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학회 : http://www-2.knu.ac.kr/~china/frame.htm

바로가기 안내판

  회 칙

학회간행물 구입

  편집 및 논문심사규정

회원가입신청서(HWP1, HWP2)

 중국사학회 연구윤리규정

회원가입신청서(MS-WORD)

  원고작성법 / 원고작성샘플파일

  미납회비확인

 

공 지 사 항

번호

내       용

게시일

96

 중국사연구 제63집 발간(2009.12.31)

2009.12.31

95

 제10회 국제학술대회 겸 제65회 학술발표회 (주제: 남해연안지역과 한중교류)
  (일시:2009.12.12(토), 장소: 동아대학교)

2009.12.01

96

 중국사연구 제62집 발간(2009.10.31)

2009.10.31

95

 제64회 학술발표회 (주제: 중국사회문화사의 이해)
  (일시:2009.09.12(토), 장소: 나사렛대학교)

2009.09.01

94

 중국사연구 제61집 발간(2009.08.31)

2009.08.31

93

한국학술진흥재단 학회업무지원시스템(JAMS) 시범지원 학회로  선정되어 홈페이지 추가 개설됨.원고투고는 아래 홈페이지를 경유해 주세요
 
http://chinahistory.jams.or.kr/

2009.06.30

92

 중국사연구 제60집 발간(2009.06.30)

2009.06.30

91

 제63회 학술발표회 (주제: 중국사회문화사의 이해)
  (일시:2009.06.13(토), 장소: 덕성여자대학교)

2009.05.01

90

 중국사연구 제59집 발간(2009.04.30)

2009.04.30

89

 제62회 학술발표회 (주제: 아시아 사회문화사의 이해)
  (일시:2009.04.11(토), 장소: 부경대학교)

2009.03.21

88

 중국사연구 제58집 발간(2009.02.28)

2008.02.28

87

 중국사연구 제57집 발간(2008.12.31)

2008.12.31

86

 제61회 학술발표회(주제: 중국사와 한중관계)
  (일시:2008.12.6(토), 장소: 경북대학교)

2008.11.25

85

 중국사연구 제56집 발간(2008.10.31)

2008.10.31

 84

 중국사연구 제55집 발간(2008.08.31)

2008.06.30

83

 중국사연구 제54집 발간(2008.06.30)

2008.06.30

82

 제9회 국제학술대회 (제60회 학술발표회, 주제: 법을 통해 본 중국사)  (일시:2008.09.26(금)-27(토), 장소: 충북대학교)

2008.04.30

81

  중국사연구 제53집 발간(2008.04.30)

2008.04.30

80

 제59회 학술발표회(주제: 중국사상의 인간과 문화)
  (일시:2008.06.14(토), 장소: 원광대학교)

2008.04.18

79

  제58회 학술발표회(주제: 중국사에서 인적 교류와 사회 변화)
  (일시:2008.04.12(토), 장소: 명지대학교 서울캠퍼스)

2008.04.01

78

  중국사연구 제52집 발간(2008.02.29)

2008.02.29

77

  중국사연구 제51집 발간(2007.12.31)

2007.12.31

76

  제57회 학술발표회(주제: 동아시아 문화사의 이해)
  (일시:2007.12.8(토), 장소: 전북대학교)

2007.12.01

75

  중국사연구 제50집 발간(2007.10.31)

2007.10.31

 74

  중국사연구 제49집 발간(2007.08.31)

2007.08.31

 73

  제8회 국제학술대회(제56회 학술발표회, 주제: 출토문물을 통해 본 중국사)
  (일시:2007.9.6(목)-9(토), 장소: 경북대학교)

2007.08.28

72

  중국사연구 제48집 발간(2007.06.30)

2007.06.30

71

  제55회 학술발표회(주제: 미술을 통해 본 동아시아사)
  (일시:2007.6.9(토), 장소: 안동대학교)

2007.05.25

70

  중국사연구 제47집 발간(2007.04.30)

2007.04.30

 69

  제54회 학술발표회(주제: 동아시아의 역사와 환경)
  (일시:2007.4.14(토), 장소: 충북대학교)

2007.03.15

68

  중국사연구 제46집 발간(2007.02.28)

  2007.02.28

 67

  중국사학회 제4대 전순동 회장 취임

2007.01.01

 66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지 계속심사에서 중국사연구가 등재지 유지 확정

2006.12.31

 65

  중국사연구 제45집 발간(2006.12.31)

