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식 건물-첨단의료기... 여기 중국병원 맞아?

▲ 호텔휴게식 건강검진센터를 운영중인 중급병원인 왕주국빈의원.
ⓒ 유창하
중국 상하이의 푸단대학, 교통대학, 상해중의대학 등 대학 부속병원을 방문해 보면 먼저 넓은 면적과 현대식 고층 병원건물에 놀라고, 각종 첨단의료기가 완벽하게 구비되어 있음에 또 놀란다.

그동안 익히 들어왔던 "중국 의료시설과 의료기술은 한국과 비교해 대단히 낙후되었을 것"이라는 선입견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된다.

다른 곳은 몰라도 중국 제1경제도시인 상하이에서만은 중국의 의료수준 전반이 한국과 비교해서 결코 뒤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얼마가지 않아 상하이는 아시아 의료 허브도시가 될 것이다"는 상하이 고위 정책입안자들의 말이 빈말이 아님을 실감하게 된다.

"상하이, 머지않아 아시아 의료 허브도시 될 것"

▲ 푸단대 부속 이비인후과 병원 로비에서 과별 전문의를 안내하는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는 환자 가족들.
ⓒ 유창하
중국 정부는 지난 2000년 WTO 가입 이후 의료시장의 경제화, 국제화, 자본의 다양화 등을 골자로 하는 의료 개혁개방에 박차를 가해왔고 대표적 지역으로 상하이를 내세웠다.

상하이 의료시장은 그동안 중국 정부 창설이후 오랜 기간 정부가 운영하던 관영병원 체계에서 차츰 민간병원과 외국계 병원들로 중심이 이동되고 있다.

민영병원과 외국계 병원은 '시장주의 고효율' 원칙을 내세우며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면서 중국 의료시장을 하나씩 잠식해 나가고 있다.

외국인이 많이 모여사는 상하이 민항구, 장닝구, 푸동신구에서 3~4년 사이에 들어선 중급 민영병원만도 수십여 곳에 달하고, 외국자본이 중국 병원과 합자하여 세운 크고 작은 병원도 많다.

기자가 2004년 11월 맹장염 수술을 하기 위해 입원한 적이 있는 홍차우병원은 비교적 이른 2001년에 설립된 민간 병원으로, 첨단 시설을 갖춘 중급병원이다. 당시에도 부인병 치료, 치질 수술, 결석제거 수술을 하러 오는 환자들로 병원에 빈 입원실이 없을 정도로 인기 있었다.

역시 2년 전에 홍콩 자본과의 합작에 의해 장닝구에 들어선 중급병원인 신더병원의 경우 미국과 독일에서 첨단의료기기를 도입하고 병원 마당 안에 별장식 입원실을 갖췄다. 또 외국인 의료진과 선진국 연수 의료인을 채용하여 고액소득자들을 대상으로 진료를 시작했다.

민간병원 뿐만 아니라 대학 부속병원도 크고 작은 형태의 합자 병원을 운영한다. 동재대학의 부속병원은 미국 병원과 합자를 해 국제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그외 푸단대, 교통대, 인제대, 상하이대 등 주요 대학 부속병원 역시 미국, 일본, 독일 등과의 합자를 통해 크고 작은 병원을 세우고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진료를 하고 있다.

상하이에 고급시설과 고급장비, 고급인력으로 무장하고 민간병원과 외국합자 병원이 들어서는 이유는 "수익구조를 못내는 공공병원은 문 닫고, 외국자본 민간자본 따지지 말고 의료기술 수준을 높여라"는 당국의 의료선진화 정책에 따른 것이다.

▲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외국 의대와 합자로 건설되고 있는 상하이 종합국제의료단지. 348만평 규모로 인천 송도단지의 2배에 달한다.
송도 국제단지 보다 더 큰 상하이 국제의료단지

상하이 경제성장의 상징인 푸동 인근 상하이엑스포 유치지역에 인천송도국제업무단지 크기인 178만평보다 배로 큰 348만평 규모의 '상하이국제의료존(SIMZ)'이 건설되고 있다.

상하이국제의료존에는 2010 상하이엑스포 개최를 앞두고 2008년까지 먼저 외국합자병원 의료타운이 완공되고 국제 수준의 의료기술을 배우는 국제의료대학이 들어선다. 향후 2020년까지 국제요양센터, 국가의료기관단지, 국제비지니스센터를 망라하는 대규모 종합국제의료타운을 조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상하이국제의료타운에는 현재 미국 하버드의대, 독일 하노버의대 등 세계 각국 의대의 합자병원이 건설중에 있고, 세계적으로 이름 있는 암센터, 소아병원, 부인과병원 등 전문병원들이 중국 정부의 의료개방 정책, 외국 병원자본 특혜(외국자본 50% 이상 지분 보장) 정책에 따라 유치되고 있다.

경제도시 상하이에서 세계적 의료시설을 유치해 현대의학과 중국의학을 결합하는 명실 공히 아시아의 의료계 맹주로 거듭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13억 인구를 바탕으로 풍부한 임상실험을 거친 중국의료계가 강력한 정치적 추진력을 배경으로 하면서 현대의학에서도 한국을 비롯한 선진의료국가에 뒤지지 않기 위해 숨가쁜 추월작전을 펴고 있다.

▲ 초음파기를 새로 들여놓은 상하이의 중급 병원.
ⓒ 유창하
의료개혁의 부작용 "돈 없으면 돌아가라"

@BRI@그러나 상하이의 의료개혁개방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상하이에서 발행되는 신문인 <성시경제도보> 3월 8일자에는 과당진료비를 청구한 푸텐시 민영병원의 부당진료비 행태를 비난하는 기사가 실렸다.

이 신문에 따르면 "광고를 보고 찾아온 병원 불임 환자에게 의사가 말하길 '1만 위안이면 80~90% 불임치료가 된다. 내말대로 해라'고 말하고선 치료비를 받더니 치료 후에는 또 다시 다른 치료 방법을 이야기 하며 2만 위안을 가져오게 하고 결국 나중에 환자가 '더 이상 가져 올 돈이 없다'고 말하자 결국 의사는 치료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신문은 상하이 민간병원의 홍보 방식에도 의문을 제기하며 "병원 안팎에 각종 현수막과 치료사진, 병원의 정치적 배경 등을 전시하여 환자들로 하여금 믿을 수밖에 없게 한다"고 병원들의 과잉 홍보에 따른 폐단을 지적했다.

