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mongolschool.com/mongolia/02m-lia-im-su.htm (내몽골자치구 종합정보)
중국 내몽고자치구 (內蒙古自治區) |
|
![]() |
중국 북부의 몽골족 자치구. 수도는 후허타오터(呼和浩特). 면적 118만3천km2. 인구 약 1,985만(1985)명. 북동에서 남동으로 길게 가로놓여 있어, 동에서 남으로 지린(吉林), 랴오닝(遼寧), 허베이(河北), 산시(山西), 산시(陝西) 등의 여러 성 및 닝샤후이족(寧夏回族) 자치구와 접경하고, 북에서 서쪽으로는 외몽골과 국경을 접한다. 다싱안링(大興安嶺)산맥은 북동부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있고, 황허강(黃河) 북부에는 인산(陰山) 산맥이 동서방향으로 뻗어 있다. 다싱안링산맥 서쪽 및 인산산맥 북쪽 지역은 해발고도 1,000m 내외의 고원지대로, 강수량이 적어 고비사막에 속하는 사막과 초원이 펼쳐진다. 인산산맥 남쪽 기슭에는 황허강의 북안을 따라 비옥하고 수리가 좋은 허타오(河陰) 평원이 해발고도 900~1,000m의 고원지대에 펼쳐지고, 그 동쪽은 분지와 구릉이 뒤섞인 황토지대이다. 황허강 이남의 오르도스고원은 대부분이 사막을 이룬다. 기후는 한랭, 건조하고, 한서의 차가 커서 기온의 연교차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섭씨 36도 이상을 보인다. 연강수량은 다싱안링산맥 서쪽과 인산산맥 북쪽에서 300mm 미만이나, 연강수량의 70% 이상이 여름에 집중하여 목초 생육에 적당하다. 인산산맥 남쪽 기슭에는 400~500mm의 강수가 있다. 현재의 몽골 공화국 지역인 외몽골과 구분하여 네이멍구(內蒙古)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중엽 청나라 때부터의 일이며, 이렇게 구분하여 부를 만큼 네이멍구와 중국과의 관계가 밀접했다. 즉, 네이멍구에는 일찍이 한족(漢族)의 이주가 이루어져서 18세기 말에는 인구에서 한족의 수가 몽골족을 능가하였다. 몽골족 사이에서 자치 요구가 강력하게 대두되어,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일본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된 바가 있고, 그것이 오늘날에는 자치구 구성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주민은 약 90%가 한족이고, 나머지 대부분이 몽골족이며, 그밖에 소수의 후이족(回族), 위그르족, 티베트족 등이 산다.
|
내몽골의 전통 씨름대회
2000년 하계답사지였던 내몽고 패상초원지역 답사샘플사진 몇 장을 올려봅니다. 추후 시간이 허락 되는대로 답사기를 정리하여 글과 사진내용을 보다 강화하여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끝없이 펼쳐지는 녹푸른 초원의 대지는 정말 저에게 매우 신선한 자극이었습니다. 그 순간 그 자리에 내가 있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함을 느낍니다. |
Sample_1 : 패상초원 모습-1.
카메라 위치를 현 위치에서 약 240도 돌려 잡아본 초원 풍경 모습이다. 사진으로는 잘 알 수 없겠지만 정말 초원의 규모가 얼마나 넓은가를 사진을 볼 줄 아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가늠하고도 남음이 있다 생각한다. 대지 위에서 초연히 풀을 뜯는 말의 모습이 평화로움을 자아낸다. 참고로 6장의 필름을 연결한 사진이다. |
Sample_2 : 패상초원 모습-2.
초원 대부분의 지역의 토지이용은 주로 밀이나 감자, 그리고 수수 등의 곡물농사지역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사진의 모습은 수확철을 맞은 밀밭을 잡아본 것이다. |
Sample_3 : 패상초원 모습-3.
초원지역의 일부는 양과 말의 먹이로 활용되는 마초 그리고 간간히 노란 유채꽃 군락이 형성되어 녹색초원과 아름다운 색채의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보기에 너무나 결아하고 깔끔하게 느껴졌다. 사진의 모습은 유채꽃, 감자 그리고 마초가 재배되고 있는 초원의 모습을 잡아본 것이다. |
Sample_4 : 패상초원 모습-4.
초원 위에 몽고족의 전통 이동식 가옥인 파오가 보인다. 이쪽 사람들은 이를 게르라 칭한다. 오른쪽 사진 멀리 말들이 조용한 초원위에서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패상초원은 중국 북경에서 버스로 약 7시간 거리에 있는 지역으로 오지에 속하는 편이며, 아직은 문명의 혜택을 많이 받지 못하고 있는 지역이었다. 이 곳 지역 주민들의 생활수준은 우리나라 6-70년대의 농촌을 생각하면 될 듯 싶다. 왼쪽의 사진은 초원지역 내의 순수농가의 모습이고, 오른쪽 사진은 이 곳에서 초원관광객을 위하여 건축한 최신식 콘도이다. 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 등에서 적지 않은 관광객이 이 곳을 찾는다고 한다. 이곳에서 일박을 하였다.
왼쪽의 사진은 패상초원의 토양을 볼 수 있는 사진이다. 황토가 덮힌 두께가 높게는 12-3m, 낮게는 4-5m 정도인데, 과거 이 지역은 고생대 이후 중생대에 이르기까지 북극권에 방대하게 자리잡은 빙하의 주변지벽으로부터 날라온 흑먼지들이 장구한 세월동안 퇴적되어 형성한 황토지대로 보면 이해가 될 듯 싶다. 두께로보아 짐작하건대, 얼마나 오랜 지형의 편련사가 흘렀는지를 엿볼 수 있었다. 오른쪽 사진은 초원지역에 막 도착하였을 때 찍은 일몰의 모습이다. 넓디 넓은 초원 아래로 내려앉는 태양빛이 물들여 놓은 석양의 노을이 많은 걸 생각하게 한 순간이었다.
이 지역 전통가옥 파오, 게르의 내부 모습이다. 벽 한 가운데 징기스칸 테무친의 사진이 걸려있다. 사진 속의 징기스칸의 모습을 보는 순간 과거 원나라 몽고인들이 세계 대륙을 제패하였던 영광이 되살아나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켰다. |
'† CHINA > 중국 내몽골자치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내몽고 /内蒙古 魅力草原 생활 (0) | 2008.10.09 |
---|---|
중국 내몽고 후른베르대초원 /동영상 (0) | 2008.08.27 |
중국 내몽고자치구(네이멍구)/소개,글,동영상 (0) | 2007.05.19 |
[스크랩] 신비한 문명의 샘 솟아나는 개발의 기운 (0) | 2006.05.16 |
내몽골자치구(NEI MONGOL)의 몽골족 이해 (0) | 2006.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