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젤바이잔을 아십니까?
아젤바이잔은 아름다운 도시에서 순박한 사람들이 어울려 사는 곳입니다.
지난 2005. 6월 24일부터 7월1일까지 한국 친선주간에 방문한 후에
아젤바이잔의 특징을 제 나름대로 나열해 본 동영상입니다.
======================================================
출처 : 한-아젤바이잔 문화교류
글쓴이 : bobos 원글보기
메모 :
"아젤바이잔에 한의학을 수출합니다" ===================================================================================== 경희대한방병원은 아젤바이잔 수도 바쿠에 한방병원을 설치키로 하고 한방교수와 물리치료사를 파견합니다. 한.아젤바이잔 문화교류협회의 초청으로 바쿠시내에 병원을 ...
출처 : 보보스의 개인블로그
글쓴이 : bobos 원글보기
메모 :

인터넷 방송

극동방송(FEBC)

기독교 방송 (CBS)

기독교TV 방송 (cctn)

기독교인터넷방송(C3TV)

기독뉴스 CDN

뉴스엔조이

대전 극동방송

미주 복음방송

미주 크리스챤 TV

밤.동.산

사랑인터넷방송

사이버 코이노니아

샬롬넷

순복음 인터넷 방송

시카고기독방송

싱가폴인터넷방송

야베스인터넷tv

어린이인터넷방송

온누리 방송

울산교회방송

창원극동방송

크리스천TV

한국기독교출판협

호산나인터넷방송

Breakpoint

CBN now

CBN(E)

CCM 러브

CEN

Christian radio

CTV

Godpeople

Jesus Internet TV

JESUS TV

Lifesongs Radio

logosM.tv(ctm)

LOGOS-TV

One Place.com

OnnuriTV

SERMONTV

The Christian Herald

기독방송

극동방송

기독교TV

목포극동방송

목포기독TV

문화선교열쇠

미션넷

오이코스

온누리TV

찬양TV

크리스찬TV

큰빛인터넷

호산나TV

BBN

C3TV

CBS

FGTV

인터넷(포털)사이트

갓이즈러브

갓조이닷컴

갓피플닷컴

그리스도넷

그리스도인과

기독넷

기독정보탐정

로고스시티

세계인터넷선교학회

예수넷

예수짱

지저스위더스넷

코코넷

큐컴

크로스맵

크리스

크리스찬포탈

컴퓨터선교회

호산나 넷

홀리넷

홀리넷

CDMB

jsarang

간행물,서점,출판사

갈릴리마을

교보문고

규장 파워넷

규장&책마을

기독공보

기독교문사

기독북

기독음악저널

기독전자잡지

낮은울타리

도서예수전도

도서출판 진흥

도서출판 IVP

두란노서원

롯데서적

모든책

모퉁이돌

목회와 신학

베스트바이블

복음과 상황

북스토어21넷

북이데아

비블리온

새벽이슬

생명의말씀사

선교와세계선교웹

빛과 소금

시온기독서적

에스라서원

영광도서

요단기독서적

월간 복음과상황

품장비정보

위드북

은성기독서점

은성출판사

이레서점

인터넷복음서관

인터넷선교서점

제네시스21

크리스챤뉴스위크

크리스천헤럴드

하늘울타리

한국장로교출판사

한국 KCBS

햇볕같은 이야기

Christianity

ChristianitToday

Discipleship

Journal

InterVarsity Press

Leadership Magazine

Ministries Today

Moody magazine

Moody Press

Navpress

Pray! Magazine

Zondervan Press

목회,설교자료

로고스방송

목회와 신학

목회전략연구소

목회정보연구소

목회정보클럽

사이버설교대

설교검색꿈사랑

설교나라

설교신문

설교은행

설교자료실

설교TV

스펄전 archive

신학용어사전

예화나라자료실

온누리 TV

주일설교창고

조직신학자료

크리스TV

파워목회자료실

한국교회행정연구소

한국선교전략연구소

호산나아카데미

Bible Study

C3TV설교방송

CBS

CH42

CHTV설교

CNTV

JCROSSnet

Jesus Int. TV

Pastors.com

Semon Illustrator

Semon Central

Sermon Search

성경 관련

365일 일독성경

대한성서공회

듣는영어성경

듣는한글성경c3tv

로고스이카드

성경검색엔진

성경인명사전

성경지명사전

성경타자통독

신학용어사전

오디오성경(c3tv)

인터넷온라인성경

일대일 제자 양육

파워바이블

홀리넷 성경

BCC 성경연구

Bible believers

Bible Gateway

Bible Gateway

Bible Study Tools

InterBibleSociety

KCM인터넷성경

Story of Bible

교육,훈련,연구소

가족치유연구소

감리교신학대

강남대학교

계명대학교

고려개혁신학교

고신대학교

광신대학교

교회갱신협의회

교회교육

교회성장연구소

교회학교세우기

교회학교성장연

국제신학대학원

그리스도신학

기독교가정사역

기독교교육연

기독사회교육원

기독음악대학

기독찬양신학

나사렛대학교

루터신학대학교

목원대학교

목회전략연구소

목회정보연구소

미드웨스트신학

미주총신대학

서울신학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산효도대학원대

서울신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

어린이 성경이야기

연세대학교

예수간호대학

웨스트민스터신학대

유럽기독학술원

이레수련원

이화여자대학교

인형극선교단

장로회신학대학교

직장사역연구소

천안대학교

청년지도자대학

청목서원

총신대학교

칠칠아시아선교회

침례신학대학교

칼빈대학교

트리니트신학대학

프레이즈음악신학

프리셉트성경원

창조과학회

한국교회성장연

한국교회음악원

한국교회행정연

한국선교연구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성서학 연구소

한국신학정보연

한국인터넷신학대

한국펠로우쉽

한남대학교

한세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일장신대학교

협성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호서대학교

21세기 목회 연구소

문화,예술

21tv.org CCM

91tv

가나기독교

가사 자료실

관재의 클립아트

구병융의 세계

그림과 이야기집

그림나라

극단-예공

단강마을

닭살돋는묵상

동행

두손캐릭터

뜨인돌 신앙만평

로고스이카드

모모의 그림큐티

뫼울림 자료실

뮤지컬 마굿간

밀알선교단 자료실

벧엘선교문화센타

복음성가 리스트

샘소리 - 주보글

서동민찬양가사

성극나라수필문학

악보 자료실

악보넷

예플

오병이어

오형칠-수필여행

월간성가악보자료

은지-글쓰기마당

이미지나라

인형극단파란나비

인형극장

작가의 마을

정모의 클립아트

정일 그림방

주보자료실

찬미예수 2000

찬미예수1500

찬송.com

찬양 종합

찬양tv CCM 자료실

찬양가사 도서관

찬양마을

찬양이 있는 곳

찬양이 있는 곳

찬양TV

큐컴

크리스찬 아이콘하우스

향유와 옥합

헵시바찬양단

호렙산 음악감상

C3TV 온라인 찬송

CCM 뮤직 감상실

CCM 감상실

CCM 나라

CCM 라디오

CCM SHOP

CCM인포랜드

CCMlirics

CCMLOOK

CCMLove.com 감상

CCMmagazine.com

DAMON의 보석함

Mission CCM

mpsongs.com

upzion

공동체/동호회

가나안 농군학교

가스펠월드

갈릴리 마을

갓피플카페

경배와찬양

기독교동호회

기독교복지정보

기독동호회카페

기독문학동호회

기독축구동호회

늘찬양교회클럽

다일공동체

두레마을

들꽃피는 마을

떼제공동체(Taize)

