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혈도(1) 사진자료
 
ㅇ수태음 폐경(좌우22혈)
 
 

ㅇ수양명대장경(좌우 40혈)

 
ㅇ임맥(정중24혈)

 
 
ㅇ족양명 위경(좌우 90혈)


 
 
ㅇ족태음비경(좌우42혈)


 
ㅇ수소음심경(좌우18혈)



ㅇ수태양소장경(좌우38혈)



ㅇ독맥(좌우28혈)



ㅇ족태양방광경(좌우134혈)



ㅇ족소음신경(좌우54혈)



 
 
 

 

 

-중국과 북방선교지 소식-

http://blog.daum.net/smmission


 

 

 

 

 

 

 

 

 

 

 

 

 

 

 

 

 

 
경락의 특징과 효과
 
    1. 경락별 특징

12 경락 특       징

수태음 폐경

폐는 생명활동의 근원이 되는 기를 외계에서 받아들여 그것을 인체의 기까지 분해하는 외계적응의 작용을 하고 있다. 이 작용은 기력 이 되어 외환에 저항하고 또는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문제시 폐질환, 기침, 천식, 가슴의 통증, 목이 따가움, 엄지 손가락 통증, 여드름, 두통, 호흡장애 입안이 마르고 기침이 난다
수양명 대장경
대장은 폐를 돕고, 인체의 내외면에서 분비의 배설을 하고,기의 정체를 막는 작용이 있으며 모든 것을 밖으로 보내는데 관계가 있다. 문제시 눈에 황색이 보이고, 이가 아프며, 코가 막히고, 코피도 나온다. 입이 건조하고, 인후가 붓고, 두통, 고열, 어깨관절 앞쪽의 통증, 손목, 손 또는 엄지 손가락을 자주 삔다.
족양명위경
위는 구강에서 식도, 십이지장 근처까지의 소화관의 총칭이며이 기능을 돕는 신체의 운동과 체온발생, 및 생식선 작용에 관계가 있다. 문제시 복부팽만, 복명, 안면이나 피부가 황색이 되며, 입술이 헐기 쉽다. 몸이 나른하고, 여위며, 설사, 변비, 무릎과 다리 앞쪽 통증, 면역계가 약화된다.
족태음 비경
비는 췌장을 중심으로 하여, 온몸의 소화선(타액, 위, 담즙 등)과 유방과 생식선도 포함하고 있다. 지나치게 생각을 많이하면, 운동부족이 되어, 소화액 분비가 잘 안돼고, 소화력이 약해진다. 문제시 복부에 응어리가 있고, 자주 트림이 나며, 소화가 잘 안�다. 설사가 나고 소변의 양이 적으며, 때로는 소변 불통이 된다. 족냉증, 밤에 숙면을 못하며, 다리와 발목의 수종, 월경 전 긴장증상, 생리 불순이 나타난다.
수소음 심경
심은 마음을 일컬으며, 감정적인 정신의 통제 기능이고, 외계의 자극을 내계의 적응 작용으로 전환하는 일을 한다. 체내 혈액으로 배분을 지배하고, 대뇌와 오관의 작용을 통해서 전신을 통제하고 있다. 문제시 눈이 충혈되며, 입안이 마르며, 가슴이 아프다.손바닥이 화끈거리고 아프다. 안면이 붉고, 상기 맥박이 빠르고 여름 더위에 약하다.
수태양 소장경
소장은 식물을 영양으로 전환시키고, 체액성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전신을통제한다. 정신적 불안이나 감정흥분, 쇼크, 화를 내어 소장에 혈액이 정체되면, 어혈이 되어 옴몸에 영향을 미친다문제시 목과 턱이 아프고, 손목과 팔꿈치의 통증, 배꼽 중심으로 복부에 어혈, 아침에 뒷목이 뻣뻣하고 오줌소태가 난다.
족태양 방광경
방광은 내분비와 협조하는 간뇌, 뇌하수체, 자율신경계의 일과 생식 기능도 맡아보는 주변의 장기를 말하며, 또한 체액 청정의 최종산물인 뇨를 배설한다. 문제시 어깨, 등, 허리가 아프고, 치질로 고생, 고관절 굴신 불능, 비복근 경련, 동통, 이명, 쉽게 피로, 정력감퇴, 겨울에 몸이 붓고, 비뇨기 질환, 살찌기 쉬우며, 두발은 윤기가 없고, 관절이 아프다.
족소음 신경
신장은 체액성분과내분기기능 조정에 의해서 신체에 정기를 주고 스트레스에의 저항력을 맡고 있다. 또한 체내 독소의 처리를 깨끗하게 한다. 문제시 안색이 까무잡잡하고 거칠며, 입에 열이 나고, 혀가 건조, 목이 붓고 아프다. 기침할 때 침속에 피가 섞이기도 하고, 공복인 때에도 식욕이 없다. 설사하기 쉽고 몸이 여위며, 족저가 화끈거리고 아프다.
수궐음 심포경
심포는 심장을 보좌하는 순환계의 기능작용을 뜻하고, 심장, 심낭, 관상동맥을 중심으로 하는 맥관계를 말하며 전신의 영양을 맡아본다. 문제시 심장과 가슴의 질환, 비탄에 빠지거나 근심, 또는 갑작스런 공포감,
손바닥이 화끈거리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다.
수소양 삼초경
삼초는 소장을 보좌하고 명문의 원기를 분포하고, 전신을 순환하는 것으로 임파계의 보호작용을 뜻한다. 문제시 편두통, 늑골의 통증, 목 양쪽의 질환, 귀와 눈의 질환, 자주 땀이 나며, 자율신경 실조증,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족소양 담경
담은 영양의 배분을 맡아보고, 소화선에 관계하는 내분비 작용에 의해서 전체의 에너지 균형을 맡아본다. 문제시 두통, 피부에 윤기가 없고, 입안이 쓰고 눈이 푸르며, 손목, 발목 등의 근건이 아프다. 봄이 되면 몸의 부조로 발병하기 쉽다.
족궐음 간경
간은 영양을 저장하고, 신체활동의 에너지를 확보해서 저항력을 양성한다.
혈액의 보급, 담즙 생산, 해독 등의 작용을 하며, 활력유지에 힘쓰고 있다. 문제시 안면이 누런색이 되며, 입이 �조하고 가슴이 답답, 구토, 요통 여성은 하복부가 붓는다자주 설사하고 오한 발열, 바람을 싫어한다.

 