이처럼 민간병원은 의료장비 구입에 따른 무리한 투자와 채무부담 해소를 위해 과도한 경영행태가 만연하고 있다. 환자 진료비 액수에 따라 담당의사의 수당이 결정되는 제도 때문에 의사들의 과당 진료가 속출하는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상하이 소재 대형병원을 방문해 보면, 저소득층 서민들이 고액 수술비를 감당하지 못해 목숨을 포기하는 일이 비일비재 하다. 중국에서는 수술비와 치료비를 선불로 내지 않으면 위급환자라도 제대로 수술을 받을 수가 없다.

푸단대 아동병원에 입원한 갓난 아기를 5개월째 돌보고 있는 한 보호자는 "치료비가 19만 위안(한국돈 2500만원)이나 나왔다"면서 "중환자실에서 치료비가 없어 중도에 포기하고 돌아가는 환자를 많이 보았다"고 말한다.

돈으로 치료 여부가 결정되는 현실이지만 상하이 병원들은 이와 같은 비판에도 아랑곳없이 외국자본과 기술을 끌어들여 의료기술을 높이고 부유층을 겨냥한 '고급의료서비스 판매정책'에 몰두하고 있다.

특히 외국 자본이 투자된 외국계 병원들은 의료비가 비싸기로 유명하다. 한국 교민들은 이구동성으로 "오르는 상하이 물가는 그래도 견딜만한데 병원 치료비 겁나서 아프지도 못하겠다"는 우스개소리를 할 정도이다.

▲ 장기이식 전문병원인 인제대 푸동병원의 이식센터.
ⓒ 유창하
부유층 볼모로 의료 선진화 꾀하나

국제도시를 표방하는 상하이의 도시 특성상 세계 각국에서 온 외국인이 많이 상주하므로 자연히 외국계 병원 이용자가 있고, 중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외국계 병원의 의료수준을 신뢰하는 중국인 부유층의 이용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성형외과, 산부인과, 치과, 장기이식과, 소아과 등 치료비가 비싼 고급 의료서비스 시장이 상하이 의료시장에 대한 전체점유율을 점차 높여가고 있다.

세계 병원의 각축장인 상하이 의료계는 2010년 상하이엑스포 기간 전까지 중국의료수준을 선진국 수준까지 단숨에 끌어올리는 실험장이 되고 있다. 상하이가 중국 경제를 견인하는 도시이듯 상하이 의료계는 중국의료기술 선진화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왕주국빈병원 한국인 중의사 국창근씨는 "2002년 광동 일원을 급습한 '사스(SARS)'라는 국가적 홍역을 겪으며 전반적으로 낙후된 의료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절감한 중국의료계가 과감한 의료 개방개혁 정책을 편 결과 의료기술수준이 급격히 향상됐다"고 말한다. 보다 유연한 시장경제 의료시스템으로 변경한 결과이다.

상하이가 의료 허브도시를 꿈꾸는 많은 아시아 국가 도시들 틈바구니 속에서 과연 의료 맹주 도시로 설수 있을지, 아니면 아시아 허브의 변죽만 울리다 말고 끝날지 지켜볼 일이다.

▲ 홍콩자본이 투자된 신더의원에서 수술실 의료장비를 점검하고 있는 직원.

ⓒ 유창하

 

 

...............................

 

 

상해 한국 병원 및 한국부가 있는 병원 목록입니다!


Ye 메니컬센터 - 6208.8088

동춘당 양-한방병원 - 6242.0024

루이리성형미용/피부병원 - 6386.6355

박애병원 - 6431.5184

상해85병원 - 6252.7665/7276

아이미성형외과 - 6251.3316

왕주한국의료검진센터 - 6406.6788

장녕구종합병원 (야간응급병원) - 6290.1554

한강백병원 - 6402.2007

------------------------------------------------------
자생 한방병원 - 5153-0267

경동 한의원 - 5449.3668

우리한방병원 - 3431.3491

예선당한의원 - 6446.2655

사임당한의원 - 6402.4090 / 133.9136.7975

포사랑 한의원 - 5042.3572

------------------------------------------------------

동규치과 - 6401-1642 / 6405.8847
( 민항구 홍중로 460번지 10호)

현대치과 - 3431.2875/3145

이노치과 - 6449.1024

 

(동인병원)

 

중국에서 병원이용 절차

 

 

중국에서 병원 이용시 병원선택에서부터 치료를 받기까지 밟아야할 절차:

 

1. 병원선택

중국의 병원(醫院-yiyuan)은 크게 서의(西醫-xiyi)병원과 중의병원(中醫院-zhongyiyuan), 중서의결합병원(中西醫結合醫院)으로 나뉜다.

베이징의 경우 협화병원(協和醫院-XIEHE), 동인병원(同仁醫院-TONGREN), 중일우호병원(中日友好醫院-ZHONGRIYOUHAO), 301병원(三零一醫院-SANLINGYI)등 병원이 서의의 대표적 병원이고, 중국중의연구원서원병원(中國中醫硏究院西怨醫院-XIYUAN), 중국중의연구원광안문병원(中國中醫硏究院廣安門醫院-GUANG'ANMEN), 북경시중의병원(北京市中醫院)등이 중의병원(中醫院)의 가장 대표적인 병원이다.

 

내과의 경우 서의는 협화병원, 중의는 서원병원, 암(癌)의 경우 서의는 종류병원(腫瘤醫院-ZHONGLIU), 중의는 광안문병원, 안과(眼科)의 경우 서의는 동인병원, 중의는 중국중의연구원안과병원(中國中醫硏究院眼科醫院), 피부과의 경우 북경시중의병원등이 유명하다.