라브리(Labri)

로뎀나무아래서

목회정보클럽

밀알동호회

방주클럽

복음산우회

사회복지공동모금

생명의말씀사

선교한국

성경연장교육

아름다운 재단

엘림클럽

예사랑

예수마을

예수원

전문인협력기구

지저스클럽

직장인성경공부

찬양이 있는마을

키즈클럽-샘스쿨

트리니티동호회

프레이즈넷

프리셉트성경

한국국제기아대책

한국기독실업인

한국노인복지시설

한국 미아찾기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YMCA

한몸클럽

한미준

CIVS

CTM

FrancisSchaeffer

Swim Club

[장애인 사역]

미주 밀알 선교단

한국 장애인 연구소

장정21

선교

가난한 심령들

가서제자삼으라

겨자씨선교회

교사선교회

교회성장연구소

국민대학교gt

국제제자훈련원

국제제자훈련원

한인선교협

환경운동연대

다일공동체

대신해외선교부

대학생성경읽기

두란노해외선교

메이트선교회

모퉁이돌선교회

문화선교푸르리

밀알선교단

바울의집

브니엘의아침

선교공동체울림

선교타임즈

선교한국

선교훈련원바울

성경번역선교회

성경연장교육

성서유니온선교회

세계선교단체 Email

세계선교정보

세계인터넷선교학회

세계태권도선교회

소련선교회

십대의벗 선교회

아가페의료선교

외국노동자센터

엔지니어링선교회

영성훈련과gt

예수전도단(YWAM)

예수제자운동

오엠선교회

우물가선교회

유두고선교회

이웃사랑회

인터넷선교센타

인터콥(INTERCOOP)

전문인협력기구

죠이선교회(JOY)

지저스코리아

학생신앙운동부산

한국기독청년학생

한국기아대책기구

한국기독교청년

한국기독실업인회

한국기독학생회

한국대학생선교회

한국밀알선교단

한국사랑밭회

한국인터서브선교

한국인터넷선교

한국전문인선교협

한국해외전문인

한국해외선교회

한미준

한아봉사회

희망을나누는집

BBB 노원모임

CAM대학선교회

Compassion

International

Dawn Mission

ESF

Goto Mission

GPTI

IVF

NCDKorea

클립아트(ClipArt)

관재의 클립아트

규장주보clip

기독교네트웤

기독교자료실

기독이미지자료

기독자료링크

성화전시실

야다찬양단클립

정모의 clip

제오계절

주의이름높이며

주일학교자료

철승이의 clip트

파워미션

한기연 그림모음

흰돌선교

AngelSearch

Atlantic Fish

AtlanticChristian.Org

BibleVerseARt.com

BibleVerseBanners

Bulletins Bonanza

Cartoon Works

CDMB 공개자료

Chozen's Graphics

Christian Computer User Network

Christian Iconobobz

Church Bulletin

Cool Clips

FCIChristianImage

Flumby Gif Pages

FreeChristianGraphics

Graphics for Jesus

GriffinWeb Art

IloveJesus.Com

ChristianArtGallery

Liturgical Backgrounds

Mission Cartoons

MyGod 619

NAVIGATORS

Reverend Fun

Salvation Army Collectables

Sanctiphyd Graphics

SideStream

Simple GIFs

SouldOut Graphics

Testimonytees Christian

ChristianGrap

The Shadow of Leonardo

TooN's Web Graphics

UTR Graphics

We Care.org

Whyte House Of Graphics

신문

개혁신문

국민미션투데이

국민일보

기독공보

기독교 타임스

기독교개혁신보

기독교보

기독교연합신문

기독뉴스

기독신문

기독신문

기독타임즈

남가주교회

뉴스앤조이

뉴스CDN

들소리신문

새벽이슬

선교전자신문

연합신문

온누리신문

장로교여성신문사

주간기독교

충청기독신문

크리스찬인터넷신문

크리스챤 뉴스위크

크리스챤 투데이

크리스챤 헤럴드

크리스챤데일리

크리스챤엠버시(centv)

크리스챤투데이

크리스천해롤드

푸른꿈이자라는마을

한국교회공보

한국교회신보

한국기독공보사
한국기독교디지털신문

한국성결신문

MK 저널

해외

All-in One Christian Search

Answers To Tough Questions

Back to the Bible

Campus Life

CBN

Christian Parenting

Christian Web

Christian Radio

Christianity Today

Discipleship Journal

Fish the net

Gospel.com

Heartlight

Moody

One Place

Preaching Today

Reasons to Believe

Sermon Search

Zondervan News

찬송가/CCM

21tvccm

가스펠 넷

고난찬송가

다음CCM

부활찬송가

성령찬송가

성탄찬송가

십자가찬송가(kcm)

씨씨엠러브

위듀CCM

주님의은혜

찬미예수(악보)

한국 CCM 모음

CCM

CCM@Live

CCM가사

CCM감상실

ccm개인방송

CCM나라

CCM방송

CCM인포랜드

ccm클럽

CCM클럽

CCMKorea

CCMWeb

Hosanna Integrity

ICMUSIC

jesus TV ccm사이트

Music force(E)

QPCCM

swim ccm사이트

Q.T

새벽나라

생명의 삶

스펄전의 묵상

예수님이좋아요

오늘의 양식

온라인일용할양식

인터넷큐티

투데이 QT

홀리랜드

BIBLE & QT

Daily Q.T.