12경맥의 순환


 경락의 순환
 1. 수태음 폐경
   -중초(위)에서 시작해서 아래로 대장을 얽고
   -위의 하완.상완을 따라 횡경막을 뚫고 올라가 폐에 소속되고
   -중부에서  팔안쪽 겨드랑이 밑으로 내려와 엄지손가락 끝(소상)에서 끝난다.
   -손목 위(열결)에서 대장경맥과 연결된다.
 2. 수양명 대장경
   -집게 손가락 끝(상양)에서 시작해서 팔뚝 위쪽을 따라 어깨(견우)를 지나
   -속으로 대추에 모여 아래로(결분) 폐를 얽고 횡경막을 지나 대장에 속한다.
   -한가닥이 결분에서 목으로 올라가(천정) 아래 잇몸속으로 들어 갔다가 나와서
   -윗잇몸 인중을 지나 왼쪽에서 온 것은 오른쪽(영향)에서 끝난다.
 3. 족양명 위경
   -코에서 시작해서 한가닥은 방광경(청명)에 연결되고 하나는 코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승읍과 윗잇몸, 입술 턱(대영)으로 와서 하나는 귀앞 위로 
    올라가서 이마(두유) 끝(신정)까지 간다.
   -한가닥은 대영에서 목(인영)으로 내려가 결분으로 들어가서 위에 속하고 
    비장에 얽었다.
   -곧게 내려간 맥은 유방을 지나 배꼽옆으로 내려가 기충에서 배속으로 
    내려온것과 합하여 허벅지(복토)와 무릎을지나 정강이 바깥쪽과 발등을지나
    둘째 발가락(여태)에서 끝난다.
   -또 무릎 아래(족삼리)에서 갈라져 가운데 발가락으로 내려오고, 
    발등(충양)에서 비경으로 연결된다.
 4. 족태음 비경
   -엄지 발가락(은백)에서 시작해서 발안쪽을 따라 복사뼈(상구) 앞에서 
    종아리를 지나 허벅지 안쪽을 따라 배로 들어가 비에 속하고 위장을 얽는다.
   -횡경막을 지나 인후를 끼고 혀뿌리에 가서 흩어진다.
   -한가닥은 위장에서 갈라져 횡경막을 지나 유방 바깥쪽(대포)에서 끝난다. 
    이곳에서 심경으로 연결된다.
 5. 수소음 심경
   -심장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소장을 얽고, 하나는 인후로 올라가 
    눈에(안구뒤 뇌에 매달린 줄) 연결된다.
   -바로 나가는 가닥은 겨드랑 밑에서 나와 상완 팔꿈치 안쪽으로 내려가고 
    손목(신문)으로가 새끼 손가락 안쪽 끝(소충)에서 끝나고 여기서 소장경에 연결된다.
 6. 수태양 소장경
   -새끼 손가락 바깥쪽(소택)에서 시작하여 손 바깥쪽을 따라 손목과 
    팔꿈치(소해)를 따라  어깨로 올라간다.
   -견갑골을 돌아서 대추혈로 갔다가 결분에서 심장을 얽고 밑으로 위장을 지나 
    소장에 속하였다.
   -한가닥은 결분에서 목을 따라 뺨으로 올라가 귓속으로 들어간다.
   -한가닥은 뺨에서 갈라져 청명혈에 연결된다.
 7. 족태양 방광경
   -눈 안쪽(청명)에서 시작하여 이마로 올라가 정수리(백회)에서 뇌를 얽고 
    도로 내려와  갈라져 목들미와 척추를 끼고 허리로 내려와 등심따라 
    신장을 얽고 방광에 속한다.
   -한가닥은 허리와 척추를 끼고 내려와서 엉덩이를 뚫고 오금속에(위중) 들어갔다.
   -한가닥은 견갑골에서 좌우로 갈라져 견갑골아래 살속으로 내려가 환도를 지나 
    허벅지  뒤를 따라 내려가 오금에서 먼저온 맥과 합하여  장딴지와 바깥 
    복사뼈뒤(곤륜)로가 새끼 발가락 끝(지음)에서 끝난다. 여기에서 신경과 연결된다.
 8. 족소음 신경
   -새끼 발가락에서 시작해서 발바닥(용천)을 지나 발안쪽과 복사뼈로 돌아 
    발뒤꿈치와 오금 안쪽으로 올라간다.
   -허벅지(음곡) 내측을 따라 올라가 척추를 뚫고 신장에 속하고 방광을 얽는다.
   -바로가는 가닥은 신장에서 올라가 간과 횡경막을 뚫고 폐에 들어갔다가 
    목으로 올라가 혀 밑으로 간다.
   -한가닥은 폐에서 나와 심장을 얽고 가슴속(유부)으로 들어가 심포경과 연결된다.
 9. 수궐음 심포경
   -가슴에서 시작하여 심포에 속하고 횡경막을 뚫고 삼초를 얽는다.
   -한가닥은 가슴을(천지) 따라 겨드랑이 밑과 상완내측을 따라 폐경과 심경사이로 
    내려와  팔꿈치 안쪽(곡택) 가운데를 들어가 팔뚝, 손목을 지나 손바닥 가운데에서 
    가운데 손가락끝(중충)으로 나간다. 
   -손바닥 가운데(노궁)에서 갈라져 4지 끝(관충)으로 연결된다.
 10. 수소양 삼초경
   -약지(4지)끝(관충)에서 시작하여 손목을 지나 팔뚝바깥쪽으로 올라간다.
   -상완외측과 어깨를 지나 결분에 들어가 단중에서 심포를 얽고 횡경막을 지나 
    삼초에 속한다.
   -단중에서 한가닥은 결분으로 나가 목으로 올라가서 귀바퀴 위쪽을 끼고 돌아 
    뺨아래로  구부러져 다시 콧마루로 간다.
   -한가닥은 귀뒷쪽에서 돌아 앞을지나 눈섶옆에(사죽공)에서 끝나고 여기서 
    담경과 연결된다.
 11. 족소양 담경
   -눈 옆(동자료)에서 시작하여 머리 측면을 3번정도 돌고 목으로 내려와 결분으로 
    들어가  가슴으로 내려가서 간을 얽고 담에 속한다.
   -옆구리속을 지나 기충으로 내려와 음모부위로 돌아 고관절(환도)에 들어간다.
   -한가닥은 목에서 겨드랑이로 내려와 먼저 온 맥과 합하여 허벅지 바깥쪽으로 
    내려가 무릎 외측(양릉천)과 복사뼈 앞(구허)를 지나 넷째 발가락끝(규음)에서 끝난다.
   -발등(임읍)에서 엄지 발가락끝(태돈) 간경에  연결된다.
 12. 족궐음 간경
   -엄지 발가락(태돈)에서 시작하여 발등과 발안쪽으로 올라가서 허벅지를 따라 
    생식기를  거쳐 아랫배에 올라가 위장을(기문) 끼고 간에 속하고 담을 얽는다.
   -횡경막을 뚫고 올라가 옆구리에서  퍼지며 장부뒤쪽을 따라 올라가 턱뼈를 지나 
    눈과  연결되어 이마로 나와 정수리에서 독맥과 만난다.
   -눈과 연결된 곳에서 뺨속으로가 입술안쪽을 들어간다.
   -간에서 갈라져 올라가 폐에 연결된다. 



 

    2. 경락의 효과

  - 다이어트(셀로라이드 층을 감량하여 근본적인 다이어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함)
  - 진통작용(신경통, 디스크, 각종 통증 및 두통)
  - 신경 안정과 흥분작용 억제(우울증, 수면부족, 정신질환, 심장 질환)
  - 기혈조절 및 세포 활성 작용 (근무력증, 만성피로, 관절염)
  - 세포 영양 및 흡수, 능력작용 (위, 장 장애, 폐질환)
  - 내분비선의 기능 조절 및 면역력 증강 (갑상선, 임파선)
  - 각종 호르몬 조절 및 강화 (세포막을 싸고 있는 '폴리멜라제' 활성)
  - 성인병 예방 및 체질개선 (인체의 허열을 제거해 고혈압, 저혈압, 당뇨, 비만, 중풍에 효능)
 부위별 경락 관리

    1. 목

  머리와 몸에 연결된 목을 아름답게하는 경락 마사지

목의 중요성은 설명 할 필요없이 몸체로 연결된 중요한 연결 통로이며 순환통로로서 넓은 어깨로부터 갑자기 목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목에 병목현상으로 인해 어깨가 뻐근하고 목에 이상을 초래하여 목이 짧아지고 위축되어 노화의 요인으로 목이 거의 어깨와 붙은 것 같이 변한다.
젊은 사람도 앞 목의 근육이(흉쇠유돌근)이 솟아있는 경우가 많아 보기에도 흉하며 목 감기가 자주 든다. 앞 목 하단가지 연결시켜 마사지 하면 목도 길어지고 어깨까지 매끈하게 된다.
특히 목은 머리와 연결된 신경계가 지나가는 곳으로써 목에 직근은 인체를 늘리고 몸에 유연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잇으면 목 마사디를 위한 많은 테크닉이 개발되어 있다.

    2. 등

 등에 군살을 없애는 경락 마사지

위경, 심경, 방관경, 담경, 비경 등을 마사지하여 긴장된 등 근육을 풀어주어 전체적인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군살이 날씬하게 빠진다.
 
관리법
위경, 심경, 방관경, 담경, 비경 등을 마사지하여 긴장된 등 근육을
풀어주어 전체적인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군살이 날씬하게 빠진다.

    3. 어깨와 팔

어깨와 팔의 군살 마사지

어깨에 군살이 붙으면 어개가 굳어지며 머리가 무겁고 불쾌한 기분을 만들기 때문에 미용상으로 대적이다. 원인으로는 여성호르몬 과다로 조직 이완과 산소공급 이완으로 해독기능저하 림프순환 저하로 팔에 군살이 붙는다.


관리법

팔의 안족은 내장기관의 오장에 해당하는 음경과 팔 외면에는 육부에 해당하는 양경이 손가락에서 앞면으로 전달됨으로써 윗 팔과 연결되어 있는 뭉쳐진 곳을 날신하게 풀어주며 어깨와 몸체에 연결된 부위도 같이 풀어 날신한 팔과 손으로 만든다.