2006.12.31

 64

  제53회 학술발표회
  (일시:2006.12.09(토), 장소: 경북대학교)

2006.11.25

 63

  중국사연구 제44집 발간(2006.10.31)

2006.10.31

 62

  제52회 학술발표회
  (일시:2006.09.09(토), 장소: 창원대학교)

2006.09.01

 61

  중국사연구 제43집 발간(2006.08.31)

2006.08.31

 60

  중국사연구 제42집 발간(2006.06.30)

2006.06.30

 59

  제7회 국제학술대회(제51회 학술발표회, 중국의 개항장과 동아시아 문물교류)
  (일시:2006.06.08(목)-11(일), 장소: 부산대학교)

2006.05.08

 58

  중국사연구 제41집 발간(2006.04.30)

2006.04.30

 57

  제50회 학술발표회
  (일시:2006.04.08(토), 장소: 목원대학교)

2006.03.02

 56

  중국사연구 제40집 발간(2006.02.28)

2006.2.28

 55

  중국사연구 제39집 발간(2005.12.31)

2005.12.28

 54

  제49회 학술발표회
  (일시:2005.12.10(토), 장소: 부경대학교)

2005.11.30

 53

  중국사연구 제38집 발간(2005.10.31)

2005.10.27

 52

  중국사연구 제37집 발간(2005.08.31)

2005.8.30

 51

  제48회 학술발표회: 중국사에서의 신앙과 종교
  (일시:2005.9.10, 장소: 대구가톨릭대학교)

2005.8.30

 50

  중국사연구 제36집 발간(2005.06.30)

2005.6.30

 49

  제6회국제학술대회(제47회 학술발표회, 도시를 통해 본 중국사)  (일시: 2005.6.9-12, 장소: 충북대학교)

2005.5.20

 48

  중국사연구 제35집 미술사특집호 발간(2005.04.30)

2005.4.30

 47

  제46회 학술발표회
   (일시: 2005.4.9(토), 장소: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2005.3.28

  46

중국사연구 제 34집 발간(2005.02.28)

2005.2.28

 45

 학회 사무실 오픈(대구시 북구 복현2동 덕수빌딩 3층)

2005. 1.15

 44

중국사연구 제 33집 발간(2004.12.31)

2004.12.31

 42

  제45회 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일시: 2004.12.11(토), 장소: 충북대학교)

2004.11.28

 41

중국사연구 제 32집 발간(2004.10.31)

2004.10.31

40

중국사연구 제 31집 발간(2004.08.31)

2004.08.31

39

중국사연구 제 30집 발간(2004.06.30)

2004.06.30

38

중국사연구 제 29집 발간(2004.04.30)

2004.04.30

37

 제44회 학술발표회; 제5회 국제학술대회(일시: 2004.10.07(목)-10(일), 장소: 영남대학교, 주제: 미술을 통해 본 중국사)

2004.03.20

36

 제43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일시: 2004.06.12(토), 장소: 부산외국어대학교)

2004.03.20

35

  제42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일시: 2004.04.10(토), 장소: 조선대학교)

2004.03.20

34

국사연구 제 28집 발간(2004.02.28)

2004.02.28

33

[중국사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지평가에서 등재학술지로 등록

2003.12.30

32

중국사연구 제 27집 발간(2003.12.31)

2003.12.30

31

제41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 (일시: 2003년 12월 13일(토),
  장소: 부산대학교, 주제: 전통시대 중국사의 신이해)

 2003. 11.15

30

중국사연구 제 26집 발간(2003.10.31)

2003.10.30

29

중국사연구 제 25집 발간(2003.8.31)

2003.08.30

28

제40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 (일시: 2003년 9월 20일(토),
  장소: 단국대학교, 주제: 동아시아 국제무역과 국제관계

2003.08.15

27

중국사연구 제 24집 발간(2003.6.30)

2003.06.29

26

제39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 제4회 국제학술대회 (일시: 2003년 8월 16일 예정, 장소: 경희대학교, 주제: 중국사에서 종족과 생활)

2003.07.15

25

중국사연구 제 23집 발간(2003.4.30)

2003.04.29

24

제38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 개최(일시: 2003년 4월 12일(토), 장소: 충남대학교)

2003.03.10

23

중국사연구 제 22집 발간(2003.2.28)

2003.02.27

22

중국사연구 제 21집 발간(2002.12.31)

