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①
동서문명의 동맥 난주의 실크로드
네스토리우스는 AD 431년 에베소 세계 공의회에서 ‘기독론 시비’에 휘말려 정죄 추방이 된 당시 콘스탄티노플 총주교였다. 이 사건은 교회사의 중심에 자리하여, 세계 기독교의 기본틀을 흔들어버렸다.
네스토리우스 제자들은 그들의 스승이 수리아 사막으로 쫓겨 가서 묶인 몸이 되자 에뎃사에 집결하여 아시아 기독교를 개척하기로 결심을 굳힌다.
우리가 차분한 마음으로 초대, 중세로 이어가면서 세계로 뻗어가는 기독교의 흐름을 보면 재미있다. 초기 바울사도의 제 2차 전도여행기 중 사도행전 16장을 펴면 바울이 아시아 방향으로 가고자 했다. 그때 바울을 지도하시는 성령께서는 한사코 바울의 아시아행을 가로 막으셨다. 하는 수 없이 바울은 유럽행을 결단하고, 마케도니아의 빌립보로 건너갔다. 그날 이후 바울은 유럽 기독교의 선봉이 되어 기독교 유럽시대의 아버지가 된 것이나 다름이 없다.
그러나 아시아는 복잡하다. 우리가 앞서 지적한대로 바울의 아시아행을 결코 용납지 않으신 하나님의 뜻을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에 대하여 많은 이들은 바울이 지목한 아시아가 어디냐를 놓고 시비하는데 그건 매우 싱거운 문제이다. 당장은 에베소 아시아이겠으나, 곧이어 아나톨리아에서 북방으로 카스피해를 비켜 가면 중앙아시아, 옆으로 가면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과 인도, 파미르 고원이나 히말라야를 넘으면 대륙아시아, 아시아의 본토인 중원 대륙까지가 아시아가 된다.
광역 아시아에는 바울 당시에 이미 종교와 철학의 황금기를 이루고 있었다. 알렉산더가 아시아로 진격해 가면서 황홀경을 느꼈던 지혜와 철학의 보고가 아시아였다.
그런 아시아를 향하여 아직은 철학적 기틀도 바로 세우지 못한 바울의 기독교가 덤벼든다는 것은 무모한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바울을 제외하고, 다른 제자들은 아시아의 길을 열었다. 열 두 제자 중 다대오와 도마가 페르시아의 타브리즈와 인도의 마드라스까지 갔다. 물론 도마의 경우는 여러 견해가 있으나 일설에 의하면 당시 알렉산드리아에서 인도까지 간 선원이 그의 배에 승선한 도마를 확인했다고 말하기도 하고, 아프가니스탄 쪽으로 인도행 선교단이 지나갔다는 이야기도 전해 온다.
아시아 행 선교는 이루어지고 있었다. AD 280년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한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아르메니아는 로마 제국 영역 밖의 세계였다. 로마가 기독교를 인정하지 않고 박해만 일삼던 카타콤 시대에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한 아르메니아를 ‘동 기독교’로 교회사는 분류하고 있다.
`동 기독교'는 `아시아 기독교'로 호칭할 수 있다. 필자는 `아시아 기독교'로 분류한다. 아시아 기독교(동 기독교)는 아르메니아를 제외하고도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타직스탄, 박트리아, 우즈베키스탄 등으로 기독교가 확산되어 갔다.