Living Life QT

My Utmost for His

Highest

Our Daily Bread

QT선교회

큐티114

믿음생활

1세기 젊은 여행 두루투어

골방말씀

그리스대사관

기독교문화여행사 대구지사

기독교문화여행사

닭살돋는 그림묵상

로마대사관

만나 여행사

말씀묵상

모모의 그림큐티

모아여행사

미션투어

바이블 투어

성지순례

세계관광선교

예수님이 좋아요

요르단대사관

이스라엘관광청

이스라엘대사관

이스라엘문화원

이집트대사관

터어키대사관

인테리어,성구

건우네작은돌

교회건축

교회인테리어

금강공인중개

두세기획

레이시건축

모톤빌딩

미목디자인

별빛건축

성애성구사

성진성구사

아멘인터넷성구

아벨성구

아트디자인

연합성구사

이랜드개발

창조공사

청농서각연구실

첼라수정

홀/바눔아키텍트

기독검색엔진

교회검색

그몸

기독교관련 검색

기독넷

기독전문검색

기독정보탐정

기독e-서치

꿈사랑

네이버기독교

뉴욕교회네트웍

라이코스기독교

방주로

사도

심마니기독교

아이싱

야후! 기독교

열두제자검색

엠파스기독교

주님의은혜

크로스맵

크리넷닷컴

한미르기독교

KCM검색

기도원,수련원

갈멜산기도원

강남금식기도원

강릉기도원

강화도기도원

곡성수양관

국제금식기도원

기도원정보

다니엘수양관

다락골수련원

바울수양관

보화기도원

부여기도원

삼탄청년수련원

샬롬수양관

성은동산

에덴기도원

염광연수원

영성생활수련원

오병이어기도원

인터넷기도원

주암산기도원

진천중앙수련원

최자실금식기도원

주암산 기도원

진천수련원

참빛기도원

참빛복음기도원

태화산기도원

행복수양관

여행,성지순례

고려여행사

기독문화여행

기독문화여행사

두루투어

만나월드

메시아

미션네트웍

미션투어

바이블투어

세계관광선교

신일관광

십자가와나

에스라하우스

에이엠투어

십자가와나

에스라하우스

에이엠투어

예수사랑닷넷

올리브항공여행

이스라엘문화원

Go2Me

PeaceMaker

주보, 잡지

(주)성서원

광일

규장파워넷

기독전자잡지

낮은울타리

두손

레베카

베나디출판사

빛과소금

아가페출판사

예찬사

은혜출판사

인터뉴스

전도마을

진흥

John316

기독쇼핑,전도용품

굿티존

기프트153

동방박사

두란노서원

두손몰

몰포유

사운드몰

사인몰

이크몰

지-월드

진흥문화사

처치아이

티앤조이

피알탑

C3TVMall

월간 CPE 교회용품

행사,결혼,이벤트

가나혼인잔치

갓인포

기독교전시회

기독레크레이션

기독이벤트기획

만남과축복

아가페

아담과이브

에덴힐

웨딩매듭

웨딩사랑

이벤트칼라

이삭과리브가

징검다리

짱구이벤트

커플러스

교회/홈작성

교회전산정보

나야

두손엔닷컴

매직시스템

멀티엘

무료홈제작

미니다음

미션소프트

바울TV

새로운아침

새벽날개

샬롬컴

아이맵

예수짱

인컴인웹솔류션

주은소프트

큐컴

크로스소프트

태승정보통신

홈페이지제작교실

향,영상정보

가나안영상

가나안음향

기독TV영상사업

대경바스컴

대일미디어

동양시청각

마이사운드

사운드몰

솔로몬스크린

스페이스365

실로암코리아

아크존

영상목회연구원

예음음향

음향연구소

이레방송테크

인컴인웹솔루션

한국시청각

AV-WORLD

Bob기획

교단

구세군대한본영

한국정교회

기장총회

대한성공회

하나님성회총회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예수교대한성결교회

기독교한국침례회

기독교한국루터회

기독교대한감리회

예장총회(개혁)

예장총회(고신)

예장총회(대신)

예장총회(장신)

예장총회(통합)

예장총회(합동)

예장총회(합신)

예장총회(합정)

기도

기도네트

기도학교

세계기도정보

중보와 기도

한국 인터넷 중보기도 센타

Children's Ministry Net

Christian Answers Net

E-prayer

Lightwave

Publishing

Veggie Tales

고신

고신총회

총회선교부

기독교보

고신대학교

담/치유

기독교가정사역

크리스챤치유 목회 연구원

Focus on the family

Kevin

역사/문화

[기독교 세계관]
Christian Worldview Network

그리스도인으로 살기 운동

복음과 문화

Christian Worldview

[기독교 문화]

기독문화 중심 크리스

기독 문화정보 큐컴

손끝으로 보내는 사랑

Christian Movie Review

[역사]

한국기독교 역사

한국 기독교 역사 연구소

한국 기독교 인물사

한국기독교회사

한국의 기독교

Christian History magazine

기타

기독교인물사

성경세계사신문

성경유물교육관

이성호목회정보

제이모닝

한국기독교회사

다른모양페이지


출처 : 양들의 고향 뵈뵈네집
글쓴이 : 갈렙 원글보기
메모 :  
                                                        기독교 자료  관련 사이트   
                                                                                                                                    
 
 
 
 
 
 
 
 
 
 
 
 
 
 
 
 
 
[장애인 사역]
 
 
 
 
 
 
해외
 
 
 
 
 
 
 
 
첼라수정
 
 
 
 
 
 
 
 
 
 
 
 
 
 
 
 
 
 
 
 
 
 
 
 
 
 
[기독교 세계관]
Christian Worldview Network
[기독교 문화]
[역사]
 
 

 l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 가장 넓게 분산되어

있는 민족이다. 그 중 주요 거주지는 영하회족자치구와

칭하이(靑海), 깐쑤(甘肅)등 중국의 서북쪽이다.

* 인 구 : 8.612.001(1990)

* 종 교 : 이슬람교 수니파


* 기 타 : 후이는 9세기 초에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아랍과 페르시아가 티벳에 의해 중국과의 전쟁에서 용병으로 고용되었다.

그들은 패배했고 포로가 되었으나 처벌을 받는 대신에 땅과 중국인 아내를 얻게 되었다.

13세기 초에는 이슬람교를 믿는 다른 민족들이 서쪽으로부터 들어왔다.

그들은 상인,학자,관원등의 신분으로 중국의 서북쪽과 중원 그리고 운남 등지에 머물렀고,

 중국인들은 그들을 후이후이인이라고 불렀다.

이 후이후이인은 원대의 색목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이들이 후에 중국인들과의 통혼등으로 인해 언어와 문화를 잃어 버리고

 지금의 후이족이 되었다. 1644년에 청조가 반 이슬람 정책을 도입하였고

그 다음 260년간 약 12백만의 후이들이 폭동과 박해로 죽음을 당했다.

하지만 아직도 그들의 가장 큰 특징인 종교만은 버리지 않고 있다.


'위구르'는 본 민족의 자칭으로

 '연합' ,'협조'의 의미를 갖고 있다.

 대부분 신장(新疆),天山이남의 오아시스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소수가 호남성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7.207.024(1990)


* 언어와 문자 :
야오어(漢藏語系 묘요어족).지역에 따른

방언의 차이가 너무 커서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다. 문자는 없고, 한문을 쓴다.

* 종 교 : 고대에 샤머니즘,마니교, 경교와 불교등을 믿은 적이 있고,

 11세기 이후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기 시작했다.

그중 이슬람교의 수니파를 믿는 사람이 다수이다.

* 기 타 : 위구르족은 농업 민족으로서 주로 오아시스 관개 농업위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거주지는 칸얼징을 중심으로 하는데 ,

칸얼징이란 산위로부터 산아래 밭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우물을 파고 그 바닥이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물길을 파서 산 위에서

 눈이 녹은 물과 지하수를 흘러 들 게 하여 관개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 음 식 : 면을 주식으로 먹으며 고기를 좋아한다. 우유차와 홍차를 즐기며

특히 과일을 많이 먹어 심지어 겨울에는 미리 말려 놓은 과일을 먹는다.

그리고 유제품은 그들 생활에서 떼 놓을 수 없는 그들의 부식이다.

주로 신장(新疆), 깐쑤(甘肅),

에 분포하고 있다.

* 인 구 : 1.110.758(1990)

* 언 어 : 하사커語(알타이어계, 돌궐어족)를 사용.

같은 이슬람교인 관계로 많은 언어 부분에는

유사한 점을 찾을 수 있다.


* 기 타 : "하사커"의 원 뜻은 "피난자" 혹은 "이탈자"이다.

15세기에 형성된 하사커족은 18세기 말 러시아에게 합병되었고,

아편전쟁 이후 러시아가 여러가지 불평등 조약으로 중국의 많은

 땅을 차지함에 따라 중국과 러시아의 땅에 분포하게 되었다.

주식은 고기와 유제품. 근대에 들어서면서 면을 먹기 시작했다. 가장 유명한

음료는 말젖술로 지금도 즐겨 마시고 있다. 우유차는 하사커족이 매우 즐기는

 차로 식사때마다 뺄 수 없는 음료이다.봄, 여름, 가을에는 원형 파오에서 살고,

 겨울에는 흙집이나 나무집에서 산다.


"커얼커쯔"는 돌궐어로 '40명의 아가씨'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이는 40개의 부락이라고 해석 할 수도 있다.

