경우는 위에서 예를 든 здание, ружьё 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2.3. 특수한 형태

2.2.3.1. 복수어미 형태가 -а(-я)인 경우

   일부 남성 명사에서 복수어미 형태가 -а(-я)인 경우가 있다.

   이 형태의 명사들은 고대 러시아어에서 형성된 어휘들이었다. 그러나 현대 러시아어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이 변화형의 형태소적인 특징은 이 유형의 단어들의 복수어미 형태는 항상 어미에 강세가 온다는 점이다.   

   дом() → дома

   город(도시) → города

   край(가장자리, 변두리) → края(край + а  =  края)

   учитель(선생님) → учителя(учител' + а  = училеля)

   이 복수어미 형태도 경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복수어미가 -а이고, 연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복수어미 형태가 -я이다.

  2.2.3.2. -ья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복수어미 형태가 -ья로 끝나는 것이 있다.

   брат(형제) → братья

   стул(테이블) → стулья

   друг(친구) → друзья

   лист(잎) → листья

   сын(아들) → сыновья

   дерево(나무) → деревья

   перо(펜) → перья

   2.2.3.3. -е

   христианин(기독교인) → христиане

   гражданин(시민) → граждане

   2.2.3.4. -ана

   время(시간) → времена

   имя(이름) → имена(-ен- stem의 명사임)

 

   2.2.3.5. -еса

   небо(하늘) → небеса

   чудо(기적) → чудеса(-ес- stem의 명사임)

 

   2.2.3.6. -ери

   дочь(딸) → дочери

   мать(어머니) → матери(-ер- stem의 명사임)

 

   2.2.3.7. 기타

 

   хозяин(주인) → хозяева

   ребёнок(아이) → ребята(또는 дети)

러시아어를 배운다면.. 시험에 꼭 나오는 러시아인의 이름 체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러시아인의 이름은 이름(имя)과 부칭(父稱 отчество) 그리고 성(姓 фамилия)의 세 요소로 되어 있어, 공식적으로는 이런 순서로 씁니다.
예를 들어 똘스또이의 소설 '안나 까레니나'의 여주인공의 이름은 Анна Аркадьевна Каренина이며, 그녀의 남편은 Алекс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аренин입니다.

예전에는 부모 대신에 대부(代父)를 정하고 세례명을 짓는 정교회의 습관에 따라 남자면 Иван, Павел, Пётр와 같은 기독교 사도들(요한, 바울, 베드로)의 이름을, 여자라면 Мария, Анна, Софья, Екатерина 같은 성녀의 이름을 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현대에는 종교와는 무관한 새로운 이름도 많이 쓰이고 있지만, Иван이나 Мария 등은 여전히 베스트 10 중에 들어 있는 대중적인 이름의 하나입니다.

부칭은 남녀 공히 아버지 이름에서 만들어지며, '누구의 아들' 또는 '누구의 딸'의 의미로 쓰입니다. 아버지가 Иван이면 그 아들의 부칭은 Иванович, 딸의 부칭은 Ивановна가 되며, 아버지가 Пётр면 아들의 부칭은 Петрович, 딸의 부칭은 Петровна가 됩니다.
남자의 경우 아버지 이름에 -ович, -евич를 붙이고 여자의 경우 아버지 이름에 -овна -евна를 붙여서 만들지요..

처음에 말한 안나의 부칭을 통해 안나의 아버지 이름은 Аркадий임을 알 수 있고 안나의 남편 알렉세이의 부칭을 통해 그의 아버지 이름은 Александр임을 알 수 있습니다. (04년 수능 시험에 부칭에 대해 나왔습니다)

러시아에서는 공식적인 호칭으로 성을 부르지 않으며 이름과 부칭만 부릅니다. 따로 '~씨'와 같은 경칭을 쓰지 않고 이렇게 이름과 부칭만 부를 경우, 상대를 높이는 표현이 됩니다. 즉, 상대를 공식적으로 부르거나 높여서 부를 경우 (학생이 선생님을 부를 때 처럼) 이름과 부칭을 부르면 됩니다. 예를 들어 레닌의 이름이 Владимир Ильич Ленин인데 Владимир Ильич !라고 부르면 경칭이 되는 겁니다.