    4. 배

배 군살 경락 마사지

인간은 직립인 관계로 배 근육은 계속 쳐진다.
배에 상복부와 하복부는 군살이 가장 많이 붙는 곳입니다.
배에 군살은 탄수화물 과잉섭취와 췌장의 기능저하와 성장 호르몬 분비저하로 피하지방이 축적되어 간 기능과 위 기능이 부조화로 복직근이 탄력을 이루면서 내장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늘어지고 튀어나오면서 복부에 지방량이 증가하여 살이 찌기 시작하는 원인이다.


관리법

힙에 근육과 뼈를 발달시켜 내장근육에 탄력성을 키우며 바른 위치에 있도록 하며 폐 경락을 마사지하므로서 호흡양의 증가와 혈액순환과 배설기관에 도움을 준다. 위 경락과 비장경락을 마사지하므로서 소화기를 건강하게 해주면 근육의 운동과 체형관리를 해주어 복부 살을 빼는데 도움을 준다. 더블어 신장과 방관경락을 마사지를 함으로써 호르몬 발런스와 스트레스 해소 자율신경에 바란스를 맞추어 준다.


    5. 다리

다리를 날씬하고 가늘게 하는 경락 마사지

굵은 다리, 무다리 등 다리의 생김새는 감출수가 없다. 각선미가 예쁘고 미운 것은 원래부터 정해진 것은 아니다. 예쁜 다리도 차츰 변형되는 것을 느낄 것이다. 신체에 변형과 불균형은 환경의 영향이 크며 자세에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다리가 무겁거나 다리모양이 나쁜 것은 대퇴부나 종아리의 근육이 너무 발달하여 근육이 생겨서 순환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여성 호르몬의 과다분비로 조직의 이완, 영양결핍, 산소 공급 부족, 해독기능저하, 림프순환, 혈액순환이 문제성으로 몸매관리는 다리에 긴장감을 준다.

관리법: 필요 없는 군살을 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관리로서 탄력성과 조직에 긴장감을 주어 부종을 예방하여 날씬한 다리가 될 수 있다

다리의 안쪽 경락은 음경으로 오장에 해당하며 발가락에서 다리 안쪽을 통과하여 내장으로 전달되며 육부에 해당하는 양경은 안면에서 다리 바같쪽으로 통과해서 발가락으로 전달되는데 발바닥은 많은 노폐물을 배설하는 곳으로서 남성들의 발냄새는 신진대사 기능이 왕성한 시기로써 노폐물의 냄새도 고약하다. 다리경락 발경락 마사지를 병행하여 날씬한 다리를 만들수있다.
 경락과 체질

    1. 체질별 특징- 비만관리는 체질분석부터

     사상 체질이란 사람의 체격과 체형, 장부의 허실, 얼굴의 생김새, 성격, 약에 대한 개체적 반응
     상태 등에 따라크게 4개의 체질로 나눈다.

체   질
특        징
태양인
(다혈질)
  상반신 또는 하반신 발달
  표피는 얇고 진피는 두껍다. 피부의 과다한 수분함유로 PH가 불균형이다.
(PH는 5.5가 적당하며 지방, 각질, 수분 등에 의해 조절된다)
각질 침착, 티존 부위의 모공확대, 표피건조, 여드름 등이 나타난다.
태음인
(점액질)
  복부비만, 전신비만, 체격과 골격이 발달
  표피 두껍고 진피 얇다
독소가 많고 차갑고 염증이 잘 생긴다
배출이 잘 안되어 땀 분비가 적고 노폐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부어있다.
소양인
(담즙질)
  어깨 (상반신) 발달
  표피 두껍고 진피 얇다
간이 해독 작용을 못하면 피부에 문제 발생
과다한 독소와 점, 기미
기름진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 섭취 시 아침에 일어나면 눈 주위가 붓는다.
소음인
(신경질)
  하체가 발달
  표피 두껍다(신진대사 불량으로 각질축척)
노화 속도가 빠르다 (산소 공급, 수분, 영양 부족)
세포에 영양 공급 부족으로 세포 재생력이 떨어진다.


    2. 비만체질

    사상 체질 중에서도 태음인과 소양인이 비만이 되기 쉽다


태음인
느긋하고, 풍요로우며, 배부른 것을 좋아하는 성격으로 매우 정적이므로,
교감신경즉 중추신경을 다극하는 관리가 적당하여, 특히 땀나는 관리가 좋습니다
 
소양인

위장과 심장에 열이 많아 먹은 것 만큼 소모되기 쉬워, 스트레스성 폭식이나
식탐으로 인해 비만이 되기 쉬우며, 사우나나 온탕을 무리하게 하면 오히려
원기상실, 시력 장애의 위험이 있습니다.

 

 

 

기경팔맥의 분류중 통혈위치및 주치범위

 

 맥-열결, -후계. 맥-공손, 맥-임읍, 교-신맥,

교-조해, 유-외관, 유-내관

 

*기경팔맥

음양 오행

기경팔맥

육장육부

통혈 4.5성

 

음-

임맥

폐-

대장+

열결(촌구4.5성)모맥

----------------------

 

양+

독맥

심장-

소장+

----------------------

후계(인영4.5성)구맥

 

음-

충맥

비장-

위장+

공손(촌구4.5성)홍맥

----------------------

 

양+

대맥

간장-

담낭+

----------------------

임읍(인영4.5성)현맥

 

음- 음교맥 신장- 조해(촌구4.5성)석맥
양+ 양교맥 방광+ 신맥(인영4.5성)석맥
음- 상화 음유맥 심포- 내관(촌구4.5성)구삼맥
양+ 상화 양유맥 삼초+ 외관(인영4.5성)구삼맥

 

 

기경팔맥(奇經八脈)

 

 

기경팔맥(奇經八脈)은 독맥(督脈), 임맥(任脈), 충맥(衝脈), 음교맥(陰嶠脈), 양교맥(陽嶠脈), 음유맥(陰維脈), 양유맥(陽維脈)에 대한 총칭이다.

이들은 분포가 십이경맥처럼 규칙적이 못되고 장부와도 직접적인 속락(屬絡)계가 없으며 서로간에 표리관계도 없고 십이경맥과는 구별되므로

"기경(奇經)"이라고 한다. 기경팔맥은 십이경맥사이를 가로 세로 누비며 주요하게 아래의 세 개 방면의 작용이 있다.

① 십이경맥사이의 연계를 더욱 밀접히 한다. 예를 들면 양유맥은 모든 양경(陽經)을 조합하고 음유맥은 모든 음경(陰經)을 조합하며 대맥(帶脈)은

띠처럼 종행하는 모든 경맥을 약속(約束)하여 요복부(腰腹部)의 경맥을 서로 통하게 한다.

② 십이경맥의 기혈을 조절한다.

십이경맥에 기혈이 차고 여유가 있으면 기경팔맥에 흘러들어 저축된다. 십이경맥에 기혈이 부족할 경우에는 기경은 기혈을 방출하여 보충해준다.

③ 기경은 肝, 腎등 장과 여자포(女子胞), 뇌(腦), 수(髓)등 기항지부와의 관계가 비교적 밀접하며 상호간에 생리, 병리면에서도 일정한 관계가 있다.

1) 독맥(督脈)

① 순행부위 : 포중(胞中)에서 일어나 아래로 회음(會陰)부를 나와 척추속을 따라 상행하여 뇌뒤의 풍부혈(風府穴)에서 뇌 속에 진입하여 뇌와 연결한다.

項에서 두부 정중앙선을 따라 두정부, 콧마루, 윗입술 계대에 이른다.

분지 : 척추내에서 갈라져 나와 腎에 속한다.

분지 : 소복(小腹)부내에서 곧게 위로 올라와 배꼽 중앙을 지나 위로 心을 관통하고 후부에 이른다음 다시 위로 하악부위에 이르고 구순을

감돌며 뒤로 두 눈아래 가운데 이른다.

기본기능 : 督은 총관(總管), 통솔한다는 뜻이다. 독맥은 등의 정중앙을 순행하면서 여러 차례 수족삼양경 및 양유맥과 교회(交會)하므로 일신(一身)의

양경(陽經)을 다스리므로 "양맥지해(陽脈之海)라고 한다. 그 다음 독맥은 위로 뇌와 연락하고 척추내에서 腎에 속하므로 뇌, 척수와 신장과의

관계가 밀접하다.

② 독맥의 병 증후 : 실(實)하면 주로 척추가 뻣뻣하여 뒤로 젖혀지고, 허(虛)하면 머리가 무겁다.