* 인 구 : 143.537(1990)

* 언어와 문자 : 커얼커쯔語(알타이어계, 돌궐어족)을 사용.

문자는 오래전에 소실됨


* 종 교 : 이슬람교

* 기 타 : 커얼커쯔족은 매우 독특한 풍습이 있다.

밥을 먹기전에와 밥을 먹고 난 후에 꼭 손을 씻어야 하며,

씻고 난후에 손을 털어 물기를 빼면 안되고 꼭 수건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다른 집에 손님으로 갔을 때 음식을 다 먹으면 안되고 반드시 조금 남겨야 한다.

 손님이 밥을 먹을 때 타인은 그 방에 들어 와서는 안된다.

손님이 그집을 나갈 때에는 주인에게 등을 보이면 안되고 뒷걸음질쳐서 그 집을 나가야 한다.


주로 랴오닝(遼寧), 길림(吉林),흑룡강(黑龍江)에

넓게 분포할뿐아니라,

신장에도 다수가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72.932(1990)

* 언어와 문자 : 시보語

(알타이어계 , 만-통구스어족) 를 사용.

시보 문자가 있다.


* 종 교 : 과거 샤머니즘 , 라마교, 조상숭배를 하였다.

* 기 타 : 시보족은 교육수준이 비교적 높고 많은 지식인이

민족 언어연구와 교육방면에 종사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번역사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시보족은 대부분이 말타기,활쏘기등의 활동을 즐겨한다.


대부분 신장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4.763(1990)

* 언어와 문자 : 우즈베커語

(알타이어계, 돌궐어족). 위구르어와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는 위구르어를 많이 사용한다.

* 종 교 : 이슬람교


대부분 신강에 분포 , 흑룡강과 내몽고지역에

소수가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3.500(1990)

* 언어와 문자 : 어러쓰語(인오어계, 슬라브어족)

 . 어러쓰문자를 사용.

* 종 교 : 정교


* 기 타 : 중국의 어러쓰족은 18세기부터 19세기

10월 혁명 전후로 러시아에서 이주해온 민족이다.

이 민족의 생활 습관은 러시아인과 유사하지만 한족, 하사크족, 위구르족,

몽고족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이들은 러시아에 아직도 많은 친척이 있어

왕래가 자주 있는 편이다.


대부분이 신장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5.064(1990)

* 언어와 문자 : 타타얼語

(알타이어계, 돌궐어족) 위구르족,하사크족과 함께

생활하므로 그들의 언어와 문자를 통용한다.

* 종 교 : 이슬람교


* 기 타 : 타타얼족은 옛부터 상업을 위주로 사는 민족으로

 오랜기간 중국과 러시아간의 매매를 도와왔고 현재중국각지의 대도시에서

 상업활동을 하고있다.


깐쑤(甘肅)의 동씨앙에 거주하므로

 붙은 이름이다. 예전에는東鄕回回 ,東鄕蒙古라고 불리기도 했다.

* 인 구 : 373.669(1990)

* 언어와 문자 : 동향語(알타이어계 몽고어족).

대부분 사람이 한어를 사용하고 민족의 문자는 없고

한문을 사용한다.

* 종 교 : 이슬람교


* 기 타 : 동향족은 14세기 후에 많은 민족들이 융합되어

생긴 민족으로, 이슬람교의 색목인과 몽고인이 그 주류를 이룬다.


다수가 칭하이(靑海)에 거주하고 있으며

소수가 티벳지역에 살고 있다.

* 인 구 : 192.568(1990)

* 언어와 문자 : 투족語(알타이어계, 몽고어족),

 세가지 방언이 있다. 한어와 장족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문자가 없으므로 한자나 장족문자를 빌려 쓰고 있다.

최근 라틴자모를 기초로한 투족문자를 만들었고

현재 시범사용중에 있다.


* 종 교 :
원래 다신교 혹은 도교를 믿던 민족이었으나

 원,명이후 라마교로 개종했다.


주요거주지는 칭하이(靑海), 깐쑤(甘肅)이다.

그리고 소수가 신장에도 분포하여 있다.

* 인 구 : 87.546(1990)

* 언어와 문자 : 싸라語(알타이어계 돌궐어족)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한어를 빌린 단어가 꽤 많다. 그리고 종교상의 언어는 아랍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문자는 없고 한자를 쓴다.


* 종 교 :
이슬람교의 수니파

감숙성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1.683(1990)

* 언어와 문자 : 바오안語(알타이어계 몽고어족)

한어에서 빌려온 단어가 많음. 문자는 없음.


* 종 교 :
이슬람교

* 기 타 :
13세기 이슬람교를 믿는 몽고족이 청해에 와서 회족, 동향족,

사라족등과 통혼을 한 결과로 생겨난 민족이다. 비록 여러 가지 민족과 여러 종교신앙이

 융합되어 생긴 문화지만 역시 독특한 부분이 있다. 특히 이들은 산지에 거주하고,

 농경과 축목업을 위주로 살아간다.


90%의 위꾸족이 감숙성에서 살고 있다.

* 인 구 : 12.293(1990)

* 언어와 문자 : 동부위꾸語(일종의 몽고어),

서부위꾸語,한語 세가지 언어를 사용한다. 문자는

이미 소실되었다.


* 종 교 :
과거에는 샤머니즘,마니교와 불교를 신봉하였으나

 명조이후로 라마교를 받아들였고, 현재는 종교를 가진 사람이 적다.

* 기 타 :
위꾸족과 위구르족의 조상은 같다. 그들의 조상인 회허인이 왕국이 붕괴되면서

 세 갈래로 갈라졌고, 그 중 하나가 위꾸족이 되었다.

 
 
 
 

중국의 소수민족중 가장 크고 중요한 민족중의 하나이며, 서장과 청해성에 주로 위치하여 있다. 그 외에도 운남, 사천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4.593.072(1990



* 언어와 문자 : 장語(漢藏語系 藏綿語族). 일반적으로

 세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문자는 7세기에 창제되었다.


* 종 교 : 과거에는 '본교'를 믿었고, 현재 대다수의

 장족이 라마교를 믿고 있다.

* 기 타 : 장족의 의학은 이미 1600년이 넘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티벳의 동남부에 분포하여 있다.

* 인 구 : 7.498(1990)



* 언어와 문자 : 먼빠어(漢藏語系 藏綿語族).

장족과 같은 지역에 살므로 대부분이 장어를 한다.


* 기 타 : 먼빠족은 일찍부터 히말라야산에서 살아왔다.

주요 거주지가 두 곳이 있으므로 언어도 두 가지 방언이 있다.

 농업과 축목업에 종사해 왔고, 옥수수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티벳의 동남부에 살고 있다.

'루어빠'는 장어로써 '남방의 사람'이란 뜻이다.

* 인 구 : 2.322(1990)

* 언어와 문자 : 루어빠어

(漢藏語系 藏綿語族).대부분이 장어도 사용한다.


사천성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98.303(1990)

* 언어와 문자 : 창어(漢藏語系 藏綿語族)

 두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원래 한자와 비슷한

 문자가 있었는데 지금은 소실되었고, 현재는 한문을

 쓰고 있다.


* 종 교 : 불교,도교,라마교등이 일찍부터 전해졌고,

가장 다수를 차지하는 신앙은 원시 다신교이다.

* 기 타 : 옥수수와 두부가 주식이고, 면류를 먹기도 한다.


운남,사천,귀주등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6.578.524(1990)

* 언어와 문자 : 이語(漢藏語系 藏綿語族) 6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역사가 유구한 스스로의 문자가 있다.

