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부의 몽골족 자치구. 수도는 후허타오터(呼和浩特). 면적 118만3천km2. 인구 약 1,985만(1985)명. 북동에서 남동으로 길게 가로놓여 있어, 동에서 남으로 지린(吉林), 랴오닝(遼寧), 허베이(河北), 산시(山西), 산시(陝西) 등의 여러 성 및 닝샤후이족(寧夏回族) 자치구와 접경하고, 북에서 서쪽으로는 외몽골과 국경을 접한다. 다싱안링(大興安嶺)산맥은 북동부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있고, 황허강(黃河) 북부에는 인산(陰山) 산맥이 동서방향으로 뻗어 있다. 다싱안링산맥 서쪽 및 인산산맥 북쪽 지역은 해발고도 1,000m 내외의 고원지대로, 강수량이 적어 고비사막에 속하는 사막과 초원이 펼쳐진다. 인산산맥 남쪽 기슭에는 황허강의 북안을 따라 비옥하고 수리가 좋은 허타오(河陰) 평원이 해발고도 900~1,000m의 고원지대에 펼쳐지고, 그 동쪽은 분지와 구릉이 뒤섞인 황토지대이다. 황허강 이남의 오르도스고원은 대부분이 사막을 이룬다. 기후는 한랭, 건조하고, 한서의 차가 커서 기온의 연교차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섭씨 36도 이상을 보인다. 연강수량은 다싱안링산맥 서쪽과 인산산맥 북쪽에서 300mm 미만이나, 연강수량의 70% 이상이 여름에 집중하여 목초 생육에 적당하다. 인산산맥 남쪽 기슭에는 400~500mm의 강수가 있다.
현재의 몽골 공화국 지역인 외몽골과 구분하여 네이멍구(內蒙古)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중엽 청나라 때부터의 일이며, 이렇게 구분하여 부를 만큼 네이멍구와 중국과의 관계가 밀접했다. 즉, 네이멍구에는 일찍이 한족(漢族)의 이주가 이루어져서 18세기 말에는 인구에서 한족의 수가 몽골족을 능가하였다. 몽골족 사이에서 자치 요구가 강력하게 대두되어,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일본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된 바가 있고, 그것이 오늘날에는 자치구 구성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주민은 약 90%가 한족이고, 나머지 대부분이 몽골족이며, 그밖에 소수의 후이족(回族), 위그르족, 티베트족 등이 산다.
다싱안링산맥 서쪽에서 인산산맥 북쪽에 걸친 네이멍구고원 및 오르도스고원 북서부 등지의 초원지대를 중심으로 양, 소, 말, 낙타, 돼지 등의 사육이 활발하므로 네이멍구자치구는 중국의 주요 목축업 지역이 된다. 본래 유목으로 이루어지던 목축업이 오늘날에는 정착경영으로 바뀌었고, 특히 양털의 산출이 많다. 자치구 남동부의 허베이, 산시 양성의 경계부근에서 후허하오터고원에 걸친 지역과 황허강 북안의 허타오평원 및 오르도스고원 남동부는 주요 농업지역을 이루며, 조, 수수, 콩, 밀, 깨, 사탕무 등의 생산이 많다. 특히 남동부 지역과 허타오평원은 일찍부터 한족 농민이 이주하여 개발한 곳이며, 자치구 총면적의 20%에 불과한 그 지역에 총인구의 약 80%가 집중되어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인산산맥 북쪽 기슭의 바이윈어보(白雲鄂搏) 등지의 철광석, 남쪽 기슭의 스과이거우(石拐溝) 및 서부의 우다(烏達) 등지의 석탄, 네이멍구, 오르도스 두 고원의 나트륨, 소금 외에 운모, 석면 등 풍부한 광산자원이 개발되어 자치구 공업이 크게 변모되었다. 종래의 공업은 모직물, 양탄자, 피혁제품 등 축산가공업이 중심이 되어 왔으나, 최근 풍부한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바오터우(包頭)에 중공업이 발달하였으며, 안산(按山), 우한(武漢) 등지와 더불어 3대 중공업기지의 하나가 되었고, 그밖에 우다(烏達), 하이보완(海渤灣) 등지도 신흥 공업도시로 발전하였다.
교통은 징바오(包蘭)철도(北京~包頭), 바오란(京包)철도(包頭~蘭州) 및 지닝(集寧)에서 얼례하오터(二連浩特)를 거쳐 몽골, 러시아로 통하는 지얼(集二)철도 등이 있고, 자동차 도로는 후허하오터, 바오터우, 지닝 등지를 중심으로 각지로 연결된다. 황허강(黃河)은 내륙수로로서 큰 몫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