장강(長强)
[위치] 미골(尾骨) 끝아래 0.5寸, 약 미골끝과 항문사이의 중점
[주치] 설사, 변비, 빈혈, 치질, 탈항, 전광
[부주] 독맥과 족소양, 족소음경의 교회혈, 독맥의 락(絡)혈

요수(腰兪)
[위치] 저관열공부위
[주치] 월경부조, 치질, 요척강통, 하지위비, 전광

요양관(腰陽關)
[위치] 제 4 요추 극돌기 밑
[주치] 월경부조, 유정, 양위, 요통, 하지위비

명문(命門)
[위치] 제 2 요추 극독기 밑
[주치] 월경부조, 유정, 양위, 요척통, 설사, 하지위비

현추(懸樞)
[위치] 제 1 요추 극돌기 밑
[주치] 설사, 복통, 요척강통

척중(脊中)
[위치] 제 11 흉추 극돌기 밑
[주치] 설사, 황달, 치질, 전간, 소아 영양실조

중추(中樞)
[위치] 제 10 흉추 극돌기 밑
[주치] 황달, 구토, 복통, 요척강통

근축(筋縮)
[위치] 제 9 흉추 극돌기 밑
[주치] 전간, 위통, 척통

지양(至陽)
[위치] 제 7 흉추 극돌기 밑
[주치] 황달, 흉협창만, 기침, 척배통

영대(靈台)
[위치] 제 6 흉추 극돌기 밑
[주치] 기침, 천식, 척배강통, 정창

신도(神道)
[위치] 제 5 흉추 극돌기 밑
[주치] 심계, 건망증, 기침, 척배강통

신주(身柱)
[위치] 제 3 흉추 극돌기 밑
[주치] 기침, 천식, 척배강통, 전간

도도(陶道)
[위치] 제 1 흉추 극돌기 밑
[주치] 두통, 열병, 척강(脊强), 학질

대추(大椎)
[위치] 제 7 경추 극돌기 밑
[주치] 열병, 학질, 기침, 천식, 도한, 두통, 항강, 전간, 풍진

아문(啞門)
[위치] 후발제 정 중앙선에서 위로 0.5寸
[주치] 설강불어(舌强不語), 폭음(쉰 목소리), 전광, 두통, 항강

풍부(風府)
[위치] 후발제 정 중앙선에서 위로 1寸
[주치] 두통, 현훈, 항강, 인후종통, 실음, 중풍, 전광
[부주] 독맥과 양유맥의 교회혈

뇌호(腦戶)
[위치] 풍부혈 위로 1.5寸
[주치] 두통, 현훈, 실음, 전간증

강간(强間)
[위치] 뇌호혈 위로 1.5寸
[주치] 두통, 현기증, 항강, 전광

후정(後頂)
[위치] 강간혈 위로 1.5寸
[주치] 두통, 현훈, 전광

백회(百會)
[위치] 두부 정중앙선, 후발제 위로 7촌,(이첨(耳尖)에서 곧게 올라가 두부 중앙선과 교차 점)
[주치] 두통, 현훈, 중풍실어, 전광, 탈홍, 불면증, 유뇨
[부주] 독맥과 족태양경의 교회혈

전정(前頂)
[위치] 백회혈 앞 1.5寸
[주치] 두통, 현훈, 전간

신회
[위치] 전발제 정중앙에서 위로 2寸
[주치] 두통, 현훈, 전간, 비연(鼻淵)

상성(上星)
[위치] 전발제 전 중앙에서 위로 1寸
[주치] 두통, 목통(目痛), 비연, 코피, 전광, 학질, 열병

신정(神庭)
[위치] 전발제 정 중앙에서 위로 0.5寸
[주치] 두통, 현훈, 불면증, 전간, 비연
[부주] 독맥과 족태양, 양명경의 교회혈

소료
[위치] 비첨(鼻尖) 중앙
[주치] 비연, 코피, 천식, 혼미, 신생아 질식, 경풍

수구(水溝), 인중(人中)
[위치] 인중구에서 위 1/3 의 되는 곳
[주치] 전광, 소아경풍, 혼미, 구안와사, 요척강통
[부주] 독맥과 수족양경의 교회혈

태단(兌端)
[위치] 윗입술 끝 부분, 입술과 피부의 연접부위
[주치] 전광, 잇몸통, 잇몸출혈

은교
[위치] 윗 입술 주름띠와 잇몸의 연접부위
[주치] 잇몸동통, 전광, 비연

    2) 임맥(任脈)

    ① 순행부위 : 포중(胞中)에서 일어나 아래 회음(會陰)을 지나 음부위를 거쳐 복부와 흉부 정중앙선을 따라 상행하여 인후부에 이르며 상행하여 하악부에

    이른다음 입술을 에워돌고 뺨을 따라 눈밑에 갈라져 이른다.

    기본기능 : 임(任)은 감당, 접수한다는 뜻이다. 임맥은 복면의 정중앙을 순행하면서 여러차례 수족삼음경과 음유맥(陰維脈)과 만나며 일신(一身)의

    음경(陰經)을 책임지므로 "음맥지해(陰脈之海)"라고 한다. 임은 또 "임(妊)"과 뜻이 통하며 경맥이 포중(胞中)에서 시작하였으므로 여자의

    임신과 관계된다. 따라서 "任을 포태(胞胎)"라고 한다.

    ② 임맥의 병 중후 : 산기(産氣), 대하 소복부종양, 월경불순, 유산, 불임과 같은 비뇨생식, 소화, 호흡방면의 증후가 나타남.

    회음(會陰)
    [위치] 전음(외생식기)과 항문 사이의 중점
    [주치] 소변불리, 치질, 유정, 월경부조, 전광, 혼미
    [부주] 임맥, 독맥, 충맥의 교회혈

    곡골(曲骨)
    [위치] 치골 결합부 상연의 중점
    [주치] 소변불리, 유뇨, 유정, 양위, 월경부조, 대하
    [부주] 임맥과 졸궐음경의 교회혈

    중극(中極)
    [위치] 배꼽아래 4寸
    [주치] 유뇨, 소변불리, 유정, 양위, 월경부조, 불임
    [부주] 임맥과 족삼음경의 교회혈

    관원(關元)
    [위치] 배꼽아래 3寸
    [주치] 유뇨, 소변이 잦음, 설사, 복통, 유정, 양위, 월경부조, 불임증
    [부주] 임맥과 족삼음경의 교회혈, 소장의 모혈(募穴)

    석문(石門)
    [위치] 배꼽아래 2寸
    [주치] 복통, 수종, 소변불리, 설사, 월경과다
    [부주] 삼초의 모혈

    기해(氣海)
    [위치] 배꼽아래 1.5寸
    [주치] 복통, 설사, 변비, 유뇨, 유정, 월경부조, 산기

    음교(陰交)
    [위치] 배꼽아래 1寸
    [주치] 복통, 수종, 월경부조
    [부주] 임맥과 충맥의 교회혈

    신궐(神厥)
    [위치] 배꼽중앙
    [주치] 복통, 설사, 탈항, 수종, 허탈증

    수분(水分)
    [위치] 배꼽위로 1寸
    [주치] 수종, 소변불통, 복통, 설사

    하완(下脘)
    [위치] 배꼽위로 2寸
    [주치] 복통, 복창, 설사, 구토, 소화불량
    [부주] 임맥과 족태음경의 교회혈

    건리(建里)
    [위치] 배꼽위로 3寸
    [주치] 위통, 구토, 식욕부진, 복창, 수종

    중완(中脘)
    [위치] 배꼽위로 4寸
    [주치] 위통, 구토, 복창, 설사, 황달, 탄산(呑酸), 전광
    [부주] 위의 모혈, 팔회혈의 부회(腑會), 임맥과 수태양, 수양명, 족양명경의 교회혈

    상완(上脘)
    [위치] 배꼽위로 5寸
    [주치] 위통, 구토, 복창, 전간
    [부주] 임맥과 족양명, 수태양경의 교회혈

    거궐(巨厥)
    [위치] 배꼽위로 6寸
    [주치] 흉통, 심계, 구토, 탄산, 전광증

    구미(鳩尾)
    [위치] 검상돌기 밑, 배꼽위로 7寸
    [주치] 흉통, 복창, 전광
    [부주] 임맥의 낙혈

    중정(中庭)
    [위치] 심와부, 흉골과 검상돌기 결합부의 중앙
    [주치] 심통, 구토, 소아토유(吐乳), 흉협창만

    전중
    [위치] 양 유두간으로 흉부 정중선이 제 4 늑간근과 수평을 이루는 곳
    [주치] 기침, 천식, 흉통, 심계, 소유(少乳), 구토
    [부주] 심포의 모혈, 팔회혈의 하나인 기회(기會)