성에 경칭이나 직함을 함께 붙여도 공식적인 호칭이 됩니다. 외국인을 부를 때는 부칭이 없기 때문에 이런 표현을 자주 쓰게 되겠죠.. 남자에게는 господин을 써서 господин Ким!이라고 하면 '김선생님'이 되구요 여자의 경우 госпожа를 써서 госпожа Ли!라고 하면 '이선생님'이 되는 거죠..

한편, 가족이나 친구들 사이에서는 상대방을 이름으로만 부르며, 애칭으로 부를 때가 많습니다. 아래는 자주 쓰이는 이름과 애칭이니 참고하세요

남자이름
이반 Иван (바냐 Ваня), 알렉세이 Алексей (알료샤 Алёша), 빅또르 Виктор (비쨔 Витя), 블라지미르 Владимир (지마 Дима), 니꼴라이 Николай (꼴랴 Коля), 세르게이 Сергей (쎄료쟈 Серёжа), 드미뜨리 Дмитрий (미쨔 Митя), 뾰뜨르 Пётр (뼤쨔 Петя)

여자이름
예까쩨리나 Екатерина (까쮸샤 Катюша), 엘리자베따 Елизавета (리자 Лиза), 마리나 Марина (마샤 Маша), 스베뜰라나 Светлана (스볘따 Света), 쏘피야 София (쏘냐 Соня)

 

명사 복수

 

복수 주격

1.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형태

  •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어간의 끝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복수어미의 기본형은 -ы 이다. 그러나 자음의 어간의 끝이 연자음 또는 -й, -г, -к, -х, -ж, -ч, -ш, -щ로 끝나는 경우에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어미는 -и이다.

 

남성, 여성 복수 어미 형태

경자음

завод -> заводы
стол -> столы
студент -> студенты
мужчина ->мужчины
газета -> газеты
мащина -> мащины
женщина -> женщины

연자음

тетрадь -> тетради
гений -> гении
книга -> книги
река -> реки
грех -> грехи
нож -> ножи
ключ -> ключи
карандаш -> карандаши
плащ -> плащи








  •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간의 끝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 어미는 -ы이다.

     завод-# -> завод-ы

     мужчин-а -> мужчин-ы

     газет-а  -> газет-ы

     мащин-а  -> мащин-ы

  • 그러나 어간의 끝이 연자음, -й, -г, -к, -х, -ж, -ч, -ш, -щ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명사 복수 어미가 -и이다. 이 경우는 일반적으로 다음 네 가지로 나누어진다.

1.1.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끝나는 경우는 -ь 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가 이에 해당된다.

   словарь[словар'] - словар' + ы  -> словари 

   тетрадь[тетерд'] - тетрад' + ы  -> тетради 

   ночь[ноч'] - ноч' + ы  -> ночи 

   любовь[любов'] - любов' + ы  -> любови 

   ※ 연자음과 ы는 결합할 수 없다. 따라서 연자음 다음에 -ы 의 대응되는 변이음인 -и 를 사용하였다.  

 

1.2. -й 의 남성명사

   гений  - гений + ы  -> гении

   музей - музей + ы  -> музеи

  ※ -й 가 연자음이기 때문에 연자음 다음에 -ы가 올 수 없다. 따라서 -ы 의 대응되는 변이음인 -и를 사용하였다.

 

1.3. 어간의 끝이 -г , -к , -х 로 끝나는 남·여성명사

   книга(책) - книги

   ручка(펜대) - ручки

   стих(詩) - стихи

   ※  러시아어에는 -г, -к, -х 다음에 -ы 를 못쓰고 -и를 쓰는 정자법 규칙이 있다. 이 규칙에 따라서 어간의 끝이 -г, -к, -х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 어미는 -и 이다.  