 어떤이들은 그것을 일종의 표의문자라고 하기도 하고,

 다른 이들은 음절문자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 종 교 : 원시종교의 색채가 강한 다신숭배와 조상숭배등이 있다

* 기 타 : 백이족과 흑이족으로 나눠진다.

검은색과 빨간 색을 쓴 칠기 목제 그릇이 유명하고, 주로 농업에 종사한다.


80%이상이 운남성의 따리(大理)에 살고 있으며

그 외에도 사천과 귀주에 살고 있다. 이들의 이름은 흰색을

숭배하기 때문에 지어진 것이다.

* 인 구 : 1.598.052(1990)

* 언어와 문자 : 바이語(漢藏語系 藏綿語族)

.대부분 사람들이 한어도 사용한다.

* 종 교 : 번주(本主)라는 종교인데, 자연신이나 따리국의

왕자나 전설속의 영웅등을 숭배한다.


* 기 타 : 따리는 운남에서 가장 먼저 문화가 생겨난 곳으로

고고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신석기시대부터 인류가 있었던 곳이라고 한다.

 그리고 운남 여행의 중요한 코스중의 하나로 여겨지다가 지금은 완전히

 관광지로 자리잡아 물가도 많이 올랐을 뿐 아니라 항상 묵을 곳이 없을 정도이다.

대리석이 나는 곳으로 유명하고 전통 주택들은 햇빛의 반사를 위해 벽을 하얀색으로

 칠하고, 집에는 창문이 없다.

바이족의 가장 큰 명절은 매년 음력 3월 15일에서 21일까지 따리(大理) 바이족

자치구에서 열 리는 '三月街' 이다.이 축제는 천년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전설상의 관음이 이곳에 온 날을 기념하기 위해 생겼다고 한다.

그래서 일명 '관음제'라고도 한다.축제 기간은 굉장히 사람이 많고 흥겹다.

바이족은 쌀로 만든 면을 좋아하고, 특히 세콤하고 맵게 먹는다.

3잔을 마시는데 마실 때마다 맛이 틀려진다는 삼도차(三道茶)가 유명하다.


운남성의 남부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254.800(1990)

* 언어와 문자 : 하니어(漢藏語系 藏綿語族).

 세가지의 방언이 있고, 문자는 없다.

* 종 교 : 조상숭배


* 기 타 : 하니족은 '아이니','하오니'등등의 여러 명칭이 있다.

이 민족은 계단식 밭농사로 생계를 꾸려가고, 남쪽의 민족답게 민족 전통 복장이

 치마가 짧고, 상의도 노출이 심하기로 유명하다. 하니족의 촌락은 대부분 산을

끼고 구성되어 있으며,집은 흙과 돌을 주재료로 지어졌으며 천장은 평평한 것이

대부분이고,세모난 초가 지붕도 있다.층집은 대부분 상.중.하3층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맨 위층은 양식이나 잡다한 물건들을 보관해 놓고 가운데층에는 사람들이 살고

아래층에는 가축을 기른다.


운남성의 가장 남쪽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025.402(1990)

* 언어와 문자 : 다이어(漢藏語系 장동어족).

 4가지 종류의 문자가 있다.

* 종 교 : 소승불교

* 기 타 : 변경에 있는 도시라서 태국,미얀마,인도등과 왕래가

 잦을 뿐 아니라 많은 상인들이 있다. 생활 습관들이 태국사람과 비슷하다.

다이족 여성들은 어린 아이부터 어른까지 대부분이 아직도 전통의상을 입고 있다.

 색깔이 화려한 꽃무늬가 있는 긴치마에 몸에 꼭맞는 블라우스를 입고 은빛 허리띠를 한다.

검고 긴 머리카락을 둥글게 말아 머리에 올려 놓는다. 이들의 공작춤은 굉장히 유명하다.

집은 보통 대나무로 4개나 혹은 더 많은 기둥을 세운 이층집인데,

2층은 대나무로 벽에 세모난 지붕이 있어서 바람이 잘 통하고 깨끗하여 사람이 살고,

 1층은 비어 놓는다.

1층은 벽도 없이 뚫려 있으며 나뭇더미를 쌓아 놓거나 가축을 기른다.

사람이 2층에서 사는 이유는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와 멀어지고 시원하기 위해서이다.

다이족의 가장 큰 축제는 4월에 있는데 '물뿌리기 축제'(波水節)라고 부른다.

이것은 다이족의 설날이라고 할 수 있다.


운남성 서북쪽에 살고 있다.


* 인 구 : 574.589(1990)

* 언어와 문자 : 리수어(漢藏語系 藏綿語族).

바이족,두롱족,누족등이 리수어를 각 민족의

 사교언어로 사용한다. 3가지 문자가 있다.

* 종 교 : 자연신을 숭배

* 기 타 : 음식은 옥수수와 메밀을 주식으로 하는데

통상적으로 매일 두 끼의 옥수수 죽만을 먹는다.
음력설이나 손님을 초대하는 잔치 때만 고기를 먹는다.차 마시기를 좋아하며

 술과 담배도 즐긴다.


운남의 서남부의 '아와산'에 살고

있어서 붙은 이름으로, '아와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인 구 : 351.980(1990)

* 언어와 문자 : 와어(남아어계 멍-고면어족)

* 종 교 : 자연신을 숭배

* 기 타 :
검은색의 옷을 입고, 여자들은 검고 긴 머리를

아름다움으로 여겨서 긴 머리를 흔드는 춤이 유명하고, 남자는 칼 춤이 유명하다.

 대나무로 만든 집에서 살며, 굉장히 강인한 민족이다.

 과거에는 소의 머리뼈를 집에 거는 것으로 부를 자랑했는데,

 심지어 부자들은 따로 창고를 두어 소의 머리뼈를 장식하기도 했는데

많은 집은 500개 이상이 되기도 했다고 한다.


운남의 서남부에 살고 있다.

* 인 구 : 411.545(1990)

* 언어와 문자 : 라후어(漢藏語系 藏綿語族).

크게는 두 개의 방언이 있다.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는데

20세기에 들어서 서방 선교사들이 라틴 자모를

기초로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는데,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였고, 그 후에 다시 새로운

문자를 만들었다.

* 종 교 : 자연숭배

* 기 타 :
과거에 다이족의 지배를 받았었으므로 발전이

느린 편이었다.


운남성 리장(麗江)등의 서북쪽에 살고 있다.

* 인 구 : 277.750(1990)


 

* 언어와 문자 : 나씨어(漢藏語系 藏綿語族),

장어,바이어,이어,하니어와 비슷하다.

 1000년이 넘는 역사의 두가지 문자(똥빠,꺼빠)가 있는데,

이 문자들은 전설이나 종교 경전을 적는데

사용되어 온 문자로 지금은 이 문자를 아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 종 교 : 똥빠교.(원시적인 다신교의 일종), '똥빠'의 원래의 뜻은 '지혜자',

'경전을 암송하는 사람'이라는 듯이다.


* 기 타 :
역사가 깊은 특이한 종교와 문자로 인해 색다른 문화를 가진 민족이다.

나시족의 전통의상은 대부분 중년 이상의 여인들이 많이 입고 있다

. 군청색의 상의와 주름잡힌 군청색 앞치마와 가죽으로 만들거나

 천으로 두껍게 누빈 등받이 역할을 하는 망토를 입는다.주택은 흙에 짚을 섞어

 직육면체로 만든 벽돌로 지어진다. 마을에는 도랑을 만들어 담옆으로 거쳐가게 만들어 놓았다. 그래서 집으로 들어갈 때에는 1-2m정도되는 돌다리를 건넌다.