 

 

2. 진료과목선택

진료과목은 중의와 서의를 막론하고 종합병원이면 어느 곳이나 심혈관과(心血管科), 소화과(消化科), 호흡과(呼吸科), 노년과(老年科), 혈액과(血液科), 내분비과(內分泌科), 신장과(腎科), 풍습과(風濕科), 신경내과(神經內科)등 세분화된 내과의 진료과목이 있다.

때문에 내과라고 하더라도 병증세에 따라 해당한 과(科)를 찾아가야 한다.

 

 

3. 진료접수 및 진료카드

중국에서는 진료접수를 괘호(卦號-guahao)라고 하며 괘호실(卦號室-guahaoshi)에서 진료접수를 한다.

진료접수는 크게 일반의사의 진료를 받을수 있는 보통호(普通號)와 교수레벨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을수 있는 전가호(專家號) 두가지로 나뉜다. 보통호로 접수하면 일반의사의 진료를 받을수 있으며 의사가 많기에 대기시간이 짧다.

 

때문에 급한 경우나 1차 검사를 할 경우에는 보통호로 접수하는것이 좋다. 전가호로 접수하면 지목한 전문과목의 전문가로 인정받는 전문의에게서 진료를 받을수 있으나 대체로 환자가 많기에 병원의 진료접수 시작시간에 맞추어 가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이 많아 차례가 왔을때 접수를 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하여 전문가의 진료를 받고저 할 경우 새벽부터 서둘러서 병원에 가서 접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에서 진료기록카드는 문진병력(門診病歷-menzhenbingli)이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초진시 진료접수를 함과 동시에 괘호실에서 구입해야 한다. 문진병력은 한번만 구입하면 이후에도 계속 쓸수 있다.

(번역, 편집: 조설매)

(중일우호병원)

 

 

 

중국에서 병원이용 절차(2)

 

 

1. 병원선택

2. 진료과목선택

3. 진료접수 및 진료카드

(상기 절차 관련 상세한 내용은 11월6일자 글을 참고하십시오.)

4. 진료실

중국병원은 진료실 앞에 가면 통상 천으로 만든 진료접수표를 꼽는 곳이나 진료접수표를 놓도록 한 테이블이 있다. 진료접수표에는 순번을 뜻하는 번호가 인쇄되어 있기때문에 대기하고 있다가 의사가 번호를 부르면 진료실로 들어간다.

진료실에 들어가면 가장 고통스럽거나 불편한 증상을 말한후 의사의 질문에 대답한다. 추측한 병명을 말하기보다는 증상을 말하는것이 의사의 진료에 도움이 된다. 특별한 병력사항(病史)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가 묻지 않더라도 알려주어야 한다.

언어가 잘 통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의사들은 진찰을 통해 병세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5. 약값과 의료비 계산

검사가 필요한 경우나 약처방을 받은후에는 우선 약값과 의료비를 지불하고 검사를 받거나 약을 받는다.

비용지불 방법은 통상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화개(劃價-hua jia: 병원의 약국에서 환자의 약값과 기타 의료비를 계산하여 금액을 처방전에 쓰는것)와 수금(收費-shou fei 계산된 금액을 지불하는것)을 한곳에서 동시에 하는 경우가 있고 다른 하나는 이 두가지를 각기 다른 곳에서 하는 경우가 있다.

두가지를 한곳에서 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따로따로 할 경우에는 우선 처방전에 금액을 적은후 수금실에 가서 비용을 지불한다.

수금실은 통상 요금실의 옆에 있다.

 

6. 검사실/치료실

혹 의사가 더 세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하는 경우에는 의사가 적어준 검사항목용지를 가지고 화개실과 수비실을 거쳐 검사비를 지불한후 검사실에 가서 문의하고 검사를 받으면 된다. 검사를 마친후에는 반드시 결과를 찾는 날과 방법을 물어보아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검사실 앞에는 어떤 항목의 검사는 며칠후 어디에서 결과를 찾는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유의할 점은 검사를 목적으로 병원에 갈 경우 혈액검사를 하고저 할경우에는 공복으로 병원에 간다든지 하는 필요한 수칙을 지켜야 한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검사와 마찬가지로 치불이 끝난다음 치료단을 가지고 치료실에 가서 문의한후 치료를 받으면 된다.

7. 약방

대부분 병원은 서약(西藥-xi yao)과 중성약(中成藥), 중약(中藥)을 내주는 창구가 다르다. 또한 한장의 약처방에 서약과 중약이 모두 있는 경우도 많기때문에 약을 타기전에 처방을 잘 봐둬야 하며 한 약처방에 중, 서약이 다 있을 경우에는 한 약국에서 약을 탄후 처방전을 버리지 말고 다른 약국에 가서 나머지 약을 타야 한다.

-범죄신고 등 : 110
-화재발생신고 : 119
-북경시 긴급구호센타 : 120
-북경급구센타 : 6601-4433(#120)
-협화의원 : 6512-7733
-북경의원 : 6512-6611
-중일우호병원 : 6422-1122
-동인당의원 : 6512-9911

-북경급구센타 (야간의사문의) : 120

약국(주·야간)
-동인당 : 6303-2871
-경인당 : 6702-1479
-동단약국 : 6525-1483

o 병원
1. 한중종합클리닉
-한국에서 의대를 나온 화교가 세운 병원으로 한국어, 중국어를 사용.
-소아과, 내과, 피부과, 산부인과, 외과 등이 있으며 양, 한방 진료 모두 가능.
-치과는 한국의사가 진료하며 치아교정도 가능
TEL : (010) 6496 -2731 , 6496 -2732
주소 : Beijing ya yun cun, an hui li , 1 qu 17 lou
진료시간 : 오전 8:30 ∼ 오후 5:30

2. 왕징 중한 우호병원
-한국어로 통역. 소아과, 내과, 외과, 산부인과 등이 있음.
-양방, 한방 진료가능. 치과는 한국의사가 진료
TEL : (010) 6475 -9911 (010) 6475 -1876 (치과전용)
주소 : Beijing chao yang qu, wang jing xi yuan, 4 qu 412 hao lou
진료시간 : 오전 8:30 ∼ 오후 6:00

