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뜸>경락
- 수소음심경 - 수태양소장경 2008.08.03
- 12경락-족태음비경 2008.08.03
- 위경 2008.08.03
- 폐, 대장 경 2008.08.03
- 질환별 경혈 아보기 2008.08.03
수소음심경 - 수태양소장경
12경락-족태음비경
'침>뜸>경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태양방광경 (0) | 2008.08.03 |
---|---|
수소음심경 - 수태양소장경 (0) | 2008.08.03 |
위경 (0) | 2008.08.03 |
폐, 대장 경 (0) | 2008.08.03 |
질환별 경혈 아보기 (0) | 2008.08.03 |
위경
'침>뜸>경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소음심경 - 수태양소장경 (0) | 2008.08.03 |
---|---|
12경락-족태음비경 (0) | 2008.08.03 |
폐, 대장 경 (0) | 2008.08.03 |
질환별 경혈 아보기 (0) | 2008.08.03 |
경락 외우기' (0) | 2008.08.03 |
폐, 대장 경
'침>뜸>경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경락-족태음비경 (0) | 2008.08.03 |
---|---|
위경 (0) | 2008.08.03 |
질환별 경혈 아보기 (0) | 2008.08.03 |
경락 외우기' (0) | 2008.08.03 |
정상위치의 췌장 (0) | 2008.08.03 |
질환별 경혈 아보기
질환별 경혈 알아보기 (1) 1-1. 서론 나는 중이염(中耳炎)을 앓은 일이 있고, 극약을 잘못 먹어 신장에 치명적 손상을 입은 일이 있으며, 또 목디스크에 걸려 고생한 일도 있었는데, 그때마다 신의들은 불치의 중병으로 보던 것을, 귀와 신장은 쑥 뜸으로, 목은 침으로 완전히 거짖말처럼 고쳐지고 말았다. 사람 몸에 뜸을 하거나 침을 놓는 곳이 경혈이니까, 그 세 가지 몹쓸 병들을 모두 경혈의 적절한 자극으로 고친 셈이다. 이러한 체험은 나에게 경혈에 대한 무한한 관심을 쏟게 했고, 깊게는 못했지만 그 방면의 탐구도 하게 한 셈인데, 이 경혈조사록은 그 소산물이라 할 수 있겠다. 인체의 어느 곳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적절한 경혈의 자극으로 그 이상이 정상화되는 경우가 많은데, 거기서 중요한 문제는 어느 경혈을 자극할 것인가가 문제이겠고, 그것이 바로 동양의학, 특히 경혈학의 지식 없이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의서에는 각종 질병에 대응하는 경혈 군이 열기되어 있다. 어느 한 질병에 대응하는 경혈군은 모든 의서에 적혀 있는 것들이 대동소이할 것이 나의 예상이었는데, 실제로는 그와 반대임을 나는 알았다. 쉽게 말해서 책마다 한 병에 대응하는 경혈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한 셈이다. 의서에 적혀있는 경혈이라고 해서 모든 경혈이 모든 환자에게 맞는다고는 볼 수 없는데, 어느 질병에 대응하는 경혈을 많이 알수록 그중에서 골라서 쓰면 좋은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므로, 일단 여러 의서에서 그것들을 모두 한 곳에 모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 경혈조사록을 만들게 된 것이다. 경혈은 인체 또는 일반 동물의 표피 조직 직하에 산재하는 점조직으로서, 특수 부위에 대한 혈액순환의 사령탑 구실을 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를테면 위유(胃兪)라는 경혈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 위의 기능이 촉진되고, 소상(小商)이라는 경혈에 침 한 방의 자극으로 편도선염이 거짓말처럼 좋아지기 때문이다. 동양의학에서 알려진 경혈은 약 400 개 정도인데, 환자의 증세에 따른 적절한 몇 경혈을 찾아 적당한 방법으로 자극하는 것이 의술이라 할 수 있겠는데, 여기서는 그 의술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 환자의 증세에 따른 관련 경혈 일람표를 만들어 두었다. 일람표에 실린 경혈 중에는 환자에 따라 별로 효과가 없는 경우도 물론 있을 것이다. 적절하고 유효한 경혈 찾는 방법의 하나는 지압에 의한 반응 유무를 알아보는 것이 손쉬운 방법이다. 곧 그 경혈을 지압했을 때 아무런 통증을 호소하지 않으면 반응이 없는 것이고, 통증을 느끼면 반응이 있는 것이다. 병원을 찾기 전, 가정에서의 경혈 자극 방법으로서는 지압하는 것이 가장 손쉽고도 무난하겠고, 지압만으로도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 좋은 효과를 얻으려면 침구를 써야 한다. 그러나 침구 사용은 기초적 교양이 있어야 하므로, 인체를 실험 삼아 함부로 시술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그러나 이를테면 소상(小商)에 조금 피가 비칠 정도로 침 한 방을 놓는다 거나, 삼리(三里)나 곡지(曲池) 등과 같은 건강혈(健康穴)에 쑥뜸을 하는 정도라면 가정에서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고, 더욱 비상용으로도 볼 수 있는 사관혈(四關穴)[합곡(合曲)과 태충(太衝)의 통칭]을 다스리는 정도도 상식으로 배워 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각종 질환에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 경혈 군을, 먼저 가나다순으로 질병 명을 찾아가면 나타나게 편집했는데, 질병명마다 파일을 달리했으므로, 계속적으로 파일을 열어가며 보아도 되겠고, 또 어느 특정한 병에 대한 경혈을 보고 싶을 때는 전술한 병명에서 바로 클릭함으로써 볼 수도 있다. 1-2. 병명과 관련 경혈 찾아보기 일람표 일러두기: 각 병명을 클릭하면 관련 경혈 일람표가 뜬다. 번호는 파일명과 관련이 있고 결번도 있는데 무시해도 좋으나, 각 수의 앞뒤에 mypp와 .html을 붙이면 파일명이 된다[이르테면 "2. 각막실질염의 경혈"의 파일명은 mypp2.html이다].
|
2) 안면(顔面)에 관한 질환
|
3) 눈(眼)에 관한 질환
|
|
4) 코(鼻)에 관한 질환
|
5) 입(口), 이(齒)에 관한 질환
|
|
6) 인후(咽喉), 경부(頸部)에 관한 질환
7) 귀(耳)에 관한 질환
|
|
8) 뇌(腦)에 관한 질환
9) 어깨(肩), 사지(四肢)에 관한 질환
|
|
10) 호흡기(呼吸器)계열에 관한 질환
16) 폐 질환 | |||
|
11) 소화기(消化器) 계열에 관한 질환
|
|
|
12) 심장(心臟)에 관한 질환
|
|
|
13) 내장(內臟), 복부(腹部)[위장, 심장 제외]에 관한 질환
20) 심와부 팽만 | |||
|
|
14) 비뇨(泌尿)생식기(生殖器)에 관한 질환
24) 실정 | |||
15) 성병(性病)
16) 관절(關節)에 관한 질환
|
|
17) 신경(神經)에 관한 질환
|
|
18) 소아(小兒)에 관한 병
|
|
|
19) 열(熱)과 땀(汗)이 나는 병
12) 한불출 | |||
13) 흉중열 |
|
|
|
20) 피부(皮膚)에 관한 병
2) 나력 |
|||
|
21) 잡증(雜症)
32) 학질 | |||
34) 항경중통 |
|||
37) 홍역 |
|||
43) 히포콘테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