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smmission

 

 

 

 

중국 정부, 처음으로 지하교회와 대화 시도

 

베이징 정부 당국자들과 현재로는 불법적인 지위에 놓여 있는 지하교회 지도자들이 은밀한 회동을 가진 사실이 확인되어 앞으로 지하교회에 대한 당국의 정책 변화에 대한 낙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베이징에서 열린 이번 회동은 베이징 당국이 지하교회를 대화의 상대로 인정한 첫 번째 사례라는 점에서 무슨 이야기가 오갔든 그 의미는 크다. 게다가 시기적으로도 공산당 정부 수립 60주년과 겹치고 있기 때문에 정부 입장에서는 경축 분위기에 저해가 될만한 요인들을 사전에 정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어 보이기도 한다. 또 음력을 기준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첫날 이와 같은 회동을 가짐으로서 경제회생에 저해요소가 될만한 집단과 충분한 대화를 가져 전국적으로 경제회생을 위한 소통과 화합에 주력한다는 인상을 대내외에 심어주려는 의도도 보인다.

지금까지 지하교회는 중국 정부의 철저한 탄압의 대상이었다. 정부가 인정하는 삼자애국교회 이외의 다른 교회를 통해 신앙생활을 하는 것은 명백한 위법이었다. 이는 카톨릭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강력한 정부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인구는 해마다 빠르게 늘어났다는 점 때문에 정부 역시 탄압 일변도로 다스리기에는 한계를 느끼는 모습이었다. 현재 비공식적인 통계이기는 하지만 지하교회를 포함한 기독교 인구는 카톨릭을 포함하여 1억 3천 만 명으로 공산당원수 7400 만 명의 두 배를 육박해가고 있는 수이다.

지난해에도 공산당 정부는 이와 같이 곤혹스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두 차례의 모임을 개최한 바 있었다. 하나는 수십 명 규모의 학자들과 법률가들이 모여 향후 중국 정부의 종교정책에 대한 토론회를 가졌었다. 이들 학자들과 법률가들 가운데 상당수는 지하교회 신자들이었다고 한다. 또 6개 주요 지하교회 지도자들의 회동도 있었다. 2년 전부터 베이징에서 시온교회라는 교회를 개척하여 담임하고 있는 에즈라 진 목사는 정부는 원하는 바가 아니라 하더라도 교회에 대한 정책에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면서 앞으로는 좀더 유화적인 정책이 나올 것으로 내다봤다.

진목사의 교회의 경우 매주 주일이 되면 수 백 명의 신자가 모여 예배를 한다. 그러나 정식으로 교회 건물을 세우지 못하고 한 빌딩의 큰 방을 빌려서 예배를 한다. 중국 당국은 아직까지는 삼자교회만을 교회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개신교인 수는 2100 만 명, 카톨릭 신자의 수는 5백 만 명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결국 지하교회를 통해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이 무려 1억 명이 넘는다는 이야기가 된다. 때문에 정부도 앞으로는 교회를 적대적인 단체로 보기 보다는 우군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할 수 밖에 없다. 정부도 급습과 체포, 그리고 노동교화재교육이나 징역 등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님을 경험을 통해서 잘 알고 있다. 한 교회를 급습하여 없애버려도 다른 곳에서 또 다른 교회들이 계속 세워지는 현상에 정부 스스로 한계를 끼고 있는 상황이다.

자신이 지하교회 신자라고 당당히 밝힌 한 경제학자는 당국도 지하교회를 무조건 적대시하기 보다는 서로 만나 서로에 대해 자세히 알고 이해하다 보면, 뭔가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고, 또 지금까지 많은 지하교회 목회자들을 체포해서 심문하는 과정에서 지하교회에 대한 이해가 넓어진 점도 조금씩 지하교회에 대한 적대감을 푸는데 기여를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푸른섬선교정보 / 매일선교소식 1,888호-2009.1.29(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