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한국기독교100주년선교대회 / 1984년 8월 여의도 광장에서 베풀어졌다.

 

"사진 기록으로 본 한국교회 100년사"

북한 관련사진모음 / 닥터 윌리암 제임스 홀 선교사 사진자료
 
"우리는 부활절에 이곳에 왔습니다.
그날, 사망의 문을 부수셨던 주님께서
이 백성을 묶고 있는 사슬을 깨뜨리시사
하나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빛과 자유를 누리게 하소서!"
-아펜젤러(H.G. Appenzeller) 한국도착 보고서 중에서(1885.4.5)

 * 각 연도별 제목을 클릭하시면 사진과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1928 해주 결핵요양원
1927 사관
1927 무교회주의 운동
1925 사역성사
1924 길림교회
1923 YWCA하령회
1922 만종일련
1922 활천
1922 절제운동
1921 시베리아선교
1920 구라선교
1920 명동성당
1918 묵시록강의
1918 신학지남
1916 만수셩츄
1916 신학세계
1916 기독교청년회학관
1916 동아기독교대화회
1915 대동고아원
1913 주일학교운동
1912 산동선교
1912 조선예수교장로회 제1회 총회
1910 구세군총회
1908 신정찬숑가
1908 평양 장로회 신학교
1908 세브란스 졸업식
1908 구세군 선교
1908 돈황 천불동
1907 옥중개종
1907.대한예수교장로회 제1회 독노회
1907 장로교 최초목사
1907 황성기독교청년회
1907 무교동 성결교회
1906 로스앤젤리스 한인장로교회
1906 가뎡잡지
1905 평북 의주군 영평교회
1905 하와이 한인교회
1905 감리교신학교
1901 신학월보
1901 감리교 최초목사
1900 신약젼서
1898 러시아 정교회
1897 그리스도신문
1897 숭실중학교 졸업장
1895 뎐로력뎡
1893 성서번역자들
1893 대구동산기독병원
1893 강화 성공회 성당
1893 장대현교회
1893 황해도 안악읍교회
1892 소민필지
1891 죠션그리스도인회보
1891 선교사들의 순회 전도
1890 개화전 제물포항
1890 예수서교회
1890 성공회 서울 대성당
1890 매서인들의 전도
1889 동아기독교
1887 보구여관
1887 정동제일교회
1887 새문안교회
1886 경신학당
1886 이화학당
1885 배재학당
1885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1884 고종의 선교윤허
1884 소래교회
1884 광혜원
1884 이수정역 성서
1882 최초의 견미 사절단
1882 로스역 성서
1882 이수정의 개종
1871 척화비
1866 토마스의 무덤
1860 곤여전도
1855 배론하당
1831 귀츨라프
1594 옹천포구
0781 대진경교유행비
동만노회
평생전도회
마르다윌손신학교
십자가 처형(일제)
문용기의사 기념비
순회의료전도반
일본인교회(한일합방전후)
천진암터
북경 북천주당
오다 쥴리아의 묘
돌십자가
마리아상

 한국컴퓨터 선교회제공

http://www.cgntv.net


한국기독교 여성100년의 발자취

개신교 전래 이전의 여성의 지위
    고려이전 불교중심사회에서 주자학 전래, 동학과 천주교의 여성으로 새로운 계기들이...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개신교가 한국땅에 전해지면서 여성의 지위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스크랜톤 여사를 비롯해 선교사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선교초기의 교회여성들

    초기에는 전도부인과 매셔부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냈으며 매서인을 통하여 신앙을 가지는 수가 많았다. 1910년에는 정식으로 여자성경학원이 생겨났다.

기독교여성과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제도는 남성을 위한 것이지 여성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여성교육은 가정교육에 국한되었으며 무조건 남자에게 순종하고 따르도록 했다.

민족의 고난과 기독교 여성
    여성들도 또한 민족의 구성원으로서 일본의 침략과 지배에 대하여 저항을 느껴으며 3.1운동, 105인사건, 물산장려운동, 신사참배 거부운동 등의 항일의식을 이어나갔다.

기독교 여성지도자들의 행태와 민중의      고난

    1930년대 후반기에 민족운동은 대체로 민족문화의 발굴, 보전 등 주로 내향적 성격으로 변해 갔다.

해방과 기독교 여성

    해방직후 여성단체는 사회단체라 해도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기 어려웠고 정치에 이용당하게 되었다.

민족,민주,민중과 함께 사는 새로운 길

    1960-1970년대의 경제적인 고도성장은 여성과 함께했다. 근로여성들은 산업선교회 활동을 하게되었고 한편으로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한국기독교회사
한국 기독 여성 네트워크




Copyrightⓒ 1998 이우정, K.C.M All rights reserved email comments to webmaster@kcm.co.kr

http://kcm.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