필자가 금번 중국 서안에 도착한 날은 5월 26일, 그날부터 6월 2일 귀국하는 시간까지 짧은 한 주간을 난주에 들러 황하의 물줄기를 보았으며, 난주행 시외버스를 타고 16시간 주변 풍광을 살필 수 있었다. 물론 밤시간은 침묵과 기도의 시간이었다. 난주는 서안 당나라 수도(장안)에서 콘스탄티노플이나 로마로 가는 Silk Road의 사실상 출발지다. 서안에서 800km로 짧지 않은 거리이기는 해도 난주는 시하허(夏河)로 거쳐서 돈황까지의 험난한 길을 가기 위한 주요한 길목이다. 다시 말하면 서안(장안)에서 출발한 중국 대륙의 물품 등을 재정리하여 수만리 먼 길을 가고 오려면 별도로 관리해야 하는 세관이 있어야 했다. 시내 중심을 가로 지르는 황하(黃河)를 바라본다. 서울의 한강만큼의 강폭은 아니어도 5,464km 강의 흐름이 만만치가 않다. 물론 강의 길이는 황하가 앞설 것이다. 그리고 황하 문명은 아시아권 인류문명의 출발점으로 기록될만큼 유명하다. 난주 시립 박물관에 갔을 때 황하에서 발굴한 진귀한 돌들을 전시한 방에 들어가 보았다. 별도의 관람료를 받을 만큼 형형색색의 돌들에서 황하의 흐름과 강변 따라 이루어지는 문명의 이야기를 암시 받을 수 있었다.
개항기 중국의 지도자 손문 선생을 기념하여 최초로 놓은 현대식 중산교(中山橋)를 마주 바라보며 앞산 높은 곳에 위치한 백탑사에서는 난주 시내가 한 눈에 들어온다. 중산교를 중심으로 왼쪽 끝부분에 세관의 자리가 있다. 엄청난 물량이 로마나 페르시아를 향해서 가고, 또 그들의 문물을 중국으로 가져오는 동서 문명의 동맥이다. 장안의 예비 기착지 난주는 그래서 나의 관심 지역이다.
물론 장안(서안)에서 난주를 경유하지 않고 시하허로 가는 길도 있다. 그러나 대상(Caravan)들이 대륙을 오갈 때 사실상 당나라를 전후로한 시대에는 난주를 거치게 되어 있다.
나는 일정이 모자라서 난주의 백령사 탐방은 뒤로 미루었는데 난주에는 불교와 기독교, 이슬람의 적지 않은 흔적이 있다. 감숙성의 중심인 난주, 그러나 나는 시하허(夏河)를 잠시 다녀오려고 일정을 계획하다가 1박 2일의 난주 일정만 소화하고 밤 기차를 타고 서안으로 돌아갔다. 버스 16시간 보다 밤 기차 9시간으로 충분한 수면을 취했다.
서안 시내를 다니면서 당나라 시대의 성벽을 관찰하고, 서문 쪽으로 가서 궁성으로 들어갔다. 당태종 시대에 건축을 시작하여 그의 아들 이치, 곧 당 고종 2년에 완공한 궁성의 위치를 보았다. 북경의 자금성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서점이나 박물관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당나라 시대의 궁성은 물론 대신들과 세력가들이 살던 위치들도 확인했다.
내가 오늘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알로폰(Alopen) 페르시아 출신 주교(감독)가 AD 635년 (정관 9년)에 황제를 대신한 방현령(房玄齡)의 영접을 받으면서 당나라에 공식적으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전파하는 출발점의 분위기를 살피는 중이다.
나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가 AD 431년 에베소 종교회의에서 이단 정죄되어 추방된 이후 그들이 중심이 되어 아시아 선교를 실천했던 약 1천년 현장을 찾고 있다.
방현령이 국빈의 예로써 한 사람 기독교 지도자를 영접한 이후 당나라 2백여 년, 송나라, 징기스칸의 후예들, 그리고 바그다드에서 잠적(소멸)해 가는 네스토리안들의 역사를 복원해 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내일은 경교사를 찾아가기로 한다. 역사 속에 묻혀 버린 아시아 기독교, 이교도들의 틈새에서 자기 모습을 확실히 드러내지 못한 네스토리안의 오늘 모습도 재구성해 볼 수 있을까?
조효근 목사/본지 발행인
동서문명의 동맥 난주의 실크로드
네스토리우스는 AD 431년 에베소 세계 공의회에서 ‘기독론 시비’에 휘말려 정죄 추방이 된 당시 콘스탄티노플 총주교였다. 이 사건은 교회사의 중심에 자리하여, 세계 기독교의 기본틀을 흔들어버렸다.
네스토리우스 제자들은 그들의 스승이 수리아 사막으로 쫓겨 가서 묶인 몸이 되자 에뎃사에 집결하여 아시아 기독교를 개척하기로 결심을 굳힌다.