2002.12.30

21

제37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2002년 12월 14일)

2002.11.10

20

중국사연구 제20집 중국여성사 특집호 발간(2002.10.31)

2002.10.30

19

2002년 8월 31일  『중국사연구』제 19 집 출간 (2002.8.31)

2002.08.30

18

2002년 9월 14일(토) 제36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

2002.8.10

17

002년 5월 31일  『중국사연구』제 18 집 출간

2002.5.31

16

2002년 6월 6일-11일 제35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

2002.5.10

15

2002년 4월 20일 제 34 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

2002.4.5

14

2002년 2월 28일 『중국사연구』제 17 집 출간

2002.2.28

13

2001년 12월 10일『중국사연구』제 16 집 출간예정 : 12월 8일 제 33 회 발표회 및 정기총회시에 배본할 예정

2001.11.30

12

2001년 11월 30일『중국사연구』제 15 집 출간

2001.11.30

11

제 33 회 중국사학회 학술발표회

2001.11.8

10

http://chinahistory.hihome.com에 또 다른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2001.09.06

4

학회의 모든 공지사항은 이곳에 올립니다.

2001.09.01

3

회원들의 Mail ID 수집에 협조바랍니다.

2001.09.01

2

회원 여러분의 방문을 환영합니다.

2001.09.01

1

홈페이지 오픈***축하***

2001.09.01

중국사학회 : http://www-2.knu.ac.kr/~china/frame.htm

 

 

 

 

中國美術史

維基百科,自由的百科全書

跳轉到: 導航, 搜尋

中國美術歷史源遠流長。

與美術風格總是在變化的歐洲不同,中國美術幾個世紀以來保持了令人驚奇的延續性。明朝時的作品還可以看到唐朝時的影響。一幅清朝的畫作與一幅宋朝的是非常相似的。一個原因就是中國對傳統的尊崇。藝術家的首要任務不是創新,而是儘可能逼真的臨摹舊有的作品——這並不被認為是抄襲,反而一定程度上是創新。

但是其他在中國廣泛流傳的宗教哲學思想也在不斷地影響藝術創作。沒有道家的存在,中國繪畫,唐詩不會是現在這個樣子。這些主題經常是關於與自然相協調的生活的。就是繪畫技巧也透露出了道家的陰陽理論的影響,有的在虛實的辯證轉換之間,有的在乾濕用筆技巧的對比之間。在中國的藝術作品中總是出現道家神話傳說的人物形象。相比之下佛教的影響就不那麼大,尤其考慮到佛教隨著時間的推移不斷的中國化這個因素。16世紀以後,隨著西方傳教士的到來,又有了西方的影響。

出於經濟的原因,中國美術的載體局限於宮廷和學院之中。除此之外也有一些孤獨的藝術家,他們在田園和山林當中進行創作。這常常是一些學者和被貶的官員,他們對社會現狀不滿,從而逃避現實。每逢朝代更替時經常有這種情況發生,比如,初,滿族入侵之際。

中國藝術的影響在整個東亞文化圈都可以觀察得到。尤其在曾經在中國統治下的地區,像朝鮮越南這些藩屬,或者有中國人移民的地方,如新加坡馬來西亞印度尼西亞日本藝術同樣不能擺脫中央帝國的影響。在一些領域,日本的追隨者甚至超越了他們的先師,比如在日本達到鼎盛的漆器手工藝。16世紀以來,中國的工藝品——-尤其是瓷器,大量向歐洲出口,這對歐洲藝術也產生了影響。

台灣地區的美術以及中國移民的美術創作可以認為是中國美術的一部分。

目錄

[隱藏]    [아래를 선택해서 크릭하세요]

[編輯] 史前時代—漢朝時期

1976年山東諸城呈子遺址出土的龍山文化的蛋殼高柄杯

舊石器時代的粗石器,已能磨光、雕琢、鑽孔,符合對稱均衡形式美法則,初具節奏線條韻律美

新石器時代仰韶文化中,可以找到中國美術的早期形式,這種形式一直延續直公元前6世紀。早在紅山文化時期,就已經有雕的形及其他佩飾作品出土,從半坡遺址中可以發現,仰韶時期已經有陶藝存在。早期的陶瓷製品沒有畫上去的圖案,但是有滾花。有很多畫有以對稱形式展開的魚或者人的面部的圖案。