3. 중일 우호 병원
-중국어 사용.
-소아과, 내과 , 외과, 산부인과, 피부과, 안과 등이 고루 갖춰진 종합병원
-외국인은 외국인 전용병동을 이용할 수 있음.
TEL : (010) 6422 -1122
주소 : Beijing chao yang qu, he ping dong jie ying hua dong lu, zhong ri you hao yi yuan
진료시간 : 오전 8 :30 ∼ 오후 5 :00

4. SK 愛康병원
-한ㆍ중 합작 병원으로 한국어 통역 가능
-소아과, 이비인후과, 부인과, 가정의학과, 중의과, 외과, 성형외과, 피부과, 치과, 안과 등
-한국의사가 다수 근무하고 있음.
TEL : (010) 8596-1678
주소 : Beijing chao yang qu, suiduizi donglu 11hao
진료시간
평일 : 오전 8:30 ∼ 오후 9:30
토요일 : 오전 8:30 ∼ 오후 5:30
일요일 : 오전 8:30 ∼ 오후 12:30

5. 協和병원
-중국어 사용, 약간의 영어가 사용 가능
-산부인과로 전통이 깊은 종합병원이 있음.
-외국인은 전용병동을 이용할 수 있음.
TEL : (010) 6529-5269
주소 : Beijing dong dan bei da jie 53 hao
진료시간 : 오전 8 :30 ∼ 오후 5:00

6. 北京醫院
-중국 위생부 산하 일류 종합병원
-북경의과대학 제1임상의학원
TEL : (010) 6513-2266
주소 : Beijing dongchengqu dongdan dahwalu1lu

7. Beijing International SOS Clinic
-영어 ,중국어 사용
-외국인 의사로 구성된 종합병원으로 가격이 상당히 비싼 편임.
-(감기 1회 치료시, $100이상 청구되며, 출산비용은 $8,000 정도 소요)
-반드시 예약을 해야함.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음.
TEL : (010) 6462 -9112 (010) 6462 -9100 (24 Hrs)
주소 : Building C, BITIC Jing Yi Building No.1 North Road, Xing Fu San Cun Chaoyang District , Beijing 100027
진료시간 : 오전 9:00 ∼ 오후 6:00

8. Beijing United Family Hospital
-영어 ,중국어 사용
-외국인 의사로 구성된 종합병원으로 가격은 SOS Clinic과 비슷
-전화예약이 필요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음.
TEL : (010) 6433 - 3960 (010) 6433 - 2345( 24Hrs)
주소 : 2 Jiangtai Lu , Chaoyang District, Beijing 100016
진료시간 : 오전 9 :00 ∼ 오후 6 :00

9. Guree Dental
-중국어 사용하며 한국어 통역 가능
-중국인 치과의사
-전화예약 필요
TEL : (010) 6466 - 4814, 6461 - 2745
주소 : FC 222, 21st Century Hotel, No .40 Liang Ma Qiao Road, Chaoyang District , Beijing
진료시간 : 오전 9 :00 ∼ 오후 6 : 00

10. Arrail Dental
-중국어 사용
-중국인 치과의사
-전화예약 필요함
TEL : (010) 8526 - 3235~ 6, 6500 - 6472 ~ 3
주소 : Beijing Chao Yang qu Jian Guo Men, Wai da Jie 19 Hao, Gou Ji da sha 208 shi
진료시간 : 오전 9 :00 ∼ 오후 5 : 30

11. Beijing Intech Eye Hospital
-중국어 사용
-중국인 안과의료진
-전화예약이 필요하다.
TEL : (010) 6771 - 5558
주소 : Ist , 4 th - 5th Floor ,Panjiayuan Plaza, 12 Panjiayuan Nanli

 

 

참고자료:

<북경내 병원>-한국인이 잘가는곳을 위주로 검색

 

- 목적: 정확한 보험혜택을 위한 북경 내 병원목록 작성.

 가. 병원

 

▶한중종합클리닉  

         - 한국에서 의대를 나온 화교가 세운 병원으로 한국어, 중국어를 사용

         - 소아과, 내과, 피부과, 산부인과, 외과 등이 있으며 양, 한방 진료 모두 가능

         - 치과는 한국의사가 진료하며 치아교정도 가능

         - TEL : (010) 6496 -2731 , 6496 -2732

         - 주소 : Beijing ya yun cun, an hui li , 1 qu 17 lou

         - 진료시간  : 오전  8:30 ∼ 오후 5:30

 

 

▶왕징 중한 우호병원

- 한국어로 통역.

- 소아과, 내과, 외과, 산부인과 등이 있음.

- 양방, 한방 진료가능

- 치과는 한국의사가 진료

- TEL : (010)  6475 -9911

(010)  6475 -1876 (치과전용)

-주소 : Beijing chao yang qu, wang jing xi yuan, 4 qu 412 hao lou

- 진료시간 : 오전 8:30 ∼ 오후 6:00

-별로 소문이 않좋음..)

 

 

▶중일 우호 병원

- 중국어 사용

- 소아과, 내과 , 외과, 산부인과, 피부과, 안과 등이 고루 갖춰진 종합병원으로,

   외국인은 외국인 전용병동을 이용할 수 있음.

- TEL : (010)  6422 -1122

- 주소 : Beijing chao yang qu, he ping dong jie ying hua dong lu,

         zhong ri you hao yi yuan

- 진료시간 : 오전 8 :30 ∼ 오후 5 :00

- 예방주사:월요일 13:00∼16:30

- 접수비:50%할인(류학생우대 학생증 지참)

- 응급: 32원 24시간 근무

- 기타:진료실환경 량호, 왕진의뢰 가능  

 

 

▶SK 愛康병원 (요즘 대세인 병원)

         - 한ㆍ중 합작 병원으로 한국어 통역 가능

         - 소아과, 이비인후과, 부인과, 가정의학과, 중의과, 외과, 성형외과, 피부과, 치과,

       안과 등이 있으며, 한국의사가 다수 근무하고 있음.