    옥당(玉堂)
    [위치] 전 정중앙선 제 3 늑간극에 해당됨
    [주치] 기침, 천식, 흉통, 구토

    자궁(紫宮)
    [위치] 전 정중앙선 제 2 늑간극에 해당됨
    [주치] 기침, 천식, 흉통

    화개(華盖)
    [위치] 전 정중앙선 제 1 늑간극에 해당됨
    [주치] 기침, 천식, 흉협통

    선기(璇璣)
    [위치] 전 정앙선, 흉골병(胸骨柄)의 중앙
    [주치] 기침, 천식, 흉통, 인후종통

    천돌(天突)
    [위치] 흉골상와의 중앙
    [주치] 기침, 천식, 흉통, 인후종통, 폭음, 매핵기(梅核기)
    [부주] 임맥과 음유맥의 교회혈

    염천(廉泉)
    [위치] 설골체(舌骨體) 상연의 중점
    [주치] 설하종통(舌下腫痛), 설강불어(舌强不語), 폭음
    [부주] 임맥과 음유맥의 교회혈

    승장(承漿)
    [위치] 이순구의 중점
    [주치] 구와, 잇몸통, 전관, 폭음
    [부주] 임맥과 족양명경의 교회혈

    3) 충맥(衝脈)

    ① 순행부위 : 포중(胞中)에서 일어나 아래로 회음(會陰)을 나와 기가(氣街)부위에서 시작하여 족소음신경과 합병하여 위로 배꼽을 끼고 상행하여

    흉중에 분포된 다음 다시 상행하여 후부를 거쳐 입술을 에워돌고 눈밑에 이른다.

    분지 : 족소음의 대락(大絡)과 함께 腎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기가(氣街)부위에서 체표로 옅게 나온후 대퇴내측을 따라 괵와(오금)에

    진입하고 경골(脛骨)의 내연(內緣)을 따라 하행하여 족저(足底)에 이른다. 또 다른 지맥은 내측 복숭아뼈뒤에서 갈라져 앞으로

    비스듬이 발등에 이르며 족내지(足內趾)에 진입한다.

    분지 : 包中에서 나와 뒤로 독맥과 통하며 척추속을 상행한다.

    기본기능 : 충(衝)은 요충(要衝)이라는 뜻이다. 충맥은 위로 두부에 이르고 아래로 足에 이르며 전신을 관통하여 기혈의 요충으로 되어 십이경맥의

    기혈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십이경맥지해"라고 한다. 충맥은 또 "혈해(血海)"라고 하는데 부녀의 월경과 밀접히 관계된다.

    ② 충맥의 병 증후 : 유뇨, 산기가 있고, 아랫배에서 기운이 올려 받치며, 가슴이 아프고, 소변이 잘 통하지 않으며 목이 마른다.

    4) 대맥(帶脈)

    ① 순행부위 : 협하에서 시작하여 비스듬히 하행하여 대맥혈에 이르며 전신을 한 바퀴 돈다. 부면의 대맥은 소복부까지 드리운다.

    기본기능 : 대맥은 허리를 한바퀴 돌아서 마치 혁대와도 같이 종행하는 모든 경맥을 약속(約束)한다.

    ② 대맥의 병 증후 : 복부가 팽만하고 허리부위가 무거움을 느끼며, 여자는 아랫배가 아프고, 월경이 고르지 못하여 적백대하가 생긴다.

    5) 음교맥(陰?脈), 양교맥(陽?脈)

    ① 음교맥의 순행부위: 내측 복숭아뼈밑의 조해(照海)혈에서 갈라져 내측 복숭아뼈 뒤로 나와 하지내측을 따라 곧게 올라가며 전음(前陰 외생식기)

    부위를 거쳐 복부, 흉부를 경과한 후 결분에 진입하며 인영혈 앞을 지나 코옆을 거쳐 눈 안쪽 가장자리에 이르러 수족태양경,

    양교맥과 회합한다.

    ② 음교맥의 병 증후 : 양기가 부족하고 잠이 많다. 여자는 대하가 멎지 않는다.

    ③ 양교맥의 순행부위 : 외측복숭아뼈밑의 신맥(申脈)혈에서 갈라져 나와 외측 복숭아뼈 뒤를 따라 상행하여 복부, 흉부 뒤 면의 외측을 따라 견(肩)부,

    경(頸)부외측을 지나 위로 올라가 구각을 끼고 눈 안쪽 가장자리 이르러 수족태양경, 음교맥과 만난다음 다시 상행하여 발제(髮際)

    에 들어가고 아래로 귀뒤에 이르러 족소양담경과 항(項)뒤에서 회합한다.

    ④ 양교맥의 병 증후 : 외측의 근육이 긴장되며 안쪽의 근육이 이완된다. 음기는 부족하고 양기가 평승되어 잠을 못자며 요통이 있다.

    ⑤ 기본기능 : 교(?)는 경건하고 민첩하다는 뜻이다. 음, 양교맥은 안목(眼目)을 유양(濡養)하고 안검(眼瞼)의 개합과 하지운동을 관리한다. 옛사람들은

    "음양교맥은 각기 일신좌우의 음양(陰陽)을 주관한다."고 하였다.

    6) 음유맥(陰維脈), 양유맥(陽維脈)

    ① 순행부위 : 음유맥은 소퇴내측의 족삼음경이 만나는 부위에서 시작하여 하지 내측을 따라 상행하여 복부에 이르러 족태음비경과 동행하여 협부에

    이르고 족궐음간경과 상합한 다음 상행하여 인후부에 이르러 임맥과 회합한다.

    양유맥은 외측 복숭아뼈 밑에서 시작하여 족소양담경과 병행하여 하지 외측을 따라 상행하며 구간(軀干)부 뒷면의 외측을 거쳐 액(腋

    겨드랑이)뒤로 견(肩)부에 이르고 경부(頸部)와 귀뒤를 거쳐 앞으로 액(額)부에 이르러 머리측면과 항후(項後)에 분포되고 독맥과 회합한다.

    ② 기본기능 : 유(維), 유지한다는 뜻이다. 음유맥은 모든 음경을 연락하고 양유맥은 모든 양경을 연락하는 기능이 있다.

    ③ 음유맥의 병 증후 : 가슴앓이, 흉통, 심통, 위통 ④양유맥의 병 증후 : 오한발열, 팔다리에 힘이 없다.

 

[임맥=열결]

 

열결 (列缺 - 수태음폐경 - 7 )



☞  락혈. 수양명경으로 갈라지는 곳이 된다.

⊙ 위   치 :  척택과 태연사이. 태연 위로 1.5촌에 있다.

▥ 주치증 :  삼차신경통, 반신불수, 편도선염, 엄지소가락 통증

◈ 미용증 :  손바닥열, 피부가 거칠고 건조해짐, 피부 노화

▩ 테크닉

 

열결(列缺, 2개 혈)   
○ 손목에서 비스듬히 1치 5푼 올라가서 두 손을 맞잡을 때 집게손가락 끝이 닿는 곳의 두 힘줄과 뼈 사이에 있다.
○ 수태음경의 낙혈(絡穴)이다. 여기서 갈라져 수양명경맥으로 간다.
○ 침은 2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사할 때에는 5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7장을 뜬다[자생].

部位:以兩手交叉 食指盡處 兩筋骨陷中
取穴:腕關節上 1.5寸부위로 兩手交叉하여 次指端이 닿는 部位에 取穴한다. 橈骨莖狀突起上 長拇指外轉筋(abductor pollicis longus m.)내측에서 brachioradialis와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m.의 사이 橫肱,虎口取之
鍼法:直刺5分,斜刺
穴性:宣疏肺熱,疏經通絡,通利咽喉胸膈
主治:1)偏頭痛 治療 主穴(配合谷)
     2)項痛
     3)肺邪가 膀胱經으로 전변되어 나타나는 背痛
     4)外感으로 因한 咽喉疾患(配少商)
     5)外感으로 因한 鼻疾患(配經渠)
     6)扁風,口眼와斜
參考:肺經之絡穴,別走手陽明大腸經 四總穴之一(두腹足三里 腰背委中 頭項列缺 口面合谷)八脈交會穴(公孫,內關,後谿,申脈,足臨泣,外關,列缺,照海)之一. 通于任脈  

 

[독맥=후게(後谿)]

후계 (後谿 - 수태양소장경 - 107)

 

주먹을 쥐었을때 제 5중수지절관절부위의 가로무늬로서 가장끝의척측에서 취한다
-풍열을 제거하고 근육을 이완시키며 독맥을 소통시켜 통증을 멎게한다
-청력감퇴.늑간신경통.농아.요통.코피.히스테리.정신분열증.및 팔이나 손가락이 아파

제대로 펴거나 구부리지 못하거나 뒷목이 뻣뻣하면서 머리가 아프거나.