新石器時代彩陶,從幾何紋飾進展到動植物紋樣,其中以仰韶文化馬家窯文化的彩陶紋樣最為豐富生動。除彩陶之外,具有獨立審美價值的人像、動物陶塑也同時出現。[1]

春秋時期以富有想象力和裝飾性的青銅器作為這一時期美術成就的標誌。中國目前已經發現最早的繪畫長沙楚墓出土的帛畫《龍鳳仕女圖》[2]以及戰國時期的《御龍圖》。[3]

時畫跡今已幾乎無存,最完整的為馬王堆漢墓出土的帛畫,描繪了墓主人的地上和地下生活。山東肥城孝堂祠、嘉祥武梁祠石刻尚存,可窺見時古拙有力的繪畫風格特徵。

戰國,以秦始皇陵兵馬俑霍去病石刻為代表,雕塑藝術成就卓著。繪畫品類繁多,帛畫壁畫畫像石畫像磚,異彩紛呈。形成中國書法藝術。

[編輯] 魏晉南北朝時期

北魏時期的彌勒像,鑄於443年

佛教公元1世紀進入中國。到8世紀,它在藝術領域已經展現了卓著的效應,尤其在大型宗教塑像方面。 南北朝佛教藝術勃興,敦煌石窟雲崗石窟龍門石窟等相繼開鑿,大量的壁畫泥塑,在描繪宗教內容的同時,反映著現實的生活;除民間畫工外,士林畫家大量湧現。東晉顧愷之的《女史箴圖》(現存摹本)是早期人物畫的代表作,該畫用筆如春蠶吐絲,緊勁連綿,形神兼備,格調古逸,內容是宣傳封建女性的德行修養。中國傳統人物畫注重「成教化,助人倫」的教育功能,由此可見一斑。

[編輯] 隋唐時期

唐代畫家張萱作《搗練圖》。

則「君子之於學,百工之於藝,自三代歷漢,至唐而備矣。」尤以繪畫、雕塑成就輝煌。就繪畫而言,唐代周昉張萱仕女畫標誌著人物畫的進一步完善。山水畫已擺脫了作為人物畫背景的附屬地位而成為一個獨立的畫種,隋代展子虔的設色山水《游春圖》,是迄今為止世界上第一幅以風景為主題的繪畫,李思訓的金碧山水,王維的水墨山水,王洽的潑墨山水,已經形成了中國畫山水畫的北派和南派的雛形。唐代薛稷的鶴,邊鸞的孔雀,刁光胤的花竹,也說明花鳥畫已開始興起。隋唐雕塑最引人注目的當推陵墓雕刻。昭陵石刻中那組以描繪李世民生前所騎六匹戰馬的浮雕像(習稱「昭陵六駿」)雕工精細,形體準確,造型生動,是中國雕塑史上的傑作。

[編輯] 五代兩宋時期

《清明上河圖》局部,描繪了清明時節,北宋京城汴梁及汴河兩岸的繁華和熱鬧的景象和優美的自然風光。
宋朝木雕彩繪水月觀音像,現藏於上海博物館
宋朝11世紀的孔雀明王畫像,現藏於日本京都仁和寺

五代、兩是中國繪畫藝術的鼎盛期。隨著畫院的設立,宮廷繪畫呈現興旺活躍的景象,後世文人畫通常將繪畫傳統回溯至此時。新的繪畫內容如民俗畫也開始出現,如北宋張擇端的《清明上河圖》,以長卷式構圖,生動地描繪汴京(今開封)的繁華景象,如實地展示了當時的社會生活風貌。這一時期山水畫最後人著墨最多的部份,五代時生活在中原的荊浩關仝,活動於江南的董源巨然,分別以不同的筆墨技法描繪不同地域的山川景象,畫風各異,對後世山水畫的發展有著重要影響。北宋李成的平遠畫風,范寬的崇山峻岭,許道寧的林木野水,郭熙的巨嶂高壁,惠崇趙令穰的抒情小景,米芾米友仁父子的雲山墨戲,使北宋山水畫呈現高度成熟的狀態。到了南宋,大山堂堂的繪畫風格不再,取而代之的是大量留白的繪畫方式,李唐繼承前朝,但開展出了獨特的斧劈皴技巧來畫山石,後來的院畫家如馬遠夏圭基本上追隨李唐的風格,然而在畫面上注重剪裁、大片留白渲染,呈現空氣感,被稱作是詩意山水,一變為纖巧,反映了山水畫的不斷變革和發展。