운남성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19.276(1990)


 

* 언어와 문자 : 징포어(漢藏語系 藏綿語族),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는데,

19세기 말에 영국의 선교사가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그 후 여러차례의 개혁으로 더 사용하기

 편한 문자로 바꾸었고 이로 인해 문맹을 퇴치하기 시작했다.


운남의 서부와 서남부에 살고 있다.

* 인 구 : 82.398(1990)


 

* 언어와 문자 : 뿌랑어(남아어계 멍고면어족)


* 종 교 : 소승불교, 조상숭배


운남성의 더홍 태족징퍼족자치주

(德홍泰族景頗族自治州)의 龍川,梁河등의 縣에 주로 분포하고,

소수는 盈江,潞西,瑞麗및 保山지구의 龍陵등지에 분포한다.

한문사적중에 아창(峨昌,俄昌,莪昌)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지역에 따라 蒙싸,忖싸,漢싸 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 인 구 : 27.718(1990)

* 언어와 문자 : 漢藏語系 藏綿語族에 속함.梁河,龍川,潞西 3개의 방언이

 있으며,문자는 없다.

* 종 교 :
조상숭배

* 기 타 :
아창족은 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며,

유구한 역사의 阿昌刀는 날카롭고 아름다우며 견고하다.

은으로 만든 칼집은 꽃무늬를 도안하여 정교하고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은장식,은학,쟁반 등의 조각도 굉장히 정교하다.

대부분의 주택마다 뜰이 있다. 집은 말(斗)에 구멍을 뚫은

 모양의 목재 대에 양쪽으로 경사면의 꼭대기에 기와를 얹은 집이다.

* 음 식 : 벼농사를 지으므로 쌀이 주식이고,

부식으로는 옥수수와 감자를 먹는다. 신맛의 음식을 좋아하고 빈랑열매를 씹는 습관이 있다.

* 복 식 : 남자는 일반적으로 남색,백색,흑색의 맞섶저고리를 입고,

검은색의 긴 바지를 입는다.

결혼한 여자들은 치마와 소매가 좁은 맞섶저고리를 입고,미혼여성들은 긴 바지를 입는다.

명절이 되면 여자들은 모두 은장식을 하고,

미혼여성들은 나란히 단 4개의 단추 위에 4가닥의 긴 은사슬을 걸고,

허리까지 이어진 은사슬에 작은 은회색의 합을 달고,은목걸이,은귀걸이를 장식한다.


인운남에 살고 있으며,

보통 나씨족,이족,장족,한족과 함께 섞여 산다.

* 인 구 :
29.721(1990)

* 언어와 문자 : 푸미어(漢藏語系 藏綿語族).

두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차이가 크지는 않다.'딩빠'라고 불 리는 문자가 있다

* 종 교 : 다신교,자연숭배


인운남에 살고 있으며, 보통 나씨족,

이족,장족,한족과 함께 섞여 산다.

* 인 구 :
29.721(1990)

* 언어와 문자 : 푸미어(漢藏語系 藏綿語族).두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차이가 크지는 않다.'딩빠'라고 불 리는 문자가 있다

* 종 교 : 다신교,자연숭배


다신교,90%가 운남의 누강유역에

살고 있으며, 리수족, 누족과 함께 거주한다.

* 인 구 : 5.825(1990)

* 언어와 문자 : 두롱어(漢藏語系 藏綿語族). 문자는 없다.

 

* 종 교 : 자연숭배

* 기 타 :
두롱의 신화중에 온 세계가 홍수에 잠겼는데

형과 여동생 둘만 살아 남았다. 그 둘은 결혼을 해서 아홉명의 아들과

아홉명의 딸을 낳았는데, 그들은 둘씩 결혼하여 흩어져 살았다.

그 중에서 셋째아들과 딸이 두롱강에 와서 살면서 자녀를 낳았는데

그들이 지금의 두롱족이 되었다고 한다.


운남의 지누어산에 살고 있고,

그로인해 지어진 이름이다.

* 인 구 :
18.022(1990)

* 언어와 문자 : 지누어어(漢藏語系 藏綿語族).

다이어의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문자는 없고 한문을 쓰고 있다.

* 종 교 : 조상숭배


사천,광동,운남과 귀주등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7.383.622(1990)


 

* 언어와 문자 : 미아오어(漢藏語系 묘요어족).

크게 3가지 방언으로 나눌 수 있고,

또 그 밑으로 더 세세하게 나누어 진다.

 통일된 문자가 없었으므로 서방 선교사가

 병음문자를 창제하였지만, 널리 사용되지 못했고

1956년에 본격적으로 4가지 방언에게 라틴병음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 종 교 : 다신교, 조상숭배

* 기 타 :
미아오족은 갑골문에도 나오는 오래된 민족이다.

그리고 방언의 갈래 만큼이나 여러 가지 전통 복장과 습관들을 갖고 있다.

쌀을 주식으로 하고 좁쌀, 옥수수를 곁들여 먹는다.촌락은 대개 반산(半山)지역

혹은 산봉우리에 위치해 있으며 일부소수의 사람들은 산기슭이나 강변에서 산다.


운남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2.548.294(1990)


 

* 언어와 문자 : 뿌이어(漢藏語系 장동어족).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다가

1956년 라틴자모를 기초로한 문자가 창제되었다.

* 기 타 :
남색과 흰색을 즐겨 입는다.


광서,귀주등지에 살고 있다.

* 인 구 : 2.508.624(1990)


 

* 언어와 문자 : 똥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남북 두 개의 방언이 있고,

문자는 없어서 한문을 쓰고 있는데,

1958년에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창제하였다.

* 종 교 : 다신교, 조상숭배

* 기 타 :
송나라때 중국으로 이주해와 처음에는

 양자강 유역의 계곡에서 살다가 한족의 세력확장으로 남쪽으로 밀려나서 살게 되었다.

 이들은 넓은 의미에서 다이족의 일부분이다.주택도 다이주와 같다.


운남의 동남부에 살고 있다.

* 인 구 : 347.116(1990)


 

* 언어와 문자 : 수이어(漢藏語系 장동어족).

여러 방언이

있는데 서로 말은 통하지만 그래도

큰 차이가 있는 편이다. 고대로부터 문자가 있는데

상형자가 비교적 많고 갑골문과 많이 닮았다.

* 종 교 : 자연숭배

* 기 타 :
밭농사가 대부분이고 쌀을 주식으로 먹는다.

 


운남의 중부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438.192(1990)


 

* 언어와 문자 : 거라오어(한장어계).

현재는 거라오어를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문자도 없다.

* 종 교 : 자연숭배


* 기 타 :
'거라오'란 '사람'이란 뜻이있고, 또 '대나무'란 뜻이 있다.

쌀과 옥수수를 주식으로 한다.


운남의 서남부에 살고 있다.

'뻥롱'족이라고 불러 왔었는데 1985년 9월부터

'더앙'족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 인 구 : 15.461(1990)

* 언어와 문자 : 더앙어

(남아어계 멍고면어족). 3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 종 교 : 소승불교

* 기 타 :
조상은 한(漢), 진(晉)시기의 "푸런(僕人)"으로

 지금의 와족, 뿌랑족과 같다. 또한 5조(五朝)및 당송(唐宋)대에는 남조(南詔),

따리국(大理國)의 지배를 받았고, 원대 이후 에는 다이족 토사(土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더앙족은 흩어져서 거주하며,오랫동안 한족,다이족,징포족,

와족 등과 뒤섞여 살았다.정치,경제,문화,사회,제도 등이 모두 이러한

민족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더앙족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좁쌀 콩 등을 부식으로 먹는다.