 

1.4. 어간의 끝이 -ж, -ч, -ш, -щ 로 끝나는 남·여성명사

 

   нож(칼) - ножи

   ключ(열쇠, 샘) - ключи

   карандаш(연필) - карандаши          

   плащ(외투) - плащи

  • 러시아어에는 -ж, -ч, -ш, -щ  다음에 -ы를 못쓰고 -и를 쓰는 정자법 규칙이 있다. 이 규칙에 따라서 어간의 끝이 -ж, -ч, -ш, -щ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주격어미는 -и 이다.  
  • 따라서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복수어미를 익힐 때 해당 명사의 어간의 끝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ы  그리고 자음의 어간의 끝이 연자음 또는 -й, -г, -к, -х , -ж, -ч, -ш, -щ로 끝나는 경우의 명사의 복수어미는 -и라고 생각하면 된다.

 

2. 중성명사의 복수어미 형태

   중성명사의 어간의 끝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복수어미의 기본형은 -а이다. 그러나 자음의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я  형태를 가진다.

   복수어미가 -а 인 경우:

   письм-о  → письм-а

   месм-о  → мест-а

   복수어미 형태가 -я 인 경우:

   поле[пол' + э] → поля(пол' + а  = поля)

   здание[зданий  + э] → здания(зданий  + а  = здания)

   ружьё[ружьй +  о] → ружья(ружьй  + а  =  ружья)

  • 이 경우에 복수어미 -я는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끝나있는 경우에 선행자음의 연자음성으로 인하여 형태상으로 -я가 되었다. 그러나 -я는  ‘й+а’이기 때문에 결국은 어미 -а만 남게된다. 이 경우 -я는 -а의 이형태(異形態)이다.
  • 예를 들어, поле의 어간은 пол'이고 이 어간은 연자음을 가진 음운 л'으로 끝나 있다. 연자음 다음에 -а가 오면 이 -а는 선행자음의 연자음성으로 인하여 -я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어간의 끝이 연자음으로 되어 있는 중성명사의 복수는 -я로 된 것이다. 이 같은 경우는 위에서 예를 든 здание, ружьё 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3. 특수한 형태

3.1. 복수어미 형태가 -а(-я)인 경우

   일부 남성 명사에서 복수어미 형태가 -а(-я)인 경우가 있다.

   이 형태의 명사들은 고대 러시아어에서 형성된 어휘들이었다. 그러나 현대 러시아어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이 변화형의 형태소적인 특징은 이 유형의 단어들의 복수어미 형태는 항상 어미에 강세가 온다는 점이다.   

   дом() → дома

   город(도시) → города

   край(가장자리, 변두리) → края(край + а  =  края)

   учитель(선생님) → учителя(учител' + а  = училеля)

   이 복수어미 형태도 경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복수어미가 -а이고, 연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복수어미 형태가 -я이다.

3.2. -ья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복수어미 형태가 -ья로 끝나는 것이 있다.

   брат(형제) → братья

   стул(테이블) → стулья

   друг(친구) → друзья

   лист(잎) → листья

   сын(아들) → сыновья

   дерево(나무) → деревья

   перо(펜) → перья

3.3. -е

   христианин(기독교인) → христиане

   гражданин(시민) → граждане

   2.2.3.4. -ана

   время(시간) → времена

   имя(이름) → имена(-ен- stem의 명사임)

3.4. -еса

   небо(하늘) → небеса

   чудо(기적) → чудеса(-ес- stem의 명사임)

3.5. -ери

   дочь(딸) → дочери

   мать(어머니) → матери(-ер- stem의 명사임)

3.6. 기타

   хозяин(주인) → хозяева

   ребёнок(아이) → ребята(또는 дет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