花鳥畫也有著長足的進步。五代時徐熙的汀花野竹,黃筌的奇花異鳥分別具有野逸和富貴兩種不同的風格。到了北宋,花鳥畫從對稱的裝飾性轉變為寫實生動,強調擬真,趙昌的折枝花卉,易元吉猿猴崔白的敗荷鳧雁可以看作是北宋早中期的代表。到了趙佶主政,刻意經營畫院,仿效科舉考試納才,增加畫院的待遇,讓徽宗朝成為宋代繪畫的高峰,其院體花鳥畫,強調精細寫實,栩栩如生。南宋梁楷法常的花鳥畫已水墨寫意之先河,文同的墨竹可說是最早沒骨花鳥的傑作。

陶瓷方面,宋代亦到高峰。此時的單色瓷工藝到達極致,北宋末期所燒製的汝窯是迄今認為單色瓷發展的極致,色澤溫潤,有珠玉光澤,以枝釘滿釉燒造,工藝技術高超,今日傳世品稀少,不足一百件。其他如定窯耀州窯磁州窯建窯都有非常高度的發展,並有大量外銷,影響周邊東亞等地。南宋官窯則被認為是繼承汝窯,供給宮廷使用的高級瓷器,龍泉窯景德鎮此時也有大量生產,供應外銷,近年考古發現的海底沉船可為佐證。

[編輯] 遼金西夏

於金代設計的翡翠裝飾

西夏是中國北方民族所建立的國家,控制華北自10世紀13世紀,直到忽必烈統一中國為止。傳統中國史學以宋代為正統,對北方政權並不在意,然而他們對中國繪畫史的影響力,應該要加以重視並深入研究。

遼代起於唐末混亂,五代十國之際,與後來的北宋分庭抗禮。在藝術表現上,傳世的藝術品不多。然而透過近年不斷出土的重要墓葬,如遼慶陵陳國公主墓葉茂台遼墓等,幫助我們對遼代美術有更多了解。遼代美術在某種程度上,比宋代美術更多的繼承唐代美術的風格,兼具契丹北方古樸渾厚的氣質。

金代遼而起,滅北宋之後,與南宋南北對峙。由於金代接收北宋首都汴京,並改為南京,可以推測大量北宋內府收藏進入金的宮廷,大幅提高金代皇室的文化與藝術素養。最為著名的皇帝為金章宗,不僅其書法刻意模仿宋徽宗瘦金體,甚至學習宣和年間的內府收藏機制,其收藏印是後代鑑別古畫的一個重要的根據。

金代畫家於中國繪畫史常被人忽略,但歐美學者很早就發現,古代書畫中許多佚名的宋代山水作品,可能是金人所作。而如今存有名字的畫家,如武元直李山王庭筠等,其山水竹石畫作,比起同時南宋院畫家的作品,似乎更顯出「文人」的品味。

[編輯] 元代

創作於元朝的《盧溝筏運圖》。描繪了元世祖至正三年(1266年)在盧溝橋附近漕運西山石木用於修造大都宮殿的情景。

代未逾百年,然在中國繪畫發展上,有舉足輕重的地位。在山水畫方面,由於蒙古朝廷輕視漢人,多所貶抑,漢人知識分子有不願出仕異族朝廷者,多避居山林,與友朋往來,其中不乏有以書畫交誼。此時的繪畫脫離了宮廷氣氛,文人畫獲得了突出的發展。文人畫多取材山水、花鳥,藉以抒發「性靈」和個人抱負。畫家標舉士氣,崇尚品藻,講究筆墨情趣,脫略形似,強調神韻,並開啟重視詩、書修養的文人條件。此類畫家以「元四家」(黃公望吳鎮倪瓚王蒙)為代表,並開啟後來中國山水畫主流。

入仕元朝的畫家也對中國繪畫有重要影響。如趙宋後嗣的趙孟頫,官拜刑部尚書的高克恭,以及如朱德潤柯九思任仁發唐棣等。趙孟頫提倡復古,主張青綠設色和古樸的山水構圖,著名的作品如《鵲華秋色圖》可為代表。而由於道教藝術在元代頗為活躍,多有壁畫及外銷畫作流傳,《永樂宮壁畫》是此類繪畫的代表作。