         - TEL : (010)  8596-1678

         - 주소 : Beijing chao yang qu, suiduizi donglu 11hao

         - 진료시간

            .  평일 : 오전 8:30 ∼ 오후 9:30

            .  토요일 : 오전 8:30 ∼ 오후 5:30

            .  일요일 : 오전 8:30 ∼ 오후 12:30  

 

 

▶協和병원   

          - 중국어 사용, 약간의 영어가 사용 가능

          - 산부인과로 전통이 깊은 종합병원이 있음.

          - 외국인은 전용병동을 이용할 수 있음.

          - TEL : (010)  6529-5269

          - 주소 : Beijing   dong dan bei da jie 53 hao

          - 진료시간 : 오전 8 :30 ∼ 오후 5:00

- 진찰비:주임 65원, 부주임 49원, 일반의 16원

응급 32원 08:00∼17:30(낮)

64원 17:30∼8:00(밤)

- 기타: 진료실환경 양호, 왕진의뢰 가능

 

 

▶北京醫院

         -  중국 위생부 산하 일류 종합병원

         -  북경의과대학 제1임상의학원

         -  TEL : (010) 6513-2266

         -  주소 : Beijing dongchengqu dongdan dahwalu1lu

- 예방주사:화요일 08:00∼11:30

- 기타:진료실환경 량호

 

 

▶북경중의약대학. 국의당 (北京中醫藥大學. 國醫堂 )

-주소:和平街北口

-진찰시간:월∼금 08:00∼11:30

-13:00∼16:30

-진료비:40원

 

 

▶북경중의병원 (北京中醫醫院 )

-주소:美術館後街23號

-진찰시간:월∼금 08:00∼11:30

-13:00∼16:30

-진료비:65원

 

 

▶Beijing  International SOS Clinic   

          - 영어 ,중국어 사용

          - 외국인 의사로 구성된 종합병원으로 가격이 상당히 비싼 편임.

            (감기 1회 치료시, $100이상 청구되며, 출산비용은 $8,000 정도 소요)

          - 반드시 예약을 해야함.

          -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음.

          - TEL : (010) 6462 -9112

                  (010) 6462 -9100 (24 Hrs)

         - 주소 : Building C, BITIC Jing Yi Building No.1 North Road, Xing Fu San Cun

                  Chaoyang  District , Beijing 100027

         - 진료시간 : 오전 9:00 ∼ 오후 6:00

 

 

▶Beijing  United  Family  Hospital  

          - 영어 ,중국어 사용

          - 외국인 의사로 구성된 종합병원으로 가격은 SOS Clinic과 비슷

          - 전화예약이 필요

          -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음.

          - TEL : (010) 6433 - 3960

                  (010)  6433 - 2345( 24Hrs)

          - 주소 :  2 Jiangtai  Lu , Chaoyang District, Beijing  100016

          - 진료시간 : 오전 9 :00 ∼ 오후 6 :00

 

▶Guree  Dental

           - 중국어 사용하며 한국어 통역 가능

           - 중국인 치과의사

           - 전화예약 필요

           - TEL  : (010) 6466 - 4814, 6461 - 2745

           - 주소 : FC 222, 21st  Century  Hotel, No .40 Liang Ma Qiao Road,                        Chaoyang  District ,  Beijing

          - 진료시간 : 오전 9 :00 ∼ 오후  6 : 00

 

 

▶Arrail Dental  

           - 중국어 사용

           - 중국인 치과의사

           - 전화예약 필요함

           - TEL : (010)  8526 - 3235~ 6, 6500 - 6472 ~ 3

           - 주소 : Beijing Chao Yang qu Jian Guo Men, Wai da Jie 19 Hao,                        Gou Ji da  sha 208 shi

       - 진료시간 : 오전  9 :00 ∼ 오후 5 : 30

 

 

 ▶Beijing  Intech  Eye  Hospital  

           - 중국어 사용

           - 중국인 안과의료진

           - 전화예약이 필요하다.

           - TEL : (010) 6771 - 5558

           - 주소 : Ist , 4 th - 5th Floor ,Panjiayuan  Plaza, 12 Panjiayuan        

 

또한 주의해야 할것은 북경내 한국주재인들 사이에 오가는 정보이다..

 

현재 인터넷상에 다음카페나 블로그등에 그들의 공간속 정보를 겸하면 더욱 좋은 정보가 될것이다.

 

북경시 병원/약국(北京市医院/药局)
제목
주소
전화
준연미치과
北京市朝阳区望京西园222号星源国际B座405室
(010)6479-1937
가미치과
北京市东城区新中街68号聚龙家园7楼1层
(010)6552-7379
경동예치과
北京市朝阳区望京西园2区222号星源国际公寓B座502室
(010)6471-2879/6470-0927
동창림성형외과
北京市地坛公园南门雍和家园3单元405
(010)8403-5399
명문치과
北京市朝阳区望京西园三区314楼A座四单元102室
(010)6475-2178
명세당
北京市朝阳区大西洋新城1区115栋-2-1A
(010)6474-1722
북경천싱병원
北京市朝阳区星源国际公寓D座3层
(010)6472-6769
준연美치과
北京市朝阳区望京西园222号星源国际B座405室
(010)6479-1937
중의간치료센터:中医肝病医疗中心
北京市朝阳区望京西园4区412楼2层202室
(010)6475-5155/9911#268
문솔당한의원:问松堂:
北京市朝阳区望京新城4区418右侧一层
(010)8472-6674
북경한의원
北京市朝阳区亚运村慧忠里301号楼
(010)6495-1744
수길의약기술개발:北京秀吉医药技术开发
北京市朝阳区酒仙桥乙21号国宾大厦201室
(010)6436-8835
성건병원
北京市海淀区王庄路27号
(010)6232-2859
아메리칸시노산부인과서비스:美华妇产服务
北京市朝阳区安外小关北里218号
(010)6496-5151
연세당한방병원
北京市朝阳区亮马桥路甲46号亚星大厦6层
(010)6467-7174
왕징신청병원
北京市朝阳区望京4区412楼
(010)6475-9911
인의당한방병원
北京市朝阳区望京西园星源国际C座503室
(010)6470-0642/6471-4369
정결치과
北京市望京园三区华鼎世家306楼丁单元201室
(010)6475-7583
정인당한의원
北京市朝阳区望京3区
(010)6474-0594
코리아치과
北京市朝阳区望京广顺北大街31号1号楼B座301室
(010)6472-4391
한국서울치과
北京市朝阳区来广营医院2层
(010)8491-7685
한미국제병원
北京市朝阳区望京西园2区222号楼星源国际B座3层
(010)8472-6690/1/2
한중종합클리닉:亚运村医院特许门诊
北京市朝阳区亚运村安慧里1区17号
(010)6496-2731
SK병원:爱康医院
北京市朝阳区水碓子东路1号
(010)8596-1677
VISTA클리닉
北京市朝阳区光华路1号嘉里中心B29
(010)8529-9488
SOS국제구호병원
北京市朝阳区三里屯5街5号北信京谊大厦C座
(010)6462-9199#218