우리가 차분한 마음으로 초대, 중세로 이어가면서 세계로 뻗어가는 기독교의 흐름을 보면 재미있다. 초기 바울사도의 제 2차 전도여행기 중 사도행전 16장을 펴면 바울이 아시아 방향으로 가고자 했다. 그때 바울을 지도하시는 성령께서는 한사코 바울의 아시아행을 가로 막으셨다. 하는 수 없이 바울은 유럽행을 결단하고, 마케도니아의 빌립보로 건너갔다. 그날 이후 바울은 유럽 기독교의 선봉이 되어 기독교 유럽시대의 아버지가 된 것이나 다름이 없다.
그러나 아시아는 복잡하다. 우리가 앞서 지적한대로 바울의 아시아행을 결코 용납지 않으신 하나님의 뜻을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에 대하여 많은 이들은 바울이 지목한 아시아가 어디냐를 놓고 시비하는데 그건 매우 싱거운 문제이다. 당장은 에베소 아시아이겠으나, 곧이어 아나톨리아에서 북방으로 카스피해를 비켜 가면 중앙아시아, 옆으로 가면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과 인도, 파미르 고원이나 히말라야를 넘으면 대륙아시아, 아시아의 본토인 중원 대륙까지가 아시아가 된다.
광역 아시아에는 바울 당시에 이미 종교와 철학의 황금기를 이루고 있었다. 알렉산더가 아시아로 진격해 가면서 황홀경을 느꼈던 지혜와 철학의 보고가 아시아였다.
그런 아시아를 향하여 아직은 철학적 기틀도 바로 세우지 못한 바울의 기독교가 덤벼든다는 것은 무모한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바울을 제외하고, 다른 제자들은 아시아의 길을 열었다. 열 두 제자 중 다대오와 도마가 페르시아의 타브리즈와 인도의 마드라스까지 갔다. 물론 도마의 경우는 여러 견해가 있으나 일설에 의하면 당시 알렉산드리아에서 인도까지 간 선원이 그의 배에 승선한 도마를 확인했다고 말하기도 하고, 아프가니스탄 쪽으로 인도행 선교단이 지나갔다는 이야기도 전해 온다.
아시아 행 선교는 이루어지고 있었다. AD 280년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한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아르메니아는 로마 제국 영역 밖의 세계였다. 로마가 기독교를 인정하지 않고 박해만 일삼던 카타콤 시대에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한 아르메니아를 ‘동 기독교’로 교회사는 분류하고 있다.
`동 기독교'는 `아시아 기독교'로 호칭할 수 있다. 필자는 `아시아 기독교'로 분류한다. 아시아 기독교(동 기독교)는 아르메니아를 제외하고도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타직스탄, 박트리아, 우즈베키스탄 등으로 기독교가 확산되어 갔다.
필자가 금번 중국 서안에 도착한 날은 5월 26일, 그날부터 6월 2일 귀국하는 시간까지 짧은 한 주간을 난주에 들러 황하의 물줄기를 보았으며, 난주행 시외버스를 타고 16시간 주변 풍광을 살필 수 있었다. 물론 밤시간은 침묵과 기도의 시간이었다. 난주는 서안 당나라 수도(장안)에서 콘스탄티노플이나 로마로 가는 Silk Road의 사실상 출발지다. 서안에서 800km로 짧지 않은 거리이기는 해도 난주는 시하허(夏河)로 거쳐서 돈황까지의 험난한 길을 가기 위한 주요한 길목이다. 다시 말하면 서안(장안)에서 출발한 중국 대륙의 물품 등을 재정리하여 수만리 먼 길을 가고 오려면 별도로 관리해야 하는 세관이 있어야 했다. 시내 중심을 가로 지르는 황하(黃河)를 바라본다. 서울의 한강만큼의 강폭은 아니어도 5,464km 강의 흐름이 만만치가 않다. 물론 강의 길이는 황하가 앞설 것이다. 그리고 황하 문명은 아시아권 인류문명의 출발점으로 기록될만큼 유명하다. 난주 시립 박물관에 갔을 때 황하에서 발굴한 진귀한 돌들을 전시한 방에 들어가 보았다. 별도의 관람료를 받을 만큼 형형색색의 돌들에서 황하의 흐름과 강변 따라 이루어지는 문명의 이야기를 암시 받을 수 있었다.