진한 차를 즐겨 마시고 담배와 삔랑을 좋아한다.

차는 더앙족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다.그래서 그들은 "차가 없으면 일이

성사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주택은 다이주와 같다.

 
 

중국의 내몽고(內蒙古) 지역과 신장(新疆),

칭하이(靑海), 깐쑤(甘肅), 흑룡강(黑龍江),

 길림(吉林)등에 거주.

* 인 구 : 4.802.407(1990통계)



* 언 어 : 몽고語(알타이어系 몽고어族).

3종 방언이 있다.


* 문 자 : 13세기초에는 위구르어 자모를 이용. 후에 장족의

자모를 원형으로 하는 문자를 창제.

 14세기 초에 몽고족 어언학자의 문자 개혁에 의해 현재의 문자가 되었음.

* 종 교 : 초기에는 샤머니즘을 숭배. 징기스칸이 샤머니즘을 반대하고

 다른 종교를 존중하게 되자, 이슬람교와 기독교가 들어왔다.

16세기에 들어서면서 라마교를 신봉하게 되었고,

 18세기의 청조 통치자들은 몽고 지역에 라마교를 제창할 뿐 아니라 그 영향을 확대시켰다.

그것은 몽고족의 인구 성장의 속도를 감소시키데 주요한 영향을 끼쳤다.

* 의식주 : 몽고족 전통의 옷은 현재 거의 사라졌으며,

쇠고기와 양고기와 우유를 주식으로 하고 있다.

목축 지대에서는 운반에 편리한 멍구빠오(蒙古包)에 거주하고,

농촌에서는 한족과 다름없는 단층주택에 살고 있다.


동북3성과 랴오닝(遼寧)성에 가장 많이 분포하여 있으며,

그 외에도 북경(北京),천진(天津),신장(新疆), 상해(上海),

성도(成都), 광주(廣州), 은천(銀川),서안(西安)등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두루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넓게 분산했지만

 또 작게 모여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 5개의 만족자치현과 약간의 만족마을이 있다.

* 인 구 : 9.846.776(1990)

* 언어와문자 : 만語(알타이어系 만-통구스어族).

1599년 누얼하치에 의해 몽고문자를 이용한 "만"문자가

만들어졌으나, 한족과 동화되면서 약간의 단어와 몇

마디말 외에는 모두 소멸되었다.


* 종 교 : 만족은 처음부터 다신교인 샤머니즘을 믿었었고,

지금까지도 민간에서는 샤머니즘을 신봉하고 있다.

* 의식주 : 만족은 원래 농업과 수렵, 채집 등 여러 가지 생활방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생활도 오곡을 비롯해 돼지고기와 각종 야채등 많은 부식들과 간식꺼리가 있다.

그리고 남녀 할 것 없이 술과 담배를 즐긴다.


만랴오닝(遼寧), 길림(吉林),흑룡강(黑龍江)에

 주로 위치하고 있고, 그 외에도 북경(北京),천진(天津),

신장(新疆),상해(上海), 성도(成都), 광주(廣州),

서안(西安),제남(濟南),항주(杭州)등의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분산되어 있다. 그래도 길림성의 연변 조선족

자치구가 중국 조선족의 주요 집거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 인 구 : 1,923,361(1990)

* 언어와 문자 : 거의 모든 조선족이 조선어를 사용한다.



* 종 교 :
대표적인 하나의 종교는 없고, 토테미즘과 조상숭배부터 유교,도교,불교로 변해왔고,

 현재는 기독교와 천주교의 신도가 가장 많다.

* 기 타 : 다른 민족에 비해 문화,교육,위생의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인해 자부심이 대단하며,

조선어의 출판이나 신문, 잡지, 방송등 활동이 활발하다.


중국 동북지방의 유구한 역사를 가진 민족중의 하나로 흑룡강(黑龍江)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4,254(1990). 중국의 민족중에 인구가 가장 적은 민족이다.

* 언어와 문자 : 허저語

(알타이어系 만-퉁구스어族 만어支 ). 문자는 없다.


* 종 교 : 샤머니즘. 그러나 현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 기 타 : 허저족은 어렵을 주로 하는 민족으로 주식도 생선이고,

가장 특색있는 것으로는 생선의 비늘로 만든 옷이다. 생선비늘로 상의 뿐 아니라

 바지와 혁대와 주머니 등등을 만드는데 보온효과와 방수뿐 아니라 무척 아름답다.

 지금도 소수의 허저족이 이 옷을 만든다.


흑룡강(黑龍江)과 내몽고(內蒙古),신장(新疆)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121,463(1990)

* 언어와 문자 : 다우얼語

(알타이어系 몽고어族). 문자는 없다. 대부분이 중국어를 사용하고 소수가 몽고 문자나 하사커 문자를 사용한다.


* 종 교 : 샤머니즘으로 자연숭배와 토테미즘, 조상숭배를 한다.

그리고 소수의 라마교가 있다.

* 기 타 : 達斡爾(다우얼)'의 이전 명칭인 '達胡爾(다후얼)'이란 단어가

 최초로 등장한 것은 원나라 때인데 그후 '達呼爾(다후얼)', '達古爾(다구얼)', '達糊里(달후리)'

등으로 음역되어 중국의 각종 문헌에 등장한다.

 이들은 언어, 혈통, 습관 등으로 보아 遼(요)나라 때의 契丹(거란)족의 후예로 판명되고 있다.

다우얼족의 마을은 보통 산의 경사면을 따라 개울을 향하여 건축되어 있으며

가옥들은 가느다란 가지들을 엮어서 만든 담으로 둘러 쌓인 마당을 가지고 있다.

 집들은 대부분 벽돌로 지어졌으며 초가집도 있다.

전통적인 체육활동으로는 필드하키, 말타기, 활쏘기 등이 있다.

 그 중 필드하키는 가장 유명하여,다우얼족이 있는 지방을 '필드하키의 고향'이라고도 부른다.


내몽고(內蒙古)자치구와 흑룡강(흑룡강)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어원커"는 퉁구스어로 '산림중에 사는 사람들' 로서 스스로 붙힌 이름이다.


* 인 구 : 26,379(1990)

* 언어와 문자 : 어원커語

 (알타이어계, 만-퉁그스어족), 본민족 스스로의 문자는

없다. 세가지 방언을 갖고 있다.


* 기 타 : 투수렵과목축을 위주로 생활하고 있으며,

각종 야생동물의 가죽을 팔아 생활하고 있다.


중국 동북 흑룡강 부근 산림에 거주하고 있다.

"어룬춘"은 자칭으로서 그 의미는

두가지의 해석이 있는데 첫 번째는

 '순록을 타는 사람들' 이고 둘째는 '산꼭대기에사는

사람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두 번째의 견해를지지하는 편이다.



* 인 구 : 7.004(1990)

* 종 교 : 샤머니즘, 각종 자연물을 숭배하며

모든 만물에 혼이 있다는 것을 믿고 있다.


* 언어와 문자 :
스스로의 언어가 있으나 문자는 없다

. 언어는 알타이어계 , 만-퉁그스어족에 속한다. 문자는 일반적으로 한문이 통용되고 있다.

