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도움/두리하나선교회 http://www.durihana.com/main.htm

 



No, 10
'한인 쉰들러' 굶주린 탈북어린이들의 구세주  

[조-중국경 꽃제비들]

"한핏줄인데" 먹이고 재워.

조-중 국경 마을에 있는 한 '비밀 고아원'. 겉으로는 허름한 가정 집으로 보이는 한 다가구주택 방 3칸에 8∼15살 어린이들 20여명이 살 고 있다. 모두가 굶주림을 참다못해 북한을 탈출한 아이들이다.  2명의 조선족 보모가 아이들을 돌보며 공부를 시킨다. 과목은 한글 과 중국어, 수학, 미술, 음악 등. 아이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중국의 초등학교 1∼2학년 과정을 배운다.


사진설명 : 중국의 조선족 동포들이 운영하고 있는 한 비밀 고아원의 탈북 아이들. 영양 부족으로 대부분 나이에 바해 3∼4살 정도 키가 작은 아이들이지만 고아원 생활이 만족스러운 듯 표정은 밝았다.

"되는대로 사는 거이디요, 뭐." 작년 7월 중국으로 도망온 수정(15, 여, 가명)이는 "장래 희망이 뭐냐"는 물음에 이렇게 대답했다. 함남의 한 도시에서 살던 수정이는 지난해 초 중국으로 달아난 아버지를 찾기 위해 뒤따라 탈북했다. 두만강을 건너서 훈춘∼화룡∼용정을 거쳐 중 국 내지로 들어가는데 성공했지만,이후 한족에게 팔려가기도 하고, 다 방-음식점 등에서 일하면서 성추행을 당하기도 했다. 인민학교 다닐 때는 학교 선생님이 되는것이 꿈이었다는 수정이는 "이젠 그저 살아남 는 게 다야요"라며 눈물을 쏟았다.

중국에는 최근 이 고아원처럼 남몰래 탈북 주민을 돕는 '쉰들러'들 이 부쩍 늘었다. 당국 모르게 활동하는 국제구호단체부터 평범한 조선 족에 이르기까지 층은 다양하다. 탈북 주민을 보호하다 중국 공안당국 에 적발되면 벌금만 5000∼2만위엔(한화 50만∼200만원)을 물어야 하 지만, 이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탈북자의 정착을 돕는다.

"요즘은 보안이 최우선입니다. 외부 인사 방문도 사절하고, 우리끼 리도 가급적 전화 대신 직접 만나 정보를 교환합니다." 비밀고아원의 한 자원봉사 보모는 "북한이 중국 동북 3성(요령-흑룡강-길림성)에 파 견한 보위부 요원이 전보다 2배 이상 많은 500여명으로 늘고, 중국 공 안들도 일제단속을 빈번히 하고 있다"며 "감시를 피해 2∼3개월에 한 번씩 이사를 다닌다"고 말했다. 만일을 위해 현관에는 어른 신발 몇개 만 놔두고, 아이들에게는 초인종소리가 나면 곧장 골방에 숨도록 가르 친다고 했다.

언제 공안요원이 들이닥칠지 모르는 불안 속에서도 탈북주민을 1∼4 명씩 집에서 보호하는 조선족 가정도 적지 않다. 탈북 어린이 2명을 데리고 있는 조선족 A(45)씨는 "창자가 말라붙는 고통을 못 이겨 사선 을 넘어온 사람들을 돌봐주는 것은 한 겨레로서 당연한 일"이라고 말 했다. 조선족 거주 도시의 시장에서 떠도는 탈북 어린이를 돌보는 한 아주머니는 "모두 내 손자같은 아이들인데 모른 척 할 수 없다"며 "오 늘 아침 길가에서 만난 북한 아이 2명에게 아들이 입던 옷을 줬다"고 말했다.

국제구호단체에서 활동하는 한 인사는 "북한측에서 구호단체에 공 작원을 침투시키거나 위장 탈북 소년을 보내기도 한다"며 "탈북 주민 들은 '안네의 일기'처럼 불안에 떨며 살아가고, 우리는 '레지스탕스' 처럼 비밀스럽게 도와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어린 아이들에게 무슨 죄가 있느냐"며 "탈북 어린이들이 국 제 난민으로 인정받아 제3국으로 갈수 있는 길이 열렸으면 한다"고 말 했다.

'꽃제비'란 먹을것 찾아 떠도는 아이들

국가정보원 인터넷 홈페이지에 따르면 {꽃제비는 먹고 잘 곳이 없어 떼지어 떠돌아 다니며 구걸하거나 소매치기하는 아이들을 지칭한다}고 돼있다. 제비가 따뜻한 곳을 찾아다니는 데 빗대어 만든 말로, [노제비](나이든 거지) [청제비](젊은 거지)란 말도 사용한다. 94년 김일성 사후 극심한 식량난과 함께 확산됐으며, 공식 출판물에는 올라있지 않다. 조선족들은 [꽃]은 중국말로 거지를 뜻하는 [화자]에서 유래됐으며, [제비]는 [잡이, 잽이]의 낚아챈다는 의미라고 한다. 때문에 일부에선 [꽃잽이]가 정확한 표현이라고 하지만, 대다수 귀순자들은 [꽃제비]가 맞다고 전한다.

                        이전글 다음글                  
1   북한 소설에 등장한 `꽃제비   471      
2   꽃제비 알리는 데 목숨 걸었다   529      
3   중국에 팔려간 34살 '꽃제비' 증언   692      
4   중국서 숨어지내며...   367      
5   사라진 '꽃제비' 그 애달픈 사연   368      
6   쌀만 구하면 집에 가야죠   241      
7   식량 찾아 두만강 건넌 17살 소년   261      
8   '굶주리는 북녘' 이보다 더 참혹할 순 없다   330      
9   정치의 볼모, 북한 어린이   231      
10   '한인 쉰들러' 굶주린 탈북어린이들의 구세주   314      
11   "잡힐까 겁나도 배부른 중국이 천국"   210      
12   "북서 굶어죽고…중국선 추방…한국은 외면"   216      
13   "먹을것 찾느라 공부못해"   171      
14   밤눈내린 두만강가 탈북 발자국 수백개   180      
15   일할 곳도 의욕도 없어   128      
16   평양 등 도시가 더 `허덕'   213      
17   북한 새싹들의 안타까운 비극   195      
18   연변 조선족의 '동포애' 손길   163      
19   "석탄까지 먹어 봤시요"   233      
20   "오마니가 나를 팔았시요"   273      
21   "뭐든 먹을것 좀 가져와주오"   179      
22   구걸…토굴잠…불안하고 배고픈 탈북자들   150      
23   "죽도 호사 이젠 물로 연명"   124      
24   중국에 팔려가는 처녀들   333      
25   '탈북 청소년들에 남한 가요 인기'   187      
26   '숨진 어미 따라 굶주림의 제물될 아이들'   163      
27   탈북학생들, 남한 학교생활 어려워   198      
28   탈북 청소년(일명:꽃제비)의 수기   242      
29   '북한 꽃제비 20만명으로 추정'   197      
30   ◈ 연변 취재를 마치며 ◈   253      

 

 
목록

북한에도 주님의 손길이...

+ Recent posts