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존의 조건-The ABC of Life 산소가 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몸으로 산소가 들어가기 위해서는 기도가 개방 되어야 한다. - 산소가 폐의 혈류에 녹아 들어가기 위해 호흡이 유지 되어야 한다. - 산소를 뇌와 조직 등의 우리 몸의 모든 부위에 보내기 위하여 혈류순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 |
.조기에 실시되는 심폐소생술(CPR)은 소생율을 높인다 조기에 실시되는 CPR(심폐소생술)은 돌발적으로 발생한 심장정지와 호흡정지 환자에게 소생의 확률을 높이고 심정지에 따른 합병증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일정한 양의 공기를 불어 넣는 인공호흡(구강대구강법)과 흉부에 일정한 속도로 압박을 가하는 흉부압박을 기능적으로 조합해서 실시한다. 즉.심폐소생술은 응급의료체계의 첫번째 순서이며 의료기관에서 전문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혈액을 뇌나 기타 신체조직 등의 중요 기관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 |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원활히 하기위한 중요한 요소 3가지가 있다. 심폐소생술의 초기 단계인 Airway(기도확보) Breathing(인공호흡) Circulation(흉부압박)이며 각각의 기술이 신속히 그리고 정확하게 시행되어야 소생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 |
|
Airway(기도확보) |
|
Breathing(인공호흡)
|
|
Circulation(흉부압박) |
심폐정지가 일어나면 환자는 수초 사이에 의식을 잃게 되며 뇌와 장기는 서서히 죽어간다. 따라서 심폐정지 환자를 발견하게 되면 즉시 응급의료기관이나 119에 신고하고(Early access) 훈련된 발견자에 의해 빠른 심폐소생술(Early CPR)을 실시하고 숙련된 발견자에 의해 빠른 제세동기(Early defibrillation)를 사용하며 빠른 전문적인 치료(Early advanced care)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http://www.kshi.net/conser01.html
섣부른 판단은 위험을 부른다 | ||||||||||||||||||||||||||||||||||||||||||||||||||||||||||||||||||||||||||
|
'긴급응급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 (0) | 2007.10.15 |
---|---|
심폐소생술/기도폐쇄 응급처치법 (0) | 2007.10.15 |
알기쉬운 응급처치법(메디시티 종합모음) (0) | 2007.10.15 |
생활속의 응급처치법/마산응급의료정보센타 (0) | 2007.10.15 |
안정사고예방/벌초할 때 예초기-벌 조심하세요 (0) | 2007.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