개항기 중국의 지도자 손문 선생을 기념하여 최초로 놓은 현대식 중산교(中山橋)를 마주 바라보며 앞산 높은 곳에 위치한 백탑사에서는 난주 시내가 한 눈에 들어온다. 중산교를 중심으로 왼쪽 끝부분에 세관의 자리가 있다. 엄청난 물량이 로마나 페르시아를 향해서 가고, 또 그들의 문물을 중국으로 가져오는 동서 문명의 동맥이다. 장안의 예비 기착지 난주는 그래서 나의 관심 지역이다.
물론 장안(서안)에서 난주를 경유하지 않고 시하허로 가는 길도 있다. 그러나 대상(Caravan)들이 대륙을 오갈 때 사실상 당나라를 전후로한 시대에는 난주를 거치게 되어 있다.
나는 일정이 모자라서 난주의 백령사 탐방은 뒤로 미루었는데 난주에는 불교와 기독교, 이슬람의 적지 않은 흔적이 있다. 감숙성의 중심인 난주, 그러나 나는 시하허(夏河)를 잠시 다녀오려고 일정을 계획하다가 1박 2일의 난주 일정만 소화하고 밤 기차를 타고 서안으로 돌아갔다. 버스 16시간 보다 밤 기차 9시간으로 충분한 수면을 취했다.
서안 시내를 다니면서 당나라 시대의 성벽을 관찰하고, 서문 쪽으로 가서 궁성으로 들어갔다. 당태종 시대에 건축을 시작하여 그의 아들 이치, 곧 당 고종 2년에 완공한 궁성의 위치를 보았다. 북경의 자금성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서점이나 박물관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당나라 시대의 궁성은 물론 대신들과 세력가들이 살던 위치들도 확인했다.
내가 오늘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알로폰(Alopen) 페르시아 출신 주교(감독)가 AD 635년 (정관 9년)에 황제를 대신한 방현령(房玄齡)의 영접을 받으면서 당나라에 공식적으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전파하는 출발점의 분위기를 살피는 중이다.
나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가 AD 431년 에베소 종교회의에서 이단 정죄되어 추방된 이후 그들이 중심이 되어 아시아 선교를 실천했던 약 1천년 현장을 찾고 있다.
방현령이 국빈의 예로써 한 사람 기독교 지도자를 영접한 이후 당나라 2백여 년, 송나라, 징기스칸의 후예들, 그리고 바그다드에서 잠적(소멸)해 가는 네스토리안들의 역사를 복원해 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내일은 경교사를 찾아가기로 한다. 역사 속에 묻혀 버린 아시아 기독교, 이교도들의 틈새에서 자기 모습을 확실히 드러내지 못한 네스토리안의 오늘 모습도 재구성해 볼 수 있을까?
조효근 목사/본지 발행인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⑪ 중국 내몽골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⑩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⑨ 타지키스탄→내몽골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⑧-타지키스탄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⑨ 타지키스탄→내몽골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⑦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⑥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⑤ | 조효근/본지 발행인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④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③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② | 조효근 목사 | ||
■ 네스토리우스를 만나려고 ① | 조효근 목사 | ||
■ 페르시아 순례 ⑥ | 조효근 목사 | ||
■ 페르시아 순례 ⑤ | |||
■ 페르시아 순례 ④ | 조효근 목사 | ||
■ 페르시아 순례 ③ | 조효근 목사 | ||
123 |
원본: 들소리신문 / http://www.deulsoritimes.co.kr/technote6/board.php?board=toboard&command=body&no=37
.
'† CHINA > 중국기독교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宣敎中國 찬양동영상 / GOOD TV (0) | 2008.01.05 |
---|---|
중국 삼자교회의 역사 (0) | 2007.11.25 |
중국선교 계산법 (0) | 2007.11.25 |
중국선교/ 중국기독교역사 (0) | 2007.11.25 |
고대 동방기독교의 신라 전래 (0) | 2007.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