혹은 인후가부어오르면서 아픈증상에 효과가있다 팔이아플때는 수삼리.

곡지를 배혈하며.두통.현기증을 치료할때는 풍지.백회.태양을 배혈한다
-소장경의 수혈로서 오행의 목에 속하고 팔맥교회혈이다.본혈은 독맥과 통한다



[충맥=공손]

 

공손(公孫, 2개 혈SP4)

엄지발가락 밑마디 뒤에서 1치 떨어진 곳에 있다[동인].

○ 태백혈 뒤에서 1치 되는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족태음경의 낙혈이다. 여기서 갈라져 족양명경맥으로 간다. 침은 4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공 손 혈 (公孫 Spleen-4)

-公孫의 公은 공평, 공공인이라는 뜻이며 배반한다는 뜻이다. 公은 평등하게 나눈다는 뜻도있다.

-孫은 손자, 즉 뒤를 잇는 자를 말한다. 公孫은 本經에서 나뉘어 갈라져(배반하고) 他經으로 잇고 있어

*연결하는 穴이란 의미이며 絡穴을 표시한다.

-足內側의 제 1중족골, 基底部前下椽의 제 1중족지절관절의 後方 1寸에 있다.

-제 1중족골 基底部下椽으로서 母趾가 轉筋中에 있다.

-內側足筋動脈, 足背靜脈網이 있다. 伏在神經, 淺 骨神經의 分枝가 吻合 分布되어 있다.

-제 1中足骨底의 內側이며, 太白穴의 後 1寸에서 취혈한다.

-즉 제 1 중족골과 제 1주상골과의 關節部의 內側, 左右의 발바닥을 合하고 제 1趾의 本節 뒤를 쭉

*밀어가노라면 손가락이 멈추는 곳이다.

-이 경우의 骨度는 발가락의 끝에서 발꿈치까지의 길이를 1尺 2寸으로 計測한다.

-足의 內側面을 위로하여 취혈한다. (太白에서 後方 2cm)

-胃痛, 急慢性腸炎, 嘔吐, 子宮內膜炎, 月經不順, 足 痛, 高血壓등에 좋다한다

-足趾不仁, 心痛, 胃脘痛, 下血, 脫腸을 治한다고 하였다.

-음식을 즐기지 못하고, 미친듯한상태, 善太息, 寒熱干出, 頭面腫起, 煩心狂亂多飮,

-膽虛를 주관한다고 하였다.

 

[대맥=임읍]

 



☞  족소양경과 기경의 대맥이 만나는 곳이다. 부인과 질환에 탁월하며 소아 만성 위장장애에도 좋다.

대맥(帶脈, 2개 혈)   
○ 계륵부 끝에서 1치 8푼 아래에 있다.
○ 침은 6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部位; 11肋骨下 1寸8分 陷中
取穴; 第11肋骨端(章門)과 장골릉을 일직선으로 그은 中間點 神闕穴上 2分의 兩旁 7寸 側臥取之
鍼法; 直刺
主治;下腹痛,婦人科 疾患
參考;帶脈의 起始穴  

⊙ 위   치 :  장문의 직하, 배꼽의 수평

▥ 주치증 :  자궁 내막염, 방광염, 월경불순, 대하, 부인과질환

◈ 미용증 :  허리의 비대, 신체피부 탄력저하, 허리곡선의 불균형

 

임읍(臨泣, 2개 혈GB41)

새끼발가락과 네번째 발가락의 밑마디 뒤 협계혈에서 1치 5푼 되는 우묵한 곳에 있다.

 족소양경의 유혈이다. 침은 3푼을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양교맥=신맥]

 



☞  양유맥의 극혈이다. 극혈은 가뭄이 들어도 마지막까지 마르지 않는 샘물과 같아서 급성의 질환에 사용된다는 혈이다. 양유맥과 담경이 교회한다.

양교(陽交, 2개 혈)   
○ 일명 별양(別陽), 족료라고도 한다.
○ 바깥쪽 복사뼈에서 위로 7치 올라가 3양에 속한 분육 사이에 있다.
○ 침은 6푼을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部位; 足外과上 7寸
取穴; 光明穴上 2寸 장딴지에 힘을 주고 발등을 들고 발꿈치를 구부리면(supination),膽經上의 筋이 나타남.
外丘穴 後方3分 비골側 양릉천과 족외과를 一直線을 그은 사이의 거의 中間.
正坐屈膝垂足取之 足外과上 7寸에 해당되는 인근 穴:承山(膀胱),飛揚(膀胱),陽交(膽),外丘(膽),下巨虛(胃) 足外과上 8寸에 該當-- 豊隆(胃)

 

鍼法; 直刺
主治;寒熱
參考; 陽維脈之 극穴

⊙ 위   치 : 외과첨의 직상 7촌, 비골의 하연

▥ 주치증 :  신경통, 근육마비, 두통, 간염

◈ 미용증 :  비염성 여드름, 엉덩이의 늘어짐, 모낭 각화

 

2. 양교맥
1) 양교맥의 흐름
뇌-> 후두부-> 눈의 안쪽 끝-> 안와 밑
-> 얼굴-> 입술 끝-> 아래턱-> 흉쇄유돌근
-> 어깨 앞-> 견관절 밑에서 어깨를 돌아 견갑골을 엇비슷하게 가로질러
-> 방광경의 약간 바깥쪽을 따라 등-허리를 지나-> 장골을 통해 고관절을 거쳐
-> 방광경의 약간 바깥쪽을 따라 내려가 삼두영역으로 들어가고
-> 비골과 아킬레스건 사이를 똑바로 내려가 바깥 복숭아뼈 뒤를 돌아(신맥혈)
-> 복숭아뼈 밑을 통해 발목관절의 내-외측과 사이로 들어간다.
2) 양교맥의 별지
족태양방광경
3) 양교맥의 기능과 그 이상
경락과 관계없이 육부를 지배한다.
===주로 몸의 바깥-뒤쪽을 다스린다.(방광-담)
===방광경의 경로를 따라가면서 아픈데, 방광경을 치료해 봐도 효과가 없을 때(예: 이봉규)
4) 양교맥의 치료
신맥을 보하고 후계를 사한다.

2. 양교맥에 문제가 생기면 나타나는 증상은?
경락과 관계없이 육부를 지배한다. 주로 몸의 바깥-뒤쪽을 다스린다.
양교맥의 이상은 피부의 출혈증상, 부종, 종기, 뇌출혈, 이명 등의 질병으로 발전.

양교맥을 치료하여 고칠 수 있는 질병
=두통, 언어장애, 간질, 뇌졸중,
=견비통, 슬관절통, 요통,
=좌골신경통, 늑간신경통, 삼차신경통, 안면신경마비, 안륜근마비,
=무한증, 다한증, 도한증,
=슬관절냉증, 허리냉증,
=유선염, 다발성 화농성 종기,
=이명, 녹내장, 코막힘, 경추질환 등.

신맥: 신맥은 몸의 바깥쪽과 뒷쪽, 그리고 오장육부 중의 6부를 지배합니다. 6부란 위, 대장, 소장, 담낭, 방광, 그리고 동양의학에서만 말하는 삼초(횡경막 위를 상초, 횡경막에서 배꼽까지를 중초, 배꼽에서 아래를 하초라 한다)를 말합니다. 이 흐름이 흐트러지면 피부에 출혈 증상, 부종, 몸이 잘 붓거나 뇌출혈, 뇌졸중, 귀울림 등 음질적인 질환에 걸리기 쉽게 됩니다.
  적응증은 두통, 교통사고 등으로 목뼈를 다친 후유증, 잠을 잘못자서 목이 아플 때, 어깨 결림, 등이 결리거나 피로할 때, 견갑골의 통증, 허리가 결리거나 아플 때, 허리의 냉감, 뇌졸중, 언어장애, 수족의 마비, 경련, 통증, 다리 안쪽으로 일어나는 좌골신경통, 안면신경마비, 삼차신경통의 2,3지, 늑간신경통, 무릎관절의 안쪽 및 발관절의 통증과 냉감, 다리 바깥쪽의 경련과 안쪽의 이완증상, 눈알이 아플 때, 녹내장, 근시, 메니엘씨병, 귀울림, 코막힘, 간질, 다한증과 무한증, 가로로 팔을 뻗을 수 없는 오십견, 도한, 류머티즘 등이 있고 특히 부인들의 젖이 붓고 아플 때에 특효가 있습니다.

