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의 관계에 대하여 논하라.

① 같은 점 : ⓐ 모두 계시에 근거함  ⓑ 질서정연하고 일관성 있게 진리를 서술

② 다른 점

 

조 직 신 학

성 경 신 학

철학적 접근

성경적 접근

일반계시를 연구 범위에 포함

특별계시만 다룸

원 : 전체 계시를 한 단위로 보는 입장에서 교훈들과 사상들을 논리적으로 조직(신약을 구약보다 먼저 인용할 수도 있다. 구약 안에서도 순서 상관없어)

선 : 계시를 역사적인 순서의 선상에 놓고 그 전개되는 상황을 순서대로 그려나감

그 자체가 계시(계시의 요약)가 아닌 교회의 업적이다. 특히 이단이 발생할 때 그것에 대처하기 위해 발달하였다. 한 사람의 업적이 아닌 오랜 세월의 열매이다. 성경적이지만 성경과는 다른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 안에서, 성경과 함께 발전함. 계시의 요약 혹은 계시의 재진술. 어느 한 사람(신학자)의 열매이다.

  

③ 양자의 관계

ⓐ 조직신학이 석의(exegesis)에 의존해야 한다. 그리고 석의는 성경신학의 조명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성경신학은 조직신학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며, 조직신학이 말씀 위에 있고 또 생명력을 갖도록 돕는다.

ⓑ 조식신학이 생명을 잃고 그 사명을 완수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는 것은 그것이 주경신학으로부터 이탈되었기 때문이다. 조직신학에 주경학이 필수라면, 성경신학은 주경학을 통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신학은 성경신학에 뿌리를 박고 있어야 한다.

ⓒ 이름을 바꾸자!!!

성경신학 → 특별계시역사(Special Revelation History)

조직신학 → 성경신학(철저하게 성경에 기초하기 때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