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들, 우리의 민요를 부르고 있었다. | ||||||||||||||||||||||||||||||||||||||||||||||||||
[오마이뉴스 김영조 기자]
누렇게 누렇게 변해서 우거져 우거져 파도치리. 에헤- 뿌려라 씨를 활활 뿌려라. 땅의 젖을 짜먹고 와싹와싹 자란다." 위 노래는 고려인들이 즐겨 부르는 창작민요 <씨를 활활 뿌려라>이다. 이 노래만 보면 고려인들이 남의 나라에서 고통받으며 살았다는 것보다는 정말 활기차게 살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씨를 활활 뿌려라'라든지, '땅의 젖을 짜먹고', '와싹와싹 자란다'라는 말들은 정말 정감있고, 활동적인 느낌이 든다. 이 노래를 한양대학교 김보희 교수의 생음악으로 들은 뒤 나는 작은 흥분에 휩싸인다. '고려인'은 누구인가? 고려인은 러시아말로는 '까레이스키'라고 하며, 고려족 또는 고려사람이라고도 하는데 러시아를 비롯한 독립국가연합에 거주하는 한인교포를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이들이 사는 곳을 보면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즈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그루지야 등이다. 한국인들이 러시아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1863년(철종 14)으로, 농민 13세대가 한겨울 밤에 얼어붙은 두만강을 건너서 우수리강 유역으로 갔다고 한다. 이어 점차 늘어나 1869년에는 4500여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이주하였다. 이후로도 이민은 계속되었는데, 대부분이 농업 이민이었으나 항일 독립운동가들의 망명도 있었다. 그러나 스탈린의 대숙청 당시 연해주 지방의 한인들은 소수민족의 분리, 차별정책에 휘말려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했다. 이들은 화물열차에 짐짝처럼 실려 중앙아시아의 황무지에 내팽개쳐졌는데, 무려 17만5000여 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러나 고려인들은 강인한 생명력으로 중앙아시아의 허허벌판을 개척하고 집단농장을 경영하는 등 소련 내 소수민족 가운데서도 가장 잘사는 민족으로 뿌리를 내렸다. 그러다 1992년 소련이 무너지고 러시아와 11개 독립국가로 나뉘면서 고려인들이 사는 나라에서는 배타적인 민족주의 운동이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고려인들은 일터에서 쫓겨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1996년 현재 독립국가연합 내 고려인 수는 46만 명이라고 한다.
3년여 강의도 포기하고, 역시 대학교수인 남편의 외조를 받아가며, 오로지 고려인들의 노래에 매달려 해마다 2번씩 7번의 고려인 현지조사를 마치고, 이번에 <소비에트 시대 고려인 소예술단의 음악활동>이란 박사학위 논문을 내기에 이르렀다. 또 박사논문 쓰기 이전 정추 선생의 자료를 정리하여 3권의 <소비에트 시대 고려인의 노래>를 한양대학교 출판부에서 펴내기도 했다. 어쩌면 아무도 해내지 못했던 것을 그의 집념이 이루어낸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터이다. 이 박사학위 논문에는 '고려인 소예술단의 역사', '꼴호즈(집단농장) 소예술단의 음악활동', '소예술단의 노래 레퍼터리 연구', '<레닌기치>에 실린 창작가요의 음악적 분석' 등이 실려 있고, 고려인들이 많이 부르는 58곡의 악보가 수록되어 있으며, 각종 참고문헌도 같이 들어 있다.
첫째, 이들의 음악활동은 수평적으로는 한국 민요의 지평을 소련으로 확대했고, 수직적으로는 한국 민요를 고려인과 소련 사회의 맥락에 맞게 전승하여 한국 민족음악의 전통을 새로운 차원으로 계승했다. 둘째, 고려인의 노래는 한국적인 것과 러시아적인 것을 중심으로 서양과 일본음악이 섞인 양상을 보이며, 이주의 아픔이 드러나는 이별의 노래가 많다. 셋째,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입각한 한국민요 창작의 지평을 새롭게 열었다. 넷째, 고려인 작곡가들은 고려인의 정서를 잘 표현하기 위해 자신들의 음악에서 전래민요와 잡가, 판소리 음악을 폭넓게 활용했다.
또 고려인 노래 묶음책의 연주목록을 분석하여 장르적 특성을 밝혀내고, 음악의 시대적 변천을 고찰하고, 고려인 창작가요의 작곡가와 그들의 작품을 음악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고려인 창작가요에 나타난 한민족의 음악적 전승과 변천에 나타난 음악의 정체성 연구를 했음을 말한다. 먼 남의 나라 땅에서 외롭고 힘들게 살아가는 고려인들이 노래로 그들의 정체성을 지켜가고 있음을 밝혀낸 연구는 우리 모두 크게 손뼉을 쳐서 기려야만 한다. 그리고 그가 연구를 통해 고려인들의 손을 잡은 채 그들에게 민족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해주기를 빌어본다.
/김영조 기자 |
출처 : 허산이
글쓴이 : 허산이 원글보기
메모 :
'† RUSSIA > 러시아 고려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크랩]30만 고려인의 나라 중앙아시아와 한국 (0) | 2008.02.01 |
---|---|
[스크랩] [스크랩]가만히 불러보는 이름 ‘까레이스키’-그림으로 만난다 (0) | 2008.02.01 |
연해주 고려인에 대하여 (0) | 2008.01.31 |
고도원님의 연해주 답사기에서' (0) | 2008.01.26 |
고려인을 아시나요 (0) | 200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