[음교맥=조해]

 

1) 음교맥의 경로
발목관절의 내-외측과 사이에서 일어나 (양교맥이 끝나는 위치)
-> 내측과 밑으로 나와 내측과 뒤로 돌아서
-> 족소음신경을 따라 다리의 내측으로 올라가 음부를 돌고,
-> 또 다시 족소음신경을 따라 임맥에서 1.5치 거리로 상행하여
-> 유두선을 따라 올라가 쇄골의 홈 즉 결분혈로 들어간다.
-> 다시 경동맥의 박동부로 나와 혀 밑을 돌아서 협골부 내측을 거쳐
-> 코 옆을 따라 올라가 눈의 내측 끝에서 끝난다.
2) 음교맥의 별지
족소음신경
3) 음교맥의 기능과 그 이상
경락과 관계없이 육장을 지배한다.(양교맥은 6부를 지배),
음교맥은 주로 몸의 앞쪽을 다스린다.
4)음교맥의 치료
조해를 사하고 열결을 보한다.

4. 음교맥에 문제가 생기면 나타나는 증상은?
경락과 관계없이 오장을 지배하며 주로 몸의 앞쪽을 다스린다.

음교맥을 치료하여 나을 수 있는 질병
=불면증, 실성증, 전신경련,
=만성인후염, 편도선염, 후각이상,
=소변불리, 혈뇨증, 방광염, 배뇨통,
=하복부통, 하복부냉증, 자궁질환, 전립선염,
=척추강직, 늑간신경통,
=오장의 질환, 황달, 치질, 위궤양, 발바닥열감, 종기 등

 

 

[양유맥=외관]

 

 양유맥은 수소양삼초경의 또 다른 흐름이다.
(독맥-소장경, 양교맥-방광경, 임맥-폐경, 음교맥-신경)
1) 양유맥의 흐름
이마 위의 발제(이마와 머리카락이 만나는 곳)에서 시작하여 측두부를 돌아서 두부의

족소양담경을 타고 어깨 위의 견정혈에서 견갑골의 외측연을 거쳐 옆구리를 돌아 하복부의

담경 경로를 따라 고관절로 들어간다. 고관절에서 하행하여 다리의 외측을 돌아 담경의 유주를 따라

내려간 뒤 비골외과를 돌아 비골외과의 아래-앞쪽을 통해 발목관절로 들어가서 족근골인

종골과 입방골 사이에서 끝난다.
양유맥의 별지는 후두부에서 나온 흐름이 수소양삼초경을 타고 팔을 거쳐 약지에 이른다.

2) 양유맥의 종혈과 객혈
양유맥의 종혈은 수소양삼초경의 ‘외관’혈이고, 객혈은 족소양담경의 ‘임읍’혈이다.
참고: 대맥의 종혈은 임읍, 객혈은 외관

3) 양유맥에 문제가 생기면 나타나는 증상은?
수삼양-족삼양(태양-양명-소양)을 합쳐 6양경의 변동을 조절한다.===대맥은 12경락의 변동을 조절

6. 양유맥에 문제가 생기면 나타나는 증상은?
수삼양-족삼양(태양-양명-소양)을 합쳐 6양경의 변동을 조절한다.
염증성의 양성 질병과 관련이 많다.

양유맥을 치료하여 나을 수 있는 질병
=편두통, 어지럼증, 저혈압, 신경과민, 말더듬, 반신불수, 권태감,
=피부염, 망막염, 두드러기, 여드름, 종창,
=경추질환, 요통 및 디스크, 좌골신경통, 타박상, 염좌, 경련,
=기후에 민감한 사람, 마비, 부정맥, 혈전증, 비출혈, 야뇨증 등

 

 

[음유맥=내관]

내관[內關]

경혈 이름 풀이○ 關은 연락의 의미이다. 이 穴은 手心主의 絡血이며 따로 한 가지가 手少陰脈에 絡하고 內臟에 연락되어 주로 內臟의 疾患을 치료한다. 掌後로 腕關節에서 2寸되는 양근육사이의 凹陷處이며 外關穴과 서로 대칭되어 內를 맡으므로 內關이라 이름하였다.
○ 손바닥 뒤 손목에서 2치 떨어져 있다[동인].
○ 대릉혈에서 2치 뒤에 있다[입문].
○ 두 힘줄 사이에 있으며 수궐음경의 낙혈이며 여기서 갈라져 소양경으로 간다[강목].
○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경혈 해설部位 : 掌後 去腕 2寸兩寸間 
取穴 : 繞側手根屈筋(flexor carpi radialis)와 長掌筋(palmaris longus m.)의 중간 舒腕仰掌取穴 血管이 貫通되지 않게 注意 
鍼法 : 直刺 或은 外關穴 쪽으로 透刺
穴性 : 淸包絡, 疏三焦, 寧神和胃, 寬胸理氣 
主治 : 1) 心病- 心痛, 정충, 驚悸 
   2) 內傷疾患- 胃炎, 胃熱로 因한 嘔吐, 急滯(急性胃炎)
  1) 비; 胃氣弱이 因胸비, 吐(嘔逆)-實證, 胃痙攣
  2) 痛; 肝氣犯胃로 發生 胃痙攣; 主穴- 梁丘 補助- 四關次- 內關,  中脘
  3) 頭項强痛에 補助穴- 兼消火器疾患, 上焦火로 인한 頭項强痛에 使用 
   4) 주臂神經痛- 中指, 小指痛이 있는 사람. 
   5) 奇經八脈에서 公孫- 通于衝脈
      內關- 通于陰維脈
  6) 目赤(心包絡이 虛하면 目赤이 됨) 
參考 : 心包經之絡穴, 別走手少陽三焦經  八脈交會穴之宥, 通于陰維脈

 

 

 

 

 

 http://blog.daum.net/phoenix107

족소음신경(좌우 모두 54개 혈) »용천(涌天, 2개 혈KI1) 연곡(然谷, 2개 혈KI2) 태계(太谿, 2개 혈KI3) 태종(太鐘, 2개 혈KI4) 조해(照海, 2개 혈KI5) 수천(水泉, 2개 혈KI6) 부류(復溜, 2개 혈KI7) 교신(交信, 2개 혈KI8) 축빈(築賓, 2개 혈KI9) 음곡(陰谷, 2개 혈KI10) 횡골(橫骨, 2개 혈KI11) 대혁(大赫, 2개 혈KI12) 기혈(氣穴, 2개 혈KI13) 사만(四滿, 2개 혈KI14) 중주(中注, 2개 혈KI15) 황유( , 2개 혈KI16) 상곡(上谷, 2개 혈KI17) 석관(石關, 2개 혈KI18) 음도(陰都, 2개 혈KI19) 통곡(通谷, 2개 혈KI20) 유문(幽門, 2개 혈KI21) 보랑(步郞, 2개 혈KI22) 신봉(神封, 2개 혈KI23) 영허(靈墟, 2개 혈KI24) 신장(神臟, 2개 혈KI25) 욱중(彧中, 2개 혈KI26) 유부( 府, 2개 혈KI27)
  족소음소경의 순행[足少陰腎經流注]

족소음경맥은 새끼발가락 밑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가운데(용천혈)로 비스듬히 가서 연골(연곡혈) 나가 안쪽 복사뼈의 뒤(태계혈)에 갔다가 발꿈치 가운데(태종혈)로 갈라져 들어갔다가 장딴지 속(부류혈)으로 올라가 무릎 안쪽(음곡혈)으로 나와 허벅지 안쪽 뒤 변두리로 올라가 등뼈를 뚫고 신에 속하는 방광을 얽었다. 그 바로 가는 가지는 신에서 갈라져 간과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폐에 들어갔다가 울대를 따라 혀뿌리에 갔다. 다른 한 가지는 폐에서 나와 심을 얽고 가슴속으로 들어갔다(여기서 수소음경맥과 심포락경맥에 연결되었다).