元代是景德鎮真正馳名的時期,最著名的瓷器即為青花瓷釉裡紅。此時的瓷器外銷極為暢行,所以有研究認為青花的紋樣是伊斯蘭教客戶的要求而出現。龍泉窯的青瓷也非常著名,外銷日本朝鮮半島的數量甚多,亦大量外銷到東南亞一帶。

[編輯] 明代

明朝早期的一套傢具,現存於倫敦維多利亞與艾伯特博物館

明代初期,宮廷畫家師承南宋院體風格,稱之為「浙派」(代表畫家為戴進吳偉),雖然被晚明董其昌等人貶低,但是影響範圍廣及日本朝鮮等地,並一直透過民間畫師的傳承下來,今日台灣地區廟宇壁畫仍是浙派的延續。

另一方面,文人官僚以元四大家為學習對象,出現後來成為文人畫傳統的「吳派」(代表畫家是沈周文徵明唐寅仇英),與浙派為明代畫壇的兩大主要派別。由於晚明崇尚吳派而貶低浙派,致使吳派在中國傳統繪畫中成為山水畫的主流,影響力一直持續到民國初年,甚至國民政府遷台初的繪畫教育,依然以吳派繪畫為主。

此外,陳淳徐謂的大寫意花鳥,創潑辣豪縱一格,給中國傳統繪畫帶來了新的活力。陳洪綬崔子忠是明末有名的人物畫家,號稱「南陳北崔」。前者作品,形象誇張甚至變形,格調高古,對版畫的發展作出了貢獻。此一畫風,後世學者常稱為變形主義

[編輯] 清代

制於清代的玉金罐,約在乾隆年間製作。現收藏於華盛頓的史密森尼博物館

清代延續晚明以來尊崇吳派的傳統,出現所謂四王,稱其畫風為「正統畫派」。然而民間出現一種嶄新的畫風,構圖大膽,別開生面,以前朝遺民八大山人石濤最為人所知。清代中葉江南地區富裕,揚州一帶出現以賣畫為生計的文人畫家,書畫均不落俗套,奇特新穎,後來學者將其中重要的八位稱之為揚州八怪

清代亦為西方繪畫逐漸進入的時期,最著名的就是乾隆時期任職於宮廷的郎士寧,然而這種西方的風潮並沒有影響到民間。但中國當時唯一對外的口岸廣州,出現專門替歐洲商人以油畫作畫的畫工,此是西方繪畫進入中國民間之始。晚清上海闢作通商口岸,由於地處輻輳,成為重要港口,也帶動油畫的需求與發展,中國畫家逐漸學會透視法等西洋繪畫方式,並使用進口顏料作畫,影響傳統繪畫的風貌。

清末上海取代揚州為商業中心,職業畫家群也從揚州轉移到上海,出現了海派風格,可謂中國傳統繪畫的最後一脈。民初高劍父兄弟吸收日本畫的西洋式畫風,開創出嶺南畫派。兩者均代表了中西結合的新畫風,為中國畫的發展作出了有益的嘗試。清代民間美術的興隆值得稱道。木版年畫這一傳統民間美術品種在清代獲得了前所末有的發展。其製作地區遍及大江南北的一些城鎮鄉村,並形成了天津楊柳青蘇州桃花塢濰縣楊家埠等富有地方特色的年畫。與此同時,南京誕生了中國最早的美術高等教育院校。

辛亥革命後,中國社會發生了劇烈變化,傳統的中國美術又隨著時代的驟變而發展。

[編輯] 民國以後

徐悲鴻的「500壯士」

民國美術大體延續清末發展,但是西化潮流因為政治變動而加速,中國開始有畫家留學西方,與歐洲繪畫直接接觸,如徐悲鴻林風眠等人。新式繪畫學校的建立也帶動中國繪畫西化的發展。相較之下,傳統中國繪畫則因為知識份子的抨擊而趨於衰微,如康有為對中國繪畫的強烈批評。

不過,相較於歐洲已經開始從印象派之後新一波的繪畫革命,中國對於西洋繪畫的理解,仍強調古典寫實的訓練。此種訓練在中共建國後由學習蘇聯的社會寫實主義所繼承。另一方面,透過共產黨引入的木刻版畫,也是民國之後所出現的新風格,同樣影響了中共建國之後的美術發展。中華人民共和國成立之後,此兩種繪畫風格主導中國直到20世紀80年代,在改革開放之後,西方的當代藝術才大量進入中國,影響中國當代藝術的發展。