     


地址:上海市
徐汇区 医学院路138号
电话 21-54237900  传真 21-64179832

푸단대학 상하이의과대학(复旦大学 上海医学院)

대학역사     

푸단대학 의과대학의 전신인 상하이 의과대학(醫學院)은 1927년에 중국인이 설립하고 운영한 첫번째의 의학교육기관으로 상하이 번화가인 쉬훼이구(徐家汇)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대학은 원래 “제4 중산의과대학”이란 명칭을 사용했고, 중국인민공화국이 창설된 후 1952년에 “상하이 제1의과대학”으로 개명하였고, 1959년 중국정부에 의해 전국 16개 중점대학 중의 하나로 지정되었다.

“상하이 의과대학(醫學院)”이란 명칭은 1985년 5월부터 사용해 왔는데, 2000년 4월 27일 푸단대학과 합병하면서 “푸단대학 의과대학"으로 다시 개명되었다. 현재 왕웨이핑(왕위평, 王卫平) 교수가 부총장겸 의과대학 원장으로 있다.  대학설립 이후 약 3만명의 졸업생과, 약 2만명의 훈련생을 배출하여 전국 각지에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활동하고 있다. 특히 이들중 많은 졸업생이 사회지도자적 위치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약 30명은 중국과학원 학술회원으로 있다

대학조직     

푸단대학 의과대학은 2004년 합병 후 대규모 체제개혁이 있었다. 일류 의과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결합을 촉진시켰고, 의과대학 책임자와 각 부속병원장으로 이루어진 실무위원회와 대학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27개 학과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행정관리 부문에서는 당위원실, 원장실, 교육실, 의학연구지원실, 학부생과 대학원생 지원실이 설치되어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경영은 원장과 부원장(부학장) 6명, 그리고 3명의 공산당 간부진(당위원회 당서기 및 부서기 2명)이 맡고 있다. 원장은 대학과 병원을 총괄하는 책임자로 우리나라 체제에서는 의료원장 겸 의과대학장에 해당한다.  

푸단대학 의과대학의 교직원은 약 9,000명인데 이 중 교수가 293명, 부교수가 767명이며, 그 중 박사생 지도교수는 171명과 석사생 지도교수는 273명이다. 안정된 임상의학 교수를 유지하기 위해서 2003년에는 각 부속병원의 교수에게 강의교수 187명, 부교수 172명과 보조교수 146명을 신규임용하였다. 중국과학원 원사(회원) 2명, 중국기술원 원사는 3명이다. 재학생은 약 3,000명인데 이들중 본과생은 2,000명, 대학원생(연구생)은 1,000명이며, 외국인생은 약 90명이다. 2000년도 입시정보에 의하면 신입생 302명중 7년제 임상의학 164명, 5년제 임상의학 122명, 기초의학 11명, 법의학이 5명이었다.

학술연구

최근 9번째 5개년 계획기간 동안 교수진은 423개의 연구과제를 수행했는데, 그 중 21개는 국가지원 중점과제였고, 7개는 "863" 하이테크 과제였다 그 동안 7,430개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본 대학에서는 위생부와 시 수준 이상급에서 175개의 상을 받았다.  의학연구의 분야에서 분자유전학, 분자바이러스학, 신경생물학, 간염과 간암, 정맥마취, 청각학, 수부외과, t-PA gene engineering, 예방의학, 동서의학 등은 중국내에서 우월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간암치료, 후두재건술, 두 개저미세수술 및 신경접합술 등에서는 세계적인 선진기술을 자부하고 있다.

해외교류

범국가적으로 추진되는 “211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  현재 의과대학 캠퍼스내 컴퓨터 네트워크를 마련하여 Internet, Cernet, Shernet와 모두 연결되었고, 그리고 중국내에서 원격의료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외 학술교류도 활발하여 미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싱가폴 등  40여개 대학과 협력관계를 맺었는데 이들 중에는 최근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버지니아 Commonwealth 대학, 콜럼비아 의과대학, 호주 시드니의과대학, 스웨덴 Umea 의과대학, 캐나다 British Columbia 대학, 일본 오사카대학, 홍콩의과대학, 홍콩 중문의과대학을 포함한다. 또한 약 20명의 교수들이 50여개 국제학회의 직무를 맡고 있으며, 최근 5년 동안 14차에 걸쳐서 국제학술심포지움를 가졌고, 3,500명의 교수진이 학술교류 및 선진의학을 배우기 위하여 해외연수 및 시찰을 다녀왔다.

학과 및 연구실

대학에는 27개 학과가 있는데 이들중 국가중점학과 20개, 국가중점실험실 1개, "211프로젝트" 수행 중점학과는 8개, 교육부 및 위생부 지원 중점연구실 9개, 상하이시 지원 중점학과 2개 및 임상의학센터 8개가 있다. 또한 박사후과정 4개, 박사과정 29개, 석사과정은 36개가 운영중이다.