시동병(是動病)은 배가 고프면서도 먹고 싶지 않고 얼굴빛이 숯처럼 거멓고 기침을 하면서 가래를 뱉는데 피가 섞여 나오고 목에서 소리가 나고 숨이 차며 앉았다가 일어서면 눈앞이 캄캄해지면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배고픈 것과 같이 가슴이 쓰리다. 기가 부족하면 무서움을 잘 타고 가슴이 뛰며 누가 자기를 잡으러 오는 것과 같은 감을 느끼는데 골궐(骨厥)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로 신과 관련된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입 안이 달고 혀가 마르며 목이 붓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목 안이 마르고 아프며 가슴이 답답하고 아프며 황달과 이질이 생기고 등뼈, 엉덩이, 허벅지 안쪽, 뒤 변두리가 아프며 다리에 힘이 없고 차며 눕기를 좋아하고 발바닥이 달면서 아프다. 뜸을 뜨면서 음식을 억지로 먹어 살이 오르게 한다(음식을 억지로 먹으면 살이 오르게 된다). 허리띠를 늦추고 머리를 풀어 놓으며 큰지팡이를 짚고 무거운 신을 신고 걸어다녀야 한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2배나 크며 허할 때에는 촌구맥이 도리어 인영맥보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유시(17-19시)에 지음혈(至陰穴)과 용천혈에서 시작하여 무릎을 따라 위로 올라가 가슴에 이르러 유부혈에 가서 끝난다[입문].

○ 족소음경맥은 용천혈에서 시작하여 염천혈(廉泉穴)에 가서 끝났다[영추].

족소음신경(좌우 모두 54개 혈)

용천(涌天, 2개 혈KI1)

발바닥의 우묵한 곳에 즉 발가락을 구부리면 ‘ㅅ’자처럼 우묵해지는 가운데 있다[동인].

○ 용천혈은 발바닥에 있는데 꿇어 앉아서 잡는다[영추].

○ 발바닥 밑 우묵한 곳에 흰 살의 경계에 있다[자생].

○ 발바닥 가운데 있다[입문].

○ 족소음경의 정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 만약 뜨면 걷지 못한다[자생].

연곡(然谷, 2개 혈KI2)

일명 용연(龍淵)이라고도 하는데 안쪽 복사뼈 앞에 두드러진 대골 아래 우묵한 가운데 있다[동인].

○ 연곡혈은 연골 아래다[영추].

○ 안쪽 복사뼈 앞에서 1치 아래에 있다[자생].

○ 족소음경의 형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피를 빼서는 좋지 않으며 침을 찔러 피를 많이 내면 곧 배가 고파서 음식을 먹게 된다. 뜸은 3장을 뜬다[영추].

태계(太谿, 2개 혈KI3)

일명 여세(呂細)라고도 하는데 안쪽 복사뼈 뒤 발꿈치뼈 위 맥이 뛰는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안쪽 복사뼈에서 뒤로 5푼 나가 발꿈치뼈 사이 맥이 뛰는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족소음경의 유혈이다. 침은 3푼을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

○ 모든 환자가 이 침혈에서 맥이 뛰면 살고 뛰지 않으면 죽는다[동인].

태종(太鐘, 2개 혈KI4)

발꿈치 뒤 가운데의 태계혈에서 5푼 아래에 있다. 족소음경의 낙혈이며 여기서 갈라져서 족태양경맥으로 간다. 침은 2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조해(照海, 2개 혈KI5)

발 안쪽 복사뼈에서 손톱눈만큼 내려가서 있는데 음교맥(陰 脈)이 시작되는 곳이다[동인].

○ 환자를 바로 앉혀 발바닥을 마주 댄 다음 붉은 살과 흰 살의 경계에 나타나는 우묵한 곳에 있다[강목].

○ 안쪽 복사뼈에서 4푼 내려가 약간 앞에 있는 소골의 아래에 있다[입문].

○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7장을 뜬다[동인].

수천(水泉, 2개 혈KI6)

태계혈에서 아래로 1치 내려가 안쪽 복사뼈 아래에 있다. 족소음경의 극혈이다. 침은 4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부류(復溜, 2개 혈KI7)

일명 복백(伏白), 창양(昌陽)이라고도 한다. 발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2치 올라가 힘줄과 뼈의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2치 올라가 맥이 뛰는 곳에 있다[입문].

○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2치 올라가 맥이 쉬지 않고 뛰는 곳에 있다[영추].

○ 족소음경의 경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교신(交信, 2개 혈KI8)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2치 올라가 족소음경맥과 족태음경맥의 사이에 있는 힘줄과 뼈 사이에 있다. 음교맥의 극혈이다[동인].

○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2치 올라가 부류혈과 삼음교혈의 사이에 있는 힘줄과 뼈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침은 4푼을 놓으며 5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축빈(築賓, 2개 혈KI9)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3치 올라가 장딴지에서 살이 갈라지는 가운데 있다. 음유맥(陰維脈)의 극혈이다[동인].

○ 뼈 뒤의 큰 힘줄과 작은 힘줄 사이에 있는데 무릎을 구부리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입문].

횡골(橫骨, 2개 혈KI11)

일명 하극(下極)이라고도 하는데 대혁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동인]. 횡골의 가운데 즉 뒤집어 놓은 반달같이 구부러진 곳의 우묵한 곳에 곡골혈(曲骨穴)에서 1치 5푼 옆으로 나가 있다[입문].

○ 뜸은 3장을 뜨며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동인].

대혁(大赫, 2개 혈KI12)

일명 음유(陰維), 음관(陰關)이라고도 한다. 기혈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기혈(氣穴, 2개 혈KI13)

일명 포문(胞門), 자호(子戶)라고도 한다. 사만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사만(四滿, 2개 혈KI14)

수부(髓府)라고도 하는데 중주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동인].

○ 단전혈(丹田穴)에서 1치 5푼 옆에 있고 또는 명치 아래로 8치 내려가 배꼽 아래 가로간 금이 있는 곳이다[자생].

○ 침은 1치를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입문].

중주(中注, 2개 혈KI15)

황유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1치를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황유( , 2개 혈KI16)

상곡혈에서 아래로 1치 내려가 배꼽에서 5푼 나가 있다[동인].

○ 배꼽에서 1치 5푼 옆에 있다[자생].

○ 신궐혈(神厥穴)에서 곧바로 1치 5푼 옆에 있다[입문].

○ 침은 1치를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상곡(上谷, 2개 혈KI17)

석관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1치를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석관(石關, 2개 혈KI18)

음도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1치를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음도(陰都, 2개 혈KI19)

일명 식궁(食宮)이라고도 하는데 통곡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1치를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통곡(通谷, 2개 혈KI20)

유문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동인].

○ 상완혈(上脘穴) 옆에 있다[자생].

○ 침은 5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유문(幽門, 2개 혈KI21)

일명 상문(上門)이라고도 하는데 거궐혈(巨闕穴)에서 옆으로 각각 5푼 나가 있다[동인].

○ 거궐혈에서 옆으로 1치 5푼 나가 있다[입문].

○ 유문혈은 거궐혈에서 옆으로 1치 5푼이고 사만혈(四滿穴)은 단전에서 1치 5푼이므로 응당 1치 5푼이라야 정확하다.

○ 유문혈에 횡골혈까지는 정중선에서 다 옆으로 1치 5푼 옆에 나가 있다[자생].

○ 침은 5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보랑(步郞, 2개 혈KI22)

신봉혈에서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 몸을 뒤로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동인].

○ 중정혈(中庭穴)에서 옆으로 2치 나가 있다[입문].

○ 침은 2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신봉(神封, 2개 혈KI23)

영허혈에서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 몸을 뒤로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영허(靈墟, 2개 혈KI24)

신장혈에서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 몸을 뒤로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신장(神臟, 2개 혈KI25)

욱중혈에서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 몸을 뒤로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욱중(彧中, 2개 혈KI26)

유부혈에서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 몸을 뒤로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4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유부( 府, 2개 혈KI27)

일명 수부(輸府)라고도 하는데 거골혈 아래의 선기혈(璇璣穴)에서 옆으로 각각 2치 나가서 우묵한 곳에 있다. 몸을 뒤로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침>뜸>경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방, 심실과 심실과 중격  (0) 2008.08.03
해부일반 : 인체구조  (0) 2008.08.03
경혈도(1) 사진자료  (0) 2008.08.03
침구경혈자리  (0) 2008.08.03
경락의 특징과 효과 [정리 할것]  (0) 2008.08.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