* 기 타 : 어룬춘족의 주요 교통수단은 말이며, 수렵과 목축을 위주로 살고 있다.

노래와 춤을 즐기는 민족이며,그들은 고기를 먹고 가죽옷을 입을 뿐 아니라

 과거에는 수렵문화로 인해 창조된 '신인주'라는 곳에 거주하였다.

그것은 우산과 비슷한 형식으로 펼치는 주택으로 겨울에는 짐승의 털을 덮어 보온을 했다.

그러나 1953년에 와서 정착생활을 하게 되면서 이와 같은 주택은 점점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l
 

광서장족자치구에 살고 있다.

* 인 구 : 15.555.820(1990)



* 언어와 문자 : 쭈앙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남송때부터 한자비슷한 '투수'문자가 있었는데,

사용 범위가 넓지 않아 1955년에 중국이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만들었고,

 1982년에 개정을 한 바 있다.

 그 후로 신문과 잡지, 책등의 출판이 활발해지고,

이 문자로 교과서도 만들었다.


* 종 교 : 자연 숭배를 했었는데 당송때 도교와 불교가 전파되었고,

근대에 와서는 기독교와 천주교의 교회가 세워졌다.

 그러나 많이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 기 타 :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그래서 그 사는 지역에 따라 20여종의 명칭으로 불리우던 것이

 중국정부 수립후 "똥족(潼族)"으로 통일되었다.

그후 1965년 주은래(周恩來)총리의 제창과 국무원의 비준을 얻어

"쭈앙족(壯族)"으로 개칭되었다.

쫭족은 중국 고대 월(越)나라 민족의 한 지파가 발전해 내려 온 것으로.

당,송대에 이르러서는 리랴오(俚僚) 라고 불리웠으며,

 주, 현을 견제하는 기구를 두어 쭈앙족을 통치하였다.

원, 명, 청대의 중앙왕조시대에 이르러서는 쭈앙족지구에 토관제도(土官制度)를 설치하여

 토관(그 민족 출신의 관리)들에게 각종특권을

주어 정치, 경제의 통치를 결합시키므로써 쭈앙족지구의 통치를 강화하고

봉건영주제 사회를 장기간 보존토록 하였다.


광서,운남, 광동,귀주등에 거주하고 있다.

* 인 구 : 2.137.033(1990)



* 언어와 문자 : 야오어(漢藏語系 묘요어족).

지역에 따른 방언의 차이가 너무 커서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다. 문자는 없고, 한문을 쓴다.


* 종 교 : 조상숭배,도교. 장례등의 행사들을 모두

도교식으로 할 정도로 도교의 영향이 크다.

* 기 타 : 미아오족,셔족과 언어가 비슷하고 전설이

비슷하여 같은 조상이라는 주장이 강하다.


광서의 북부에 있는 산에 사는 민족이다.

* 인 구 : 160.648(1990)

 

* 언어와 문자 : 무라오어

(漢藏語系 장동어족). 대부분 사람이 한어를 한다.


* 종 교 : 자연숭배.다신교.불교 사원도 많은 편인데

실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종교는 도교이다.

* 기 타 : 한나라때부터 한족의 영향을 받아 성을 부르기 시작했다.

남녀노소 할 것없이 청색 옷을 좋아 한다.


광서의 북부에 살고 있다.

* 인 구 : 72.370(1990)

 

* 언어와 문자 : 마오난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문자는 없다.

 


* 종 교 : 자연숭배와 도교를 믿는다.


* 기 타 : 마오난'은 원래의 발음은 '아난'이라고 하는데, 이것은'이 땅의 사람'이란 뜻이다.


광서의 남부에 살고 있다.

1958년에 정식으로 명칭을 '징'이라고 붙였다.

* 인 구 : 18.749(1990)

* 언어와 문자 : 징어


* 종 교 : 조상숭배, 다신교.



* 기 타 : 징족은 15세기 이후로 월남에서 넘어온 민족이다. 바닷가에 살아서

 어업과 농업을 주로 하고 있다.


후남과 사천에 살고 있다.


* 인 구 : 5.725.049(1990)

* 언어와 문자 : 옛날부터 투지아어와 한어를 겸용해서 썼으며,

세월이 갈수록 점점 한어를 쓰는 사람들이 많아 졌다.

 결국 오늘에 와서는 90%이상이 한어를 사용한다.



* 종 교 : 조상숭배


* 기 타 : 투지아족은 고대 후남에 살고 있는 원주민과

한족의 융합으로 생겨난 민족이다. 최근 그쪽에서 신석기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해남도에 주로 살고 있다.


* 인 구 : 1.112.498(1990)

* 언어와 문자 : 리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문자는 없다.

* 종 교 : 조상숭배


* 기 타 : 해남도를 가장 먼저 개발한 민족이 리족의 조상이며,

해남도에서는 신석기의 문화 유적이 130곳이나 발견되었다.


90% 정도가 복건,저장,광동등에 살고 있다.


* 인 구 : 634.700(1990)

* 언어와 문자 : 셔어(한장어계).

언어를 두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의 방언은 0.4%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고,

 다른 방언은 99%의 사람이 사용하는 것으로

 한어의 일종이다. 문자는 없다.

* 종 교 : 자연숭배


대만에 살고 있는 민족으로 전 대만 인구의 2%를 차지하고 있다.



* 인 구 : 2.877(1990)

* 언어와 문자 : 까오산어

(남도어계 인도네시아어족) 문자는 없다.

* 종 교 : 정령숭배, 자연숭배등

* 기 타 : 까오산족은 언어와 사는 지역 문화의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명칭으로 불리운다.

출처 : 中國 北京
글쓴이 : ~♡vivian♡~ 원글보기
메모 :

 

 
중국과 북방선교지 소식

중국과 북한,러시아,몽골,북방의 선교자료를 공유하는 "영혼의 사랑"블로그입니다
 
 

 

TITLE AREA VOD
사모아군도 민속춤(독일 BR 방송 제작) 남태평양
북아프리카 악기연주(독일 VOX 방송 제작) 북아프리카
북한의 어린이 교육(프랑스 TV5 제작) 북한
중앙아시아 마을 축제(독일 ORB방송 제작) 중앙아시아
코라로 연주하는 찬송가(프랑스 TV5 제작) 아프리카
아프리카 3 (프랑스 TV5 방송 제작) 아프리카
현대 아프리카 음악(프랑스 TV5 제작) 아프리카
인도 악기 연주(프랑스 TV5방송 제작) 서남아시아
아랍악기 산투르 연주(프랑스 TV5방송 제작) 중동 아랍
호주원주민 춤(오지리 ORF방송 제작) 오세아니아
 
TITLE AREA VOD
스페인 민속음악(독일 ARD방송 제작) 유럽(이베리아반도)
아프리카2(독일 N3 방송 제작) 아프리카
발랄라이카 연주(독일 WDR방송 제작) 유럽
유럽 무도회곡(독일 WDR방송 제작) 유럽
독일 Cow Bell 연주(독일 WDR방송 제작) 유럽
자마이카음악(독일 WDR방송 제작) 중앙아메리카
아프리카1(독일N3 방송 제작) 아프리카
러시아 민속춤 공연 유럽
이란 민속음악 공연 중동
재우즈벡 고려인 민속춤 공연 중앙아시아
자료출처:http://www.e-musictour.com/gallery/FestivalList.html?start=20&mode=&field=&s_que=&code=emt_gallery&flag=fe
 
중국과 북방선교지 소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