台灣國民黨統治之後,藝術發展附屬在教育體制之下,直到1955年才有專門培養藝術人才的國立藝術學校。但在同一時期,以李仲生為首的一群大陸來台畫家,成立東方畫會,試圖將美國的抽象表現主義與中國文化結合,稱作現代中國繪畫,稍晚五月畫會也有類似的舉措。然而1971年中華民國退出聯合國會員國及常任理事國的席次,引起台灣社會極大的波動,關懷台灣本土的文學鄉土主義開始盛行,影響到美術發展。當時如席德進描寫台灣鄉間風景,並關注台灣傳統建築民居,開啟台灣古蹟保護的發展。

[編輯] 參考文獻

  1. ^ 彩陶
  2. ^ 龍鳳仕女圖大紀元文化網.
  3. ^ 帛畫《人物御龍圖》中國藝術網.

[編輯] 延伸閱讀

  • Richard M. Barnhart u.a.: Three Thousand Years of Chinese Painting. New Haven 2002, ISBN 0300094477
  • Franca Bedin: Wie erkenne ich chinesische Kunst?. Stuttgart 1987, ISBN 3763019944
  • James Cahill: Die Chinesische Malerei. Genf 1960, ASIN B0000BL9NB
  • James Cahill: Chinesische Malerei 11-14. Jahrhundert. Hannover 1961, ASIN B0000BH1OW
  • Lee Yuan-Yuan and Shen, Sinyan. Chinese Musical Instruments (Chinese Music Monograph Series). 1999. Chinese Music Society of North America Press. ISBN 1-880464039
  • Lilian Chi u.a.: A Dictionary of Chinese Ceramics. Singapur 2003, ISBN 9810460236
  • Craig Clunas: Art in China. Oxford 1997, ISBN 0192842072
  • Salvatore Diglio: Urban Development and Historic Heritage Protection in Shanghai. in: Fabio Maniscalco (Hrsg.): Web Journal on Cultural Patrimony. Napoli 1.2006. ISSN 1827-8868
  • David Gowers u.a.: Chinese Jade from the Neolithic to the Qing. Chicago 2002, ISBN 1588860337
  • Shen, Sinyan. China: A Journey into Its Musical Art (Chinese Music Monograph Series). 2001. Chinese Music Society of North America Press. ISBN 1-880464071
  • Shen, Sinyan. Chinese Music in the 20th Century (Chinese Music Monograph Series). 2001. Chinese Music Society of North America Press. ISBN 1-880464047
  • Stephen Little: Taoism and the Arts of China. Berkeley 2000, ISBN 0520227840
  • Eugen Feifel: Geschichte der chinesischen Literatur. Darmstadt 1959, ASIN B0000BLWK8
  • Prudence Oliver Harper: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New Haven 2004, ISBN 0300104871
  • Gloria und Robert Mascarelli: The Ceramics of China, 5000 BC to 1900 AD. Lancaster PA 2003, ISBN 0764318438.
  • Gerhard Pommeranz-Liedtke: Chinesisches Kunstschaffen - Gegenwart und Tradition. Berlin 1954, ASIN B0000BMFSI
  • Helwig Schmidt-Glintzer: Geschichte der chinesischen Literatur. München 1999, ISBN 3406453376
  • Peter Charles Sturman: Mi Fu: Style and the Art of Calligraphy in Northern Song China. New Haven 2004, ISBN 0300104871
  • Michael Sullivan: The Arts of China. Berkeley 2000, ISBN 0520218779
  • Mary Tregear: Chinese Art. London/New York 1997, ISBN 0500202990
  • Renée Violet: Einführung in die Kunst Chinas. Leipzig 1986, ISBN 3363000901
  • Watson, W., The Arts of China to AD 1900 (Yale University Press, 1995).
  • William Watson: The Arts of China to AD 900. New Haven 1995, ISBN 0300059892
  • 譚旦冏,中華藝術史綱。台北:光復書局,1973。

[編輯] 參看

中國歷史

 

前200個) (後200個)

子分類

這個分類中有以下的39個附分類,共有43個附分類。

*

中 續

中 續

類別「中國歷史」中的頁面

這個分類中有以下的161個頁面,共有236個頁面。

1

2

C

H

K

M

Q

S

X

Z

中 續

http://zh.wikipedia.org/zh-tw/Category:%E4%B8%AD%E5%9B%BD%E5%8E%86%E5%8F%B2

중국문화정보망 文化博览 展演信息  【民俗独具特色的兰州婚俗   http://www.ccnt.com.cn/

 