 

◇ 내과

◇ 산부인과

◇ 임상진단학

◇ 재활 및 운동의학

◇ 마취학

◇ 종양학

◇ 병리학

◇ 생물화학및 분자생물학

◇ 병원생물학

◇ 외과

◇ 안과

◇ 정신위생학

◇ 영상의학

◇ 전과의학(가정의학)

◇ 동서의결합

◇ 생리학교실

◇ 세포와 유전의학

◇ 법의학

◇ 소아과

◇ 이비인후과

◇ 피부병 및 성병학

◇ 신경병학

◇ 구강의학

◇ 해부 및 조직 발생학

◇ 약리학

◇ 면역학

◇ 신경생물학

분자바이러스연구실

형태학과교육연구실

통계의학연구센터

분자유전연구실

기능학과교육연구실

전자현미경센터 연구실

분자생물연구실

유전자연구센터

임상기능학습센터

주요 접견인사

왕웨이핑(王卫平, Weiping Wang) 원장은 푸단대학 부총장을 겸임

왕웨이핑 원장은 소아과 전공인데 1978년 베쑨(白求恩)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교부속 제1임상병원 소아과에 수련을 받으면서 1982년 석사학위, 1988년 상하이의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이탈리아 Policlinical San Matteo of Pavia 소아과,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미국 뉴욕주립대학 부속 Buffalo병원에서 연구생활한 바 있고, 1996년에는 이스라엘에서 병원과 위생사업 관리학을 공부하였다. 당시 그의 관심분야는 소아영양과 면역기능의 관련성이었다.

전 상하이의과대학 부총장으로 재직하였고, 푸단대학과 합병 후 2000년 4월부터는 푸단대학 부총장과 의과대학 원장을 겸임하게 되었다. 대외적으로는 중화의학회 이사, 중화소아과학회 위원, 상하이시 영양학회 이사, 중화 소아과 아동보건 전문분과의 부조장직을 갖고 있다. 2004년 5월 푸단대학 방문시 한림대 대표단(단장 이상우 총장)을 접견하였다.  

차질량(査錫良, Xiliang Zha) 부원장은 대외교류 업무 담당

2004년 5월 한림대의료원 대표단을 접견했던 의과대학 간부진은 차질량(査錫良, Zha Xiliang) 부원장이었다. 차질량 부원장은 1983년과 1987년에 상하이의과대학에서 생화학을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고, 1991년에 부교수, 석사생 지도교수, 1993년에 교수 및 박사생 지도교수로 승진하였다. 미국 미시간대 의과대학에서 생화학 전공의 포스트닥터로서 연구생활을 했고, 캐나다 마니토바대 의과대학에서 객원교수 생활도 거쳤다. 그리고 홍콩, 미국, 일본, 스위스 등으로 국제학술회의에 참가하였다. 현재는 위생부 당복합체 중점실험실 주임, 상하이 생화학-분자생물학회 부이사장, 중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 부이사장을 맡고있다.

오랜동안 의학생화학과 분자생물학, 당구조와 기능, 종양분자생물학 등 분야의 교육과 과학연구 업무에 종사하여 1998년 이후 국내외 학술논문 50여 편을 발표하였다. “의학분자생물학” 교재를 집필중이며, 여러 연구과제의 책임자 혹은 주요 참여자이다. 그 동안 상하이시 과학기술 공로상 등 5가지의 수상 경력이 있으며, 위생부 중청년 의학과학기술의 별을 얻었고, 위생부에서 부여한 돌출한 공헌의 중청년 전문가, 바오강의 우수한 교사상, 전국 우수교사 등의 특별한 영예가 부여되었다.

선펭얀(孫鳳艶, Feng-Yan Sun) 교수의 의학신경생물학 국가중점실험실

선펭얀(孫鳳艶, 손봉염, Feng-Yan Sun) 교수가 한림대의료원 대표단의 푸단대학 의과대학 방문을 주선했는데, 선 교수는 2003년 일송생명과학연구소(소장 김용선 교수)에서 주관한 학술심포지움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바 있다. 선펭얀 교수는 1987년 상하이의과대학에서 신경생물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985부터 1986년까지 일본 도쿄 이과대학 약리연구실의 객원연구원, 1990년-1994년에는 미국 조지아대학 신경과학연구소 연구원을 거쳤다. 1976년부터 상하이의과대학에 교편을 잡고, 의학신경생물학 국가중점실험실 주임, 박사연구생 생물학  특별 초빙교수, 중국 신경과학협회 및 상하이시 신경과학협회 상무이사, 중국 신경과학잡지의 상무 편집위원, 생리학보 및 중국 약리학보 편집위원을 겸임하고 있다.

주로 신경세포의 손상과 보호 메커니즘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 국가자연과학기금의 중점항목과 국가의 우수청년기금, 국가 난관해결 과제 및 국가 기초연구 기획 과제 등을 주관하고 있다. 국내외의 간행물에 논문 40여 편을 발표하였고, 국가교육위원회와 위생부 과학기술 공로상, 바오강 우수한 교사상을 수상했고,  붉은 기수 명예 칭호도 얻었다. 이미 박사생 5명, 석사생은 3명을 배출했는데, 그 중의 박사생 중 2명은 1999년 전국 100편중 우수한 박사논문,  전국 신경약리협회 청년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고, 현재는 박사생 6명과 석사생은 2명이 있다.

선펭얀 교수가 책임자로 있는 의학신경생물학 국가중점실험실(醫學神經生物學 國家中點實驗實)은 1992년 1월 국가기획위원회가 정식 허가하여 설립된 연구소이다. 1994년말에 감사를 통해 정식으로 설립되었고, 1995년 신경생물학 박사과정이 설치되었으며, 1996년 국가기획위원회와 자연과학 기금위원회의 평가에 의해서 1997년 211프로젝트의 신경생물학 중점학과가 되었는데, 선펭얀 교수는 1999년부터 의학신경생물학 국가중점실험실 주임을 맡았다. 연구원으로는 29명의 스탭진과 연구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실에서 도플러레이저 혈류측정기, 혈액가스분석기, Time-resolved Immunofluorometric Assay System,  Single Cell Patch Clamp System, Brain Slice Patch Clamp System,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Phast System, UV Spectrophotometer Scanning System, SMART System,  HPLC, Fluorometric Detector, UV Detector,  Image Master VDS,  초고속냉동원심분리기,  영상처리분석시스템, 다목적감마카운터,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등 실험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연구 방향은 질병 예방치료 중의 관련 신경생물학의 응용과 기초분야이다.


