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한 조선족 31만명,주로 서울·수도권에 집중

http://www.200man.com/?action-viewnews-itemid-7165

 

 

로무,유학,사업 차 한국에 체류중인 조선족은 9월말 현재 37만 48명으로서 주로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되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한국 법무부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소장 원형규)는 방문취업 1년6개월을 맞아 분석한 '국내 체류 중국동포 현황'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이는 전체 등록 외국인 85만4701명 가운데 43%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 체류 조선족은 최근 5년간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12만8287명, 2005년 14만6338명, 2006년 22만1525명으로 늘다가 2007년  '방문취업제' 시행 이후 31만485명으로 급증했으며 그 중 남자는 18만6000명, 녀자는 18만2048명이다.

지역별 거주 현황은 서울 17만3992명(47.0%)과 경기인천이 13만4346명(36.3%), 부산·경남과 대전·충남이 각각 1만956명(5.3%)과 1만6977명(4.6%)이었다. 또 대구·경북이 1만964명(3.0%), 광주·전라는 1만86명(2.7%), 강원 3549명(0.9%), 제주 587명(0.2%) 등이다.

서울지역 구별 거주현황은 영등포구와 구로구가 각각 3만2794명과 2만5957명으로 56%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금천구 1만5789명, 관악구 1만4550명, 광진구 8343명, 동대문구 6091명, 송파구 5452명, 강서구 4383명, 중구 4171명, 양천구 3908명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3만3226명으로 가장 많았고, 가사서비스업 2만901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건설업 종사자도 3629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월부터 시행된 방문취업제가 도입된후  현재 25세 이상 조선족은 방문취업(H-2)과 복수사증(5년 유효, 1회 최장 3년 체류가능)을 발급받아 한국입국 후 취업교육 및 구직신청 절차를 거쳐 제조업 등 34개 업종에서 취업활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방문취업제에 관한 찬반여론이 여전하며 특히 그 시행과정의 한국어시험과 추점제의 실시 및 인구비례에 반한 고시장의 불균형분포로 하여 중국내에서 브로커가 성행하고 시험을 치기위해 먼거리를 이동하는 등 과다한 비용이 지불되는 문제로 하여 조선족사회내부에서는 개선여론이 비등하고 있는 실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