 

 
중국문화정보/사이트모음  
중국 의학
 
 
中??科大?校 中??科大?校:?? 管理机? 院系部 招生 附??院 ??科? 交流合作 招聘信息 ??服? 校?文化 新?信息
중국 위생부(中 ? ?生部) ??合作,?退休管理, ?合管理, ????,政策法?,?生?急,?村?生,?法?督,?幼?社?,?政管理,疾病控制,人事管理 ,科技?育,台港澳合作,
 
 
 
 
중국 문화관
 
 
"주한 중국 문화원" 현대 중국의 발전상과 중국문화를 소개하며, 중극을 이해하려는 한국인에게 정확히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여러 형태의 문화활동 개최와 각계각층의 양국 국민들에게 교류와 친선의 장을 제공합니다. 월간 문화 행사:(문화원행사,전시,영화 등)와 중국문화원 강좌;(중의학
 
 
 
 
중국정경문화관
 
 
중국정경문화연구원 연구원 소개, 중국 정치, 문화,역사,사회,과학 소식, 중국 경제정보 제공등등의 소식을 제공합니다.
 
 
 
 
중국도서문화중심
 
 
中 ? 圖書文化中心 중국의 모든 책들이 한곳에 모인곳입니다.
 
 
 
 
중국 박물관
 
 
중국국가박물관 National Museum of China: Beijing Memorial Hall of the New Cultural Movement,Special Treasures from NMC,National Wax Museum of China: The overall objective of the National Museum of China is to wholeheartedly serve the general public.The basic responsibil
중국의 박물관 사이트中心 중국의 박물관을 소개합니다.
 
 
 
 
中? 文化名人
 
 
上海 文化名人,人才,,,外,, ?迎??入《上海文化名人》??, 解放日? 新?晨? 新??? 申江服??? ?刊文摘 I?代 房地??? 支部生活 上海小? 每日?
 
 
 
 
중국국제방송
 
 
중국백과 중국의 국토,역사,정치,경제,대외내왕,민족과 종교,건축,악기,음악가,민간이야기,전통의학,건축,관광,등등 중국의 모든것을 소개한다.
중국 전통문화 중국의 전통문화와 문화동태 소식들을 동영상과 사진을 통해 소개합니다
중국국제방송(조선어)소식 중국국제방송은 중국의 유일한 국가 대외방송이다. 방송 취지는 세계에 중국을 소개하고 중국을 세계에 소개하고 세계에 세계를 보도하며 중국인민과 각국 인민간의 이해와 친선을 증진하는것이다. 중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교육,관광,여성생활,기타 대내외 소식을
 
 
 
 
중국역사.문화.음악갤러리
 
 
중국 미술이야기 "와이드 차이나" 사이트의 중국 미술이야기/ 120여편의 글과사진속에 중국 현대미술의 정보를 제공한다
중국문화일반사이트 중국의 고대문화와 시,문학,고전,만화,음악 언어를 쉽고 재미있게 접근한 사이트
 
 
 
 
중국의소리
 
 
오픈차이나21 중국의 소리, 중국의 도시,생활과 문화,정보, 중국기업정보 등을 제공하는 전자신문 오픈차이나21에는 중국의 생활을 간접적으로 체험할수 잇는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외교부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is website will try to present a more complete picture of China's diplomatic efforts, provide needed information in a more timely fashion and, at the same time, listen to what you have got to say.~
 
 
 
 
주중국 대한민국대사관
 
 
중국 대한민국대사관 대한민국 대사관소개,영사,교민서비스,기업지원,한국중국소개,경제정보,여행교육,전자민원,기타영사민원 등
 
 
 
 
중화인민공화국 주대한민국대사관
 
 
주한 중국대사관 중국대사관 안내,영사 및 비자업무,중한관계,중국에관한 정보,중국유학,중국뉴스,기타..
 
 
 
 
중국대학교/국제교류대학교
 
 
?防科?技?大? ?校?? 科大新? 招生?? 科??? ??活? 信息?源 校友?系 ?外交流 招聘信息
 
 
 
 
중국 교육관
 
 
호선생 중국어 교실 기독교 단체와 선교사님,성도님들에게 중국선교에 크나큰 도움이 되는 크리스챤 중국어강좌,중국문화이해,인터넷방송,중국커뮤니티 등등을 소개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