푸단대학 부속병원으로는 중산병원(中山医院), 화산병원(华山医院), 산부인과병원(妇产科医院), 소아병원(儿科医院), 안이비후과의원(眼耳鼻喉科医院), 암전문병원(肿瘤医院), 진산병원(金山医院), 상하이시 제5인민병원(上海市第五人民医院) 등 8개 부속병원이 있는데 총 병상 수는 5,357개이다. 이들 병원의 연간 외래환자는 360만명, 입원환자로는 6만명을 치료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5개 교육병원도 있다.

영문  중국어

영문  중국어

영문  중국어

영문

영문  중국어

영문  중국어

영어  중국어

영어  중국어

영문  중국어

부속병원이 자랑할 수 있는 분야는 종양학, 신경과학, 심장혈관학, 영상의학 등이며, 중국 의학의 연구기지로서 여러 분야에서 국가자연과학기금, 교육부, 위생부 및 상하이시의 지원 연구활동에 많이 참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의학연구 성과를 얻었고, 간암, 후두수술, 미세수술, 외상외과 등의 연구활동은 선진 수준에 도달해 있다. 매년 전국 각지와 해외로부터 많은 중증환자를 진료하고 있으며, 뇌혈관질환, 기관지이물, 복합성외상 등의 응급환자도 진료하고 있다. 진료 서비스는 일반외래 진찰, 전문가 특수진료, 난치병 회진, 간부 건강진단 등 다양한 형식의 각종 의료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다.


푸단대학 부속 소아병원

푸단대학부속 소아병원[병원장 계영호(桂永浩)]은 1952년에 창립하고, 서문산유병원의 분원(西门妇孺医院分院), 중국 적십자 제1병원과 중산병원 소아과가 합병하여 탄생하였다. 중국 교육부 아동학 중점하과, "211계획" 중점학과, 푸단대학의 3개년 발전계획의 중점학과로 지정받았고, 박사학위 과정이 있고, 상하이시에서 지정한 소아외과 난치병 임상의학센터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 운용되는 병상 수는 330개이고, 연간 외래환자는 60만명, 입원환자는 약 12,000명이다. 임상과는 39개인데 이들은 내과계(신생아학, 호흡기학, 소화기학, 혈액학, 신장학, 신경과학, 내분비학, 면역학, 유전학), 외과계(일반소아외과, 비뇨기학, 정형외과학, 신생아 외과학, 종양학, 신경외과학),  전염병과, 응급의학과, 마취과, 중의과, 오관과(이비인후과, 안과), 피부과, 구강과 및 아동보건과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소아과학연구소, 심혈관센터, 재활센터, 간질센터, 야뇨증치료센터, 난치병진단치료센터, 호흡질병 진료센터와 외국인 특수진료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통적인 중의로 진료받는 조숙아클리닉은 상하이시로부터 아시아 국제구조센터로 지정받았다. 병원에서는 DSA, spiral CT, 이차원적 심혈관 방사선촬영기,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 원자흡광도계, TDX, 각종 전자내시경, 신생아 및 중증환자의 감시장치, 전자동 생화학분석기, 자동 복막투석기, 디지털l EEG, 기체-질량 분광광도계, 요분석기, 청력검사기 등의 최신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직원 수는 약 800명인데 이중 박사과정 수련의가 23명, 석사과정 수련의가 33명, 교수와 부교수는 125명이다. 16명의 원로급 스탭진이 있어 중국 소아과학회 및 의학관련 단체의 임원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매년 100개 이상의 학술논문을 발표하고 있는데, 그 동안의 SC I논문은 77개였다. Multimedia 및 e-education 체계를 마련했고, 그 동안 69명의 박사와 11명의 석사를 배출하였다. 매년 400명 이상의 학생이 인턴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3000명 이상의 소아과 의사들이 보수교육에 참가하고 있다.  

국제교류로는 미국, 영국, 캐나다, 스웨덴, 호두 및 홍콩 등과의 학술교류에 관한 협정을 맺고 있다. 외국인에 의한 특강이 매년 50번 정도 개최되고 있으며, 20명의 의사가 학술모임이나 논문발표를 위해 외국에 나가고 있다. 또한 Shanghai International Pediatric Symposium과 Asian-Pacific Endocrinology Training Course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현재 병원장으로는 1982년 상하이의과대학을 졸업한 계영호(桂永浩) 교수이고, 간부진으로는 조련화(曹莲华, 1952년생) 병원당서기, 곽경뇌(邬惊雷, 1962년생) 부원장, 황국영(黄国英, 1962년생) 부원장, 장공혜(张公惠, 1953년생) 부원장,  정산(郑 珊) 부원장, 서홍(徐 虹, 1962년생) 병원당부서기 등으로 대부분 문화혁명 후 세대이며, 중국 공산당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왕이(王藝, Wang Yi) 부교수

한림대의료원 방문단의 안내를 담당했던 왕이(王藝) 부교수는 1989년 상하이의과대학 의학과를 졸업했고, 현재는 소아신경과 부교수 겸 원장보(院長助理), 대학판공실 주임(院瓣主任) 직책을 맡고 있다. 중화의학회 상하이 소아신경학회 위원, 국제임상전염병학 네트워크의(INCLEN) 멤버이며, 중화의학회 임상유행병학회 회원, 중화의학회 상하이 중청년학연구회 회원으로 있다. 《실용소아과임상잡지》 《중화실용의학잡지》 편집위원이며  《중화의학 정보지》 특약 리포터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왕이 부교수는 1996년 상하이의과대학 대학원에 입학하여 임상전염병학 석사연구생을 마쳤고, 소아신경 전문의로써 임상전염병학을 연구하여 1998년 석사학위를 얻었으며, 현재 박사과정에 있다. 전문분야로는 소아난치병, 나병, 발작성질환, 신경근육질병 등이다. 또한 대학원생, 학부생 및 연수생의 교학업무와 전국적 강습반의 강의도 담당하고 있다.

 [정리 2004년 5월30일, 조현찬]

중국 금약방 : http://www.gm.net.cn/gmweb/default.asp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